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andibular anterior teeth

검색결과 270건 처리시간 0.025초

상악 전치의 매복을 동반한 환자의 치험례 (Orthodontic Traction of Multiple Impacted upper Anterior Teeth: Case Report)

  • 탁명현;조진우;장나영;조진형
    • 구강회복응용과학지
    • /
    • 제28권4호
    • /
    • pp.407-421
    • /
    • 2012
  • 악악면 부위의 교정적 문제는 크게 골격적인 문제와 치성적 문제로 나룰 수 있다. 치성적 문제로 인해서 많은 교합의 부조화가 발생하는데 이중 치아의 결손 또는 치아의 맹출 실패는 기능적 문제뿐만이 아니라 심미적 문제도 같이 유발한다. 또한 추가적으로 발생하는 심리적인 문제도 환자를 내원하게 만드는 중요한 이유이다. 상악골에 다수의 치아가 맹출 하지 못하는 경우에는 교합적, 심미적 문제 뿐만 아니라 치조골의 유지 또한 어렵게 하는 문제가 발생한다. 따라서 다수치의 맹출에 문제가 있는 경우에는 보다 단계적 접근이 필요하다. 본 증례의 환자는 #13, 12, 11, 23, 43이 맹출하지 못하는 문제를 주소로 내원하였으며, 상악 치아들을 맹출하게 하기위한 외과적 노출술 및 단계별 교정적 정출을 통하여 완벽한 교합을 이룰 수 있었다. 또한 추가적인 치주 처치를 통하여 치아맹출시 발생한 치은 퇴축을 제거하였다. 우측 매복 하악 견치는 자연스러운 악궁 확장과 leeway space를 이용하여 특별한 외과적 처치 없이 성공적으로 이루어졌다.

Thermafil 충전법의 근관폐쇄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SEALING ABILITY OF THE THERMAFIL ENDODONTIC OBTURATION TECHNIQUE)

  • 박찬제;여인호;임성삼
    • Restorative Dentistry and Endodontics
    • /
    • 제21권2호
    • /
    • pp.517-529
    • /
    • 1996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apical sealing ability of the Thermafil endodontic obturation technique and to compare it with lateral condensation technique. 42 straight canals from extracted human anterior teeth and 42 curved canals(> $25^{\circ}$) from maxillary and mandibular molar teeth were selected. And 80 of them were divided into four groups, 20 canals respectively. The teeth in prior two groups had straight canals and the other two groups had curved canals. The rest of four canals served as positive and negative controls. After resecting anatomical crowns, all canals were prepared using a standard step-back technique. Lateral condensation was used to obturate two groups, one group of straight ones the other curved. And Thermafil obturators were also used in the same two groups. Obturated teeth were infiltrated by India ink for a week, decalcified and cleared with 5% nitric acid and methyl salicylate. The apical leakage and the frequency of filled lateral and accessory canals were measured with stereomicroscope and also apical extrusion of sealer and gutta-percha and obturation time were checked and the data were analyzed statistically(one-way ANOVA, t-test, Chi-square test). The results were as follows : 1.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degree of dye penetration between Thermafil and lateral condensation groups(p>0.05). 2. Apical extrusion of sealer and gutta-percha occurred significantly more often with Thermafil obturators in straight canals(p<0.05), but not significantly different in curved canals(p>0.05). 3. Canal obturation time with Thermafil obturators was significantly faster than lateral condensation (p<0.05). 4. The Thermafil groups showed a higher frequency of filled lateral and accessory canals than in the lateral condensation groups. But the difference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p>0.05).

  • PDF

치아 상실과 심한 마모를 보이는 골다공증 환자에서의 완전구강 회복 증례 (Full mouth rehabilitation in osteoporosis patient with loss of teeth and excessive wear)

  • 김현탁;김명주;임영준;권호범
    • 대한치과보철학회지
    • /
    • 제60권1호
    • /
    • pp.63-70
    • /
    • 2022
  • 구치부 치아 상실을 동반한 치아 마모는 불규칙한 교합평면, 과도한 전치부 마모와 같은 특징적인 양상을 보인다. 적절한 구치부 지지를 부여하고 조화로운 전방유도와 교합평면을 설정하는 치료 방법이 추천된다. 본 증례 보고의 환자는 치아의 병적인 마모가 관찰되고 하악 구치부 치아가 상실되었다. 또한, 골다공증 병력과 Ibandronate 주사 치료와 관련된 골괴사증의 위험성을 인지하고 수술적 치료를 거부하였다. 본 증례에서는 마모된 잔존치를 수복 공간 확보를 위해 수직 고경 거상을 동반한 완전구강회복술로 수복하고, 하악 무치악부는 양측성 후방연장 국소의치로 수복하였다. 면밀한 진단을 통해 수복 계획을 수립하고, 이를 바탕으로 지대치 형성 후 임시 보철물 상태로 적응 기간을 거쳐 최종 보철물 제작하였다. 심미적, 기능적으로 만족할 만한 결과를 얻을 수 있었고, 구강 위생관리 및 교합 안정성을 확인하기 위해 정기적으로 내원하도록 하였다.

하악 임플란트 Bicortication 의 응력분산효과에 관한 유한요소분석적 연구 (A STUDY ON THE EFFECT OF STRESS DISTRIBUTION OF MANDIBULAR IMPLANT BICORTICATION UTILIZING FINITE ELEMENT ALALYSIS METHOD)

  • 이양진;양재호;이선형;정헌영
    • 대한치과보철학회지
    • /
    • 제33권3호
    • /
    • pp.517-538
    • /
    • 1995
  • Dental implantation is a method restoring missing teeth, especially in the case of severely resorbed edentulous patient. But the direct contact between bone and implant surface, induces stress concentration to the bone and eventually becomes a cau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the stress distribution patterns between following two cylindrical implant models. One group has implant apex located in the inferior cortical bone and the other in the cancellous bone. Anterior edentulous mandible was modeled with two dimensional 953,878 nodes, 995,918 elements and compared the deflection and stress distribution under the 70 N,4 load cases for 26 models having variant mandibular height and length. The result were as follows; 1. The stress concentration was more affected by the height of the mandible than implant length. 2. Bicortication mitigates the stress of upper cortical and cancellous bone area at the same height of the mandible 3. Perforation of the inferior mandibular cortex significant stress concentration. 4. Stud type porstheses induced less stress concentration to the cortical and cancellous bone than bar type prostheses. 5. Stress of implant apex for stud type was larger than that of bar type.

  • PDF

Association between the severity of hypodontia and the characteristics of craniofacial morphology in a Chinese population: A cross-sectional study

  • Xin Xiong;Jiaqi Liu;Yange Wu;Chengxinyue Ye;Qinlanhui Zhang;Yufan Zhu;Wenke Yang;Jun Wang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53권3호
    • /
    • pp.150-162
    • /
    • 2023
  • Objective: To investigate craniofacial differences in individuals with hypodontia and explore the relationship between craniofacial features and the number of congenitally missing teeth. Methods: A cross-sectional study was conducted among 261 Chinese patients (males, 124; females, 137; age, 7-24 years), divided into four groups (without hypodontia: no teeth missing, mild: one or two missing teeth, moderate: three to five missing teeth, severe: six or more missing teeth) according to the number of congenitally missing teeth. Differences in cephalometric measurements among the groups were analyzed. Further, multivariate linear regression and smooth curve fitting were performed to evaluat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number of congenitally missing teeth and the cephalometric measurements. Results: In patients with hypodontia, SNA, NA-AP, FH-NA, ANB, Wits, ANS-Me/N-Me, GoGn-SN, UL-EP, and LL-EP significantly decreased, while Pog-NB, AB-NP, N-ANS, and S-Go/N-Me significantly increased. In multivariate linear regression analysis, SNB, Pog-NB, and S-Go/N-Me were positively related to the number of congenitally missing teeth. In contrast, NA-AP, FH-NA, ANB, Wits, N-Me, ANS-Me, ANS-Me/N-Me, GoGn-SN, SGn-FH (Y-axis), UL-EP, and LL-EP were negatively related, with absolute values of regression coefficients ranging from 0.147 to 0.357. Further, NA-AP, Pog-NB, S-Go/N-Me, and GoGn-SN showed the same tendency in both sexes, whereas UL-EP and LL-EP were different. Conclusions: Compared with controls, patients with hypodontia tend toward a Class III skeletal relationship, reduced lower anterior face height, flatter mandibular plane, and more retrusive lips. The number of congenitally missing teeth had a greater effect on certain characteristics of craniofacial morphology in males than in females.

전반적인 치아의 마모로 인한 수직고경 감소와 과피개교합을 갖는 환자의 전악 수복 증례 (Full mouth rehabilitation in patient with loss of vertical dimension and deep bite due to worn dentition)

  • 남기훈;박필규;김희경;강정경
    • 대한치과보철학회지
    • /
    • 제54권1호
    • /
    • pp.65-71
    • /
    • 2016
  • 치아 교합면의 점진적인 마모는 나이가 들면서 진행되는 정상적인 과정이다. 그러나 과도한 마모는 병적인 치수 상태, 교합 부조화, 기능 장애 및 심미적인 문제를 가져온다. 치아 수복을 위한 공간 확보, 심미성 증진, 또는 교합관계를 수정하기 위해서는 수직고경 변경을 고려하여야 하는데 환자의 심미적 요구와 술자의 기능적 목표를 최소침습적으로 달성하는 것을 충족시키는 범위 내에서 수직고경을 결정하고 새로운 수직고경에 대한 적응 평가를 함께 이루어야 한다. 그리고 과피개 교합 문제는 단순히 피개 교합의 정도에 국한된 문제라기 보다는 전후방적인 교합 문제를 복합적으로 지니고 있는 경우가 많다. 이러한 고려사항을 생각해 보았을 때 근본적인 문제 해결을 위해서는 악골 및 치아의 전후방적인 관계 개선과 더불어 결손부의 적절한 수복이 뒤따라야 한다. 본 증례는 67세 남자 환자로 다수 치아 마모와 구치부 상실된 환자로 수직고경의 증가를 동반하여 하악 무치악 부위는 가철성 국소의치, 상하악 유치악 부위는 고정성 보철물로 수복을 하였으며, 이에 기능적, 심미적으로 만족스러운 결과를 얻었기에 증례를 보고하고자 한다.

III급 부정교합자의 이부형태와 두개안면형태의 연관성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morphology of mandibular symphysis and the craniofacial morphology in class III malocclusion)

  • 김상두;권오원;성재현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26권5호
    • /
    • pp.509-522
    • /
    • 1996
  • 하악골 성장양상이 진단과 치료, 치료후 예후에 특히 중요한 III급 부정교합자에 있어 그 성장양상을 예측하는데 도움을 주고자 사춘기 전으로 생각되는 남자 10-12세군(G1군)과 악골성장이 거의 끝난 것으로 생각되는 성인으로 남자 20세 이상군(G2군)에 대하여 각각 이부비율에 따라 다시 3군으로 분류하고 이부형태와 두개안면형태의 연관성을 연구 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평균 이부비율에 있어 G2군이 G1군에 비해 통계학적으로 유의성 있게 크게 나타났다(p<0.05). 2. G1군과 G2군 모두 이부비율과 두개저 계측항목과는 상관성이 없었다(P>0.05). 3. 상하악골의 수평적 관계 계측항목에서 G1군과 G2군 모두 이부비율과 상악골 계측항목과는 상관성이 없었다(p>0.05). 또한 G1군과 G2군 모두 L, A, S군간 하악의 전후적 위치는 뚜렷한 차이가 없고, 단지 G1군의 Y-axis angle에서 L군이 S군에 비해 크고 G2군은 Pog to Na perp.에서 S군이 L군에 비해 통계학적으로 유의성 있게 크게 나타났다(p<0.05). 4. 하악골의 형태 계측항목에서 gonial angle은 G1군과 G2군 모두 이부비율이 클 수록 수치적으로 증가하나 통계학적인 유의성은 없었다(p>0.05). Lower genial angle과 chin angle은 G1군에서 L군과 A군이 S군보다 통계학적으로 유의성 있게 크게 나타났다(p<0.05). 5. 안면의 수직적 관계 계측항목에서 G1군은 L군이 S군에 비해 전안면고경, 전하안면고경이 통계학적으로 유의성 있게 크며(p<0.05) 하악골이 하방성장한 경향을 보여주었다. 6. 치아의 위치 및 경사도 계측항목에서 G1군은 하방성장을 많이 한 L군이 S군에 비해 상하악 치아들이 정출되어 있는 경향을 보여주었지만 G2군은 단지 하악치아 만이 그러한 경향이 있었다. 7. 이부비율과 다른 계측항목과의 상관분석에서 G1군은 chin angle, PP/MP angle, ANS-Me등 많은 계측항목에서 G2군은 단지 MP-LIT와 MP-LMMC에서 통계학적으로 유의성 있는 상관성을 보였다(p<0.05, p<0.01). 이상을 종합하면 어린 남자군인 G1군에서는 이부비율이 큰 군(L군)과 작은 군(S군)사이에 수평적 골격관계는 차이가 없으나 수직적 골격관계는 L군이 S군에 비해 하악골이 하방으로 많이 성장한 경향을 보여주었다. 하지만 성인 남자군인 G2군에서는 이부비율에 따른 안면골격의 뚜렷한 형태적 차이를 보여주지 않았다.

  • PDF

폐쇄성수면무호흡증 환자의 하악전방이동장치 적용에 있어서 전방이동량이 미치는 영향 (The Influence of the Amount of Mandibular Advancement in the Application of Mandibular Advancement Device for Obstructive Sleep Apnea Patients)

  • 김영균;윤인영;김정훈;이철희;윤필영
    • 수면정신생리
    • /
    • 제18권1호
    • /
    • pp.29-34
    • /
    • 2011
  • 목 적: 본 연구의 목적은 폐쇄성수면무호흡증으로 하악 전방이동장치 치료를 시행한 환자들에게 하악전방이동장치의 유용성을 확인하고, 하악전방이동창치 치료시 하악의 전방이동량이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고자 하였다. 방 법: 2007년 1월부터 2009년 2월까지 코골이 및 수면무호흡을 주소로 분당서울대학교병원에 내원하여 야간수면다원검사를 통해 폐쇄성수면무호흡증으로 진단받은 환자 중에서, 치료법으로 하악전방이동장치를 선택한 총 86명의 환자를 후향적으로 평가하였다. 임상기록과 수면다원검사를 포함한 모든 환자의 자료를 검토 및 분석하였다. 결 과: 총 86명의 환자 중 65명(75.6%)에게서 성공적인 결과를 얻었다. 경과관찰 기간 중에 28명의 환자에게서 경미한 전치부와 턱관절의 불편감이 보고되었으며, 특히 하악의 전방이동량에 따른 불편감은 7.0 mm 이상의 환자에게서 두드러지게 보고되었다. 하악의 전방이동량과 임상 결과와는 직접적인 관련은 없었다. 결 론: 중증도와 상관없이 하악전방이동장치는 폐쇄성 수면무호흡증 환자의 효과적인 치료방법의 하나로 선택될 수 있다. 잠재적인 치과적인 부작용을 방지하기 위하여 하악전방이동장치의 치료시에 하악의 전방이동량을 우선적으로 고려하여야 할 것이다.

심한 마모로 인하여 교합이 붕괴된 환자의 다양한 디지털 도구를 이용한 완전 구강회복증례 (Full mouth rehabilitation using various digital tools in a patient with collapsed bite due to severe attrition)

  • 문수인;이영후;홍성진;노관태;배아란;김형섭;권긍록;백장현
    • 대한치과보철학회지
    • /
    • 제60권4호
    • /
    • pp.320-329
    • /
    • 2022
  • 생리적 마모는 일생 동안 불가피하게 일어나고 정상현상이라고 볼 수 있다. 하지만, 병적인 마모는 교합면에 치명적 손상을 야기하고 심미 및 적절한 전방유도를 파괴 할 수 있다. 따라서 교합면 마모 회복을 위해서는 철저한 평가와 진단이 필요하다. 본 증례의 환자는 하악 치아 순면과 상악 치아 설면의 심한 마모를 보였다. 수직교합고경을 분석 하였고, 부족한 보철수복공간을 회복을 위해 수직교합고경을 높여서 치료하기로 하였다. 수직교합고경이 결정 된 후에는 보통 진단 왁스업을 하여 치료를 진행한다. 본 증례는 심한 마모로 인한 교합붕괴 및 수직교합고경이 상실된 환자에서, 기존의 진단왁스업 과정을 다양한 디지털 도구를 사용하는 방법으로 대체하였다. 진단왁스업은 소프트웨어에서 디자인되어 디지털로 임시보철물을 제작하였다. 임시보철물 검증을 통해, 수직교합고경 및 적절한 전방유도로 회복되었다.

외상에 의해 설측 변위된 하악 제1유구치의 가철성 장치를 이용한 치료 (REPOSITIONING OF A LINGUALLY DISPLACED MANDIBULAR FIRST PRIMARY MOLAR BY TRAUMA)

  • 이명성;이긍호;최영철;박재홍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32권1호
    • /
    • pp.119-125
    • /
    • 2005
  • 유치열에서 가장 외상이 호발하는 부위는 상악 유중절치이며, 영구치열에서 치관부 파절이 많이 나타나는 것과는 달리, 정출, 함입, 측방 변위, 탈구 등 지지조직에 한정된 손상이 많이 나타난다. 그러나, 유구치는 외상에 의해 손상을 받는 경우가 매우 드물게 보고되고 있으며, 단일 치아 또는 다수 치아의 파절이 주를 이루고 있다. 즉, 탈구 또는 변위되는 경우가 매우 드물고 이러한 경우의 치료에 대한 보고도 거의 없다. 본 증례는 4세 5개월 된 여아에서 외상으로 인해 하악 좌측 유측절치의 정출, 유견치의 탈구와 함께 제1유구치의 설측 변위가 발생하였는데, 계승 영구치의 맹출 시기와 환아의 협조도를 고려하여 가철성 장치를 이용한 하악 제1유구치의 재위치를 시도하여 양호한 결과를 얻었기에, 유구치의 외상으로 인한 변위 시 치료 방법의 선택에 도움이 되고자 보고하는 바이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