• 제목/요약/키워드: Manual stabilization

검색결과 75건 처리시간 0.019초

포항지진사례 분석을 통한 지진재난 대응 프로세스에 관한 연구 (Study on Earthquake Hazard Response Process by 'Pohang Earthquake' Case Analysis)

  • 강형구;박기종;김혜원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21권1호
    • /
    • pp.561-571
    • /
    • 2021
  • 2017년 발생한 포항지진은 대규모 지진피해로 인한 장기적인 수습·복구라는 과제를 우리에게 남겨주었다. 기존의 지진대응매뉴얼은 재난업무의 흐름과 장기간 계속되는 지진재난특성을 고려하는 것이 부족하였다. 이에 따라 포항지진과 같이 대규모 지진피해로 인한 국내 지방자치단체의 지진재난대응업무가 실제로 어떻게 이루어졌었는지를 파악하고 기록하는 것은 중요한 일이다. 본 연구는 지진재난특성을 고려하여 2017년 포항 지진 당시 포항시청 각 부서에서 실시하였던 지진재난 관리에 대하여 협업기능별 업무를 시간의 흐름에 따라 분석하였다. 그 결과 지진재난 시 업무와 인력이 가장 많이 필요한 기능은 긴급생활 안정지원, 시설응급 복구, 에너지 기능복구 등으로 나타났다. 또한 기능별 재난대응의 문제점을 분석한 결과, 사전에 피해 예방 및 대비가 각 기능별로 부족했던 것으로 조사되었다. 본 연구는 포항지진 사례를 바탕으로 시간의 흐름에 따라 지진재난 대응 단계를 세분화하고, 각 13개 협업기능에 대한 문제점 분석을 통해 전체적인 지진재난대응업무 프로세스를 제시하였다. 이를 통해 대규모 지진 발생 시 지진재난대응 업무를 수행하는 재난관리자에게 혼란한 재난 상황속에서 효과적으로 업무를 수행할 수 있도록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목뼈 부위 감각운동 조절 훈련이 만성 목 통증 환자의 통증과 기능, 심리사회적 수준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Cervical Sensorimotor Control Training on Pain, Function and Psychosocial Status in Patients With Chronic Neck Pain)

  • 민인기;김선엽
    • 한국전문물리치료학회지
    • /
    • 제28권1호
    • /
    • pp.36-46
    • /
    • 2021
  • Background: It is reported that the proprioceptive sensation of patients with neck pain is reduced, and neck sensory-motor control training using visual feedback is reported to be effective. Object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how sensorimotor control training for the cervical spine affects pain, function, and psychosocial status in patients with chronic cervical pain. Methods: The subjects consisted of 36 adults (male: 15, female: 21) who had experienced cervical spine pain for more than 6 weeks. An exercise program composed of cervical stabilization exercise (10 minutes), electrotherapy (10 minutes), manual therapy (10 minutes), and cervical sensorimotor control training (10 minutes) was implemented for both the experimental and the control groups. The cervical range of motion (CROM) and head repositioning accuracy were assessed using a CROM device. In the experimental group, the subjects wore a laser device on the head to provide visual feedback while following pictures in front of their eyes; whereas, in the control group, the subjects had the same training of following pictures without the laser device. Results: There were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two groups in pain, dysfunction, range of motion, or psychosocial status; however, post-test results showed significant decreases after 2 weeks and 4 weeks compared to baseline (p < 0.01), and after 4 weeks compared to after 2 weeks (p < 0.01). The cervical joint position sense differed significantly between the two groups (p < 0.05). Conclusion: In this study, visual feedback enhanced proprioception in the cervical spine, resulting in improved cervical joint position sense. On the other hand, there were no significant effects on pain, dysfunction, range of motion, or psychosocial status.

수치사진영상을 이용한 자동 변위계측시스템의 개발과 적용 (Development of Automatic Displacement Measuring System Using 3D Digital Photogrammetry Image and Its Application)

  • 한중근;김영석;조삼덕;곽기석;홍기권
    • 한국지반공학회논문집
    • /
    • 제23권5호
    • /
    • pp.53-62
    • /
    • 2007
  • 최근 구조물의 안정성 평가를 위해서 많은 고가의 고정밀도 자동화 계측장치가 개발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정밀장치를 사용한 기존의 수동계측은 대형구조물 전체에 대해 실시간 계측이 불가능하며 자동화계측에도 막대한 비용이 요구되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실시간 수치사진영상을 이용한 3차원 자동화 비쥬얼모니터링시스템을 개발하였다. 그리고 대형구조물의 실시간 계측분야에 있어서 개발시스템의 적용성 및 정밀도에 대한 신뢰성을 확인하기 위해 콘크리트 벽면의 강체변위에 대한 계측실험과 보강토옹벽블록의 변위계측실험을 실시하였고, 실험결과를 기존의 정밀계측장치인 토탈스테이션의 측정결과와 비교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개발시스템이 기존 계측시스템의 단점을 해결할 수 있었고, 고정밀도이면서 실시간 계측시스템으로서의 활용이 가능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슬링(sling)과 고정된 지지면에서의 팔굽혀펴기 동작 시 근 활성도 비교 (Comparison of Muscle Activity During a Push-up on a Suspension Sling and a Fixed Support)

  • 오재섭;박준상;김선엽;권오윤
    • 한국전문물리치료학회지
    • /
    • 제10권3호
    • /
    • pp.29-40
    • /
    • 2003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the muscle activity during a push-up on a suspension sling and a fixed support at the same level. Tests were performed on 15 male subjects. Electromyography using a surface EMG recorded the activity of the triceps, pectoralis major, and internal and external oblique muscles during each push-up. EMG activity was recorded at 0, 45, and 90 degrees of elbow flexion in the push-up position on a suspension sling or a fixed support at the same height above the floor (30 cm). The testing order was selected randomly. The subjects were asked to maintain the push-up position with straight knees, hips, and trunk for 5 seconds at each elbow angle. The mean root mean square (RMS) of EMG activity was calculated. EMG activity was normalized using the maximum voluntary isometric contractιn elicited using a manual muscle testing technique. Two-factor repeated measures analysis of variance (ANOVA) was used to compare the average RMS value of EMG activity for each condition. The EMG activity for the pectoralis major, and internal and external oblique muscles during a push-up on a sling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on a fixed support at all angles of elbow flexion (p<.01).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EMG activity of the pectoralis major and triceps brachii muscles at difference angles of elbow flexion (p<.05). The pectoralis major muscle had the highest EMG activity at 90 degrees of elbow flexion on both the sling and fixed support. The triceps brachii muscle had the highest EMG activity at 45 degrees of elbow flexion on both the sling and fixed support. The internal and external oblique muscles had the highest EMG activity at 0 degrees of elbow flexion, although the difference with angle of flexion was not significant. These results suggest that to improve proximal and trunk stability and muscle strength, push-ups are more useful when performed on a suspension sling than On a fixed support.

  • PDF

라이프케어증진을 위한 흉·복부 호흡패턴교정이 요추부 불안정성자들의 몸통 전방 굴곡 동작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n Trunk Forward Flexion Motion of Thoraco-Abdominal Breathing Pattern Correction for Life Care Promotion in Lumbar Instability People)

  • 기철;허명
    •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논문지
    • /
    • 제14권8호
    • /
    • pp.245-253
    • /
    • 2020
  • 본 연구는 호흡 패턴 교정 후, 호흡 동안 흉·복부 둘레 선 세 곳의 운동성(TAMs) 변화와 몸통 전방 굴곡 동안 흉추(TSM) 및 요추부 운동성(LSM)의 변화를 조사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요추부 불안정성이 있는 30명의 대상자들을 15명의 호흡패턴 교정운동 그룹과 15명의 요추부 안정화운동그룹으로 나누어, 한 세션 당 40분 운동, 총 18 세션을 6주 동안 적용하였다. 연구 결과, 호흡패턴교정 그룹은 안정화 운동 그룹에 비해 모든 TAMs과 TSM 이 유의하게 더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고 LSM은 더 유의한 감소를 보였다(p<.001). 호흡패턴교정은 전체 TAM(안정호흡: r= .868, 노력성호흡: r= .870) 및 TSM(r= .672)과는 높은 양의 상관관계를, LSM(r= -.420)과는 음의 상관관계를 나타내었다. 본 연구 결과를 기초로, 요추부 불안정성자의 호흡패턴교정이 흉·복부 둘레 선의 상대적 운동성 개선을 통해 흉추와 늑골 관절의 운동성을 촉진하여 몸통 전방 굴곡 시 요추부 굴곡 운동성을 감소시킬 수 있다고 제안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