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anseon

검색결과 3건 처리시간 0.022초

일제강점기 길장지구 한인 관련 건축활동과 시설에 관한 연구 -만선일보의 기사를 중심으로- (A Study of Architectural Activities in China Jichang(吉長)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 Focused on the articles of Manseon-ilbo(滿鮮日報) in 1940 -)

  • 한동수
    • 건축역사연구
    • /
    • 제24권4호
    • /
    • pp.65-74
    • /
    • 2015
  • This paper deals with architectural activities related to Korean society in Jichang district in North East China, focused on the articles of Manseon-ilbo published there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Construction-related contents in the area closely connected with topical interest, publicity, and enlightenment as a local media source provide positive grounds about pending issues in colonial situations. This paper handles with articles issued in the 1940's newspapers just before the Pacific War. At that time Japanese enter in the Chinese continent, and construct a stable basis in the intimate association with Germany and Italy, countering against the United State. Among articles regarding architecture, most of contents are based on healthcare and public facilities, and urban planning. Overwhelmingly the most popular articles are about new constructions of educational facilities and residential matters. The shortage of goods and the excessive concentration of population resulted in urban and house problems, which were particularly much more serious in Korea society. Such social atmosphere made all activities regarding building constructions, in particular educational facilities, in civil level rather than the helps of the Japanese colonial government. Thus, through education and house matters we can read a slice of Korean society to survive in the colonial environment of Jichang district.

문어 흘림낚시용 인공미끼 개발 (Development of artificial bait for octopus drift line)

  • 안영일;유원귀문
    • 수산해양기술연구
    • /
    • 제43권4호
    • /
    • pp.291-300
    • /
    • 2007
  • The crayfish-shaped artificial bait for octopus drift line is manufactured, into which is made to insert ordinary bait. The effects of the artificial bait are confirmed through the analysis of octopus' behavior in the laboratory in comparison with the existing bait of pig-fat skin, and the investigation of the octopus catch on the sea, and in addition, the examination of the water quality in relation to the bait to be inserted into the artificial bait is done together. The artificial bait is red in color, 10.5cm in the length of the body, and 29g in weight. The octopus behavior in relation to the bait in the laboratory has shown a good result in which more than 30% of the octopuses rushed to the artificial bait. In the analysis of the octopus sitting time by the bait, the octopus stayed longer with the artificial bait(63.7%) than the pig-fat skin(25.1%). The octopus sitting time at the artificial bait inserted with frozen squid(48.8%, 44.6%) is shown to be longer than that of the pig-fat skin(36.9%) or boiled fish paste(21.2%). In the analysis of sitting frequency to the bait, the case of the artificial bait(total 17 times) was more than that of the pig-fat skin(total 3 times), and the case of the artificial bait with frozen squid attracted the octopuses more frequently than that of the pig-fat skin or the boiled fish paste. In the field experiment, the fishing boat A(Manseon-ho, 1.22tons) caught the total 93 octopuses, while the fishing boat B(Ilho-ho, 0.73tons) caught the total 154 octopuses, all of which weighed less than 9.0kg. In the comparison with the total catch, the case with the artificial bait was a little higher than that of the pig-fat skin($^{**}p\;<\;0.05$). In the analysis of the water quality in relation to the baits, the COD showed the descending order of frozen squid(0.57mg/g), boiled fish paste(0.18mg/g), and pig-fat skin(0.10mg/g), and the case with frozen squid was the highest and the case of the pig-fat skin, lowest. The total phosphorus, like the COD, showed the highest in frozen squid(0.02mg/g), and in case of the total nitrogen, unlike the COD, the pig-fat skin was shown to be the highest(0.006mg/g).

상수(象數) 원리를 정원구성에 적용한 용도서(龍圖墅)와 귀문원(龜文園) (Yongdoseo(龍圖墅) and Guimunwon(龜文園) which Applied a Sangsu(象數) Principle on Garden Composition)

  • 홍형순
    • 한국전통조경학회지
    • /
    • 제30권2호
    • /
    • pp.119-129
    • /
    • 2012
  • 용도서와 귀문원은 홍만선이 저술한 "산림경제" "복거(卜居)" 편에 실려 있다. 이 글은 하도(河圖)와 낙서(洛書)의 원리를 적용한 독특한 정원 구상안으로, 실제 조영된 바 없는 상상 속의 정원이다. 여기에는 두 정원의 모습이 구체적으로 묘사되어 있으나, 상수학에 대한 이해가 없이는 여기에 내재된 의미를 파악할 수 없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이 기록을 고찰함으로써 정원도해에 담긴 의미와 조경사적 의의를 밝히는데 있다.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이 글의 배경이 되는 저작 및 편찬자, 상수학의 개요를 살펴보았다. 또 하도와 낙서에 담긴 생수(生數)와 성수(成數), 음양, 사상, 팔괘도 등의 원리를 고찰하였다. 이러한 연구 과정을 거친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하도와 낙서는 우주변화의 원리 등 상수철학의 기본 명제들을 포괄적으로 추상화한 개념적 정의(conceptual definition)라 할 수 있는데, 용도서와 귀문원은 이를 정원구성 원리로 적용하여 거기에 담긴 의미를 구체적으로 경험하고, 반복 가능한 방식으로 설명할 수 있도록 한 조작적 정의(operational definition)라 할 수 있다. 이러한 시도는 중국에서도 전례가 없는 독특한 사례이다. 둘째, 하도와 낙서에 내재된 의미에 대한 조작적 정의를 구체화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정원이라는 생활공간이 선정되었고, 하도와 낙서의 방위개념과 위치와 수 등을 재현하는 소품으로 태극정과 십자각, 돈대, 우물, 연못 등과 함께 각종 수목이 사용되었다. 셋째, 용도서와 귀문원은 각기 하도와 낙서가 표상하고 있는 선천과 후천, 체와 용의 관계를 주 모티브로 하고있다. 즉, 용도서는 하도가 표방하는 우주생성의 원리, 정적이며 조화, 질서, 상생의 모습을 상징하기 위하여 '십장청'이라는 상록수만을 식재하도록 구상하였다. 귀문원에는 낙서가 표방하는 후천의 변화 즉, 동적이며 부조화 무질서, 상극, 변화를 표현하기 위해 화목과 과목을 자유롭게 식재하도록 하였다. 이러한 식재효과를 통해 구현하고자한 두 정원의 시각적 이미지(image)의 차별성은 용도서에는 '청상함', 귀문원은 '화려함'으로 함축된다. 하도와 낙서가 바탕이 된 상수학은 고대 이래로 오랜 기간에 걸쳐 다양한 학파와 여러 학자의 지혜가 축적된 동양의 독특한 사고 체계이다. 따라서 그 개념과 이론이 심오하고 방대하며 해석의 관점도 다양하다. 이러한 맥락에서 동양철학의 제반 개념들에 대해 보다 심층적이고 다양한 관점에서 고찰하지 못한 점은 본 연구의 한계이다. 추후 연구과제는 전통정원에 내재된 상수학 등 동양사상에 대한 보다 실증적인 연구가 필요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