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ajor losses

검색결과 377건 처리시간 0.022초

토양침식(土壤侵蝕)에 작용(作用)하는 몇가지 요인(要因)의 영향(影響)에 관(關)한 연구(硏究) (Studies on the Effects of Several Factors on Soil Erosion)

  • 우보명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29권1호
    • /
    • pp.54-101
    • /
    • 1976
  • 우리나라 요사방지(要砂防地)에서의 토양침식(土壤侵蝕)의 경과(經過)와 기구(機構)를 토양침식(土壤侵蝕)에 작용(作用)하는 몇가지 주(主) 요인(要因), 즉(即) 토성(土性)(조토(粗土), 세토(細土)), 사면경사도(斜面傾斜度)($10^{\circ}$, $20^{\circ}$, $30^{\circ}$, $40^{\circ}$), 강우강도(降雨强度)((50, 75, 100mm/hr), 사면피복방법(斜面被覆方法)(무피복(無被覆), 거적덮기, 새풀덮기, 토양침식방지액제피복(土壤侵蝕防止液濟被覆), 그리고 식생밀도(植生密度)(소(疎), 중(中), 밀(密))등(等)에 관련(關聯)시켜 실험분석(實驗分析)하여 침수(侵蝕)의 내용(內容)을 수량적(數量的)으로 밝히고 각(各) 요인간(要因間)의 상호작용(相互作用)과 영향도(影響度)를 구명(究明)하는 동시(同時)에, 또한 토양침식(土壤侵蝕)과 표면유출(表面流出)에 대(對)한 피복처리(被覆處理)의 효과(効果)를 분석(分析)하여 산지사방공법개발(山地砂防工法開發)에 필요(必要)한 기초자료(基礎資料)를 제공(提供)하고저 인공강우장치(人工降雨裝置)를 이용(利用)한 4개조(個組)의 실내실험(室內實驗)과 자연강우하(自然降雨下)에서 1개조(個組)의 야외실험(野外實驗)을 수행(遂行)하여 연구(硏究)한 결과(結果)는 다음과 같이 요약(要約)될 수 있다. 1. 실험요인(實驗要因)과 표면유출율(表面流出率) 표면유출량(表面流出量)은 토성(土性), 사면경사도(斜面傾斜度), 강우강도(降雨强度), 사면피복처리(斜面被覆處理)에 따라서 그 차이(差異)가 많았다. 자연강우하(自然降雨下)의 야외실험무피복사면(野外實驗無被覆斜面)에서는 경사도(傾斜度)에 따라서 다르지만 대체(大體)로 조토(粗土)에서 약(約) 24.7~27.3%, 세토(細土)에서 약(約) 26.0~28.7%이었으며, 피복사면(被覆斜面)에서는 거적덮기 조토(粗土)에서 약(約) 14.0~15.7%,세토(細土)에서 약(約) 15.0~16.4%이었으며, 토양침식방지액제피복(土壤侵蝕防止液濟被覆) 조토(粗土)에서 약(約) 7.9~8.7%, 세토(細土)에서 약(約) 8.6~9.1%이었고, 새풀덮기 조토(粗土)에서 약(約) 5.6~6.9%, 세토(細土)에서 약(約) 6.0~7.2%로서, 일반적(一般的)으로 조토(粗土)에 비(比)하여 세토(細土)에서 약(約) 1~2%가 많았다. 그리고 인공강우(人工降雨)때에는 특(特)히 강우강도(降雨强度)에 따라서 각(各) 처리별(處理別)로 그 차이(差異)가 크게 나타났다. 2. 표면유출(表面流出)에 작용(作用)하는 주요인(主要因)의 상호작용(相互作用)과 영향도(影響度) 표면유출율(表面流出率)에 작용(作用)하는 주(主) 요인(要因), 즉(即) 토성(土性), 경사(傾斜), 강우(降雨), 피복(被覆), 식생요인(植生要因)에 관련(關聯)한 전(全) 실험(實驗)을 통(通)하여 각(各) 처리(處理)에서 발생(發生)된 표면유출율(表面流出率)의 평균치(平均値)의 차간(差間)에는 토성간(土性間), 경사도간(傾斜度間), 강우강도간(降雨强度間), 피복방법간(被覆方法間), 그리고 식생밀도간(植生密度間)에 각각(各各) 5%의 수준(水準)에서 유의성(有意性)이 인정(認定)되었다. 각(各) 요인간(要因間)의 상호작용(相互作用)은 토성(土性)과 경사(傾斜), 경사(傾斜)와 식생(植生), 토성(土性)과 경사(傾斜)와 강우(降雨), 토성(土性)과 경사(傾斜)와 피복요인(被覆要因)의 상호작용(相互作用)을 제외(除外)한 다른 요인간(要因間)의 상호작용(相互作用)은 각각(各各) 1%의 수준(水準)에서 표면유출율(表面流出率)에 영향(影響)을 미치었다. 인공강우(人工降雨)때에 나지사면(裸地斜面)에서 토성(土性), 경사(傾斜) 및 강우(降雨)의 3요인(要因)이 표면유출율(表面流出率)에 작용(作用)하는 영향도(影響度)는 강우강도(降雨江度)의 영향(影響)이 가장 크고 다음이 토성(土性), 경사(傾斜)의 순(順)이었다. 그리고 피복사면(被覆斜面)에서 토성(土性), 강우(降雨) 및 피복요인(被覆要因)의 영향도(影響度)에서는 피복(被覆), 강우(降雨), 토성(土性)의 순(順)이었으며, 토성(土性), 경사(傾斜), 피복요인(被覆要因)에서는 피복(被覆), 토성(土性), 경사(傾斜)의 순(順)이었다. 식생사면(植生斜面)에서 토성(土性), 경사(傾斜) 및 식생요인(植生要因)의 영향도(影響度)에서는 식생(植生), 토성(土性), 경사(傾斜)의 순(順)으로 작용(作用)하였다. 자연강우(自然降雨)때에 야외실험(野外實驗)에서는 사면피복(斜面被覆)의 영향(影響)이 가장 크고 다음이 토성(土性), 경사요인(傾斜要因)의 순(順)이었다. 3. 실험요인(實驗要因)과 토양유실량(土壤流失量) 토양유실량(土壤流失量)은 토성(土性), 강우강도(降雨强度), 사면경사도(斜面傾斜度), 피복처리(被覆處理)에 따라서 그 차이(差異)가 많았다. 자연강우하(自然降雨下)의 야외실험사면(野外實驗斜面)에서는 조토(粗土)에서 보다도 세토(細土)에서 약(約) 1.1~1.3배(倍)가 더 많았으며, 인공강우하(人工降雨下)의 실내실험(室內實驗)에서는 조토(粗土)에서 보다도 세토(細土)에서 약(約) 1.2~3.3배(倍)가 많았다. 인공강우하(人工降雨下)에서 사면경사도(斜面傾斜度)(log S)와 토양유실량(土壤流失量)(log E)간(間)에는 대체(大體)로 $E=aS^b$ (a, b는 상수(常數))의 관계(關係)가 있으며, b값은 강우강도(降雨强度)가 커짐에 따라서 작어지는 경향(傾向)을 보였다. 그리고 강우강도(降雨强度) (log I)와 토양유실량(土壤流失量) (E)간(間)에서는 대체(大體)로 $E=aI^b$의 관계(關係)가 있으며 b값은 경사도(傾斜度)가 커짐에 따라서 작어지는 경향(傾向)을 보였다. 자연강우하(自然降雨下)에서 토양유실량(土壤流失量)은 나지사면(裸地斜面)에서의 토양유실량(土壤流失量)에 비(比)하여 거적덮기에서 약(約) 38~41%, 토양침식방지액제피복(土壤侵蝕防止液濟被覆)에서 약(約) 20~22%, 그리고 새풀덮기에서 약(約) 14~15% 정도(程度)이었다. 식생사면(植生斜面)에서는 나지사면(裸地斜面)에 비(比)하여 식생밀도(植生密度) 소(疎) 때에 약(約) 7.1~16.4배(倍), 중(中) 때에 약(約) 10.0~17.9배(倍), 밀(密) 때에 약(約) 11.1~28.1배(倍)의 침식방지효과(浸蝕防止効果)가 있었다. 4. 토양침식(土壤侵蝕)에 작용(作用)하는 주요인(主要因)의 상호작용(相互作用)과 영향도(影響度) 토양침식(土壤侵蝕)에 작용(作用)하는 주(主) 요인(要因), 즉(即) 토성(土性), 경사(傾斜), 강우(降雨), 피복(被覆), 식생요인(植生要因)에 관련(關聯)한 전(全) 실험(實驗)을 통(通)하여 각(各) 처리(處理)에서 발생(發生)된 토양유실량(土壤流失量)의 평균치(平均値)의 차간(差間)에는 토성간(土性間), 경사도간(傾斜度間), 강우강도간(降雨强度間), 피복방법간(被覆方法間), 그리고 식생밀도간(植生密度間)에 각각(各各) 고도(高度)의 유의성(有意性)이 인정(認定)되었으며, 각요인간(各要因間)의 상호작용(相互作用)이 있어서도 대체(大體)로 큰 영향(影響)을 미치었다. 인공강우(人工降雨)때에 나지사면(裸地斜面)에서 토성(土性), 경사(傾斜) 및 강우(降雨)의 3개요인(個要因)이 토양침식(土壤浸蝕)에 작용(作用)하는 영향도(影響度)는 강우강도(降雨强度)의 영향(影響)이 가장 크고 다음이 토성(土性), 경사(傾斜)의 순(順)이었다. 그리고 피복사면(被覆斜面)에서 토성(土性), 강우(降雨) 및 피복요인(被覆要因)의 영향도(影響度)에서는 피복(被覆), 강우(降雨), 토성(土性)의 순(順)이었으며, 또 토성(土性), 경사(傾斜), 피복요인(被覆要因)의 영향도(影響度)에서는 피복(被覆), 토성(土性), 경사(傾斜)의 순(順)이었다. 식생사면(植生斜面)에서 토성(土性), 경사(傾斜) 및 식생요인(植生要因)의 영향도(影響度)는 경사(傾斜), 식생(植生), 토성(土性)의 순(順)으로 작용(作用)하였다. 자연강우(自然降雨)때에 야외실험(野外實驗)에서는 사면피복(斜面被覆)의 영향(影響)이 가장 크고 다음이 경사(傾斜), 토성(土性)의 순(順)이었다.

  • PDF

주요 식품안전사건에서 정부와 언론이 사용한 보도용어의 차이가 리스크 커뮤니케이션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Difference between Reporting Terms of Government and Media on Risk Communication in Major Food Safety Incidents)

  • 오세라;신원정;박태균;김보영;김호식;이정호;황성휘;하상도
    •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
    • 제27권3호
    • /
    • pp.203-208
    • /
    • 2012
  • 식품안전사건의 보도에 사용되는 용어의 차이가 risk communication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기 위해 18가지 주요 식품안전사건에 대한 자료를 수집하고, 전문가 설문조사를 통해 각 사건의 보도에 사용된 용어의 차이를 비교 분석하였다. 주요 식품안전사건의 자료를 수집하여 분석한 결과, 정부, 지자체, 언론 및 소비자 단체가 사건의 보도에 사용한 용어의 불일치는 사건을 확대시키고, 사회경제적 손실에 큰 영향을 주는 것으로 판단되었다. 전문가 설문조사 결과, 보도 및 대응용어의 파급효과차이 정도와 소비자가 느끼는 두 용어의 차이 정도에서 과자 아토피 유발 사건, 포르말린 통조림 사건, 고름우유 사건, 불량만두 사건 등 높은 순위를 차지한 사건들이 유사하게 나타났으며, 이 둘의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 상관계수가 0.865로 높은 정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따라서 보도에 사용되는 용어에 따라 사건의 파급효과가 크게 영향을 받는 것으로 판단되고, 사건보도 시 용어의 표준화가 필요한 것으로 판단되었다. 본 조사 결과는 정부, 기업, 소비자간 성공적인 risk communication 방안 마련을 위한 기초자료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탈립성(脱粒性), 단간종(短稈種)인 통일계품종(統一系品種)에 적합(適合)한 바인더의 개량(改良) 개발(開發)에 관(關)한 연구(硏究)(I) (Modification of the Existing Binders for Highly-Shattering, Short-Stem Rice Varieties (I))

  • 최희승;정창주
    • Journal of Biosystems Engineering
    • /
    • 제7권1호
    • /
    • pp.17-32
    • /
    • 1982
  • The binders introduced in Korea were originally designed to be used for Japonica-type varieties which have relatively long stem and are highly resistant to shattering. In order to use it for Tongil varieties which are short and easy to be shattered, mechanical modifications are necessary to reduce a grain loss incurred during binder operation. This study was intended to investigate analytically and experimentally the major sources of grain losses caused by three kinds of binders now introduced in Korea. Actual modification for each of three binders was done and experimentally compared to see if any improvement on grain loss was achieved. The results obtained in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1. It was required that the power transmission of binder should have a shifting mechanism so that velocities of pick-up and traveling units could be changed independently as desired according to the Japonica-type and Tongil varieties. In other words, the desired velocity of traveling unit should be obtained by shifting the transmission and the velocity of pick-up unit should be selected by reaping clutch according to the variety independent of the velocity of traveling unit as shown in Fig. 6. 2. To reduce grain loss it was desired that the moving parts of the pick-up unit should have the lowest possible velocities in harvesting Tongil varieties, unless the reduction of the speed be hindered the conveyance of the material. Based on the study, it was concluded that the velocities of pick-up unit be reduced by about 35% of those of the existing units. 3. It was found that the lug at the upper rotating section of pick-up case gave a severe impact on the ears of rice to increase grain loss. The optimum design of pick-up case to protect the ears from the protruding part of the lug was recommended by the result of analysis of the trajectory of the end-point of lug at the position. 4. It was proved analytically and experimentally that pick-up unit at the lower-rotating part was the other important source of grain loss in pick-up and divider assembly. In order to reduce a grain loss incurred by lugs at their lower-rotating section, it was suggested to improve it by (1) widening the space between right and left lower-rotating section, (2) shortening the length of lugs, (3) enlargement of the angle between the pick-up case and ground-level, and (4) attaching guard to right and left dividers so that the rotating lug could not give a high impact to the paddy hill. 5. Pick-up and divider assembly of the original binder of three models studied was modified according to the suggestions that were given by the preliminary study. Field test showed that the modified binders were able to reduce grain losses by about 0.4-0.7 percentage points compared to those without modification.

  • PDF

과부하 합류맨홀에서의 손실계수 산정을 위한 실험적 연구 (An Experimental Study for Estimation of Head Loss Coefficients at Surcharged Combining Junction Manholes)

  • 김정수;최현수;윤세의
    •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 /
    • 제43권5호
    • /
    • pp.445-453
    • /
    • 2010
  • 도시 우수 배수 시스템에서 우수 관거는 개수로 흐름 상태로 가정하여 설계되었기 때문에 합류맨홀에서의 에너지 손실은 일반적으로 중요하게 고려되지 않았다. 그러나 과부하흐름에서 에너지 손실은 관거의 배수능력을 저하시켜 도심지역의 침수피해를 가중시키는 요인이 된다. 그러므로 과부하 합류맨홀 내에서의 수두 손실을 분석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에서는 합류맨홀에 대한 문헌조사 및 현장조사를 실시하여 실험장치를 제작하고 실험조건을 선정하였다. 선정된 실험조건인 맨홀 형상 조건(사각형, 원형), 유출유량($Q_3$)에 대한 측면유입유량($Q_2$)의 비($Q_2/Q_3$) 및 실험 유량(2.0, 3.0, $4.0{\ell}$/sec)을 변화시키면서 실험을 실시하였다. $Q_2/Q_3$가 증가할수록 손실계수가 증가하므로 과부하 합류맨홀에서의 손실계수는 측면 유입관로의 유입유량의 영향을 크게 받는다고 판단된다. 맨홀의 형상변화 및 유량변화에 따른 손실계수는 거의 동일하게 산정되었다. 또한, $Q_2/Q_3$와 손실계수의 관계식을 제시하였다.

저체중아(低體重兒) 출산 관련요인에 관한 사례-비교군 연구 (A Case-Control Study on the Risk Factors of the Low Birth Weight)

  • 맹광호;이상윤;이해천
    • Journal of Preventive Medicine and Public Health
    • /
    • 제17권1호
    • /
    • pp.251-257
    • /
    • 1984
  • Low birth weight baby, defined as the baby born with less than or equal to 2,500g of body weight by WHO has been a great concern in the fold of maternal and child health since the low birth weight is a major cause of high perinatal mortality. Any measure to prevent the low birth weight baby is most desirable not only for saving the life of a baby but also for levelling up the health of the whole society. The authors attempted to figure out how some known maternal risk factors are related to the low birth weight and to measure their strengh of associations in terms of relative risk using hospital birth records. For this study, hospital birth records of 66 low birth weight cases and sex-parity matched 198 normal controls were chosen from Kangnam St. Mary's Hospital, Catholic Medical Center, and the data were analyzed in regards to several maternal factors. The risk factors studied were mother's age, mother's ABO blood type, previous histories of abortion, low birth weight baby, fetal wastage, and maternal diseases represented by anemia, hypertension, proteinuria, and glucosuria. The results obtained in this study were as follows: 1. The mean body weight of the cases and controls were 1,955g and 3,251g, respectively, and the heights were 41cm for cases and 50cm for controls. Mean gestation periods of cases and controls were 34 weeks and 39 weeks, respectively. 2. Young mother(less than or equal to 20 years of age) or old mother(more than or equal to 30 years of age) experienced more frequently the delivery of low birth weight babies than mothers in between 21 and 29 years of age. But the difference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3. Mothers whose blood type was O tended to have slighty higher frequency of low birth weight babies while B mothers have lower frequency. But the difference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too. 4. Those mothers who had experienced low birth weight baby in the past tended to give more births of low birth weight babies. This factor is even statistically significant and the relative risk of the prior experience of low birth weight was 6.7. 5. Mothers with experience of fetal losses and mothers of more than two pregnancies had higher frequency of low birth weight than the mothers with no fatal losses and of first pregnancy, but the difference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6. Statistically significant higher frequency of low birth weight were found in mothers with hypertension(odds ratio=4.07), anemia(odds ratio=22,33), and proteinuria(odds ratio=2.79). In summary, these study results strongly suggest that in order to prevent the low birth weight, special care should be made when the mother is too young or too old, and when the mother has experienced deliveries of low birth weight and fetal deaths. Medical control for the maternal diseases such as anemia and hypertension is also needed before or during the pregnency.

  • PDF

도정수율(搗精收率)과 성능향상(性能向上)을 위(爲)한 연구(硏究)(V) -분풍(噴風) 연삭식(硏削式) 정미기(精米機)의 정백성능(精白性能)에 관(關)한 실험적(實驗的) 연구(硏究)- (Study on the Improvement of Milling Recovery and Performance (V) -Experimental Study on Rice Whitening Performance of Jet-air Abrasive-Type Whitener -)

  • 이성범;정창주;노상하
    • Journal of Biosystems Engineering
    • /
    • 제8권1호
    • /
    • pp.17-29
    • /
    • 1983
  • The milling process is considered as causing one of the greatest grain losses among all the processes in rice post-production. Major source of grain losses in the rice milling is considered as the whitening process. This study was attempted to develop an abrasive-type whitener, the whitening chamber of which being supplied by jet-air evenly and continuously. To investigate the milling performance by the new whitener, three kind of emery-stone grit(#36, #41, and #46), and three levels of rotational speed of emery stone roller (950, 1070, and 1200 rpm) were tested. The jet-air abrasive-type whitener was also compared with the conventional abrasive-type having no jet-air blower in terms of their milling performance. In addition, the effect of different combinations of sequential uses of the abrasive- and friction-type whiteners on the milling performance was also experimentally evaluated.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1. In general, the whitening system combined with the abrasive type whitener with jet-air supply, which was newly designed, and the existing jet-air friction type whiteners produces more milled- and head-rice by about 0.3% points and 2.8% points, respectively than the system combined with the existing abrasive type without the jet-air supply under the same operational conditions. The former also consumed less electricity by 0.024 KwH per 100kg of milled rice production and gave more milling capacity by about 35 kg/hr. As compared with the conventional whitening system consisting of jet-air friction type whiteners only, the former yielded more milled- and head-rice by 1.5% points and 4.4% points, respectively. 2. The abrasive roller having 46 grit emery was better than the roller having 36 grit in aspects of milling performance and machine efficiency, in general. 3. With regard to the effect of combination method of abrasive type and friction type whiteners, one pass in abrasive type plus three passes in friction type gave better milling performance and energy efficiency than the two passes in abrasive type plus two passes in friction type regardless of the designs of the emery stone rollers. 4. The increase in rotational speed of the emery stone roller from 950 rpm to 1200 rpm presented negative effects on milled and head-rice yields and machine efficiency, but slightly positive effect on milling capacity.

  • PDF

교량 공사 프로젝트의 정량적 리스크 평가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Quantitative Risk Assessment of Bridge Construction Projects)

  • 안성진
    • 한국건축시공학회지
    • /
    • 제20권1호
    • /
    • pp.83-91
    • /
    • 2020
  • 최근의 교량 건설 프로젝트는 교량 건설의 증가추세에 따라 위험 손실에 대비하기 위해 보다 정교한 리스크 관리 조치와 손실 예측을 요구하고 있다. 본 연구는 교량 건설 사업에 대한 국내 주요 보험사의 과거 보험료 지급 실적을 토대로 실제 교량 건설에서 목적물의 손실을 유발하는 위험 요인을 분석하고, 정량화된 예측 손실 모델을 개발하고자 하였다. 정량적 교량건설 손실모형 개발을 위해 사고 건당 보험지급액을 총공사비로 나눈 손실비율을 종속변수로 선정하였고, 독립변수로는 1)기술적 요인: 상부 구조 유형, 하부 구조 유형, 상부 가설방법, 교량 길이 2) 자연재해요인 : 태풍, 홍수 3) 프로젝트 정보: 공사기간, 총공사비를 채택하였다. 선정된 독립변수 중 상부구조, 가설방법 및 프로젝트 기간이 교량건설 손실 비율에 영향을 미치는 지표로 나타났다. 본 연구 결과로 도출된 리스크 지표와 손실예측 함수는 정부 관련기관, 교량 건설 설계 및 시공사, 보험회사에 정량적 피해 예측 및 위험 평가 서비스를 제공하며, 향후 기초 교량 리스크 평가 개발 연구의 가이드라인으로 활용할 수 있다.

수치모형을 이용한 과부하 사각형 맨홀에서의 손실계수 산정 (Estimation of Head Loss Coefficients at Surcharged Square Manhole Using Numerical Model)

  • 김정수;임가희;임창수;윤세의
    • 한국방재학회 논문집
    • /
    • 제11권3호
    • /
    • pp.143-150
    • /
    • 2011
  • 도시 우수 배수 시스템에서 우수 관거는 개수로 흐름 상태로 가정하여 설계되었기 때문에 맨홀에서의 에너지 손실은 일반적으로 중요하게 고려되지 않았다. 그러나 과부하흐름에서 에너지 손실은 관거의 배수능력을 저하시켜 도심지역의 침수피해를 가중시키는 요인이 된다. 그러므로 과부하 사각형 맨홀 내에서의 수두 손실을 분석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에서는 FLUENT 6.3 모형을 이용하여 과부하 사각형 합류맨홀에서의 흐름특성을 모의하고 맨홀 내 손실수두의 변화를 계산하여 손실계수를 산정하였다. 또한 실험결과와 수치모의 결과를 비교 및 분석하여 사각형 맨홀에서의 손실계수 산정에 FLUENT 6.3모형의 적용성을 확인하였다. 맨홀 폭(B)과 연결관경(d)의 비(B/d)에 따른 손실계수를 산정하였다. B/d가 증가할수록 사각형 합류 맨홀에서의 손실계수는 증가하였다. 중간 단차 맨홀에서 단차 변화에 따른 손실계수의 변화를 산정하였다. 단차가 5 cm이상 증가하면 맨홀 내 수심과 손실계수가 점진적으로 증가하였으므로 중간 맨홀에서의 적정 단차는 5 cm로 판단된다. 따라서 우수 관거 시스템의 여러 형태의 사각형 맨홀에서의 흐름의 변화 및 손실계수를 예측할 때, Fluent 6.3 모형은 사용 가능하리라 판단된다.

국내 유통 주요 사과나무 묘목의 바이러스 감염 실태 (Survey on Virus Infection for Commercial Nursery Trees of Major Apple Cultivars in Korea)

  • 이성희;권의석;신현만;남상영;홍의연;김병관;김대일;차병진;차재순
    • 식물병연구
    • /
    • 제23권4호
    • /
    • pp.355-362
    • /
    • 2017
  • 국내에서 유통되고 있는 사과나무 묘목의 바이러스 감염 실태를 파악하기 위하여 사과 '홍로'와 '후지' 및 '후지' 아조변이 품종을 구입하여 5종류의 바이러스에 대한 감염 여부를 검정하였다. 그 결과, '홍로' 품종의 접수 부위는 ACLSV, ASPV 및 ASGV에 각각 100%, 81.3% 및 100%의 감염률을 보였고 ApMV와 ASSVd에는 전혀 감염되지 않았다. '홍로' 품종의 대목 부위에 대하여, ACLSV, ASPV 및 ASGV의 감염률은 각각 87.5%, 81.3% 및 100%이었고 ApMV와 ASSVd의 감염률은 각각 12.5% 및 6.3%이었다. '후지' 품종 및 '후지' 아조변이 품종의 접수 부위는 ACLSV, ASPV 및 ASGV에 각각 86.7%, 86.7% 및 100%의 감염률을 보였고 ApMV와 ASSVd에는 전혀 감염되지 않았다. 대목 부위는 ACLSV, ASPV 및 ASGV에 각각 86.7%, 93.3% 및 93.3%의 감염률을 보였고 ApMV와 ASSVd에 대한 감염률은 각각 12.5%와 6.3%이었다.

FTA 원산지규정상의 직접운송원칙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Direct Transport of Rules of Origin in Korean FTAs)

  • 이영수;권순국
    • 통상정보연구
    • /
    • 제14권4호
    • /
    • pp.387-408
    • /
    • 2012
  • 본 연구는 우리나라가 기(旣)체결한 FTA 원산지 결정기준 중에서 기업들이 간과하기 쉬운 선결 조건인 직접운송원칙에 대해 연구하였다. 동 원칙은 원산지 결정기준을 충족하는 물품이라 하더라도 협정 당사국간에 직접운송된 물품에 한하여 역내산(域內産)으로 인정하여 협정관세를 부여하고, 제3국을 거쳐서 수입하는 경우에는 원칙적으로 역내산으로 인정하지 않는다. 그러나 그 물품이 하역, 재선적, 탁송품의 분리, 또는 물품을 양호한 상태로 보존하기 위하여 마련된 작업을 제외한 작업을 거치지 아니할 경우, 비당사국의 영역을 경유하여 운송될 수 있다. 그 기간 동안 그 물품은 경유국 세관의 감시하에 있어야 한다. 이러한 직접운송원칙을 위반한 사례와 상담사례의 분석을 통하여 기업들은 협정별 직접운송원칙의 세부적인 규정들을 사전에 파악하고, 물품이 제3국을 경유하여 운송되었을 경우 더욱 세심한 주의를 기울여 이에 대한 대처방안을 잘 활용한다면 FTA 협정관세 혜택을 향유하면서 기업경쟁력을 제고할 수 있을 것이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