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ankyua chejuense

검색결과 10건 처리시간 0.023초

종 분포 모형을 활용한 제주고사리삼의 복원 및 보전 대상지 선정과 관리방안 (Selection and Management Strategies for Restoration and Conservation Target Sites of Mankyua chejuense using Species Distribution Models)

  • 이상욱;장래익;오홍식;전성우
    •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지
    • /
    • 제26권3호
    • /
    • pp.29-42
    • /
    • 2023
  • As the destruction of habitats due to recent development continues, there is also increasing interest in endangered species. Mankyua chejuense is a vulnerable species that is sensitive to changes in population and habitat, and it has recently been upgraded from Endangered Species II to Endangered Species I, requiring significant management efforts. So in this study, we analyzed the potential habitats of Mankyua chejuense using MaxEnt(Maximum Entropy) modeling. We developed three models: one that considered only environmental characteristics, one that considered artificial factors, and one that reflected the habitat of dominant tree species in the overstory. Based on previous studies, we incorporated environmental and human influence factors for the habitats of Mankyua chejuense into spatial information, and we also used the habitat distribution models of dominant tree species, including Ulmus parvifolia, Maclura tricuspidata, and Ligustrum obtusifolium, that have been previously identified as major overstory species of Mankyua chejuense. Our analysis revealed that rock exposure, elevation, slope, forest type, building density, and soil type were the main factors determining the potential habitat of Mankyua chejuense. Differences among the three models were observed in the edges of the habitats due to human influence factors, and results varied depending on the similarity of the habitats of Mankyua chejuense and the dominant tree species in the overstory. The potential habitats of Mankyua chejuense presented in this study include areas where the species could potentially inhabit in addition to existing habitats. Therefore, these results can be used for the conservation and management planning of Mankyua chejuense.

Divergence time estimation of an ancient relict genus Mankyua (Ophioglossaceae) on the young volcanic Jejudo Island in Korea

  • GIL, Hee-Young;KIM, Seung-Chul
    • 식물분류학회지
    • /
    • 제48권1호
    • /
    • pp.1-8
    • /
    • 2018
  • Mankyua chejuense is the only member of the monotypic genus Mankyua (Ophioglossaceae) and is endemic to Jejudo Island, Korea. To determine the precise phylogenetic position of M. chejuense, two cpDNA regions of 42 accessions representing major members of lycophytes are obtained from GenBank and analyzed using three phylogenetic analyses (maximum parsimony, maximum likelihood, and Bayesian inference). In addition, the divergence time is estimated based on a relaxed molecular clock using four fossil calibration points. The phylogenetic position of Mankyua still appears to be uncertain, representing either the earliest diverged lineage within Ophioglossaceae or a sister to the clade containing Ophioglossum and Helminthostachys. The most recent common ancestor of Ophioglossaceae and its sister lineage, Psilotum, was estimated to be 256 Ma, while the earliest divergence of Mankyua was estimated to be 195 Ma in the early Jurassic.

Yeasts Associated with Roots of the Endemic Plant Mankyua chejuense

  • Kim, Jong-Shik;Kim, Dae-Shin;Jeon, Sang-Mi;Ko, Suk-Hyung
    • 한국환경농학회지
    • /
    • 제35권2호
    • /
    • pp.137-142
    • /
    • 2016
  • BACKGROUND: Identification of endophytic yeasts inhabiting the internal roots of the Mankyua chejuense tree requires techniques involving biotechnology. There is a need for a culture-based method to isolate and identify yeast strains associated with M. chejuense.METHODS AND RESULTS: We spread homogenized M. chejuense root samples onto glucose-peptone- yeast agar containing antibiotics, Triton X-100, and L-sorbose. A total of 152 yeast isolates were obtained and identified via phylogenetic analysis based on ITS gene sequencing. The results revealed that the root-associated yeast species included the genera Cyberlindnera (140 isolates), Candida (11 isolates), and Kluyveromyces (one isolate). Additionally, three yeast isolates showed high bioethanol production.CONCLUSION: We identified the specific yeast community associated with M. chejuense roots. These yeast isolates may have industrial applications as bioethanol producers. Our findings revealed that Cyberlindnera isolates included C. suaverolens and C. satumus, while Kluyveromyces isolates showed high bioethanol production.

제주고사리삼의 자생지 유형 및 식생 특성 (Vegetation Characteristics of Mankyua chejuense Habitats)

  • 현화자;문명옥;김문홍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24권4호
    • /
    • pp.395-403
    • /
    • 2011
  • 본 연구는 제주고사리삼 자생지의 입지환경과 식생 특성을 파악하기 위하여 이루어졌다. 각 자생지들은 자생지의 깊이, 암석 노출 비율, 우점 수종, 주변식생 등에 따라 2가지 유형으로 구분되었으며, 이에 따라 자생지의 식생이 다르게 나타났다. 암석이 노출된 유형의 자생지는 인접 지역과의 지형적인 경계가 뚜렷하고, 대부분 습한 환경에 자라는 수목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에 비해 토양이 풍부한 유형의 자생지는 깊이가 얕고, 토양이 발달되어 있으며 주변에서 이입된 수목이 분포하였다. 하지만, 초본층은 대부분 수생식물이 우점하며 이는 자생지가 습지의 특성을 갖는다는 것을 보여준다. 따라서 제주고사리삼 자생지는 소택지와 매우 유사한 특성을 가지며, 제주고사리삼의 보존을 위해서는 자생지가 이러한 습지의 특성을 유지하도록 하는 것이 매우 중요할 것이다.

제주고사리삼(Mankyua chejuense B.-Y. Sun, M.H. Kim & C.H. Kim)의 생장 형태 및 식물계절학적 특성 (Growth Pattern and Phenology of Mankyua chejuense B.Y. Sun, M.H. Kim & C.H. Kim)

  • 현화자;문명옥;최형순;김찬수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27권1호
    • /
    • pp.95-101
    • /
    • 2014
  • 본 연구는 고사리삼과에 속하는 제주고사리삼 잎의 생장 패턴 및 식물계절학적 특성을 파악하기 위하여 실시하였다. 제주고사리삼은 지하경을 이용하여 무성번식 하는 종으로서 한 클론의 길이는 52 cm까지 자랐으며, 뿌리가 생장하는 동안 새로운 근경과 잎이 형성되었다. 제주고사리삼 잎은 7월에 출현하기 시작하였으며, 생장은 기온이 높고 강수량이 많은 7월 ~ 9월 동안에 활발하게 이루어졌다. 잎은 10월까지 생장을 마치고 이후 성숙된 포자낭에서 포자가 방출되기 시작하였으며, 11월부터 잎의 노화가 시작되어 이듬해 2월이 되면 대부분의 포자엽과 영양엽이 노화되고 4월 이후에는 잎 전체가 시들어 없어졌다. 이와 같이 제주고사리삼 잎의 생육기간은 7월에서부터 이듬해 4월까지 10개월이었으며, 노화의 시기는 자생지 마다 다소 차이를 나타냈다. 이는 자생지의 미세 환경의 차이에 의한 것으로 생각되며 이에 대한 연구가 진행되어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Effects of environmental factors on the growth response of above- and below-ground parts of Mankyua chejuense, endangered endemic plant to Jeju province, in Korea

  • Kim, Hae-Ran;Shin, Jeong-Hoon;Jeong, Heon-Mo;You, Young-Han
    • Journal of Ecology and Environment
    • /
    • 제37권2호
    • /
    • pp.61-67
    • /
    • 2014
  • Mankyua chejuense is a native endangered plant distributed only in Gotzawal, a forested wetland, in Jeju Province, Korea. In order to determine the optimal environmental conditions for the growth and development of M. chejuense, we investigated the above- and below-ground growth responses and survival rate to various soil texture (sand and clay), water regimes (flooding and non-flooding), and $CO_2+T$ (ambient and elevated) conditions. All of the treatments had significant effects on aboveground growth parameters, while only the water regime and $CO_2+T$ treatments influenced belowground growth. The survival rate of M. chejuense was about twice higher under the sand, non-flooding and elevated $CO_2+T$ conditions than clay, flooding and ambient $CO_2+T$ conditions. These results indicate that M. chejuense grows in well-drained sandy soil conditions and elevated $CO_2$ concentration and temperature situations. Thus, there is a need to maintain M. chejuense under constant non-flooding soil conditions by implementing appropriate soil drainage strategies.

제주고사리삼 자생지의 환경 및 식물상 (Flora and the Conditions of Mankyua chejuense Habitats)

  • 현화자;강창훈;송국만;문명옥;송관필;김문홍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23권4호
    • /
    • pp.350-359
    • /
    • 2010
  • 제주고사리삼은 제주도의 동북부 지역에 매우 제한적으로 분포하였다. 이 일대는 상록활엽수림 및 관목림, 초지 등의 식생이 분포하고 있으며, 제주고사리삼 자생지는 이들 지역에 독립적인 소택지 형태로 나타났다. 자생지는 지형적으로 주변 보다 낮은 함몰구 형태로써 크기와 형태는 다양하게 나타났다. 자생지에 분포하는 관속식물은 61과 112속 147종 총 147분류군으로 조사되었으며, 이 중 피자식물이 136 분류군으로 대부분을 차지하였다. 제주고사리삼 자생지 내의 식물상에 대한 생활형 분석 결과 주변의 식생과 다른 형태를 갖고 있으며, 특히, 일년생식물과 수생식물의 비율이 높게 나타났다. 이러한 식물상의 안정적인 유지를 위해서는 자생지환경의 보존이 매우 중요하며, 이를 위해서는 자생지를 포함한 주변지역에 대한 전체적인 보호구역 설정이 절실하다고 판단된다.

멸종위기 식물 제주고사리삼의 입지와 식생구조의 특징에 대한 연구 (Characteristics of vegetation structure and habitat of Mankyua chejuense(Ophioglssaceae), endangered plant in Korea)

  • 이경미;신정훈;정헌모;김해란;김정호;신동훈;유영한
    • 한국습지학회지
    • /
    • 제14권1호
    • /
    • pp.35-45
    • /
    • 2012
  • 멸종위기식물이고, 한국 특산속 식물인 제주고사리삼의 생육 환경과, 식물사회학적 군락조사를 통해 그 분포 입지와 생태적 특성을 밝히고자 제주도의 조천-선흘 곶자왈 습지대에서 12개의 영구 방형구를 설치하고 분포입지, 식생 종조성, 식피율, 습지의 면적, 깊이와 경사도, 개체군 밀도를 조사하였다. 제주고사리삼 자생지의 입지환경은 물이 고였다가 마르는 독립된 소택지로 여러 가지 모양을 가지며 습지면적은 150-$400m^2$로 좁았고, 해발고도는 88-165m, 깊이는 0.4-2.0m, 경사는 3-$10^{\circ}$로 완만하였다. 토양은 수분을 항시 보유하고 있었다. 제주고사리삼은 소택지내에서 수관이 밀폐된 가장자리에 주로 군생하며, 개체수는 1-423개로 자생지에 따라 다르게 나타났다. 식물군락은 참느릅나무군락, 꾸지뽕나무군락, 찔레꽃군락, 소엽맥문동군락(이상 목본성), 자금우군락(초본성)의 5개로 구분되었고, 식피율은 80-100%로 매우 높았다. 이상으로 볼 때 제주고사리삼은 지속적인 수분공급과 어느 정도의 광이, 특히 낙엽수의 휴면기 때, 유입되는 환경에서만 살 수 있음을 의미한다. 또한 식물체의 크기가 5cm 이내로 작아 낙엽의 퇴적과 같은 작은 환경변화로도 생육에 큰 지장이 있을 정도로 예민한 종이고, 장기적으로는 상록활엽수로의 천이가 진행될 경우 그 생육지는 더욱 감소할 것으로 예상되어 이에 대한 대책이 필요하다.

선흘 곶자왈 동백동산의 선태식물상 연구 (Floristics of bryophytes in Dongbaek-dongsan at Seonheul Gotjawal)

  • 임은영;문명옥;선병윤;나카니시 코즈에
    • 식물분류학회지
    • /
    • 제43권4호
    • /
    • pp.274-284
    • /
    • 2013
  • 본 연구는 제주도 한라산 북동사면의 선흘 곶자왈에 위치하고 있는 동백동산의 선태식물을 대상으로 하였다. 식물상 조사 결과, 선류는 22 과 44 속 62 종, 태류는 12 과 16 속 23 종으로 총 85 종이 확인되었다. 이 중 Diphyscium perminutum Takaki, Racomitrium japonicum Dozy & Molk., 그리고 Isopterygium minutirameum (M$\ddot{u}$. Hal.) A. Jaeger.는 한국미기록식물에 해당하여 본 연구를 통해 기재하였다. 태류지수는 27.0%이고, 직물형의 생활형에 해당하는 선태식물이 가장 많이 분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중습성 또는 습성의 환경에 주로 생육하는 선태식물의 비율이 건조한 환경에서 주로 출현하는 선태식물의 비율보다 높았다. 본 연구를 통해 조사지 내의 상록활엽수림, 습지, 나지 등에 의한 다양한 환경 요인이 종의 조성과 분포에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그리고 이 지역에서 암석은 선태식물에 미소환경을 제공하는 데 있어 주요한 요인으로 작용하는 기질이었다. 특히, 동백동산의 소택지에 분포하는 선태식물은 면적에 비해 독특하고 다양하며, 관속식물과 함께 모자이크 공간 유형의 식물군락을 이루는 것으로 나타났다. 아울러 제주고사리삼과 자생지의 보존과 복원을 위한 기초 자료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한국 고유 양치식물인 제주고사리삼이 자생하는 소택지를 대상으로 한 보다 정밀하고 종합적인 조사를 제안하는 바이다.

제주도의 수생 및 습생 식물상 (Flora of aquatic and wetland habitats on Jeju Island)

  • 강대현;임은영;문명옥
    • 식물분류학회지
    • /
    • 제45권1호
    • /
    • pp.96-107
    • /
    • 2015
  • 본 연구는 제주도에 분포하는 수생 및 습생 식물의 식물상을 규명하고, 습지환경의 식물종다양성을 보존하기 위한 기초자료를 확보하고자 수행하였다. 야외 조사는 제주도 전 지역을 대상으로 2010년 5월부터 2014년 9월에 걸쳐 이루어졌다. 본 식물상 연구를 통해 확인된 습지식물은 총 52과 98속 181종 6변종 2품종 189분류군이었다. 이 중 총 38과 60속 96종 3변종 99분류군이 수생식물로, 23과 45속 85종 3변종 2품종 90분류군이 습생식물로 나타났다. 또한 사초과 식물인 Eleocharis${\times}$yezoensis H. Hara를 한국미기록식물로 보고하였다. 조사된 식물 중 환경부지정보호야생식물은 순채, 전주물꼬리풀 등 5분류군이 분포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멸종위기종은 위급종이 제주고사리삼 1분류군, 위기종이 물까치수염 등 5분류군, 취약종이 대구돌나물 등 7분류군으로 나타났다. 식물구계학적 특정식물로는 V등급이 10분류군, IV등급이 7분류군, III등급이 15분류군, II등급이 5분류군, I등급이 7분류군으로 총 44분류군이 확인되었다. 귀화식물은 총 8과 9속 9종 1변종 10분류군으로 나타났다. 제주도의 습지는 식물종다양성이 매우 높고, 희귀식물 및 식물지리학적으로 중요한 식물 등이 다수 분포하여 식물학적 가치가 매우 높은 것으로 판단된다. 따라서 습지 및 종의 보존을 위한 구체적인 보호 및 관리 체계의 수립이 요구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