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anganese chloride

검색결과 61건 처리시간 0.024초

홍삼추출물과 글루코사민 복합제제의 관절염에 미치는 영향 (Anti-arthritic Effect of a New Diet-Supplement Containing Red Ginseng Extract and Glucosamine Complex)

  • 정춘식;현진이;강민희;심준수;손미진;정상훈;김종훈;이광승;김영식
    • 생약학회지
    • /
    • 제34권4호통권135호
    • /
    • pp.327-334
    • /
    • 2003
  • We evaluated the anti-arthritic effect of a new diet-supplement product containing red ginseng, glucosamine, shark cartilage, ascorbic acid and manganese chloride for the relieving arthritic symptoms. Anti-inflammatory activities of the aqueous extract of red ginseng (250 and 500 mg/kg), glucosamine (240 mg/kg) and shark cartilage (240 mg/kg) were tested individually on vascular permeability and carrageenan-induced paw edema. Glucosamine and shark cartilage showed the inhibition of vascular permeability by 29.6 and 32.9%, respectively. Red ginseng (500 mg/kg) and shark cartilage showed the inhibition of carrageenan-induced paw edema at 0.5, 1, 2 and 3 hr. The supplement (red ginseng mixture: RGM) composed of red ginseng (43.5%), glucosamine (25.0%), shark cartilage (25.0%), ascorbic acid (5.0%) and manganese chloride (1.5%) was prepared and its inhibitory activities including vascular permeability and carrageenan-induced paw edema were comparable to anti-inflammatory drugs such as diclofenac and ibuprofen. It was also tested on adjuvant-induced arthritis in rats as one of chronic arthritic tests and Randall-Selitto assay as an analgesic test. RGM showed the inhibition against the swelling of rat paws induced by Mycobacterium tuberculosis at a dose of 1,500 mg/kg. Determination of cytokines of the sera sampled from arthritis-induced animals indicated that RGM increased the levels of $interferon-{\gamma}$ and interleukin-6, representing the immunostimulatory effect by red ginseng. RGM treatment moderately reduced the production of NO in RAW 264.7 cells in a dose-dependent manner. Taken together, these results support that RGM can be applicable for the improvement of arthritic as a new diet-supplement.

효모의 생태학 (Ecology of yeasts)

  • 조덕현
    • 미생물학회지
    • /
    • 제8권1호
    • /
    • pp.41-51
    • /
    • 1970
  • S.albus subsp.와 S.globosus에서 Tetracyclin과 Streptomycin 같은 항생물질을 생성된다는 것은 이미 전보에서 밝힌 바 있다. 이들 두 種의 생장최적조건과 항생제 생성정도와의 관계를 배지성분과 그 농도에 따라 검토하였다. 그 결과 S.albus subsp.와 S.globosus 모두 배양시간이 130~150시간이 될때 항생물질 생성과 균체량이 최고에 달했다. 그리고 PH는 그 근처에서만 떨어지는 현상을 볼 수 있었다. 또한 두 균주 모두 탄소원으로서는 starch(4~5%)질소원으로서는 soybeam meal(1.5~2.0%)에서 균체의 생장도 양호하고 향균력도 높게 나타났다. 이외의 성분으로는 calcium carbonate(2mg/ml), potassium phosphate' dibasic(0.05M~0.01M), magnesium sulfate(0.01M~0.03M) ferric chloride(0.01M)가 가장 생장에 좋은 배지농도로 추정되며 zinc ion(0.0005M)은 균체생장을 현저하게 억제하였다.

  • PDF

Streptomyces albus와 Streptomyces globosus의 몇가지 생장생리적 특성에 관하여 (Some Physiological Properties in Relation to the Growth of the Antibiotics Producing Streptomyces spp.)

  • Seo, Yong-Man;Min, Kyung-Hee;Hong, Soon-Woo
    • 미생물학회지
    • /
    • 제15권3호
    • /
    • pp.123-130
    • /
    • 1977
  • In previous paper, it was reported that antibiotic substance such as tetracycline and streptomycin were produced by S'. albus subsp. and S'. globosus. And increase of mycelial growth of two strains, antibiotic production, and changes of pH range are extended to approximately 110-130 hrs in fermenting medium, there-after they decreased with culture period exception of pH range. Two Streptomyces spp. required commonly 4-5% starch as carbon sources and 1.5-2.0% soybean meal as nitrogen sources. However, 0.005-0.01M potassium phosphate dibasic, calcium carbonate (6mg/ml in S.albus subsp. and 2mg/ml in S. globosus), 0.01-0.03M, magnesium sulgate and 0.01M ferric chloride showed as optimal concentration for the growth of 2 strains. Mineral compoments such as zinc, manganese, cobalt, sodium and copper at the level of 10/sup -4/ -10/sup -6/M were observed. Especially, zinc ion showed toxicity to the growth of 2 strains at 0.005M. In relation with pH, there is a little difference in mycelial growth with cultural initial pH.

  • PDF

Manganese(II) Ion-Selective Membrane Electrode Based on N-(2-picolinamido ethyl)-Picolinamide as Neutral Carrier

  • Aghaie, M.;Giahi, M.;Zawari, M.
    • Bulletin of the Korean Chemical Society
    • /
    • 제31권10호
    • /
    • pp.2980-2984
    • /
    • 2010
  • A new poly (vinyl chloride) (PVC) membrane electrode that is highly selective to $Mn^{+2}$ ions was prepared using N,N'-bis(2'-pyridinecarboxamide)-1,2-ethane ($bpenH_2$) as a suitable neutral carrier. This concentration range ($1.0{\times}10^{-5}$ to $1.0{\times}10^{-1}\;M$) with Nernstian slope of $29.3{\pm}0.5\;mV$ per decade. The detection limit and the response time of electrode were $8.0{\times}10^{-6}\;M$ and (${\leq}15\;s$) respectively. The membrane can be used for more than two months without observing any divergence. The electrodes exhibited excellent selectivity for $Mn^{+2}$ ion over other mono-, di- and trivalent cations. Selectivity coefficients were determined by the matched potential method (MPM). The electrode can be used in the pH range from 4.0 - 9.0. The isothermal coefficient of this electrode amounted to 0.00023 V/$^{\circ}C$. The stability constant (log $K_s$) of the $Mn^{+2}$ - $bpenH_2$ complex was determined at $25^{\circ}C$ by potentiometric titration in mixed aqueous solution. The proposed electrode was applied to the determination of $Mn^{+2}$ ions in real samples.

Solvent Effect on the Nature of the Metallamacrocycles Formed: Formation of Octanuclear and Dodecanuclear Manganese Metalladiazamacrocycles

  • John, Rohith P.;Lee, Kyung-Jin;Lee, Kyung-Jae;Park, Mi-Ra;Lah, Myoung-Soo
    • Bulletin of the Korean Chemical Society
    • /
    • 제28권11호
    • /
    • pp.2009-2014
    • /
    • 2007
  • The aminolysis of diphenyl thiophosphinic chloride (2) with substituted anilines in acetonitrile at 55.0 oC is investigated kinetically. Kinetic results yield large Hammett ρX (ρnuc = ?3.97) and Bronsted βX (βnuc = 1.40) values. A concerted mechanism involving a partial frontside nucleophilic attack through a hydrogen-bonded, four-center type transition state is proposed on the basis of the primary normal kinetic isotope effects (kH/kD = 1.0-1.1) with deuterated aniline (XC6H4ND2) nucleophiles. The natural bond order charges on P and the degrees of distortion of 42 compounds: chlorophosphates [(R1O)(R2O)P(=O)Cl], chlorothiophosphates [(R1O)(R2O)P(=S)Cl], phosphonochloridates [(R1O)R2P(=O)Cl], phosphonochlorothioates [(R1O)R2P(=S)Cl], chlorophosphinates [R1R2P(=O)Cl], and chlorothiophosphinates [R1R2P(=S)Cl] are calculated at the B3LYP/ 6-311+G(d,p) level in the gas phase.

에칭 폐액으로부터 용매추출과 가수분해를 이용한 니켈분말제조에 관한 연구 (Recovery of Nickel from Waste Iron-Nickel Alloy Etchant and Fabrication of Nickel Powder)

  • 이석환;채병만;이상우;이승환
    • 청정기술
    • /
    • 제25권1호
    • /
    • pp.14-18
    • /
    • 2019
  • 여러 금속 부품을 가공하기 위하여 사용된 염화제이철 에칭 폐액은 유가금속인 니켈 등을 함유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식각공정을 완료한 에칭폐액을 재생하고 부산물로 나온 니켈 함유 폐액으로부터 정제하여 니켈 금속분말로 제조하는 공정을 개발하였다. 부산물인 니켈함유용액을 철 등의 불순물을 침전 제거하기 위하여 수산화나트륨 수용액을 실험을 통하여 가수분해 중화제로서 선정하였고, 이를 통하여 철 등의 불순물을 pH = 4 조건하에 침전 제거하였다. 그 후, 불순물로 잔류하는 망간 및 아연과 같은 금속이온들을 D2EHPA (Di-(2-ethylhexyl) phosphoric acid)를 사용하여 용매추출 하였다. 정제된 염화니켈은 99% 이상의 순도를 가지고 있으며, 그 후 환원제로 하이드라진을 이용하여 99% 이상의 순도와 약 150 nm의 크기를 가지는 니켈 금속분말로 제조하였다. 염화니켈 및 니켈 금속분말의 성분은 EDTA 적정법과 유도결합 플라즈마 방출분광법(inductively coupled plasma optical emission spectrometer, ICP-OES)을 이용하여 확인하였으며, 전계방사 주사전자현미경(field emission scanning electron microscope, FE-SEM), X-선 회절분석기(X-ray diffraction, XRD) 및 투과전자현미경(transmission electron microscopy, TEM)을 통하여 금속분말의 형태, 입자 크기 및 결정성과 같은 물리적 특성을 확인하였다.

소나무 묘목(苗木)의 생장(生長), 영양상태(營養狀態) 및 가스교환속도(交換速度)에 미치는 Al과 Mn의 영향(影響) (Effects of Al and Mn on the Growth, Nutrient Status and Gas Exchange Rates of Pinus densiflora Seedlings)

  • 이충화;진현오;김영걸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90권1호
    • /
    • pp.74-82
    • /
    • 2001
  • Al과 Mn을 여러가지 농도로 조정한 배양액을 채운 포트에 소나무(Pinus densiflora) 2년생 묘목을 이식하여 수경재배법에 의해 90일간 온실내에서 육성한 후 소나무 묘목의 생장, 영양상태 및 가스교환속도에 미치는 Al과 Mn의 영향을 조사하였다. 배양액의 Al농도는 4수준(0, 10, 30, 60ppm)으로 처리하였으며, 이들 각각의 Al처리에 Mn농도를 3수준(0, 30, 60ppm)으로 처리하여 총 12처리구의 2요인배치법(two-factor design)의 실험을 실시하였다. Al과 Mn은 소나무 묘목의 건물생장에 상호작용효과(interaction effects)를 나타내지 않았으나, 소나무 묘목의 건물생장에 대한 Al과 Mn의 각각의 단독영향(main effects)은 유의적인 차이가 나타났다. 소나무 묘목의 건물생장은 Al은 10ppm이상, Mn은 60ppm의 농도에서 생장저하를 초래하였으며, 이는 소나무 묘목의 건물생장에 대한 Al의 독성이 Mn에 비해 클 수 있음을 시사한다. 뿌리의 암호흡속도는 Al의 경우 60ppm에서, Mn의 경우는 30ppm이상의 농도에서 저하하였다. 또한, 크로로필함량에 있어서는 Al의 영향은 인정되지 않았으나, 60ppm의 Mn처리구에서 낮아지는 경향을 보였다. 배양액의 Al과 Mn농도가 증가함에 따라서 소나무 묘목의 상대생장율(RGR) 및 순동화율(NAR)이 저하하였으며, 이는 광합성 효율의 감소가 원인으로 생각된다. 비록 본 연구결과는 수경재배법에 의하여 얻어진 결과이지만, 장래 우리나라에서 실제로 발생할 수 있는 산성강하물에 의한 수목피해 예측 및 산성화된 토양의 임지에서도 이와 유사와 현상이 발생될 수 있음을 시사하고 있다.

  • PDF

이차전지 폐액으로부터 D2EHPA + TBP solvent를 활용한 탄산리튬 제조기술 (High-purity Lithium Carbonate Manufacturing Technology from the Secondary Battery Recycling Waste using D2EHPA + TBP Solvent)

  • 센디팍;양희열;홍세철
    • 자원리싸이클링
    • /
    • 제32권1호
    • /
    • pp.21-32
    • /
    • 2023
  • 리튬이온 배터리(LIB) 제조를 위한 리튬의 사용이 점차 증가함에 따라 그에 따라 발생되는 리튬이온배터리 폐기가 증가될 것으로 사료된다. 이에 따라 폐배터리를 재활용을 하기위한 용매 추출을 통한 재활용에 대한 활발한 연구가 니켈, 코발트 및 망간과 같은 유가금속을 제거한 후 얻은 폐 용액에서 리튬의 회수가 중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폐이차전지 재활용공정 후 발생되는 폐액에서 리튬을 회수하기위해 추출제 Di-(2-ethylhexyl) hosphoricacid(D2EHPA)와 등유의 개질제 Tri-n-butyphosphate(TBP)를 선택적으로 혼합하여 추출조건을 최적화하였다. 폐액에는 리튬과 고농도의 나트륨(Li+ = 0.5% ~ 1%, Na+ = 3 ~ 6.5%)을 함유하고 있었으며, 리튬의 추출은 유기용매의 다른 구성에서 최종적으로 20% D2EHPA + 20% TBP + 60% 등유로 구성된 유기용매에서 효과적인 추출을 조건을 확립하였다. NaOH의 비누화를 이용한 SX 시스템에서는 평형 pH 4~4.5에서 유기 대 수성(O/A)이 5일 때 약 95% 이상의 리튬이 선택적으로 추출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적은 양의 나트륨으로 염화리튬에서 탄산리튬 분말을 얻기 위해 고순도 중탄산암모늄을 처리하였다. 최종적으로 처리된 탄산리튬에 여러번 세수를 통하여 미량의 나트륨을 제거하고 고순도 탄산리튬 분말(순도 99.2%)을 제조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를 통하여 폐이차전지 재활용공정에서 발생되는 폐액을 활용하여 탄산리튬의 효율적인 제조방법을 확인하였다.

소나무 묘목의 생장 및 영양상태에 미치는 Mn의 영향 (Effects of Mn on the Growth and Nutrient Status of Pinus densiflora Seedlings in Nutrient Culture Solution)

  • 이충화;이승우;진현오;정진현;이천용
    • The Korean Journal of Ecology
    • /
    • 제25권5호
    • /
    • pp.349-352
    • /
    • 2002
  • Mn 처리에 대한 소나무 묘목의 생장 및 영양상태의 반응을 수경재배법에 의하여 조사하였다. Mn 처리 농도별(0, 30, 60ppm) 배양액의 pH를 4.0으로 조절한 후, 소나무(Pinus densiflora) 2년생 묘목을 배양액에 이식하여 90일 동안 온실에서 생육시켰다. 소나무 묘목의 건물생장은 Mn 처리에 의하여 감소하였으며, 상대생장율(RGR)과 순동화율(NAR) 감소에 대한 Mn의 영향이 인정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배양액의 Mn 농도 증가에 의해 잎의 건물생산효율이 저하되었다는 것을 시사하였다. 식물체내 원소함량에 대한 Mn의 영향을 조사한 결과, 소나무 묘목의 줄기와 뿌리내 Ca 및 Mg 함량은 Mn 60ppm 처리구에서 가장 낮았으며, Mn 농도는 뿌리에 비하여 잎에서 3배 가량 높은 함량을 나타내었다. 또한 무처리구에 비해 Mn 처리구에서 순광합성 속도의 감소가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는 뿌리의 양분 흡수저해 및 뿌리에서 잎으로 이행된 Mn의 과잉축적에 의한 광합성 저해를 반영하는 것으로써, 결과적으로 소나무 묘목의 건물생장량 감소가 이들 결과의 복합적인 영향에 의해 초래되었음을 시사한다.

Characterization of Urease-Producing Bacteria Isolated from Heavy Metal Contaminated Mine Soil

  • Park, Min-Jeong;Yoon, Min-Ho;Nam, In-Hyun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47권6호
    • /
    • pp.391-397
    • /
    • 2014
  • Acid mine drainage occurrence is a serious environmental problem by mining industry; it usually contain high levels of metal ions, such as iron, copper, zinc, aluminum, and manganese, as well as metalloids of which arsenic is generally of greatest concern. It causes mine impacted soil pollution with mining and smelting activities, fossil fuel combustion, and waste disposal. In the present study, three bacterial strains capable of producing urease were isolated by selective enrichment of heavy metal contaminated soils from a minei-mpacted area. All isolated bacterial strains were identified Sporosarcina pasteurii with more than 98% of similarity, therefore they were named Sporosarcina sp. KM-01, KM-07, and KM-12. The heavy metals detected from the collected mine soils containing bacterial isolates as Mn ($170.50mg\;kg^{-1}$), As ($114.05mg\;kg^{-1}$), Zn ($92.07mg\;kg^{-1}$), Cu ($62.44mg\;kg^{-1}$), and Pb ($40.29mg\;kg^{-1}$). The KM-01, KM-07, and KM-12 strains were shown to be able to precipitate calcium carbonate using urea as a energy source that was amended with calcium chloride. SEM-EDS analyses showed that calcium carbonate was successfully produced and increased with time. To confirm the calcium carbonate precipitation ability, urease activity and precipitate weight were also measured and compared. These results demonstrate that all isolated bacterial strains could potentially be used in the bioremediation of acidic soil contaminated by heavy metals by mining activit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