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ajors

검색결과 1,205건 처리시간 0.022초

식품영양학 전공 여대생과 비전공 여대생의 외식산업식품에 대한 식생활 태도 조사 (A Study of Dietary Attitude on the Product of Food Service Industry in Nutrition Major and Non-Major College Women)

  • 강남이;조미숙
    •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
    • 제5권2호
    • /
    • pp.150-162
    • /
    • 1992
  • This surve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dietary attitude on the nutrition knowledge, food habits and the intake of instant food, convenience food and fast food between two groups of college women, a nutrition major group and nutrition non-major one. Questionnaires were completed by 214 nutrition majors and also by 145 non-majors. Nutrition majors showed better average in meal time regularities per week than nutrition non-majors. And nutrition non-majors had a higher frequency rate in taking of instant food and fast food than nutrition majors. In the case of both college women, those who take a meal regularly at each meal times have a higher score in food habits. The women who ate instant foods more frequently got a lower score in food habits, bot the frequency of the intake of instant foods did not affect the score of nutrition knowledge On the other hand, the women who had fast foods more frequently got a higher score in food habits and lower score in nutrition knowledge. When college women have a little of nutrition knowledge, they have a tendency to keep their meal time regularity and right dietary attitude pattern. In the dining-out pattern, the college women liked to eat flour foods and they preferred western foods than Korean foods. The motivation of food selection was for convenience and for time saving which were the reason for satisfaction to the products of food service industry. The products of food service industry were found to be unsatisfactory in nutrition and sanitation. Therefore, we must be mute aware of preventing the disappearance of Korean traditional foods and for developing dietary culture successively, the products of food service industry which are more suitable for Korean should be developed.

  • PDF

SW융합인재 양성을 위한 비전공자 프로그래밍 학습에 관한 사례 연구 (A Case Study on Programming Learning of Non-SW Majors for SW Convergence Education)

  • 서주영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5권7호
    • /
    • pp.123-132
    • /
    • 2017
  • 최근 SW융합인재 양성을 위한 비전공자 대상의 SW교육에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국내는 SW중심대학을 필두로 전공과 상관없이 모든 학생들에게 SW를 기초교육으로 필수화하는 추세이다. 본 논문은 프로그래밍 수업 사례를 통해 SW 전공자와 비전공자, 비전공자의 경우 인문 계열과 이공 계열의 차이가 프로그래밍 학습 능력과 느끼는 어려움에 연관을 보이는 지를 학업 성취도 분석과 설문 및 개인 상담을 통해 살펴보았다. 그 결과 전공에 따른 학업 성취도엔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나, 인문 계열이 이공 계열보다 실습, 과제, 팀프로젝트와 같은 실제 프로그램 구현에 대한 체감 난이도는 높게 분석됐다. 상담 결과로 프로그래밍 문제 자체에 대한 이해 부족, 학습과 과제에 도움을 줄 수 있는 친구나 튜터와의 관계 부족, 단편적 교과 지식만으로는 학습 동기를 높이기 힘듦이 주요함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를 토대로 비전공자를 위한 SW교육 운영 방향에 대해 제언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대학졸업자의 전공계열별 직업노동시장 성과: 이공계 위기의 노동시장 원인론을 중심으로 (Occupational Labor Market Activities by College Majors: On the Crisis of Science and Engineering Majors)

  • 김창환;김형석
    • 한국인구학
    • /
    • 제29권3호
    • /
    • pp.1-27
    • /
    • 2006
  • 본 연구는 이공계 전공자들의 노동시장 성과, 특히 사회적 위신이 타 전공자들에 비해 낮다는 논의에 대한 경험적 검증이다. 대학졸업자의 전공계열에 따라 고용 확률, 고위직, '좋은 직업' 획득 확률에 차이가 있는지를 2000년 인구주택총조사의 2% 표본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표본 선택편향을 수정한 2단계 프로빗 모형 분석 결과, 이학계와 공학계열 전공자가 인문사회계열 전공자에 비해 고용, 고위직, '좋은 직업' 획득 확률이 유의하게 낮다는 증거는 발견되지 않았다. 하지만 공학계 전공자의 경우 노동생애 초기에는 인문사회계 전공자에 비해 유의하게 높은 '좋은 직업' 획득 확률을 가지지만 연령 증가와 더불어 이러한 이점이 빠르게 사라져 40대 이후로는 인문사회계보다 '좋은 직업' 획득 확률이 낮다. 이는 공학계에서는 현장 경험에 의한 인적 자본의 축적률이 낮고, 대학에서 습득한 기술이 급격히 노화되기 때문일 가능성을 시사한다.

애완동물 전공자와 비전공자 간 애견의 인지도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Recognition of Pet Dogs between Companion Animal Majors and Non-Majors)

  • 신연호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5권2호
    • /
    • pp.777-784
    • /
    • 2014
  • 본 연구는 애완동물 관련 전공 유무를 기준으로 애견의 선호, 관련 지식, 기능, 역할, 이미지, 용도를 조사하여 집단 간 애견의 인지도를 파악하고자 시행되었다. 이를 위해 농촌, 중소도시, 대도시에 재학 중인 전공자와 비전공자 164명의 고교생과 대학생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고 수집한 자료는 집단 간 차이를 알아보기 위해 $X^2$-test로 유의성을 검정하였다. 분석결과 애견이 반려 및 사역 기능과 심신의 장애를 겪고 있는 환자들의 동물보조치료에 이용되는 기능에서 유의성(p<0.05)을 보여 주었다. 또한 전공 유무에 따라 애완동물과 반려동물의 인지 차이가 매우 크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에 애견의 다양한 용도와 역할의 인지가 확대되어 애완동물을 너머 반려동물로서 그 정체성이 확보되는 정책적 프로그램의 개발과 적용이 필요하다고 판단된다.

작업치료 전공자의 지역사회 작업치료 인식도 조사 (Survey on community occupational therapy awareness in occupational therapy majors)

  • 이선명
    • 한국임상보건과학회지
    • /
    • 제12권1호
    • /
    • pp.1668-1677
    • /
    • 2024
  • Objective: This study investigated the awareness of occupational therapy in the community in occupational therapy majors through a survey. This purpose is to investigate the awareness of occupational therapy in the community among occupational therapy majors and establish a theoretical foundation. Methods: The research subjects were surveyed among occupational therapy majors at M University living in Gyeongsangnam-do, and analyzed 141 questionnaires from September 2023 to December 2023. Results: The results of this study that education and awareness improvement are needed to increase awareness of occupational therapy in the community, and it was found that continuing education and case sharing are effective. Activation of home rehabilitation and continuous health management. This institutional development can induce employment activity through community rehabilitation, and activate programs in connection with adult day care centers. For the development of community occupational therapy, participation in education and development of customized treatment are necessary, and patient It should be developed to help with movement and movement, and it has been shown that it can also affect the quality of life of patients. In addition, cutting-edge technologies such as artificial intelligence are expected to be applied to remote support, telemedicine, etc., and are applied to dementia, cognitive patients, and central nervous system patients. In order to institutionalize occupational therapy in the community, it is helpful in daily life, nursing, and management. It was said that this would be helpful for community participation. Conclusion: This study investigated the awareness of occupational therapy in the community among occupational therapy majors. Education and awareness improvement are needed to increase awareness of occupational therapy in the community. Education to improve the professionalism of occupational therapists, strengthening connectivity with other majors, and local organizations. It is believed that collaboration with the local community and institutional supplementation tailored to the needs of the local community were necessary.

일부 여학생들의 라이프케어를 위한 전공별 구강보건 인식, 지식 및 행태 비교분석 (Comparative Analysis of Oral Health Awareness, Knowledge and Behavior according to the Major of Some Female Students for Life Care)

  • 이미림;이효철
    •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논문지
    • /
    • 제14권1호
    • /
    • pp.149-158
    • /
    • 2020
  • 본 연구는 치위생학과와 보건계열학과, 비보건계열학과 여학생들의 구강보건인식, 지식, 행태 등에 관하여 비교분석하여 대학생들의 구강건강증진과 구강 보건교육의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광주광역시에 소재한 H대학에 재학 중인 591명을 대상으로 개별자기 기입식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구강건강에 대한 관심도, 구강건강에 대한 중요성 인식, 자신의 구강건강상태에 대한 인식 모두 치위생학과 학생이 가장 높게 나타났고, 다음으로 비보건계열, 보건계열 순으로 나타났다. 전공별 구강보건지식 수준은 치위생학과 학생(9.73)이 가장 높게 나타났고, 다음으로 보건계열(9.14), 비보건계열(9.05) 순으로 나타났다. 전공별 구강보건행태에서는 하루에 칫솔질 3회 이상하는 학생과 구강관리용품을 사용하는 학생, 최근 1년 이내 치과정기검진을 받은 학생은 치위생학과가 가장 많았고, 다음으로 보건계열, 비보건계열 순이었다. 최근 1년 이내 치석제거의 경험은 치위생학과가 가장 많았고, 다음은 비보건계열, 보건계열 순으로 나타났다. 구강보건지식이 높을수록 구강건강 관심도와 구강 건강 중요성의 인식도가 높아졌고, 구강건강에 대한 관심도가 높을수록, 구강건강이 중요하다고 인식할수록, 구강건강상태가 건강하다고 인식할수록 칫솔질 횟수가 더 많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구강보건지식이 높을수록 구강보건 인식도가 높아지고 구강건강 실천도도 높아지게 되므로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한 다양한 구강보건교육의 개발이나 활용방안을 모색해 나가야 할 것으로 보인다.

보건계열과 비보건계열 대학생의 학교 내 구강건강관리행태 비교 (A Comparative Study on the Oral health Behaviors of Health-Related and Health-Unrelated Majors in School)

  • 이선미;하정은;김민지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6권2호
    • /
    • pp.696-702
    • /
    • 2016
  • 본 연구는 대학생을 대상으로 칫솔 휴대 여부에 따른 구강건강관리행태를 파악하여, 대학생이 학교에서 구강건강관리를 수행하지 않는 이유를 탐색하고, 대학생들의 바람직한 구강건강관리활동 및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에 참여한 대상자는 부산 소재 K대학 재학생 2,788명이었다. 남성은 1,536명(48.7%), 여성은 1,252명(51.3%)이었고, 전공별로는 보건계열이 670명(24.0%), 비보건계열이 2,118명(76.0%)으로 나타났다. 전공에 따른 칫솔 휴대 비율은 보건계열 670명 중 473명(70.6%)였고, 비보건계열 2,118명 중 770명(36.4%)로 보건계열 학생이 칫솔을 휴대하는 비율이 더 높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칫솔을 휴대한 1,243명의 학생 중에서 외부에서 식사 후 칫솔질을 꼭 해야 하기 때문에 휴대해야 한다고 응답한 대상자는 보건계열이 74.8%로 비보건계열보다 높았고, 칫솔 휴대 여부에 따른 구강건강 관리행태는 칫솔을 휴대하고 있는 그룹에서 학교 내 칫솔질 실천율과 치실이나 치간솔의 사용율, 음주 후 칫솔질 실천율이 칫솔을 휴대하지 않는 그룹보다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학교 내에서 칫솔질 실천율을 조사한 결과, 학교에서 이를 닦는 비율은 42.8%로 나타나, 학생들의 절반 이상이 학교에서 이를 닦지 않는 것으로 조사되었으며, 그 이유를 조사한 결과, '귀찮아서 이를 닦지 않는다'는 비율이 가장 높았다. 대학생들의 구강보건에 대한 신념과 태도 및 지식을 올바르게 형성시키려면, 현 시점에서는 대학생을 대상으로 구강보건교육을 우선적으로 시행하는 것이 시급하며, 칫솔 배분이나 칫솔 교체 사업 등과 같은 실질적인 대학생 대상 건강증진활동이 필요할 것으로 사료되었다.

경호학 전공 만족도와 진로의식 조사 (Study on Students' Consciousness Regarding Their Plans after Graduation)

  • 김창호
    • 시큐리티연구
    • /
    • 제17호
    • /
    • pp.91-107
    • /
    • 2008
  • 본 연구는 경호학 전공학생들의 선택한 동기, 입학 후 전공 교과과정에 대한 만족정도, 교육을 통한 취업관련여부, 전공과 직업, 진로에 대한 의식, 직업 선호도에 대한 전반적인 실태를 파악하였다. 2008년 현재 4년제 대학의 경호학 전공이 설치되어 있는 K대학교, C대학교, Y대학교, J대학교, 2년제 Y대학 재학생을 모집단으로 설정하였고, 할당표본추출(quota sampling)의 방법을 이용하여 이 연구의 구체적 표집을 실시하였다. 총 298명의 데이타를 최종분석에 사용하였다. 첫째, 경호학 전공 학생들의 선택에 따른 학생들의 만족도는 남자의 평군이 2.42이고, 여자의 평균이 2.10으로, 여자가 남자에 비해 학과선택 만족도가 높으며 경호학 전공 선택의 동기를 묻는 질문에는 전체 응답의 30.3%가 개인적성을 이유호 경호학 전공을 선택한 것으로 응답했다. 둘째, 경호학 전공 학생들의 교과과정 만족도, 전공수업, 학과 분석에서는 2년제의 평균이 2.48이고 4년제의 평균이 2.74이므로 통계적으로 2년제 대학이 4년제 대학보다 만족도가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경호학 전공 학생들의 전공교육과 취업관계분석에서는 2년제 평균이 3.23이고 4년제 평균이 3.56으로 나타났으며 학년이 높을수록 교과과정 개선의 필요성이 높았다. 넷째, 경호학 전공 학생들의 진로와 취업의식에 대한 태도에서는 취업준비를 위해 중점적으로 준비하는 것으로는 "어학공부"가 40.4%로 나타났으며 자신감에서는 긍정적인 응답이 39.6%로 나타나 14.0%로 부정적인 응답보다 월등히 높게 나타났다.

  • PDF

광주광역시 치위생학생과 일반학생의 구강건강증진행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연구 (A study on factors affecting the oral health promotion behavior of dental hygiene students and nonhealth-related majors in Gwangju)

  • 윤혜정;정은주
    • 한국치위생학회지
    • /
    • 제10권2호
    • /
    • pp.231-242
    • /
    • 2010
  • Objectives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relationship of oral health behavior factors to oral health promotion behavior in dental hygiene students and nonhealth-related majors, to identify factors affecting their oral health promotion behavior and ultimately to provide information on the oral health promotion of college students and behavioral factors related to that. Methods : The subjects in this study were three-year-course dental hygiene students and two-year-course nonhealth-related majors in G college located in the city of Gwangju. A self-administered survey was conducted for 11 days from September 9 to 19, 2009, and the answer sheets from 473 respondents were analyzed. To look for connections between their major and the characteristics of their oral health promotion behavior, t-test was utilized, and t-test and one-way ANOVA were carried out to find out the relationship oral health promotion behavior by general characteristics. Besides,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as employed to grasp factors affecting oral health promotion behavior. Results : Among the subfactors of oral health promotion behavior, the dental hygiene students statistically significantly outdid the nonhealth-related majors in thorough post-meal toothbrushing(p<0.01), toothbrushing method(p<0.001), use of fluorine-containing dentifrice(p<0.001) and good nutrition(p<0.05). But the latter statistically significantly outperformed the former in use of fluorine-containing rinse(p<0.001) and limited sugar intake(0<0.05). Regarding variables affecting oral health promotion behavior, the age group, whether to get a dental checkup over the last year and whether to use oral hygiene supplies were identified as the variables to impact on oral health promotion behavior. Specifically, the age group(dental hygiene students) and the get a dental checkup over the last year(nonhealth-related majors) had a greater impact. Conclusions : To promote the oral health of college students, comprehensive oral health education should be provided, which covers the importance of dental checkup, recommendation for the use of oral hygiene supplies, etc. Specifically, oral health education should be offered as one of general education courses in order for nonhealth-related majors to get into sound life habits and improve their oral health promotion behavior. To make it happen, required institutional measures should be taken.

비전공자 소프트웨어 교육에서 전공맞춤형 학습 콘텐츠의 효과에 관한 사례 연구 (A Case Study on the Effectiveness of Major-friendly Contents in Software Education for the Non-majors)

  • 서주영;신승훈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8권5호
    • /
    • pp.55-63
    • /
    • 2020
  • 최근 대학의 비전공자 소프트웨어(SW) 기초교육에 대한 관심이 높지만 SW 비전공자에겐 학습의 어려움이 크다. 본 논문은 비전공 학생들의 학습 동기를 높여 SW교육 효과를 향상시키기 위해 기존 SW 전공자 대상의 학습 콘텐츠를 그대로 사용하기보다 비전공자들의 흥미를 반영한 전공맞춤형 콘텐츠를 활용한 수업 방안을 제안한다. 본 논문에서는 5년 이상 비전공자 SW기초교육을 운영 중인 A 대학의 사례 연구를 통해 동일한 교과과정에 대해 교육 대상의 전공에 맞춤된 학습 콘텐츠로 수업한 전, 후 학생들의 강의 만족도 변화를 비교 분석하였다. 그 결과 사회과학계열에선 국가의 사회, 문화 현상을 살펴볼 수 있는 공공 데이터를 이용한 콘텐츠에 학습 흥미를 느끼고, 인문계열에겐 소설, 역사서, SNS 글의 텍스트 콘텐츠가 학습 동기를 상승시켜 어렵게 느끼던 학습 내용에 대한 이해와 함께 강의 만족도도 크게 향상시키는 효과를 가져왔으며 전공맞춤형 콘텐츠가 비전공자 SW기초교육에 유용함을 보여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