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Mann Kendall Tau

Search Result 4, Processing Time 0.021 seconds

The Future of Extreme Climate Change in Korean Peninsula Using National Standard Climate Change Scenarios and ETCCDI Index (국가 표준기후변화 시나리오와 ETCCDI지수를 이용한 한반도의 미래 극한사상변화 전망)

  • Jeong, Jin Woo;Jeung, Se Jin;Kim, Byung Sik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0.06a
    • /
    • pp.134-134
    • /
    • 2020
  • 본 논문의 목적은 기후변화가 한반도에서의 극한기후에 미치는 영향을 전망하고자한다. 먼저, 기상청에서 제공하고 있는 SDQDM 편의보정을 거친 CCAW의 국가 표준기후변화 시나리오 13종을 이용하였으며, 참조기간을 기준으로 기후변화 시나리오의 모의 능력을 검토하였다. 이어 미래의 극한기후변화를 전망하기위해 WMO의 ETCCDI 지수를 이용하여 미래 극한기후를 전망하였다. 또한 Mann Kendall tau를 이용하여 한반도의 강수와 기온관련 극한지수 변화를 전망하였다. 분석 결과를 기온관련 지수에서 Current 기간일 때 WSDI지수가 공간적 변동성이 54%로 예상되며, TXx지수가 지역간의 공간적 변동성이 121%로 가장 클 것이라 예상된다. 강우관련 지수를 살펴보면 Current기간 일 때 r95p지수의 지역별 공간변동성이 59%로, RCP 4.5시나리오일 때 PRCP 지수의 공간변동성이 42%로, CDD지수의 공간변동성이 최대 59%로 분석되었다. 공간분포를 확인해본 결과 기온과 강수관련 지수 모두 한반도 중부지역에서 큰 상승 경향을 보였고, 미래기간의 경우 북한의 서해안, 남한의 남해안 지역에서 가장 큰 증가경향을 보였다. 즉 일습윤지속일수를 의미하는 CWD지수는 경상도, 전라도 지역에서 증가 경향을 나타냈으며, 충청도와 북한전역에서 감소경향을 나타났다. 또한 일교차를 의미하는 DTR지수는 한반도 전역에서 증가하는 것으로 전망되었다.

  • PDF

A Study for Advancing Health Industry (의료산업의 선진화를 위한 연구)

  • Chang, Kyung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Industrial and Systems Engineering
    • /
    • v.23 no.61
    • /
    • pp.59-73
    • /
    • 2000
  • Nowadays many People know well that happiness depends not on richness but on health and wellbeing, and many researchers have studied about such subjects. This paper studies correlations, causal relations and factors of many variables to be considered to be able to explain human health and welfare in a country system, using Kendall's tau and factor analysis methods. Also it finds what main variables are to be controlled for a country system to become more advanced in various sides of health and welfare, using Mann-Whitney statistics. The contribution of this paper is that it can suggest essential variables and important relations which are helpful to construct an efficient system of health and welfare in Korea.

  • PDF

Relationships between recall, organizational strategy, and metamemory in young children (아동의 회상수행, 조직화 책략 및 상위기억간의 관계)

  • Cho, Mi Hae
    • Korean Journal of Child Studies
    • /
    • v.10 no.1
    • /
    • pp.11-25
    • /
    • 1989
  • The purpose of the present research was to study developmental trends in and relationships between recall, organizational strategy, and metamemory in young children. The subjects were 84 children, 14 boys and 14 girls at each age level, 4, 6, and 8. Two tasks (memory task & metamemory task) were used to assess children's recall, organizational strategy, and metamemory based on Sodian et al.(1986). All subjects were randomly assigned either to the play-and-remember condition or to the sort-and-remember condition. The two tasks were administered to children individually with the memory task followed by the metamemory task. The data were analysed by the statistical methods of two-way ANOVA, Student-Newman-Keuls post hoc test, Mann-Whitney U test, Kruskal-Wallis test,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and Kendall's Tau. Children's recall (free, conceptually-cued, and perceptually-cued) level increased with age. There were significant experimental condition differences in free recall and conceptually-cued recall, but not in perceptually-cued recall. Children's organizational strategy showed differential developmental trends by experimental condition. Use of conceptual strategy at both encoding and retrieval increased with age in both experimental conditions. Use of perceptual strategy (PS) at encoding showed an inverted-U age effect in the play-and-remember condition, but PS decreased linearly with age in the sort-and-remember condition. There were significant age differences in metamemory, and there were significant correlations between recall and organizational strategy.

  • PDF

Trends in daily precipitation events and their extremes in the southern region of Korea (남부지방의 강수강도와 극값의 변화경향에 관한 연구)

  • Choi, Young-Eun
    • Journal of 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
    • /
    • v.11 no.3
    • /
    • pp.189-203
    • /
    • 2002
  • 호우는 우리나라에 매년 약 60여명의 인명과 6,000억원에 달하는 재산 손실을 가져오는 가장 파괴적인 자연 재해이다. 그러므로, 강수 행태의 변화, 특히 호우 빈도와 규모의 변화를 이해하는 것은 악기상과 관련된 재해를 최소화하는데 필요한 환경영향평가에 필수적이다. 최근 기후변화의 징후로써 뿐만 아니라 사회에 미치는 영향 때문에 강수 극값에 대한 관심이 크게 증가하고 있다. 기후변화가 사회에 영향을 미치게 될 규모는 기후변동성의 변화, 특히 기후극값의 강도와 빈도에 의해서 결정 될 것이다. 본 연구의 목적은 한반도 남부지방의 장기간의 강수강도와 극값의 변화 경향을 파악하는 것이다. 장기간의 일 강수 자료(1920-1999)를 보유하고 있는 대구, 전주, 부산, 목포의 자료를 산술 평균하여 남부지방의 지역 일 강수 계열을 구축하였다. 남부지방의 연강수일수는 뚜렷한 감소현상이 나타나는 반면 연강수량은 약한 증가현상을 보인다. 이로 인해서 강수일수당 강수량을 보여주는 강수강도는 뚜렷하게 증가하고 있다. 이 모든 경향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수준의 변화이다. 계절별로는 여름의 강수량 증가와 가을의 강수일 수 감소가 가장 뚜렷하다. 또한 강수극값의 규모를 나타내는 90번째, 95번째, 99번째 백분위수의 값도 증가하는 경향을 보여주고 있다. 호우 사상의 발생빈도와 그에 의한 강수량은 증가하는 반면, 비호우 사상의 발생빈도는 감소하고, 그에 의한 강수량에는 뚜렷한 경향이 나타나지 않았다. 남부지방에 나타난 강수일수의 감소는 비호우 사상의 감소에 의한 것이었고, 강수량의 증가는 호우 사상의 발생빈도와 그에 의한 강수량 증가에 의한 것 임을 알 수 있다. 위의 결과는 한반도에서도 기후변화에 의한 수문순환의 강화를 나타나고 있음을 보여주는 것으로, 기후변화에 대응하기 위한 적절한 지역영향평가를 위해서는 강수 극값에 대한 보다 상세한 분석이 필요함을 제안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