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aintenance of public facility

검색결과 124건 처리시간 0.024초

INFRASTRUCTURE ASSET MANAGEMENT PRACTICES IN THE U.S., AUSTRALIA, AND KOREA

  • Myungjin Chae;Giu Lee;Jung Yeol Kim;Moon Young Cho
    • 국제학술발표논문집
    • /
    • The 3th International Conference on Construction Engineering and Project Management
    • /
    • pp.1485-1490
    • /
    • 2009
  • This paper discusses cases of infrastructure asset management in the U.S., Canada, and Australia and investigates infrastructure management in Korea in order to set the direction for the asset management improvement. The definitions of infrastructure asset management from various entities are introduced and implementation framework and organizational structures are described. The investigation on Korean public asset management practices finds the strong and weak points and defines the requirements and considerations to further improve the current practices. This paper will assist adopting infrastructure asset management in Korea and provide guide for the infrastructure maintenance.

  • PDF

주민참여형 주거지 재생사업의 정비요소에 대한 고령 거주자의 중요도-만족도 분석 - 연남동 사업지구를 대상으로 - (Importance-Performance Analysis of Elderly Residents on the Planned Elements of the Participatory Residential Environment Improving Projects - Focused on the Project of Yonnam-dong -)

  • 김아름;구자훈;이주림
    • 한국주거학회논문집
    • /
    • 제24권6호
    • /
    • pp.103-110
    • /
    • 2013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stimate the perception of elderly residents on the residential environment improving projects and suggest the political implications. The survey include questionnaires about the importance and the satisfaction level on the project maintenance factors. The results were statistically analyzed by Importance-Performance Analysis (IPA). As the result of the study, firstly, it shows that 'the possible overkill area' on the IPA action grid includes none of factors except 'landscape' which is very similar to mean of performance score. the result of analysis means that the project is very efficient. Secondly, the policy is necessary to improve 'pedestrian passage', 'public open space' and 'transportation environment'. Considering elderly residents especially 'pedestrian passage' and 'public open space' are in need of improvement immediately. In detail 'traffic facility', building 'urban park' and 'pedestrian passage', 'paving of pedestrian passage', 'children's playground' are in need of improvement as well. The results of analysis on elderly and non-elderly residents of Yonnam project may be important foundation for future strategies for improvement.

동티모르 에르메라 지역의 모성보건사업 요구 분석 (Needs assessment for maternal health care in Ermera, Timor-Leste)

  • 김수정;김성민;조경원
    • 한국학교ㆍ지역보건교육학회지
    • /
    • 제20권2호
    • /
    • pp.53-67
    • /
    • 2019
  •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obtain the basic data for the development of maternal health care by analyzing the status and needs of service target persons in Timor-Leste. Methods: The subjects were selected through the non-probability sampling method applying the FGI. Researchers interviewed 3 maternal health service managers, 6 midwives at Gleno and Railaco Health Centers and 2 women between 15 and 45 years of age. Results: In the results of on-site visit of the delivery facility and the FGI, we found poor sanitation in delivery room, lack of medical equipment related to antenatal consultation and delivery. In the case of the health center manager, the public health center provides various maternity health services, but the lack of the staff has difficulty in providing the service and managing the subjects. Midwives asked for regular maintenance education. Women in child bearing age living in mountainous areas had poor access to delivery facilities and lack of awareness of delivery services. Conclusions: It is necessary to increase the maternity management rate through regular maternity and maternal health check service and application to maternal management database, to improve the sanitation of the maternity clinic in the public health center, to strengthen the midwife competency program.

영유아 교육·보육 통합시설의 필요 공간과 면적기준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Necessary Spaces and Area Standards of Integration Facility for Early Childhood Education and Care)

  • 조진일;최형주
    • 교육녹색환경연구
    • /
    • 제17권2호
    • /
    • pp.22-37
    • /
    • 2018
  • 본 연구는 '유치원 어린이집 간 격차 완화'를 위한 하나의 방안으로 '교육시설 질 균등화'를 위해 우선적으로 영유아 교육 보육 통합시설이 갖추어야 할 필요공간과 면적기준(안)을 제시하는 데 목적을 두었다. 그 결과 첫째, 영유아 교육 보육 통합시설에 필요한 공간의 종류를 표15와 같이 반드시 필요한 필수공간과 교육 보육 활동의 질적 수준을 높이기 위해 추가되면 좋을 권장공간으로 구분하여 제시하였다. 둘째, 영유아 교육 보육 통합시설의 필요 공간별 면적기준(안)을 표23과 같이 제시하였다. 아울러 영유아 교육 보육 통합시설에 필요한 영유아 1인당 대지면적과 연면적, 연면적 대비 공용면적의 비율을 각각 제시하였다.

BIM 기반 건축 시설물 유지관리 시나리오 효과 분석 (Effectiveness Analysis of BIM-based Architectural Facility Management Scenario)

  • 강태욱;김지은;최현상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7권11호
    • /
    • pp.10-19
    • /
    • 2016
  • 최근 공공공사의 BIM (Building Information Modeling)의무 발주 추세와 더불어, BIM 정보를 효과적으로 활용하기 위한 시설물 관리 기술이 다양하게 연구되고 있다. 특히, BIM기반 시설물 관리에 필요한 BIM 정보 표준, BIM 모델링, BIM 서버, BIM-GIS 플랫폼 기술, 3차원 이미지 스캔 기반 역설계와 같은 기술들은 많은 발전을 거듭하고 있다. 하지만, BIM의 시설물 유지관리 적용 범위가 어디까지 될 수 있는 지, 시설물 관리 행위별 주체의 역할은 무엇인지, 기존 시설물 유지관리 시나리오와 BIM기반 시설물 유지관리 시나리오의 차이점과 효과는 무엇인지에 대한 연구는 매우 부족한 상황이다. 본 연구는 BIM 기반 건축 시설물 유지관리 시나리오를 연구하고, 그 효과를 확인한다. 이를 위해, 관련 연구 동향을 분석하고, BIM 기반 시설물 유지관리 적용 범위, 시설물 유지관리 행위별 주체의 역할 등을 분류한 후, 기존 시설물 유지관리 시나리오와 비교 분석을 통해, BIM 기반 시설물 관리 시나리오 효과를 분석하였다.

준공연수에 따른 공동주택 관리에 대한 주민인식 비교분석 (The Study on the dweller's Expressions of Apartment Facility Management in accordance with Built Year)

  • 최열;하규양;김종경
    • 대한토목학회논문집
    • /
    • 제31권1D호
    • /
    • pp.149-155
    • /
    • 2011
  • 본 연구는 부산지역 공동주택 관리에 관한 주민인식을 조사하고자 아파트 운영관리에 관한 문제점 및 개선사항, 그리고 아파트 관리에 관한 세부항목별 주민인식 정도를 아파트 준공연수에 따라 비교분석하였다. 아파트 운영관리에 관한 문제점에서는 보수 보강에 관한 계획성이 미흡하며, 아파트 회계관리에 대한 투명성이 부족하며, 관리비가 과다하게 부과된다고 지적하였다. 따라서 개선사항으로는 관리비를 절감할 수 있는 운영방안이 강구되어야 하며, 관리비 집행에 관한 부정 부패를 방지하기 위해 주민들의 감시를 강화하기 위해 입주자대표회의의 적극적인 참여가 필요함을 강조했다. 아파트 관리에 관한 세부항목별 주민인식의 비교분석에서는 첫째, 일반적 관리에서는 세대간 분쟁조정 능력에 대해서는 부족하다고 인식하고 있었다. 둘째, 주민의 안전성에 관한 관리의 측면에서는 방범 예방 활동과 화재대비 관리, 가스시설 관리 등에 대하여는 상당 히 신뢰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유지관리의 측면에 대해선 주민들의 불만이 존재하고 있었는데, 관리사무소의 보수 계획이 잘 이루어지지 않다고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환경관리에서는 관리사무소의 청소 수목 관리가 잘되고 있는 것으로 인식하고, 휴게시설 관리가 잘 안 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체계중심병원설계를 위한 공조실 면적 계획에 관한 연구 (A Study on Area Planning of Air Conditioning Room for Hospital Design Focused on System)

  • 김은석;양내원
    • 의료ㆍ복지 건축 : 한국의료복지건축학회 논문집
    • /
    • 제25권4호
    • /
    • pp.27-35
    • /
    • 2019
  • Purpose: As the improvement in quality of medical environment and the spatial consideration for the prevention of infection in the hospital have become increasingly important in the recent years, specific and practical planning for air conditioning room's area has become a major issue accordingly. However, the air conditioning room tends to be discussed focusing on technical factors such as air conditioning systems that are irrelevant to building plans, while discussions of most departments related to the medical functions have actively taken placed. Therefore,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the factors influencing the planning for the air conditioning room area, and through subsequent analysis of the area of the air conditioning room, to propose a way to improve effective planning for the air conditioning room area. Methods: This study examines the case hospitals that fall into two types: each floor supply system and concentrated supply system, and compares and analyzes the air conditioning room area-related factors and the characteristics of changes in the interior of air conditioning room before and after remodeling through air conditioning floor plan of those case hospitals. Results: The air conditioning room can be classified into the net area of the functional space such as duct passages, and the public area such as aisle space, and of those the public area is an important factor in calculating the area of the air conditioning room. The public area of the air-conditioning room should not be planned considering only the spaces for mobile passage or maintenance activities, but should be planned taking into account internal changes such as expansion and replacement of equipment in the future from the beginning. Implications: When planning a medical facility, it is used as basic data for the planning of the air conditioning room area, which is a significant fixed factor in the initial setting.

사회기반시설물 유지관리를 위한 자산관리체계 도입 전략 (Infrastructure Asset Management Policy and Strategy Development)

  • 진경호;채명진;이규;이교선
    • 한국건설관리학회논문집
    • /
    • 제10권6호
    • /
    • pp.67-77
    • /
    • 2009
  • 자산관리는 사회기반시설물의 요구되는 서비스수준을 만족시키기 위한 장기적인 비용 효율적 관리라고 정의할 수 있다. 선진외국의 경우 사회기반시설물의 증가와 유지관리 시장의 확대, 유지관리를 위한 회계적 접근방식, 성능 중심의 시설관리, 자원의 한계와 민간과의 협업 강화, 생애주기 비용 개념의 확대 적용, 정보화기술의 발전이 동인이 되어 자산관리가 도입되었다. 본 논문에서는 국내외 자산관리의 현황 및 문제점을 분석하여 사회기반시설물의 자산관리체계 도입 방안과 추진 전략에 관한 연구를 수행하였다. 먼저, 국가자산의 합리적인 평가와 동시에 유지관리를 포함한 장기적 최적 투자 의사결정을 수행할 수 있는 국가적 차원의 자산관리체계 구축을 위해 국내의 도입 환경을 분석하여 도입방안을 모색하였다. 그리고 성공적 사회기반시설물 자산관리체계 도입을 위해 제도적, 프로세스적, 자원적, 기술적 측면에서 요구되는 핵심 전략을 분석하여 세부전략별로 실천과제를 분석하여 단계별 추진 전략을 제시하였다.

Implementation of Public Address System Using Anchor Technology

  • Seungwon Lee;Soonchul Kwon;Seunghyun Lee
    • International journal of advanced smart convergence
    • /
    • 제12권3호
    • /
    • pp.1-12
    • /
    • 2023
  • A public address (PA) system installed in a building is a system that delivers alerts, announcements, instructions, etc. in an emergency or disaster situation. As for the products used in PA systems, with the development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PA products with various functions have been introduced to the market. PA systems recently launched in the market may be connected through a single network to enable efficient management and operation, or use voice recognition technology to deliver quick information in case of an emergency. In addition, a system capable of locating a user inside a building using a location-based service and guiding or responding to a safe area in the event of an emergency is being launched on the market. However, the new PA systems currently on the market add some functions to the existing PA system configuration to make system operation more convenient, but they do not change the complex PA system configuration to reduce facility costs, maintenance, and management costs. In this paper, we propose a novel PA system configuration for buildings using audio networks and control hierarchy over peer-to-peer (Anchor) technology based on audio over IP (AoIP), which simplifies the complex PA system configuration and enables convenient operation and management. As a result of the study, through the emergency signal processing algorithm, fire broadcasting was made possible according to the detection of the existence of a fire signal in the Anchor system. In addition, the control device of the PA system was replaced with software to reduce the equipment installation cost, and the PA system configuration was simplified. In the future, it is expected that the PA system using Anchor technology will become the standard for PA facilities.

조경진흥시설과 조경진흥단지 제도 활성화 방안 연구 (Improvement Plan to Facilitate a Landscape Architectural Promotion Facility and Complex System)

  • 김용국;김신성
    • 한국조경학회지
    • /
    • 제46권1호
    • /
    • pp.9-16
    • /
    • 2018
  • 조경은 지속가능한 국토 도시 환경 구축을 위해 필수불가결한 전문 분야이다. 조경산업은 국민들의 건강과 복지증진, 도시 활성화와 주거 환경 개선, 일자리 창출 등과 밀접한 관련이 있다. 조경의 다양한 공익적 가치에도 불구하고, 조경서비스의 질적 제고를 위해 전제되어야 할 조경산업의 성장동력은 정체되어 있다. 사업 규모의 영세화, 안정적 생산 유통 체계 부재, 협업 체계 미흡, 신기술 도입 어려움 등의 복합적 문제를 드러내고 있다. 2015년 "조경진흥법" 제정을 통해 조경산업의 집적을 통한 활성화를 지원하기 위해 조경진흥시설과 조경진흥단지 제도를 마련하였으나, 구체적인 운용 방안이 부재한 실정이다. 본 연구는 조경 분야 종사자와 전문가를 대상으로 한 인식조사를 통해 조경분야 발전을 위해 도입된 조경진흥시설과 조경진흥단지 제도의 활성화 방안을 마련하고자 하였다. 주요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조경분야 종사자들과 전문가들은 조경 산업 진흥을 위한 정책 및 사업의 필요성을 매우 높게 인식하고 있다. 둘째, 조경진흥시설에 적합한 산업 유형은 설계, 유지 관리, 시공 분야가 선정되었다. 조경진흥단지에 적합한 산업 유형은 조경수와 조경시설물 생산 및 유통 분야가 선정되었다. 셋째, 조경진흥시설 지정을 통해 얻게 되는 기대효과로는 '네트워크 확대를 통한 사업기회 증가', 조경진흥단지 지정을 통해 얻게 되는 기대효과로는 '각종 정보 공유 활성화'가 높게 평가되었다. 넷째, 조경진흥시설 지정기준 중에서는 '지자체 조경 산업 규모와 육성 역량'이, 조경진흥단지 지정기준 중에서는 '사업추진계획의 실현가능성'이 가장 중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조경진흥시설 제도 활성화를 위해 필요한 지원방안으로는 '세제 혜택 및 부담금 면제', 조경진흥단지의 경우에는 '유지 관리비 지원'이 중요한 것으로 나타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