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ammary Development

검색결과 130건 처리시간 0.035초

A scientific understanding of Mammary gland and physiology of lactation in Ayurveda.

  • Verma, Vandana;Agrawal, Sonam;Gehlot, Sangeeta
    • 셀메드
    • /
    • 제10권1호
    • /
    • pp.4.1-4.4
    • /
    • 2020
  • Ayurveda scholars have well described about the physio-anatomical aspect of mammary gland (Stana), physiology of lactation, importance of breast milk (Stanya) in growth and development of baby, various factors affecting the lactation and causing changes in property of milk, Galactogouge (Stanyajanana), and drugs for purification of mother milk (Stanya Shodhana). The recent studies provide evidence for above descriptions of Ayurveda. Breast milk (Stanya) is the nearly complete sole source of nourishment for infants. It has been considered as subsidiary tissue (Upadhatu) of blood plasma (Rasa Dhatu) as it is formed out of Rasa Dhatu (Plasma) and its quality and quantity gets affected by quality of nutrient fraction of food formed after complete digestion (Aahar Rasa). It provides health (Aarogya), strength and immunity (Bala) to the feeding child and gives innumerable beneficial effects like protection against not only acute infections like URTI, diarrhoea but also on chronic illnesses like CVD, metabolic disorders too. The Ayurveda description related to Mammary gland and physiology of lactation still need a better understanding for its implementation on promotion of health. Thus an attempt has been made to compile and analyze the view of Ayurveda scholars on Breast (Stana), Breast milk (Stanya) and physiological aspect of lactation as well as to draw a possible scientific understanding for the relevance.

Kv1.3 voltage-gated K+ channel subunit as a potential diagnostic marker and therapeutic target for breast cancer

  • Jang, Soo-Hwa;Kang, Kyung-Sun;Ryu, Pan-Dong;Lee, So-Yeong
    • BMB Reports
    • /
    • 제42권8호
    • /
    • pp.535-539
    • /
    • 2009
  • Voltage-gated $K^+$ (Kv) channels are widely expressed in the plasma membranes of numerous cells such as epithelial cells. Recently, it has been demonstrated that Kv channels are associated with the proliferation of several types of cancer cells. Specifically, Kv1.3 seems to be involved in cancer cell proliferation and apoptosis. In the present study, we examined the expression of Kv1.3 in immortalized and tumorigenic human mammary epithelial cells. We also evaluated the expression level of Kv1.3 in each stage of breast cancer using mRNA isolated from breast cancer patients. In addition, treatment with tetraethylammonium, a Kv channel blocker, suppressed tumorigenic human mammary epithelial cell proliferation. Therefore, Kv1.3 may serve as a novel molecular target for breast cancer therapy while its stage-specific expression pattern may provide a potential diagnostic marker for breast cancer development.

Lack of Detection of the Mouse Mammary Tumor-like Virus (MMTV) Env Gene in Iranian Women Breast Cancer using Real Time PCR

  • Tabriz, Hedieh Moradi;Zendehdel, Kazem;Shahsiah, Reza;Fereidooni, Forouzandeh;Mehdipour, Baharak;Hosseini, Zahra Mostakhdemin
    • Asian Pacific Journal of Cancer Prevention
    • /
    • 제14권5호
    • /
    • pp.2945-2948
    • /
    • 2013
  • Background: Mouse mammary tumor virus (MMTV) is the major cause of mammary tumors in mice. There is limited controversial evidence about the probable etiologic role of MMTV- like virus in human breast cancer. Materials and Methods: A total of 40 Formalin fixed paraffin embedded samples with diagnosis of breast cancer were collected in a period of 3 years from cancer institute of Iran. We selected both pre-menopausal and post-menopausal patients with different histologic grades and different ethnic groups. We evaluated presence of MMTV-like virus env gene through real time PCR method. Results: Forty patients (20 pre and 20 postmenopausal women) were evaluated with the mean age of 49.67. The average tumor size was 39 mm. None of the studied samples were positive for MMTV-like virus env gene target sequences. Conclusions: We found no evidence on the potential role of MMTV-like virus in the carcinogenicity of breast cancer among Iranian women.

3차원 배양 시스템을 이용한 돼지 유선 상피 세포 주 특성과 설정 (Establishment and characterization of porcine mammary gland epithelial cell line using three dimensional culture system)

  • 정학재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8권10호
    • /
    • pp.551-558
    • /
    • 2017
  • 조직특이적 프로모터 및 벡터를 연구하고 검증하기 위해서는 조직 및 종의 특이성을 유지하는 세포 시스템을 개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시스템은 형질전환동물 모델에 대한 효과적인 대안이다. 우리는 베타 카제인 (CSN2)의 세포 형태와 mRNA 수준에 기초하여 일차 배양으로부터 돼지 유선 상피 세포 주 (PMECs)를 확립하였다. 선택된 PMECs는 cytokeratin 항체에 의해 염색되었으며, 유선 상피 세포에 존재한다고 생각되어지는 유즙 단백질 유전자 (CSN2, 락토페린 및 유청 단백질)를 발현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3D 배양에서 PMECs932-7의 acini 구조를 확인하기 위해 살아있는 세포를 핵산에 결합하는 SYTO-13으로 염색하였다. 우리는 마트리겔 (matrigel)에 있는 PMECs의 acini가 말초 세포의 응집에 의해 형성되고 공간의 lumen을 특징으로 한다는 것이 관찰하였다. 우리는 PMECs의 matrigel 사용법과 세포 밀도를 포함한 세포 배양 조건의 영향을 시험함으로서 시스템을 시연했다. 이러한 결과는 PMCEs의 유선 상피 세포는 유전적 또는 구조적 특징을 갖고 있음을 시사하고 있다.

유선발달에 있어서 cAMP, EGF, IGF-I 및 단백질 인산화 작용의 역할 I. EGF, IGF-I 및 Photoreactive Cyclic AMP가 유선상피세포의 DNA합성에 미치는 효과 (Role of cAMP, EGF, IGF-I and Protein Phosphorylation in Mammary Development I. Effect of EGF, IGF-I and Photoreactive Cyclic AMP on DNA Synthesis of Mammary Epithelial Cell)

  • 여인서;박춘근;홍병주
    • 한국가축번식학회지
    • /
    • 제17권1호
    • /
    • pp.49-56
    • /
    • 1993
  • Mouse mammary epithelial cells(NMuMG) were plated onto 24 well phates(100,000 cells/well), in DMEM supplemented with 10% fetal calf serum. After serum starvation for 24 hours, EGF)0~100ng/ml) was added simultaneously with IGF-I(10ng/ml), 1$\mu$M photoreactive cAMP(4,5-dimethoxy-2-nitrobenzyl adenosine-3',5' cyclic monophosphate, DMNB) or IGF-I plus DMNB. After 2 hours, the cells were expposed to UV light(300nm, 3 second pulse0 in order to activate DMNB which induces a rapid transient increase in intracellular cAMP upon UV irradiation. DNA synthesis was estimated as incorporation of 3H-thymidine into DNA(1 hour pulse with 1$\mu$Ci/ml, 18~19 hours after UV exposure). Without IGF-I or DMNB, EGF(10 or 100ng/ml) increased DNA synthesis from 8,362 dpm/well in control to 16,345 or 18,684 dpm/well with EGF(pooled SE=1,239 dpm/well, P<0.05). IGF-I or IGF-I plus DMNB alone increased DNA synthesis from 8,362 dpm/well in control to 17,307 or 20,427 dpm/well, respectively(P<0.05). Addition of IGF-I, DMNB or IGF-I plus DMNB into 0~100ng/ml EGF did not significantly change the shape of dose response curve of EGF alone. In other experiment, EGF or IGF-I plus DMNB into 10ng/ml EGF group exhibited interaction effect in DNAsynthesis [EGF(10ng/ml)=18,497; IGF-I+EGF=22,837; DMNB+EGF=20,658 ; IGF-I+DMNB+EGF=29,658, pooled SE=1,055, P<0.05]. These results indicate that simultaneous activation of EGF, IGF-I and intracellular cAMP interact in DNA synthesis of mouse mammary epithelial cells.

  • PDF

유선 특정의 유전자 발현을 위한 세포 배양 모델에 대한 연구 (A Study on In Vitro Model for Mammary-Specific Gene Expression)

  • 염행철
    • 한국가축번식학회지
    • /
    • 제21권1호
    • /
    • pp.1-7
    • /
    • 1997
  • 형질 전환동물의 유선을 이용한 단백질의 생산이 보편화되고 있지만 원하는 단백질이 만들어지기 까지 많은 시간과 노력이 필요하며 기술적인 어려움이 항시 따른다. 그래서 보다 쉽게 재조합된 유전자의 발현 정도를 시험하는 in vitro에서의 시험방법의 개발은 중요한 의미가 있다고 하겠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인간의 유방암을 가진 환자의 유선에서 유래된 MCF7 cell line을 이용하여 유선 특징의 유전자 발현을 위한 세포 배양 모델을 개발하고자 하였다. 우선 소의 카제인의 cDNA를 MMTV-LTR의 통제하에 clone하였으며, 이것을 CaPO4의 침전법으로 MCF7 cell에 transfection 시킨 다음, HAT 배양액으로 선발하였으며, dexamethasone으로 유도시키고, 발현되는 정도를 면역 항체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선발된 세포는 dexamethasone에 의하여 MMTV promoter가 유도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따라서 MCF7 cell과 같이 다양한 steroid receptor를 가지고 있는 세포는 유선 특정의 유전자 발현을 위한 세포 배양 모델에 유용하게 사용이 될 수 있을 것이다.

  • PDF

한국에서 개 유선종양과 피부종양의 발생현황 (Retrospective Investigation of Canine Skin and Mammary Tumors in Korea)

  • 김영훈;안나경;노인순;윤병일;한정희
    • 한국임상수의학회지
    • /
    • 제26권6호
    • /
    • pp.556-562
    • /
    • 2009
  • 피부와 유선 종양은 개에서 매우 빈번히 발생하는 종양으로, 종양 발생의 위험은 나이가 증가함에 따라 종양의 발생률은 증가하며, 발병률과 발병부위의 분포는 종양의 종류마다 다르다. 피부와 유선종양의 발생은 공기오염, 식생활 등 환경의 변화와도 관련이 있어 이들 종양들의 발생양상은 그 사회의 환경을 반영할 수 있어 시대와 지역에 따라 다양하게 다르게 나타날 수 있다. 따라서, 그 동안의 많은 보고들에도 불구하고, 피부와 유선종양발생에 대한 자료들은 종양에 대한 수의임상학적 진단과 치료를 위한 중요한 정보를 제공한다. 본 연구에서는 2005년 1월 1일부터 2006년 12월 31일까지 수의과학검역원과 강원대학교에 의뢰된 128증례의 개 피부종양과 240증례의 개 유선종양을 Goldschmidt와 Misdorp의 형태학적 기준에 의해 조직병리학적으로 진단하여, 종별, 성별 및 부위별로 각각 분류하여 국내에서 이들 종양의 발생양상을 체계적으로 분석하였다. 피부종양에서는 피부상피세포종양, 샘종양 및 간질종양이 각각 14.1%, 41.4%와 44.5%였다. Cutaneous histiocytoma가 피부종양에서 가장 빈번하게 관찰되어 전체 피부종양의 25.0%를 차지하였으며, 기름샘종 (sebaceous gland adenoma; 15.6%), 기저세포종(basal cell tumor; 8.6%), 항문둘레샘종 (perianal gland adenoma; 6.3%)와 지방종 (lipoma; 6.3%)순으로 높았다. 그 외에 비만세포종, 모낭세포종과 중층편평상피암 등이 관찰되었다. 이러한 피부종양들은 품종, 성과 나이 또는 부위에 따라 유사하거나 다른 양상을 나타내었다. 유선종양의 경우 양성과 악성이 201/240, 39/240으로 양성발생률이 현저히 높았으며, 양성혼합종 (benign mixed tumor)이 검사한 품종 모두에서 가장 높은 발생률 (35.0%)을 나타내었다. Complex adenoma는 Maltese와 Poodle에서 특히 높았으며, 악성종양에서는 simple carcinoma와 complex carcinoma가 각각 6.7%로, 악성 중 41.0%를 차지하여 가장 높은 발생률을 나타내었다. 본 연구결과는 최근 우리나라에서 여러 품종의 반려견에서 발생한 피부와 유선종양의 발생양상을 조직병리학적으로 진단 분석한 것으로, 임상수의사들이 지속적으로 증가추세에 있는 개의 피부와 유선종양을 진단하고 치료하는데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기를 기대한다.

생체 및 시험관에서 유선 상피 모세포의 분리와 동정 (Study of Rat Mammary Epithelial Stem Cells In Vivo and In Vitro)

  • Nam Deuk Kim;Kee-Joo Paik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24권3호
    • /
    • pp.470-486
    • /
    • 1995
  • 유선에 존재하는 유선 상피 모세포(mammary epithelial stem cells)의 존재 증거, 정상 조직에서 이들의역할, flow cytometry 및 면역 염색법에 의한 세포 분리, 세포 기질 단백질을 이용한 삼차원적 세포 배양에서의 증식 등을 요약한다. 유선의 실질 조직에 상피 모세포가 존재한다는 것은 여러 형태의 이식 실험에서 설명되었고 또 모세포의 표현형적 특징들은 여러 가지의 monoclonal antibodies에 의해 논증되었다. 이들 연구의 결과들은 유선의 모세포군이 end bud와 유선의 기저층(basal layer)에 존재한다고 제시하고 있다. 이들을 분리, 동정하기 위해 FITC-PNA와 PE-Thy-1.1 항체와 같은 세포 표지자를 이용하여 유선 상피 세포를 4군으로 나눌 수 있었다. FITC-PNA에만 양성 반응을 보인 PNA+ 세포군, PE-Thy-1.1에만 양성 반응을 보인 Thy-1.1+ 세포군, 이들 두 표지자에 양성 반응을 보인 B+ 세포군, 그리고 양쪽에 음성 반응을 보인 B- 세포군이었는데 이들을 flow cytometry로 분리하고 생체에 이식 실험을 하였을 때 PNA+ 세포군이 유선 모세포들을 가장 많이 가진 것으로 확인되었다. 그리고 유선 상피세포로 이루어진 유선 조직 절편(organoids) 이들 상피세포군을 세포외기질 단백질체인 Matrigel 내에서 배양한 결과 a) stellate, b) duct, c) web, d)squamous, e) lobuloduct 등 5종류의 다세포 구조물이 생성됨을 확인하였다. 이들 중 편평상피화생의 구조물은 정상적인 유선 조직에서는 나타나지 않는 구조물인데 all-trans retinoic acid를 처리하였을 때 배지의 조정에 따라 다소 차이는 있으나 대부분 이들 편평상피화생의 생성이 억제됨을 확인하였다. 이상의 결과로 보아 본 연구에 이용된 생체 이식법 및 삼차원적 세포외기질 세포 배양법이 상피세포의 성장, 분화 및 모세포 연구에 유용하게 이용될 수 있으리라 사료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