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ale sterile line

검색결과 35건 처리시간 0.018초

고추 더뎅이병 저항성 계통의 세포질웅성불임 관련 핵내유전자형 검정 (Testing Bacterial Spot Resistant Lines of Capsicum Pepper for Nuclear Genotype Interacting with Male Sterile Cytoplasm)

  • 김병수;황희숙
    • 한국식물병리학회지
    • /
    • 제14권3호
    • /
    • pp.212-216
    • /
    • 1998
  • Capsicum pepper selections fro PI163192, PI241670, PI244670, PI271322, PI308787, PI322719, and PI369994 were confirmed to be non-hypersensitively resistant to race 3 of Xanthomonas campestris pv. vesicatoria. A resistant cultivar,‘SR’, was shown to be hypersensitive. Four Koran local cultivars, a cytoplasmic male sterile line (A-line) and its maintainer (B-line) were highly susceptible. The resistant selections and cultivars were crossed with a male sterile A-line (Smsms) and fertility of their F1 hybrids was examined by observing he pollen production, testing pollen germination, and quantifying the amount of pollen produced per anther to identify the genotype interacting with the male sterile cytoplasm. The seven resistant PI selections turned out to be restorers (N(S)MsMs) and‘SR’to be a maintainer (Nmsms).

  • PDF

양파 조생계 웅성불임 중간모본 '원예 30002' (Early Maturing Male Sterile Line of Onion (Allium cepa L.) 'Wonye 30002')

  • 김철우;이을태;최인후;장영석;서세정
    • 한국육종학회지
    • /
    • 제42권3호
    • /
    • pp.298-301
    • /
    • 2010
  • '원예30002'는 웅성불임계통으로 초형은 반개장형, 구색은 황갈색이며 도복기는 5월 6일로 비교적 도복기가 빠른 조생 계통이다. 초장은 43 cm, 엽수는 7매이며 엽초경과 엽초장은 각각 15.5 cm, 18 cm이다. 구중은 283 g으로 대구형이며 구형지수는 93으로 고구형 계통이다. 저장성은 중간정도이나 내한성이 강한 특성이 있다. 채종 특성으로 채종 모구의 개화기는 5월 24일이며 화경수는 3개로 비교적 적고 화구폭은 90 mm이며 100% 웅성불임이다.

양파 중생계 웅성불임 중간모본 '원예 30001' (Mid-late Maturing Male Sterile Line of Onion (Allium cepa L.) 'Wonye 30001')

  • 김철우;이을태;최인후;장영석;서세정
    • 한국육종학회지
    • /
    • 제42권3호
    • /
    • pp.294-297
    • /
    • 2010
  • 양파 중간모본 웅성불임 계통 '원예30001'은 2000년 Ginque 자식 집단에서 웅성불임개체를 선발하여 고정종 자식계통 YG-1-1을 교배하여 2002년에 유지계통을 선발하고 2009년까지 4회 여교잡을 하여 계통의 안정성을 확인한 후 MMS17로 명명하여 2009년에 직무육성신품종 심사를 거쳐 2010년에 국립종자원에 '원예30001'로 명명하여 품종보호 출원하였다. '원예30001'은 웅성불임(CMS-S)계통으로 초형은 반개장형이며 도복기는 5월 20일이다. 초장은 57 cm, 엽수 8매, 엽초경은 15.9 cm로 지상부의 생육이 왕성하며 구중은 260 g, 구형지수 89인 원형 황색 양파계통이다. 노균병에 중간 정도의 저항성이 있으나 내한성과 저장성은 강하다. 모구의 채종 특성으로 개화기는 5월 23일이며 구당 화경수는 6개, 화경 장은 135 cm이며 화구 폭은 84 mm이며 100% 웅성불임 이다.

역병과 세균성점무늬병에 복합저항성인 핵유전형 웅성불임성 고추 계통 육성을 위한 교배의 $F_3-F_4$세대 선발 (Selection in $F_3$ and $F_4$ Generations of a Cross for Breeding Genic Male Sterile Pepper Lines Resistant to Phytophthora Blight and Bacterial Spot)

  • 박동근;김병수
    • Current Research on Agriculture and Life Sciences
    • /
    • 제28권
    • /
    • pp.17-23
    • /
    • 2010
  • 역병(Phytophthora capsici)과 세균성점무늬병(Xanthomonas euvesicatoria)에 복합저항성인 핵유전형 웅성불임계(Genic male sterile line, GMS)를 육성하기 위하여 역병 저항성 핵유전형 웅성불임계에 역병-세균성점무늬병 복합저항성 계통을 교배하여 작성한 조합의 $F_3$$F_4$ 세대에 대하여 두 가지 병에 대한 저항성 선발을 실시하였다. 역병 저항성은 잘 알려져 있는 KC294(CM334)와 KC263(AC2258)에서 도입하고, 세균성점무늬병 저항성은 KC47(PI24467)에서 도입되었다. 역병에 고도의 저항성을 지닌 GMS 계통이 얻어졌으며, 이들은 세균성점무늬병에도 양적으로 저항성을 나타낼 것으로 기대된다.

  • PDF

수도 웅성불임계통의 개화특성 비교 (Comparison in Anthesis Characterics of Some Male Sterile Rice Cultivars)

  • 서학수;조영찬;박태석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30권4호
    • /
    • pp.427-430
    • /
    • 1985
  • 수도의 1대잡종 종자생산을 위한 기초적인 정보를 얻고자 한국품종 배경의 세포질적 유전적 웅성불임계통 수원296A, 수원304A 및 수원310A와 유전적 웅성불임계통 수원296GMS 등과 대조품종인 중공의 세포질적 유전적 웅성불임계통 Zhenshan97A를 공시하여 주두노출정도, 시간별 개영수 및 개영각도 변화 등을 조사하고 자연교잡률과 관련시켜 검토한 바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한국품종을 배경으로 한 웅성불임계통들의 주두노출 정도가 중공의 CGMS Zhenshan97A 보다 불량하였고 특히 Japonica형 CGMS인 수원304A의 주두노출이 불량하였다. 2. 시간별 개영수의 Peak의 조만과 유무는 자연교잡률과 관련이 적었다. 3. 개영각이 크고 장시간 개영이 지속되는 웅성불임계통의 자연교잡이 높았다. 개영각이 작으면서 장시간 개영되어도 효과가 적었다. 4. 동일품종을 배경으로 했을 경우 GMS가 CGMS보다 자연교잡에 유리했다. 5. 웅성불임계통은 정상계통에 비해 개영 지속시간이 길었다.

  • PDF

양질 다수성 일대잡종 벼 육성 연구 I. 우리나라 품종 배경의 세포질-유전자적 웅성불임 및 임성회복 계통 육성 (Breeding Hybrid Rice with Good Quality and High Yield I. Breeding of Cytoplasmic-Genetic Male Sterile and Restorer Lines with Backgrounds of Korean Rice Varieties)

  • 서학수;송유천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38권5호
    • /
    • pp.413-417
    • /
    • 1993
  • 우리나라 japonica 벼의 일대잡종을 다양하게 육성할 목적으로 세포질 유전자적 웅성불임인 BTCMS에 대한 임성회복력이 있는 계통 AR-3을 교잡하여 그 F1을 모본으로 하고 조ㆍ중ㆍ만생의 한국 japonica형 벼 4품종씩을 교본 반복친으로 5회 backcross하여 우리나라 벼 품종 배경의 우엉불임 계통과 임성회복계통을 육성하고 이들의 주요 작물학적 특성을 각각의 반복친과 비교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우리나라 japonica형 품종의 배경을 갖는 세포질 유전자적 웅성불임계통을 조ㆍ중ㆍ만생군으로 각각 4개씩 도합 12계통 육성하였으며, 동일한 품종의 배경을 갖는 임성회복계통친도 조ㆍ중ㆍ만생군으로 각각 4개씩 12계통 육성하였다. 2. 육성된 웅성불임계통은 조중군에서 소백벼 A, 오대벼,A, 관악벼A, 대성벼A, 중생군에서 화진벼A, 팔달A, 수원 224A, 이리 386A, 만생군에서 낙동벼A, 팔굉A, 화청벼A 및 밀양 97A 등으로 명명하였다. 3. 육성된 임성회복계통은 조생군에서 소백벼R, 오대벼R, 팔달R, 수원 224R, 이리 386R, 만생군에서 낙동벼R, 팔굉R, 화청벼R 및 밀양 97R 등으로 명명하였다. 4. 육성된 웅성불임계통들은 반복친(불임유지친)에 비하여 간장이 단축되는 경향이었으나 출수기, 수장 및 수량구성요소 등은 대체로 비슷하였다. 5. 육성된 임성회복계통들은 반복친과 비교하면 대체로 간장, 수장, 수량구성요소 및 수량의 차이가 없었다.

  • PDF

Restorer Genotype for Male Sterile Cytoplasm of Genetic Resources Moderately Resistant to Phytophthora capsici in Capsicum Pepper

  • Kim, Byung-Soo;Ahn, Joon-Hyung;Lee, Jae-Moo;Park, Dong-Guen;Kim, Hye-Yeon
    • 원예과학기술지
    • /
    • 제30권1호
    • /
    • pp.73-78
    • /
    • 2012
  • KC00256, KC00406, KC00462, KC00463, KC00820, and KC00821, the genetic resources that have previously been reported as moderately resistant to Phytophthora capsici, as well as the line KC01322, a new source of moderate resistance introduced from Laos, were tested against two strains (Pc003 and Pc005) of P. capsici. We also determined the nuclear restorer genotypes of these lines, in regards to their interaction with cytoplasmic male sterility, through crossing the resources with cytoplasmic male sterile Punggok-A (Srfrf) and determining the fertility of the $F_1$ hybrids. The studied lines exhibited a low level of resistance to both the strains of P. capsici compared to highly resistant CM334, but their response was fairly consistent for both P. capsici strains. KC00406, KC00462, KC00463, and KC01322 produced stable, male fertile $F_1$ plants indicating that they are restorers with genotype N(S)RfRf. KC00821 produced male sterile $F_1$ plants and was identified as a maintainer with genotype Nrfrf. The $F_1$ plants of the KC00820 cross, however, set a few male fertile flowers in the greenhouse at seedling stage, then became male sterile after being transplanted to the plastic greenhouse soil in May and remained so to the end of the growing season. Therefore, KC00820 is an unstable maintainer with genotype Nrfrf. The moderate resistance exhibited by these genetic resources may be integrated into breeding programs aimed at promoting higher levels resistance via recurrent selection or hybridization.

역병-풋마름병 복합저항성 세포질웅성불임계 고추 육성 (Breeding Cytoplasmic Male Sterile Lines Resistant to Phytophthora capsici and Ralstonia solanacearum in Capsicum Pepper)

  • 이재무;김병수
    • Current Research on Agriculture and Life Sciences
    • /
    • 제28권
    • /
    • pp.39-46
    • /
    • 2010
  • 칠성초에 역병 저항성을 도입한 칠복1호에 베트남 도입 풋마름병 저항성 계통을 교배하여 육성한 $F_2$$BC_1F_1$에서부터 $F_4$$BC_1F_3$까지 역병-풋마름병 복합 저항성 선발을 2009년도와 2010년도에 걸쳐 수행하였다. 매 세대 역병을 접종하여 저항성을 평가하여 선발하고 선발개체에 풋마름병을 접종하여 감염되는 개체는 도태하였다. 역병에 대한 저항성은 선발과 함께 현저히 향상되었으며, 선발계통들은 역병 저항성으로 판매되고 있는 교배종 '무한질주'와 비슷한 수준의 저항성을 나타내었다. $BC_1F_2$ 선발개체를 칠복CMS-A라인에 교배를 하여 $F_1$의 임성을 보고 화분친의 CMS-Rf유전자형을 검정하였다. 대부분Nrfrf로 고정되고, 칠복 ${\times}$ KC995, 칠복 ${\times}$ KC1009 조합의 일부 개체가 이형(heterozygote) 상태인 것으로 확인되었다.

  • PDF

세포질.유전자적 웅성불임 계통을 이용한 유채 Heterosis 육종에 관한 연구 제3보 유채 세포질 유전자적 웅성불임 계통의 불임안전성과 유.박의 성분 개량 (Studies on the Heterosis Breeding in Rape by Using Cytoplasmic Genetic Male Sterile lines 3. Development of Complete Cytoplasmic Genetic Male Sterile Line "MOKPO-MS" Having Improved Quality of Oil and Oil Cake)

  • 이정일;권병선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25권3호
    • /
    • pp.50-58
    • /
    • 1980
  • 유채에서 $F_1$의 잡종강세를 이용함에 있어 Shiga나 Thmpson이 개발한 MS들은 고온에서 불임성이 회복되고 유질과 유박의 성분도 개량되지 못하였으므로 이같은 결점이 보완된 새로운 MS를 개발코저 연구를 계속한 결과 완전한 불임성이면서 에루친산과 구루코지노레이트가 제거, 개량된 새로운 세포질.유전자적 웅성불임계통 Mokpo-MS가 육성되었다. 이를 다음과 같이 요약한다. 1. Mokpo-MS는 캐나다 품종인 Tower를 어미로 하고 일본 품종 Isuzu를 화분친으로한 F_2에서 발견된 MS를 1입식 Q.C.T.법으로 Zero-erucic acid 개체를 선발하고 이를 Test-tape법으로 Zero-glucosinolate 개체를 재 선발하여 고정시켰다. MS유지는 임성인 자매개체, 계통의 화분으로 ,유지시켰다. 2. 세포질 유전자적 웅성불임계통 여부를 검정코저 Tower \times Isugu의 정역 조합을 작성하여 $F_2$에서 MS 분리비를 조사한 결과 Tower가 어미인 조합에서는 3 : 1의 비율로 MS가 분리되었으며 Tower가 화분친으로 된 조합에서는 전부 임성으로 발현되었으므로 Tower의 S세포질과 Isuzu의 핵내 S유전자와의 상호작용에 의해 발현되는 세포질 유전자적 웅성불임 계통임이 밝혀졌다.3. Mokpo-MS는 같은 계통내 임성인 개체의 화분으로 유지시키면 차대에서 각 50 %의 MS와 임성이 분리된다. 4. Moo-MS는 기존MS들 보다 2~3일 숙기가 빠르며 3~17개나 분지수가 더 많고 화기에서 웅예의 길이가 0.2mm 약장은 거의 없으며 상대적 위치가 0.0인 완전 MS였다. 5. 새로 육성된 Mokpo-MS의 유질은 바람직하지 못한 에루친산과 에이꼬젠산이 완전 제거되고 대신 양질 지방산인 오레인산과 리놀산 함량이 92%에 달하는 양질유 MS이다. 6. 유박의 사료화를 위한 성분개량에서도 유해물질인 Glucosinolate성분이 완전 제거되어 도입 대두박에 대체 가능하다. 7. Mokpo-MS는 화기의 불임성에 관계되는 형질이나 기타 생태적인 실용형질들이 완전히 인정되었다.

  • PDF

연초의 감자바이러스 Y 저항성 웅성불임 일대잡종 KB 109 육성 (Breeding for Potato Virus Y Resistant Male-sterile $F_1$ Hybrid KB 109 in Nicotiana tabacum L.)

  • 조천준;김대송;정석훈;최상주;조명조
    • 한국연초학회지
    • /
    • 제16권2호
    • /
    • pp.134-138
    • /
    • 1994
  • Potato Virus Y(PVY), vein necrosis strain, in Korea causes severe symptoms on burley tobacco(Nicotiana tabacum L.). As the results, programs to incorporate PVY resistance into commercial cultivars were initiatEd. But the development of the homozygous fertile line resistant to PVY is time consumming. This study was conducted whether the Fl hybrid could be used to reduce the yield losses caused by PVY. Four F1 hybrids were made between male - sterile(ms) NC 107 and KB 107 as maternal parent, and TC 612 and TC 613 as Pollen donor, respectively, and were evaluated for their PVY resistance and negatively associated traits. (ms NC 107 X TC 612) F1, named as KB 109, Ivas applied to yield trial and compared with commercial cultivars for the level of disease resistance, agronomic characteristics, chemical contents and physical properties. All Fl hybrid could be used commercially as the PVY resistant cultivar. Especially KB 109 have the resistance against PVY, tobacco mosaic virus and black shank(Phytophthora parasitica var. nicotianae). It had wider leaves, flowered one day later, and yield of acceptable quality was higher than that of Burley 21, standard cultivar in Korea.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