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allik

검색결과 14건 처리시간 0.018초

A step-by-step intraoperative strategy during one-stage reconstruction of an acute electrical burn injury in the neck for superior surgical outcome in India: a case report

  • Mainak Mallik;Sanjay Kumar Giri;M. Vishnu Swaroop Reddy;Kallol Kumar Das Poddar
    • Journal of Trauma and Injury
    • /
    • 제37권2호
    • /
    • pp.151-157
    • /
    • 2024
  • Electrical burn injuries can cause more damage than clinical evaluations initially suggest. The energy waves penetrate from the surface to the deepest layers of tissue, causing extensive harm at every level. The neck is a critical area, both functionally and aesthetically. We present a case involving a young male patient with a severe fourth-degree electrical burn on the neck, who underwent a single-stage debridement and reconstructive surgery. The pectoralis major myocutaneous flap is a versatile option for various head and neck reconstructions. However, if the donor site cannot be closed primarily and requires split-thickness skin grafting, it can result in unsightly scars and deformities. For large flap paddles, it is ideal to reconstruct the secondary defect with locoregional flaps. In this case, we successfully reconstructed the donor site's secondary defect using a contralateral internal mammary artery perforator flap, without resorting to any skin grafts. The early postoperative results demonstrated satisfactory cosmesis, patient satisfaction, and functional outcomes.

Ericaceous식물의 allelopathy와 경쟁력에 의한 침엽수 갱신 저해 (Competitive Ability and Allelopathy of Ericaceous Plants as Potential Causes of Conifer Regeneration Failures)

  • Mallik, A.U.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84권3호
    • /
    • pp.394-405
    • /
    • 1995
  • 온대 삼림지대에서 산화 적지나 개벌 적지에 왕성하게 번성하는 것이 ericaceous속이다. ericaceous속의 식물들은 성장이 빨라서 다른 종과의 경쟁에서 유리하고 또한 allelopathy 효과 때문에 침엽수 갱신에 영향을 미친다. Kalmia가 번성하는 지역에서는 삼림 갱신이 잘 되지 않거나 조림한 침엽수의 생장이 저조하였다. 이러한 생상 저해 현상은 서유럽의 Calluna - Sitca spruce - Scots pine 생태계와 미국의 북서 태평양 지역의 Gaultheria - cedar/hemlock 생태계에서도 나타나고 있다. 삼림이 파괴된 다음에 Kalmia - black spruce 생태계의 다양한 변화는 침엽수 생장을 저해하거나 갱신을 방해하는 원인으로 생각되어지고 있다. 양분경쟁에 대한 논쟁의 여지는 있으나 Kalmia는 black spruce 생장을 억제하는 주원인으로 작용한다. 여러 곳의 야외, 실내 및 온실에서 한 실험 결과는 이러한 결론을 뒷받침해 주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Kalmia 잎으로부터 8가지의 폐놀물질을 분리동정해 냈으며 이들 중 4가지는 black spruce에 고도의 독성을 나타냈다. Kalmia 우점지역에서 allelopathic 영향을 적게 하므로써 black spruce의 갱신을 증진시키기 위한 여러 가지 방법에 대한 고찰을 하였다.

  • PDF

혼농임업 : 지속적 개발을 위한 새로운 접근 방법 (Community Forestry : Revitalizing an Age-old Practice of Sustainable Development)

  • ;;박용구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84권4호
    • /
    • pp.525-535
    • /
    • 1995
  • 대규모의 벌채, 경제수 조림, 생태계의 부적절한 보존등 서구의 산업화된 삼림경영은 환경론자들과 생태학자와 보존론자들의 거센 반발에 부딪치고 있다. 환경이 급격히 파괴되어 가고 있음에 따라 삼림경영 방침도 바뀌어져야 한다는 생태학자들의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다. 지역적 임업, 사회적 임업, 자작농임업(自作農林業) 등 여러 가지 이름으로 불리는 임업 즉 지속적으로 생태계를 보호하려는 오래된 임업 경영 방법이 최근에 관심을 끌고 있다. 자연 자원을 조직적으로 경영하지 못하는 이러한 전통적인 형태의 삼림 경영 방법은 오래 전부터 많은 나라에서 수행되어 왔으나 지역사회의 필요와 생태계의 역할을 확실하게 이해함으로써 보다 높은 생산력을 올릴 수 있는 토지 이용 방법을 찾을 수 있게 될 것이다. 혼농임업경영의 성격은 지리적 위치, 규모, 사회적 또는 지역적 구조와 요구에 따라 매우 다양하다. 이 논문은 혼농임업 경영이 산업적 삼림 경영보다 경제적 생산력은 낮을지 모르나 생태계를 보호하고 생산을 지속적으로 유지하는데 훨씬 유리한 방법이라는 것을 밝혀냈다. 산업적 삼림 경영은 처음에는 혼농임 경영보다 높은 생산력을 얻을 수 있을지 모르나 시간이 갈수록 생태적인 파괴 때문에 지속적인 생산성이 저하하게 될 것이다. 전통적인 경제 분석법을 조사해 볼 때 삼림과 관련된 많은 사회, 환경적 비용을 계상 하지 않았음을 알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관리가 잘된 혼농임업은 지속적으로 생태계를 보존하는 문제와 경제적인 이득을 얻는 문제간에 균형을 잡을 수 있다는 것이 논의되었다. 즉 혼농임업에 대한 자가농임업(自家農林業)개발의 종합적 모델을 농업, 임업 및 환경 부분의 서비스를 상호 연결시킨 협력 방법을 제시하였다.

  • PDF

Picea mariana 생장(生長)을 억제(抑制)하는 Kalmia angustifolia 에 대한 외생균근(外生菌根)의 영향(影響) (Overcoming Kalmia-Induced Growth Inhibition of Picea mariana by Mycorrhizal Inoculation)

  • ;;박용구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87권3호
    • /
    • pp.429-444
    • /
    • 1998
  • Picea mariana 생장을 억제하는 Kalmia angustifolia에 영향을 주는 외생근균을 조사 선발하였다. 11개 외생근균중에서 19계통을 선발하여 Kalmia 잎침출물이 들어있는 배지에 P. mariana 치묘와 함께 근균을 접종하여 자라는 형태와 생장양상을 조사하였다. Kalmia 잎추출물을 첨가한 액체배지에서는 균사의 건중량을, 한천배지에서는 코로니의 직경을 측정한 결과 분리된 9개 균주에서는 현저하게 억제되었으나 나머지 10개 균주에서는 반대로 증가되거나 Kalmia의 영향이 나타나지 않았다. 배양배지의 pH가 3-4일 때는 생장을 억제 받는 근균도 있었으나 pH와 잎침출물을 조합한 조건하에서는 더욱 강하게 억제되었다. 분리된 13개 계통은 순수배양에서 Kalmia 잎침출물 25%와 함께 배양한 P. mariana에서 외생근균이 형성되었다. Paxillus involutus(NF4), Cenococcum geophilum(GB12), Laccaria laccata(GB23), E-strain(GB45)계통에서는 Kalmia 잎추출물 50%에서 배양한 결과 다른 계통보다 많은 외생근균이 형성이 되었다. 이러한 근균을 미리 접종한 P. mariana를 Kalmia 잎추출물과 같이 배양한 후 온실 안에서 4개월동안 Kalmia와 갈이 재배하였다. P. involutus, L. laccata 와 E-strain 미리 접종한 치묘에서는 많은 근균(흡수근외 77-91%)이 형성되었으나 C. geophilum를 미리 접종한 치묘에서는 근균이 비교적(흡수근의 32%) 적게 형성되었다. 외생균근이 대부분의 치묘에서 생겼음에도 불구하고 근균의 90% 이상이 접종근균에서 생겨났다. 근균의 지속적인 생장은 살아있는 Kalmia 식물개체에 영향을 받지 않았다. P. involutus, L.laccata와 E-strain과 같이 처리한 치묘 근균의 80% 이상과 C. geophilum을 처리한 치묘 근균의 53%가 접종된 균주의 영향을 받았다. 대조구에서는 토착균주에 의해 약 45%의 짧은 뿌리의 외생근균이 형성되었다. L. laccata와 C. geophidum는 Kalmia잎추출물과 같이 배양한 치묘의 근균행성을 촉진하였다. 균주를 접종한 경우 근균형성율은 pH5보다 pH4에서 4-15% 더 낮았으며 L. laccata를 접종한 경우 심하게 억제되었다. P. involtus에 접종한 치묘는 L. laccata를 E-strain를 접종한 치묘보다 줄기와 뿌리생장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P. involtus와 L. laccata를 접종한 치묘는 대조구의 치묘보다는 건중량이 많고 키가 훨씬 컸다. E-strain에 접종한 치묘는 대조구와 비교해서 1차 측근 수가 매우 작았으며 줄기 건중량은 매우 높게 나타났으나 다른 형질, 예를 들면 흡수근, 뿌리 건중량, 수고 등은 대조구와 크게 다르지 않았으나 C. geophilum에 접종한 치묘는 1차 측근수를 제외한 다른 생장 특징에서는 대조구와 크게 다르지 않았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