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andibular incisor

검색결과 295건 처리시간 0.03초

Transitional implant를 이용한 임시수복과 최종 수복 (CLINICAL APPLICATION OF TRANSITIONAL IMPLANTS)

  • 김유리;민승기
    • Maxillofacial Plastic and Reconstructive Surgery
    • /
    • 제27권6호
    • /
    • pp.575-580
    • /
    • 2005
  • Transitional implants were developed to support provisional restorations and to allow for load-free osseointegration of conventional implants while a patient was provided with immediate esthetics and function and are usually placed simultaneously at the time of definitive implant placement. Transitional implants are placed in a non-submerged fashion in a single-stage surgery and are designed to be immediately loaded. They generally are made of commercially pure titanium or titanium alloy and are designed as 1-piece implants composed of root and crown replacement segments. Transitional implants can be used in a wide range of indications, such as basic use as temporary implant, to support and protect the primary implants during the healing phase, single crown in the edentulous anterior region of mandibular, anchorage for orthodontic treatment, support a surgical and radiographic template, and primary implant to extremely atrophied alveolar crests of the mandible and maxilla. This article describes the clinical use of transitional implants to support the provisional complete denture and single crown in the restricted edenturous central incisor region of mandible.

Effectiveness of Invisalign® aligners in the treatment of severe gingival recession: A case report

  • de Figueiredo, Marcio Antonio;Romano, Fabio Lourenco;Feres, Murilo Fernando Neuppmann;Stuani, Maria Bernadete Sasso;Nahas-Scocate, Ana Carla Raphaelli;Matsumoto, Mirian Aiko Nakane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51권4호
    • /
    • pp.293-300
    • /
    • 2021
  • In this report, we demonstrate the effectiveness of the Invisalign® system in the treatment of severe gingival recession and bone dehiscence through torque, translation, and intrusion movements in a young woman. Cone-beam computed tomography was used to assess bone parameters and check the teeth during treatment. The root of the mandibular right central incisor, which was buccally positioned and exhibited bone dehiscence of 9.4 mm, was moved toward the center of the alveolar process by using the Invisalign® system and SmartForce® features. The patient was monitored by a periodontist throughout the orthodontic treatment period. Her gingival recession reduced, while the bone dehiscence reduced from 9.40 mm to 3.14 mm. Thus, movement of the root into the alveolus promoted bone neoformation and treated the gingival recession. The findings from this case suggest that orthodontic treatment using the Invisalign® system, along with periodontal monitoring, can aid in the treatment of gingival recession and alveolar defects.

하악 중절치에 발생한 치내치 (DENS INVAGINATUS IN MANDIBULAR CENTRAL INCISORS)

  • 이정진;최병재;이제호;최형준;손흥규;김성오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35권2호
    • /
    • pp.313-318
    • /
    • 2008
  • 치내치(dens invaginatus)는 형태분화기에 비정상적인 치아발생이 원인으로 경조직이 석회화되기 전에 법랑질 상피가 함입되어 생기는 드문 치아 기형이다. 치내치의 발생 빈도는 0.04-10 %이고 대부분이 상악에서 발생하며 특히 상악측절치에서의 빈도가 높고 하악에서는 드물게 발생한다고 보고되었다. 치내치는 우상치나 왜소치, 쌍생치, 과잉치, 상아질 형성부전증과 같은 형태 이상과 연관되어서 나타나는 경우도 있다. 치내치는 함입된 정도에 따라 3가지로 분류할 수 있고 다양한 해부학적 변이를 보이며, 이러한 기형은 미생물의 침입을 용이하게 하므로 치아우식증과 치수감염 및 괴사의 위험성을 높인다. 치수조직에 문제가 생긴 경우 근관의 복잡한 해부학적 형태 때문에 근관치료가 매우 어려우므로 조기에 진단하여 치료하는 것이 중요하다. 본 증례들은 하악 중절치에 드물게 발생하는 치내치를 가진 환아에 대한 것으로 하악 중절치에서의 치내치 유병율과 치료에 대한 고찰을 하였기에 이를 보고하는 바이다.

  • PDF

Anchor Plate Efficiency in Postoperative Orthodontic Treatment Following Orthognathic Surgery via Minimal Presurgical Orthodontic Treatment

  • Jeong, Tae-Min;Kim, Yoon-Ho;Song, Seung-Il
    • Maxillofacial Plastic and Reconstructive Surgery
    • /
    • 제36권4호
    • /
    • pp.154-160
    • /
    • 2014
  • Purpose: The efficiency of an anchor plate placed during orthognathic surgery via minimal presurgical orthodontic treatment was evaluated by analyzing the mandibular relapse rate and dental changes. Methods: The subjects included nine patients with Class III malocclusion who had bilateral sagittal split osteotomy at the Division of Oral and Maxillofacial Surgery, Department of Dentistry in Ajou University Hospital, after minimal presurgical orthodontic treatment. During orthognathic surgery, anchor plates were placed at both maxillary buttresses. The anchor plates were used to move maxillary teeth backward and for maximum anchorage of Class III elastics to minimize mandibular relapse during the postoperative orthodontic treatment. The lateral cephalometric X-ray was taken preoperatively (T0), postoperatively (T1), and one year after the surgery (T2). Seven measurements (distance from Pogonion to line Nasion-Nasion perpendicular [Pog-N Per.], angle of line B point-Nasion and Nasion-Sella [SNB], angle of line maxilla 1 root-maxilla 1 crown and Nasion-Sella [U1 to SN], distance from maxilla 1 crown to line A point-Nasion [U1 to NA], overbite, overjet, and interincisal angle) were taken. Measurements at T0 to T1 and T1 to T2 were compared and differences tested by standard statistical methods. Results: The mean skeletal change was posterior movement by $13.87{\pm}4.95mm$ based on pogonion from T0 to T1, and anterior movement by $1.54{\pm}2.18mm$ from T1 to T2, showing relapse of about 10.2%. There were significant changes from T0 to T1 for both Pog-N Per. and SNB (P<0.05). However, there were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changes from T1 to T2 for both Pog-N Per. and SNB. U1 to NA that represents the anterior-posterior changes of maxillary incisor did not differ from T0 to T1, yet there was a significant change from T1 to T2 (P<0.05). Conclusion: This study found that the anchor plate minimizes mandibular relapse and moves the maxillary teeth backward during the postoperative orthodontic treatment. Thus, we conclude that the anchor plate is clinically very useful.

악교정 수술을 위한 한국 성인 정상교합자의 경조직 기준치 (CEPHALOMETRIC NORMS OF THE HARD TISSUES OF KOREAN FOR ORTHOGNATHIC SURGERY)

  • 김경호;최광철;김형곤;박광호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Oral and Maxillofacial Surgeons
    • /
    • 제27권3호
    • /
    • pp.221-230
    • /
    • 2001
  • This study was performed to evaluate hard tissue cephalometric norms for Korean adults which can be implemented in surgical orthodontic treatment planning using selected horizontal reference plane especially for Koreans (Male: $SN-7.5^{\circ}$, Female: $SN-9.0^{\circ}$) and a simplified analytical method. 70 males and 70 females consisting of freshmen of Yonsei University from 1996 to 1997 and students from the Dental College of Yonsei University were chosen according to clinical examination and cephalometric analysis. The samples had normal profiles, normal anteroposterior skeletal relationship(ANB angle of $0^{\circ}$ to $4^{\circ}$ and Wits appraisal of -4.0mm to 0mm), and Class I molar and canine relationship. They had no missing or supernumerary teeth and had no experience of orthodontic or prosthetic treatment. After the selection of 23 landmarks and the construction of horizontal and vertical reference lines, 22 skeletal and 12 dental measurements were taken. These consisted of vertical and horizontal linear measurements and angular measurements.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Mean and standard deviation of the measurements were calculated for males and females. 2. Most of the skeletal vertical measurements, and maxillary and mandibular length were bigger in males than females. Whereas anterior facial height ratio(N-ANS/ANS-Me) as well as maxillary and mandibular antero-posterior position in relation to the vertical reference line(N-perpendicular) showed no signigicant difference between sexes. 3. Maxillary and mandibular dental antero-posterior position in relation to the vertical reference line(N-perpendicular) showed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sexes. 4. The upper incisor show(U1-Stms) was $2.1{\pm}1.7mm$ in males and $3.3{\pm}1.7mm$ in females. In this study, hard tissue cephalometric norms of Korean adults for orthognathic surgery were obtained.

  • PDF

성장기 환자에서 하악의 차등적 소구치 발치 (MANDIBULAR DIFFERENTIAL PREMOLAR EXTRACTI0N IN GROWING PATIENTS)

  • 김도훈;성상진;문윤식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31권1호
    • /
    • pp.1-13
    • /
    • 2001
  • 성장기 환자에서 치아의 배열이나 입술의 외형을 개선하거나 경미한 악골 부조화에 의한 부정교합을 절충(camouflage)하기 위하여 발치가 적용될 수 있는데, 하악 치열궁에 총생의 양이 미약하거나 전치부 분절을 과도하게 후방견인 시킬 필요가 없는 경우 하악 제 2소구치 발치를 계획할 수 있다. 그러나, 성장기 환자에서 이러한 제 2소구치 발치의 기준과 치료에 의한 상, 하악 치아의 이동양상에 대한 연구는 부족한 실정이다. 본 연구는 상, 하악 소구치 발치를 통한 포괄적 교정치료를 시행한 성장기 환자를 대상으로 상악 제 1소구치와 하악 제 1 소구치를 발치한 군(4/4발치군, 14명)과 상악 제 1 소구치, 하악 제 2 소구치를 발치한 군(4/5발치군, 15명)의 치료 전, 후의 측모두부규격방사선사진을 비교하여 하악 제 2소구치 발치의 적응증에 대한 진단기준을 평가하고, 안정골 구조물을 참고한 중첩법을 이용하여 치아이동에 어떠한 차이가 있는지를 평가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4/4발치군과 4/5발치군은 치료 전 계측치에서 교합평면에 대한 상악전치의 치축각도, 구치부 교합관계, IMPA 그리고 interincisal angle에서 차이를 나타내었다. 2. 하악 제 1 대구치의 전방 이동량은 4/5 발치군에서 더 전방이동 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p<0.05). 3. 치료 전, 후의 상악 치아의 이동양상은 4/4 발치군과 4/5 발치군 사이에 차이가 없었다(p<0.05).

  • PDF

골격성 III급 부정교합자에서 전진이부성헝술을 동반한 하악 후퇴술 후 연조직 외형의 변화 (Soft tissue changes associated with advancement genioplasty in skeletal class III individuals receiving mandibular set-back surgery)

  • 김근령;김성식;손우성;박수병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38권2호
    • /
    • pp.104-120
    • /
    • 2008
  • 본 연구는 전진이부성형술을 동반한 하악지 시상분할골절단술을 시행한 하악 전돌증을 가진 환자에서 하안면부, 특히 이부의 경조직과 연조직의 변화를 예측하는 데 있어서, 전후관계와 수직적 계측치를 통하여, 경조직의 변화에 따른 연조직의 상대적 변화량에 대해 비교, 분석하여 한국인의 골격성 III급 부정교합자의 악교정 수술시 전진이부성형술이 연조직 외형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시행하였다. 교정치료와 악교정수술을 시행한 골격성 III급 부정교 합자 40명을 전진이부성형술을 시행하지 않고 하악지 시상분할골절단술만 시행한 환자 20명(BSSO group, 남자 10 명, 여자 10명)과 하악지 시상분할골절단술과 동시에 전진이부성형술을 시행한 환자 20명(Genie group, 남자 10명, 여자10명)으로 분류하여 수술직전(T1)과 수술직후(T2), 수술 최소 6개월 후(T3)의 측모 두부 방사선계측사진을 채득하여 계측 항목의 변화량을 분석하였다. BSSO군에서는 수술후 경조직 B점, Pogonion, Menton에 대하여 연조직 B점, Pogonion, Menton이 각각 수평적으로 0.997, 0.965, 1.022의 변화율을 보였으며, Genie군에서는 각각 0.824, 0.602, 0.887의 수평적 변화율을 보여서, Genie 군에서 연조직 B점, 연조직 Pogonion의 연조직 두께의 감소량이 더 크게 나타났다. 경조직 Pogonion(Pg)의 악교정수술 전과 후의 수평적 변화에 따른 하순의 하방점(Li), 연조직 B점 (B')의 변화간의 상관관계계수는 BSSO군에서는 각각 0.833, 0.922인 반면에, Genie 군에서는 각각 0.775, 0.799로 BSSO군에 비해서 상관관계가 다소 작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에서 하악지 시상분할골절단술을 시행하는 환자에서 전진이부성형술을 동반할 경우에는 골격의 변화에 대해서 연조직의 두께 변화가 다소 적게 나타나므로 수술시에 이를 고려하여 전진이부성형술을 시행하여야 할 것이다.

전산화단층촬영법을 이용한 하악 전돌증 환자의 하악지 시상 골절단술후 하악과두 위치변화 분석 (EVALUATION OF CONDYLAR POSITION USING COMPUTED TOMOGRAPH FOLLOWING BILATERAL SAGITTAL SPLIT RAMUS OSTEOTOMY)

  • 최강영;이상한
    • Maxillofacial Plastic and Reconstructive Surgery
    • /
    • 제18권4호
    • /
    • pp.570-593
    • /
    • 1996
  • 본교실에서 하악지 시상 골절단술을 시행한 하악전돌증 환자 20명(남자 9명, 여자 11명)을 대상으로 술전, 술직후, 장기관찰기간동안의 전산화단층촬영법을 이용한 하악과두의 위치변화와 술전, 술직후, 악간고정제거 24시간후 및 장기관찰기간동안의 측모두부방사선사진에서의 재발과의 상관관계를 연구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두부 축방향 전산화단층사진에서의 과두간거리(MM')는 $84.45{\pm}4.01mm$ 였으며, 장축각은 우측 11.89%5.1 $9^{\circ}$좌측 $11.65{\pm}2.09^{\circ}$로 좌우 비슷하였으며, 기준선(AA')에서 과두의 외측점은 12mm, 내측점은 7mm 정도 전방에 위치하였다. 관상면 전산화단층사진에서의 과두간 거리(mm')는 $84.43{\pm}3.96mm$ 였으며, 사축각은 우측 $78.12{\pm}3.43^{\circ}$ 좌측 $78.09{\pm}6.12^{\circ}$로 좌우 비슷하였다 . 2. 술전후 과두위치 변화(T2C-T1C)는 통계적인 유의성은 없었으나(p>0.05), 다소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장기관찰에 따른 회귀성향(TLC-T2C)에서는 LMD, LLD(p<0.05), RLD, RMD(p<0.01), mm'(P<0.001)는 모두 감소하였다. 3. 측면두부방사선사진상에서 술직후와 악간고정제거 24시간후(T3-T2)에서 하악의 초기재발은 통계적인 의의가 없었으며(p>0.05) 하악전치의 경우만 평균 0.33mm 전방이동하였다(p<0.05). NN'L1, NN'Pog, NN'Gn, NN'Me, over-jet에서 통계적인 유의성이 있었으며(p<0.05), NN'Ll 1.2%, NN'B 5.0%, NN'Pog 2.0%, NN'Gn 9.1%, NN'Me 10.3%의 총재발량을 보였다. 4. 하악골의 술전, 술후 변화량(T2-T1)이 총재발량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회귀분석에서 후퇴량이 많을수록 하악골의 총재발량이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p<0.05). 5. 하악골 변화량(T2-T1)과 하악과두 변화량(T2C-T1C, TLC-T2C), 하악과두 변화량(T2C-T1C, TLC-T2C)과 총재발량(TL-T2), 술전 하악과두 형태(T1C)와 하악과두 변화량(T2C-T1C, TLC-T2C), 그리고 술전 하악골 외형(T1)과 하악과두 변화량(T2C-T1C, TLC-T2C)에 대하여 단순 및 복잡회귀분석에서 통계적인 유의성은 없었다(p>0.05). 6. 술전 하악과두 형태(T1C)가 총재발량(TL-T2)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복잡회귀분석결과 우측과두에서는 과두간 거리가 멀고 장축각이 적고 사축각이 클수록 하악골의 수평적인 재발(NN'Ll, NN'8, NN'Pog, NN'Gn, NN'Me)이 많은 것으로 나타났으며(p<0.05), 좌측과두에서는 NN'Ll, NN'Me에서 같은 결과를 보였다. 7, 술전 하악과두 형태(T1C)가 술전 하악골외형(T1)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복잡회귀분석결과 우측과두에서는 과두간 거리가 멀고 장축각이 적고 사축각이 클수록 하악골의 수직고경이 큰 것으로 나타났고(p<0.05), 좌측과두에서는 과두간 거리가 멀고 장축각이 적고 사축각이 클수록 수직고경이 크며, 전돌된 양상으로 나타났다(p<0.05) . 8. 술전 하악골 외형(T1)이 총 재발량(TL-T2)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단순회귀분석을 시행한 결과 NN'L1, NN'B, NN'Gn, NN'Me, over-jet 둥의 계측점에서 하악골이 전돌된 양상을 보일수록 NN'B에서의 총재발량은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p<0.05). 또 수평피개량(over-jet)이 클수록 NN'B, NN'Pog, NN'Gn, NN'Me에서의 총재발량이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p<0.05). 따라서 과두보존술을 이용하여 과두를 안정화시키고 난후 악골 형태를 재구성하였을 때 이로 인하여 생기는 하악과두 이동은 미미하여 술후 재발에 크게 영향을 미칠 정도는 아니라고 사료된다.

  • PDF

임프란트로 지지된 하악 켄티레버 보철물의 3차원 유한요소 분석 (THREE DIMENSIONAL FINITE ELEMENT ANALYSIS ON THE MANDIBULAR CANTILEVERED PROSTHESIS SUPPORTED BY IMPLANTS)

  • 조철;신상완;권종진
    • 대한치과보철학회지
    • /
    • 제38권5호
    • /
    • pp.724-743
    • /
    • 2000
  • One of the biggest clinical problems of osseointegrated implant prosthesis is the excessive stress caused by bite forces which are transfered directly into the bone through the osseointegrated implant fixtures. So several biodynamic problems occur when there is an excessive fatigue stress. The factors of stress distribution are the number, kind, position, arrangement of the implants, and the distance between the implants, and the kind, quality of superstructure prosthesis and connection type between the rest implant and the superstructure. Recently, a distal short additional implant, socalled rest implant, is employed to reduced the stresses in conventional cantilevered prostheses. This study was undertaken to analyze the stresses transfered by osseointegrated implant cantilevered prostheses depending upon the number and the position of implants, the presence of rest implant, and the type of their connection. Three dimensional finite element analysis was attempted using ANSIS ver. 5.3 program under IBM INDIGO computer. The results were as follows : 1. The rest implant influenced on the pattern of stress distribution on the anterior area of the mandible and the superstructure. 2. In the group employing the rest implants, the fixed type of connection between the rest implant and the superstructure was more stable than the ball attachment type on the stress distribution. 3. In the group employing the ball attachment between the rest implant and the superstructure, the case with 4-implants(on canine, premolar) was little more stable than the case with 6-implants and the case with 4-implants(on incisor, premolar) on the stress distribution. 4. In the cantilevered group, the case with 4-implants(on incisor, premolar) and the case with 6-implants were more stable than the case with 4-implants(on canine, premolar) on the stress distribution. 5. In all of the group, the case with 6-implants and the fixed type of connection was the most stable and the case with 4-implants (on canine, premolar) was the most unstable on the stress distribution.

  • PDF

구개측으로 매복된 상악견치의 교정치료기간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 (Factors that influence treatment duration for patients with palatally impacted maxillary canines)

  • 정송화;조봉혜;김성식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37권2호
    • /
    • pp.150-158
    • /
    • 2007
  • 구개측으로 매복된 견치와 인접구조물 간의 위치관계가 전체적인 교정치료기간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고자 편측성 구개측 견치 매복으로 진단받고, 교정적인 견인을 하여 치료를 완료한 환자 36명의 초진 시 파노라마 방사선사진을 대상으로 연구하였다. 전체 치료기간의 평균인 21개월을 기준으로 나누었을 때, 장기치료군에 비해 단기치료군에서 인접 측절치의 치근에 견치의 치관이 겹치는 정도가 더 크게 나타났다. 치료기간을 예측하기 위한 중회귀분석에서 상악견치의 치관에서 치조정까지의 교합면에 대한 수직거리를 나타내는 HCV (Height of the canine crown vertically)와 하악견치간폭경이 각각 0.142와 0.115의 예측상수$(r^2)$를 보였으며, 두 인자를 같이 고려하였을 경우에는 0.208의 예측상수를 보였다. 나이에 따른 분류에서 치료기간, 상악 견치 치관에서 치조정까지의 수직거리(HCV), 중절치 정중선에 대한 견치의 각도가 초기 영구치열기까지는 점진적으로 감소를 하다가 완성 영구치열기에서 증가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 구개측으로 매복된 견치의 견인을 시행할 때에는 초기 영구치열기에 견치의 치관첨이 교합면에 가깝고 직립이 되어 있을 경우에 전체 교정치료 기간이 짧아진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