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alt

검색결과 504건 처리시간 0.036초

소아에서 결절성 위염으로 발현한 위 점막연관림프조직 림프종 1예 (A Case of Gastric MALT Lymphoma Presenting as Nodular Gastritis in a Child)

  • 이건송;양혜란;고재성;서정기;이혜승
    • Pediatric Gastroenterology, Hepatology & Nutrition
    • /
    • 제11권2호
    • /
    • pp.187-192
    • /
    • 2008
  • 만성 복통을 주소로 내원한 12세 여아에서 내시경 소견상 결절성 위염과 조직 검사상 H. pylori 감염을 확인 하였으며, 병리 소견 및 면역조직화학 검사상 위 MALT 림프종으로 진단되어, H. pylori 제균 치료 후 결절성 위염의 호전과 위 MALT 림프종의 완전한 관해를 경험하였기에 문헌 고찰과 함께 보고하는 바이다.

  • PDF

폐에 발생한 점막-연관 림프조직(MALT) 림프종 1예 (A case report of the Pulmonary Malignant Lymphoma of the mucosa-associated lymphoid tissue(MALT))

  • 온준상;손형태;김창선;이영실;윤상원;유남수;조동일
    •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 /
    • 제43권6호
    • /
    • pp.1019-1027
    • /
    • 1996
  • 폐의 원발성 림프종은 반응성 림프성 병변과 조직학적으로 감별하기가 어려우나, 반응성 림프증식 증은 polyclonality를 보이는 반면에 악성 림프종은 monoclonality를 보이므로 immunohistochemistry, PCR 분석을 이용하여 감별할 수 있다. 저자 등은 59세 여자 환자에서 개흉폐생검과 lmmunorustochemistry로 진단하고, PCR로 재확인한 악성 B-cell 림프종 1례를 경험 하였기에 문헌고찰과 함께 보고하는 바이다.

  • PDF

Impact of Korean Malting Barley Varieties on Malt Quality

  • Young-Mi Yoon;Jin-Cheon Park;JaeBuhm Chun;Yang-Kil Kim;Hyeun-Cheol Cheo;Chang-Hyun Lee;Seul-Gi Park;Tae-Il Park
    • 한국작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작물학회 2022년도 추계학술대회
    • /
    • pp.18-18
    • /
    • 2022
  • Barley has been used for the production of malt in the brewing industry. Malting is the process of preparing barley through partial germination. Malt extract is the most important quality parameter for malt quality. The grain and malt quality parameters of ten Korean malting barley varieties were studied. Malts was prepared using Phoeix automated micro malting system(Phoenix Bio, Australia). Quality analysis of Barley and malt was determined according to European brewery convention(EBC, 1998) and American society of brewing chemists(ASBC, 1997) method. And the hordeins of barley and malt were extracted with 50% isopropyl alcohol(IPA, 2-propanol) of 1% dithiothreitol(DTT). The analysis of hordeins was carried out by ultra-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UPLC). The mean values of 1000-grains weight, assortment rate, protein content, starch content, beta-glucan content, husk rate, germination energy, germination capacity and water sensitivity of grain were 45.8g, 86.8%, 11.9%, 58.0%, 3.8%, 14.0%, 96.2%, 97.2%, 10.0%, respectively. The mean values of protein content, friability, diastatic power, extract, soluble protein, Kolbach index, beta-glucan of malt and wort were 11.3%, 87.6%, 201WK(Windish Kolbach), 79.3%, 4.6%, 41%, 85mg/L, respectively. UPLC analysis of grain and malt hordeins revealed that the amount of hordeins significantly degraded during malting. Also, we could successfully be used to compare hordein polypeptide patterns with malt quality.

  • PDF

쌀보리, 겉보리 및 밀을 이용한 엿기름의 특성 (Characteristics of Malt Prepared with Covered Barley, Naked Barley and Wheat)

  • 서형주;정수현;김영순;홍재훈;이효구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26권3호
    • /
    • pp.417-421
    • /
    • 1997
  • Quality of Sikhe, the Korean conventional rice beverage depended on the characteristics of saccharifying activities of various amylases, intrinsic flavour, budding rate and so on. To improve the quality of Sikhe, characteristics of malt produced with wheat, covered barley and naked barley were evaluated. The germination rate of wheat was 82%, but those of naked and covered barley were 69% and 56% for 6 days, respectively. Malt prepared from germinated grains with 1.5~2.0 times length of buds had the highest saccharifying power. when the extraction of enzyme and reducing sugar was carried out at 5$0^{\circ}C$ for 4 hr, saccarifying power and reducing sugar contents were the highest. Malt of wheat had the highest saccharifying power. Malt of naked barley had higher saccharifying power than that of covered barley. The amylase types of wheat, covered barley and naked barley were similar to $\beta$-amylase.

  • PDF

식혜산업의 문제점과 품질 향상방안 (Some Problems of Sikhye Production and An Improvement Method of Sikhye Quality)

  • 안용근;이석건
    •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
    • 제9권1호
    • /
    • pp.45-51
    • /
    • 1996
  • Korean traditional Sikhye is made from rice and malt, and It's main product Is maltose. However commercial Sikhye differs from traditional Sikhye because it's main component is sucrose. Sikhye industry faces many problems such as contamination of malt with microorganisms, low amylase activity of malt and technical difficulties. There is no commercial Sikhye which is only using rice and malt by these reasons. To produce the traditional Sikhye free from these problems, it is necessary to restrict the microorganisms of malt and to standardize the amylase activity of malt. In addition, the Introduction of effective control and sanitaric process is required. In Sikhye production. if $\beta$-amylase and isoamylase or pullulanase were added, starch could be saccharified 100% as maltose. Accordingly, this method brings us the low cost of Sikhye.

  • PDF

보리와 밀 맥아 Amylases의 반응속도론적 연구 (Kinetic Studies on Amylases from Barley and Wheat Malt)

  • 김영휘;조정일
    •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
    • 제6권3호
    • /
    • pp.127-131
    • /
    • 1991
  • 보리와 밀 맥아의 ${\alpha}-amylase$${\beta}-amylase$의 대한 찹쌀과 멥쌀 전분에 대한 반응속도론적 연구를 수행하였다. 보리와 밀의 발아 과정에서 ATP 함량은 발아 2일 후에 급격하게 증가하여 5일 후에는 감소하였으며, 건조 중량은 3일 후부터 감소하였다. 보리맥아와 밀 맥아의 ${\alpha}-amylase$$\;{\beta}-amylase$ 모두 6일째에 최대의 활성을 나타내었다. ${\alpha}-amylase$의 경우, 보리맥아에 존재하는 ${\alpha}-amylase$가 멥쌀 전분에서 친화력이 크게 나타났으며, $V_{max}$값은 보리 맥아의 경우 멥쌀 전분에서 밀 맥아의 경우 멥쌀과 찹쌀 전분에서 높게 나타났다. ${\beta}-amylase$의 경우는 보리 맥아의 효소가 찹쌀 전분에 대해 친화력이 크게 나타났으며, $V_{max}$값은 밀 맥아의 효소가 찹쌀 전분에서 높게 나타났다. 또한 기질 효율성은 보리 맥아에서 추출한 ${\beta}-amylase$가 멥쌀 전분에서 가장 우수하였다.

  • PDF

麥芽 및 食醯 製造에 관한 硏究 (A Study on the Production of Malt and Sikhae)

  • 조신호
    •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
    • 제6권2호
    • /
    • pp.77-84
    • /
    • 1990
  •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study the characteristics of 6 different Sikhaes and the activity of malt. The Sikhae, a kind of the traditional Korean beverages, is made from rice and malt. The result were summarized as follows. !. Though it takes longer when malt is manufactured at the 15$^{\circ}C$ than at the 25$^{\circ}C$, more excellent malt can be obtained at the 15$^{\circ}C$ because the activity of amylase is much higher. 2. The length of the whole malt is between 3 and 4 cm when the activity of amylase is highest. When sprout grows longer than this, the activity of anzyme falls low remarkably and the worth of malt is decreased. 3. Among the material grain to make Sikhae, the saccharifying of glutinous rice was best and the saccharifying of barleys was not so good. 4. The Sikhaes from rice and glutinous rice are not easily swollen, but the Sikhae from the barley is easily swollen and turbid. 5. The result by the sensory evaluation to determine the ranking is in the following order; Glutinous rice, Tongil glutinous rice, Nonglutinous rice, Tongil rice, Hulled barley, Naked barley.

  • PDF

한국 전통간장 제조시 맥아첨가방법이 간장의 성분과 식미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Methods of Adding Barley Malt in the Production of Kanjang (Korean traditional soy sauce) on it's Chemical Compositions and Sensory Characteristics)

  • 권광일;이종구;이륜경;최종동;유문균;임무혁;김기주;홍영표;안영순;최광수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46권3호
    • /
    • pp.195-200
    • /
    • 2003
  • 전통간장의 맛과 품질을 개선하기 위하여 간장제조시 탄수화물과 효소원으로써 맥아의 첨가법에 대하여 연구하였다. 전통메주(대조)와 메주제조시 맥아를 첨가하여 만든 메주 및 간장 담금시 전통메주에 맥아를 첨가하여 각각 간장을 담금한 후 150일간의 숙성기간동안 간장의 성분 변화를 조사하고 숙성간장의 식미검사를 실시하였다. 메주 제조시 맥아를 첨가하여 만든 메주로 담근 간장은 대조구인 전통 콩메주로 담근 간장에 비하여 간장 담금 초기부터 150일간의 숙성을 마칠 때까지 총질소, TCA가용성 질소, 색도, 순추출물 및 젖산함량이 높았으며 맥아첨가량이 더 많은 메주로 만든 간장에서 이들 성분함량이 더 높았다. 그러나 간장 담금 할 때 간장덧에 맥아를 첨가하였을 때는 포도당을 제외하고는 전통메주로 담금한 대조구 간장보다 오히려 성분함량이 낮았다. 식미검사에서도 메주제조시 맥아를 30% 첨가한 간장이 모든 기호도 특성에서 가장 높은 점수를 얻었고 종합적 기호도 점수도 7.56점으로서 전통간장(대조구)보다 5% 수준에서 유의적으로 식미가 우수함을 보여주었다.

맥아 당화액을 이용한 유산균음료의 제조에 관한 연구 (Studies on Preparation of Lactic Acid Fermented Beverages from a Malt Syrup)

  • 유태종;이주원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14권1호
    • /
    • pp.57-62
    • /
    • 1982
  • 맥아당화액과 탈지유의 단독 및 혼합배지에 젖산균을 배양시켜 적응성 여부를 보고, 시제품(試製品)을 관능검사로 비교 검토하여 그 결과를 아래와 같이 요약하였다. 1. 맥아당화액의 당도가 $10^{\circ}Bx$일 때 유산균의 생육이 가장 좋았다. 2. 맥아당화액에 효묘추출물(0.5%), sodium citrate(0.08%)를 첨가하여 젖산균을 배양한 결과 산도의 증가가 현저하게 나타났다. 3. 맥아당액에서 배양적성이 좋은 젖산균주들은 L. acidophilus, L. plantarum, L. lactis, L. bulgaricus-S. thermophilus 등 이였으며 그중에서 L. lactis가 가장 우수하였다. 4. L. lactis의 단독 starter와 L. lactis+S. diacetilactis를 혼합한 starter를 제조하여 활력을 비교하였을 때 L. lactis의 starter가 비교적 높았으나 관능적인 면에서는 L. lactis+S. diacetilactis의 혼합 starter가 좋았다. 5. 배지를 탈지유, 맥아당액, 탈지유+맥아당액(1 : 1)으로 구분하여 유산균을 배양하면서 시간에 대한 pH 및 산도, 균수측정을 한 결과, pH에서의 변화는 탈지유가 제일 높았고, 탈지유+맥아당액의 경우는 맥아당액과 흡사하였다. 산도와 균수에서는 맥아당액이 가장 열등하였으며, 탈지유+맥아당액은 탈지유배지만을 사용한 경우와 별 차이가 없었다. 6. 시제품(試製品)을 관능검사를 통하여 비교하였을 때 탈지유와 탈지유+맥아당액배지를 사용한 것(발효유타입)사이에는 큰 차이가 없었으나$(P{\leqq}0.05)$, 맥아당액(유산균음료타입)의 경우는 열등하였다. 그러나, 맥아당액의 유산균음료 시제품(試製品)과 시중의 유산균음료와 비교하였을 때 관능적인 차이는 없었다.

  • PDF

바이오센서 계측 결과를 이용한 식혜제조의 최적화 (Optimization of Sikhe Processing using the Obtained Data by Biosensor)

  • 김희경;노봉수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4권1호
    • /
    • pp.65-72
    • /
    • 2002
  • 식혜 제조시 당화에 영향을 미치는 인자인 엿기름 추출온도와 시간, 엿기름과 물의 비율, 밥의 양을 반응표면분석법의 중심합성계획에 따라 설계하여 각각 조건들의 영향을 dual cathod system으로 구성된 바이오센서로 행하였을 때 포도당과 맥아당의 측정은 엿기름 추출온도 및 각각의 조건들은 포도당과 맥아당의 최적조건이 약간은 다른 결과를 보였는데 포도당에서는 $60^{\circ}C$, 맥아당은 $55^{\circ}C$에서 최적의 온도를 나타내었고 엿기름 추출시간은 포도당이 6시간 30분, 맥아당은 5시간 45분이었으며 물과 엿기름의 비율은 포도당과 맥아당 각각 1:6.3, 1:8.8이었고 엿기름 추출액과 고두밥의 양에서는 0.48%는 포도당, 0.6%는 맥아당이 최적조건이었다. 반응표면분석법에 의하여 유의차를 검증한 결과 그 상관관계를 비교했을 때 유의성이 높게 나타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