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akjang

검색결과 7건 처리시간 0.02초

막장의 아미노酸 組成에 關한 硏究 (Studies on the Amino Acids Composition of Makjang)

  • 신홍대;윤주억
    • 대한화학회지
    • /
    • 제7권1호
    • /
    • pp.6-12
    • /
    • 1963
  • Amino acid composition of Makjang was determined by combined usage of ion exchanged resin and paper chormatography in the following states. a. A fraction soluble in water b. Hydrolysate of the whole Makjang c. Same as a. (p.p.t. formed by tungstic acid or trichloroacetic acid being removed) d. Hydrolysate of c. (T and TCA) By comparing amino acid composition of Makjang with that of its raw material, we found that decomposition of essential amino acids during brewing is slight. From the amino acid composition of a,b,c,d, we discussed the ratio of amino acid liberation during brewing and assumed that Makjang contains peptide-like substances composing of glutamic acid and aspartic acid.

  • PDF

시판 막장의 맛 성분에 관한 연구 -유리당, 유기산, 유리아미노산을 중심으로- (Analysis of Free Sugar, Organic Acid and Free Amino Acid in Commercial Makjang)

  • 전소현;전혜련;김현정;이수진;이보담;김미리
    • 동아시아식생활학회지
    • /
    • 제25권2호
    • /
    • pp.326-332
    • /
    • 2015
  • Makjang is a kind of Korean traditional short-term fermented soybean past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compositions of free sugars, organic acids and free amino acids as well as microbial counts of six kinds of Makjang. Commercial Makjang from different regions (Kangwon-do, Choongchung-do and Kyungsang-do) were used. The major free sugars of samples were glucose (0.15~3.97%) and maltose (0.01~0.54%), whereas sucrose (0.02%) was detected only in M4 and fructose only in M1 and M2. The major organic acids were citric acid (0.16~3.09%), malic acid (0.06~0.23%) and succinic acid (0.01~0.11%). The total content of free amino acids ranged from 0.02 to 8.74 mg/g, and major amino acids were detected in the order of glutamic acid, leucine, alanine and aspartic acid. Numbers of viable cells of bacteria as well as yeast and molds were $7.8{\times}10^4{\sim}4.8{\times}10^5$ and $8.1{\times}10^3{\sim}3.6{\times}10^4$, respectively. The results of the sensory evaluation showed that over-all preference of Kyungsang-do Makjang was higher than others. Consequently these results provide better information for standardizing and improving quality and functional activity of commercial Makjang.

시판막장의 품질 특성 및 항산화성 (Quality Characteristics and Antioxidant Activities of Commercial Makjang)

  • 전소현;신숙경;김현정;민아영;김미리
    •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
    • 제31권1호
    • /
    • pp.26-32
    • /
    • 2015
  •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evaluate the quality characteristics and antioxidant activities of Makjang, Korean traditional fermented soybean paste, which has recently been disappearing, for its preservation. Six kinds of commercial Makjang from three different regions (Kang-won-do, Choong-chung-do, and Kyung-sang-do) were analysed for approximate composition, salinity, pH, total phenol contents, and DPPH and hydroxyl radical scavenging activities. Moisture content of samples was 48.30-58.93% while, crude protein was 9.42-13.67%. Crude fat was 2.45-6.50%, crude fiber was 2.08-6.45%, and ash was 6.59-14.64%. Salinity content ranged from 5.63-12.68%, and pH ranged from 4.36-5.67. Soluble solid content and reducing sugar content of samples ranged from 38.3-54.5 Brix and 22.38-31.61% respectively. The lightness, redness, and yellowness of the Hunter color system of samples were 16.58-28.19, 7.8-16.51, and 8.35-14.21, respectively. Total polyphenol contents were 0.20-0.45 mg/ml. Antioxidant activities determined by DPPH radical scavenging activity and hydroxyl radical scavenging activity ($IC_{50}$ value) ranged from 45.07 mg/ml to 95.93 mg/ml and 69.81 mg/ml to 309.40 mg/ml, respectively. From these results, it was suggested that the manufacturing process of Makjang is needed to standardize for quality control, and for mass production.

발효 장소와 복합 종균에 따른 막장의 품질 특성 변화 (Changes in quality characteristics of makjang depending on fermentation location and complex starters)

  • 박지언;한명희;정우수;여수환;김소영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30권6호
    • /
    • pp.1056-1071
    • /
    • 2023
  • 본 연구에서는 B. velezensis NY12-2, D. hansenii D5-P5, 그리고 E. faecium N78-11 등을 단일 또는 복합 종균으로 구성하여 막장을 옥외와 발효실(35℃) 등의 발효 장소를 달리하여 90일간 발효장소와 종균이 품질변화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자 수행하였다. 먼저 발효환경 및 종균처리와 무관하게 수분함량과 pH는 발효기간이 경과함에 따라 전반적으로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그로 인해 염도와 산도는 증가하였다. 또한, 총균수는 발효기간이 경과함에 따라 유의적으로 증가한 반면, 유산균 수는 감소하였고, 곰팡이 수는 발효기간 내내 비슷한 수준을 유지하였다. 환원당 함량은 초기에 5.33±0.02-5.72±0.15%에서 발효 30일 차에 가장 높게 증가하였다가 90일 차에는 미생물의 영양원 소비, Maillard 반응, 알코올 및 유기산 발효에 따른 당 소비로 인해 옥외와 발효실에서 각각 7.28±0.14-8.43±0.05%와 6.02±0.00-7.39±0.11%로 급격히 감소하였다. 제조 직후 막장 시료들의 아미노산 질소 함량은 122.75±0.99-155.01±2.98 mg%이었고, 발효 30일 만에 대부분의 시험구(대조구 제외)들은 500 mg% 이상 상승하였으며, 특히 발효실에서 35℃, 90일간 발효한 복합시험구(M)는 최대 668.43±0.99 mg%로 가장 높은 값을 보였다. 총아미노산 함량은 제조 직후 1,166.89-1,527.12 mg/g 이었고, 90일 발효 후 옥외(3,150.73-3,615.08 mg/g) 대비 발효실에서 3,661.71-4,644.04 mg/g 수준으로 높은 값을 나타내었다. 특히 단일시험구(S3)와 복합시험구(M)는 옥외에서 각각 3615.08 mg/g과 3546.91 mg/g을, 발효실에서는 4484.95 mg/g과 4644.04 mg/g으로 시험구 중 높은 값을 나타내었다. 또한, 발효 후 막장 시료들 간 세균군집의 풍부도는 발효실이 옥외에 비해 상대적으로 높았고 B. subtilis, W. coagulans, E. faecium 등이 높은 빈도로 검출되었지만, 종 다양성 및 균등성에서는 두 환경 간 큰 차이는 없었다. 반면, 진균군집의 경우, 발효실에서의 풍부도가 옥외에 비해 상대적으로 낮았는데, 종 다양성 및 균등성 또한 옥외 대비 상대적으로 낮은 값을 보였다. 주로 검출된 진균들은 A. tubingensis, A. niger, D. hansenii, Z. rouxii 등이었다. 또한, 전자혀를 이용한 막장의 맛 패턴 분석결과에서도 발효실에서 복합종균을 접종하여 제조한 시험구(M)에서 낮은 짠맛과 높은 감칠맛 강도를 나타내었는데, 이는 아미노산 질소와 아미노산 등 함량이 높았던 품질 특성과 깊은 상관성을 보여주었다. 종합적으로, 본 연구에서 옥외와 발효실이라는 발효환경 조건과 복합종균 사용이 미생물 군집 형성에 영향을 주어 맛 성분 증가라는 긍정적인 효과와 연계됨을 알 수 있었다. 향후 유용 종균과 함께 일정한 온도의 발효환경을 조성하여 제조한다면 장류식품의 품질향상 및 발효관리에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강원도 시판 막장제품의 이화학적 품질특성 및 생리활성 조사 (Biological Activities and Physiochemical Properties of Gangwon-do Endemic Makjang Products)

  • 김병목;정지희;임지훈;정민정;정재형;최용석;심재만;정인학;김영명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4권6호
    • /
    • pp.862-873
    • /
    • 2015
  • 본 연구에서는 강원도에서 생산되는 전통 막장제품(MJ) 12종을 수집하여 이화학적 품질특성 및 생리활성 효과에 대해 조사하였다. pH는 4.43~5.69로 나타났고 MJ5가 가장 높았으며, 염도는 11.1~16.9%로 분포되어 있었고 MJ3이 가장 높았다. 명도는 26.2~36.9, 적색도는 3.9~11.5, 황색도는 6.5~16.6으로 분포되어 있어 제품들 간에 뚜렷한 차이를 보였다. 아미노태질소 함량은 제품에 따라 342.41~605.92 mg%로 나타났고 MJ2가 가장 높았으며, 유리아미노산 총량은 1,175.3~4,657.7 mg%로 다양하게 분포되어 있었다. 특히 MJ11의 유리아미노산 총량은 4,657.7 mg%로 제품들 중 가장 높았고, 주요 아미노산은 glutamic acid, aspartic acid, alanine, lysine, leucine, isoleucine이었으며, 제품에 따라 GABA 함량이 높게(MJ12, MJ8, MJ4) 나타나기도 하였다. 지방산 총량은 1,598.6~2,874.4 mg%로 MJ10이 가장 높았고, 주요 지방산으로는 linoleic acid, palmitic acid, linolenic acid, oleic acid, stearic acid였으며, 오메가 6 지방산이며 필수지방산인 linoleic acid가 지방산 총량 대비 약 37.7~46.7%를 차지하였다. 총 폴리페놀 함량은 제품에 따라 $401.48{\sim}746.67{\mu}g$ GAE/mL로 분포되어 있었고, MJ11이 가장 높은 함량을 보였다. DPPH 및 ABTS 라디칼 소거능은 총 폴리페놀 함량이 높은 MJ11, MJ8 및 MJ4가 가장 높았고, SOD 유사 활성은 MJ12 및 MJ2가 가장 높았다. 대장암세포주에 대한 세포 성장 억제 효과는 MJ1과 MJ12가 가장 높았고, 위암세포주에 대해서는 MJ3과 MJ5가, 유방암세포주에 대해서는 MJ5가 가장 높았다. 간세포에 대한 중성지질 축적 억제 효과는 MJ7이 가장 우수하였고, 항고혈압 효과는 MJ11이 가장 높았다. 이상의 결과에서 아미노태질소 함량과 유리아미노산 총량이 높은 막장제품뿐만 아니라, 항산화, 항암, 항고혈압 등의 효과를 보이는 막장 제품들의 주요 원부재료는 메주, 보리, 고추씨 등이었으며(자료 미기입), 이들 원부재료의 배합비에 따라 함량과 효능이 조금씩 다르게 나타났다. 향후 막장제품의 표준 제조방법 및 기준을 마련하기 위해서는 상기 결과들을 기초로 하여 막장 원부료의 정밀분석, 제조원료에 따른 제품들 간의 상관 분석 등 보다 심도 있는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전통즙장 - 전통 즙장에 대한 연구 - (Traditional Jeupjang - A Study on Traditional Jeupjang (Succulent Jang) -)

  • 안용근;문영자
    •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
    • 제28권5호
    • /
    • pp.835-848
    • /
    • 2015
  • 즙장은 중국의 조리서에 수록되지 않은 순수 우리나라 속성장으로 많은 종류가 있었으나, 보존성 문제로 대부분 맥이 끊겨서 전해지지 않기 때문에 조선시대 및 1950년 이전 조리서의 즙장을 조사하여 밝혔다. 그 중 가지와 오이 등의 채소를 넣는 즙장은 34 가지, 넣지 않는 즙장은 9가지였다. 즙장의 주재료는 콩과 밀기울이며, 보리, 메밀도 쓰였다. 즙장메주는 빨리 뜨게 하기 위하여 일반메주보다 작게 만들었는데, 작은 알 형태가 가장 많고, 납작하거나 둥근 칼자루 형태도 있다. 즙장은 메주가루를 소금과 물로 이겨서 담그는 것이 가장 많다. 함께 쓰는 것으로는 누룩가루, 밀기울, 밀가루, 술, 말장, 간장, 엿기름, 탁주 등이 있다. 즙장메주는 용기에 넣어서 띄우는 것도 있고, 넣지 않고 띄우는 것도 있는데, 용기는 섬과 둥구미가 가장 많고, 버드나무그릇, 치룽, 독도 사용하며, 즙장메주의 깔개 및 덮개는 닥나무 잎을 가장 많이 사용하고, 그 외에 짚, 북나무잎, 뽕잎, 가랑잎, 솔잎, 콩잎도 사용한다. 즙장은 다른 장과 달리 말똥, 두엄, 풀더미에 묻혀서 이들이 썩으면서 내는 $60{\sim}65^{\circ}C$의 열로 가열하여 숙성시킨다. 즙장은 맥이 끊기거나 쩜장, 지례장, 무장, 빠금장, 막장, 집장, 토장 등의 형태로도 변하였다. 이들 장은 즙장에서 사용하지 않는 쌀, 엿기름, 고춧가루 등을 사용하고 있는 점에서 다르다.

강원 지역 농촌 주부들의 전통 식생활 습관에 관한 실태 조사(II) -자주 이용하는 전통음식 빈도와 시절식 및 전통 발효 음식 시행유무를 중심으로- (A Study of Korean Traditional Food, Fermented Food and Korean Traditional Holidays of Housewives Living in the Rural Area of Kang Won Do)

  • 김은실
    •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
    • 제12권1호
    • /
    • pp.82-91
    • /
    • 1996
  • The housewives living in the rural area of Kangwondo were asked by using the questionaires about Korean traditional food, traditional fermented food, and traditional seasonal food enjoyed during traditional holidays. The results obtained are as follows; 1. Among Korean traditional foods, boiling rice, especially boiling rice and boiling mixed rice(70%) was the most frequently enjoyed. Hobakjook(17.1%) and popjook(10.5%) were enjoyed the most among jook. However, jook was not enjoyed as much as bah due to the difficulty of cooking method. 2. Doenjangkuk(94%) and mijokkuk(84.1%) which could be made easily and quickly were enjoyed most frequently among kuk, doenjangchigae(86.1%) and kimchichigae(78.1%) were enjoyed a lot among tchigae. 3. Gui was enjoyed a lot generally and kimgui(82.4%) and fishgui(78.1%) were enjoyed frequently. Especially, ojingogui was enjoyed most frequently compared with other areas. It is because squid is easily available in KangwonDo area. Hobakchon(51.8%) was enjoyed the most among Chon. 4. Pugochim(30.2%) among chim and kamjajorim(77.1%) among jorim were enjoyed the most due to the availability of pugo and kamja in the area. 5. Kongnamul(83.4%) and shigmuchinamul(66.3%) were enjoyed the most among namul. Chuinamul (28.7%) was the most frequently enjoyed among sannamul. 6. Kalkuksoo(69.8%) was the most frequently enjoyed ilpumfood. In addition, kalkuksoo(30.3%) and kamja ongsim(11.4%) which are traditional KangwonDo food, were enjoyed a lot. 7. For home party, Songp'yon(25.3%) and shik'ye(27.8%) were the most frequently enjoyed ricecake and korean beverage, respectively. 8. Korean traditional holidays in which traditional seasonal food was enjoyed, were in order of the New Yea.'s Day(97.9%), Chusok(95.6%), Sangwan(First Full moon day)(70.8%), Dong-ji(49.5%), Sambok (27.7%), Danoh(22.6%), and Hanshik(14.1%). Generally, Ipchun, Sam Jin's day, Yudu, and Chilsok were not enjoyed. 9. Korean traditional fermented food enjoyed were in order of kimchi(98.2%), koch'ujang(96.4%), toenjang(89.4%), kanjang(86.8%), makjang(74.5%), and jang-a-chi(66.4%). Especially, Koch'ujang was made by themselves in almost all homes. The Korean traditional foods frequently enjoyed were investigated. We have to keep and develop our traditional food and its cooking method for our offsprings.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