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ainly consumed fishes

검색결과 43건 처리시간 0.023초

Raw Fish Consuming Behavior Related to Liver Fluke Infection among Populations at Risk of Cholangiocarcinoma in Nakhon Ratchasima Province, Thailand

  • Chavengkun, Wasugree;Kompor, Pontip;Norkaew, Jun;Kujapun, Jirawoot;Pothipim, Mali;Ponphimai, Sukanya;Kaewpitoon, Soraya J;Padchasuwan, Natnapa;Kaewpitoon, Natthawut
    • Asian Pacific Journal of Cancer Prevention
    • /
    • 제17권6호
    • /
    • pp.2761-2765
    • /
    • 2016
  • Opisthorchiasis is a health problem in rural communities of Thailand, particularly in the northeast and north regions. Therefore,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raw fish consuming behavior related to liver fluke infection among the population at risk for opisthorchiasis and cholangiocarcinoma (CCA). A cross-sectional descriptive study was conducted in Meuang Yang district, Nakhon Ratchasima province, northeast Thailand, between June and October 2015. Participants were screened for CCA, and samples who had a high score of CCA risk were purposively selected. A predesigned questionnaire was utilized to collect the data from all participants. $X^2-test$ was used for analysis of associations between demographic data and raw fish consumption. The results revealed that participants had past histories of stool examination (33.0%), liver fluke infection (21.0%), praziquantel use (24.0%), raw fish consumption (78.0%), relatives family consuming raw fish (73.0%), and relatives family with CCA (3.0%). Participants consumed several dished related to liver fluke infection, mainly raw fermented fish (13.0%), under smoked catfish (5.00%), raw pickled fish (4.00%), and raw spicy minced fish salad (3.00%). The most common types of cyprinoid fish were Barbodes gonionotus (39%), Hampala dispar (38%), Puntius brevis (37%), Cyclocheilichthys armatus (33%), Puntioplites proctozysron (32%), and Luciosoma bleekeri (30%), respectively. Participants had a low level of knowledge (mean=3.79, SD=0.74), moderate attitude (mean=7.31, SD=7.31) and practice (mean=38.64, SD=6.95) regarding liver fluke prevention and control. Demographic variables like age (>36 years old; $X^2-test=17.794$, p-value=0.001), education (primary school; $X^2-test=18.952$, p-value=0.001), marital status (married; $X^2-test=12.399$, p-value=0.002), and income (<5,000 baht; $X^2-test=27.757$, p-value=0.015) were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raw fish consumption. This result indicates that the population had risk consumption for liver fluke infection particularly of various cyprinoid fishes that are $2^{nd}$ intermediate hosts. Therefore, health education is required to improve their behavior.

가을철 서해에 출현하는 고등어(Scomber japonicus)의 섭식특성 (Feeding Characteristics of Chub Mackerel Scomber japonicus in the Yellow Sea of Korea in Autumn)

  • 박현솔;김창신;양재형;송세현
    • 한국어류학회지
    • /
    • 제35권4호
    • /
    • pp.278-284
    • /
    • 2023
  • 우리나라 가을철 서해에 출현하는 고등어의 섭식특성을 파악하기 위해 2021년 10~12월, 2022년 9~11월에 대형선망어업에 의해 어획된 827개체의 위내용물을 분석하였다. 이번 연구에서 고등어의 가장 중요한 먹이생물은 어류였으며, 어류 중에서도 멸치가 가장 우점하였다. 그 외에, 요각류, 단각류, 난바다곤쟁이류, 두족류, 곤쟁이류, 생이류, 게류 등이 출현하였으나, 각각 13.7% 이하의 상대중요도지수비를 보여 그 양은 매우 적었다. 고등어의 생태적 지위를 알아보기 위해 고등어의 영양단계를 살펴본 결과, 3.84의 값을 나타내었다. 크기군별 위내용물 조성을 알아본 결과(<25.0 cm, 25.0~30.0 cm, 30.0~35.0 cm, 35.0~40.0 cm, ≥40.0 cm), 큰 크기군으로 갈수록 난바다곤쟁이류, 요각류와 단각류의 상대중요도지수비는 감소하는 반면, 어류의 상대중요도지수비는 지속적으로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냈다. 또한, 성장함에 따라 고등어의 평균 먹이생물 개체수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으며, 평균 먹이생물 중량 또한 크기군이 증가함에 따라 유의한 차이를 나타냈다.

우리나라 서해에서 출현하는 갈치(Trichiurus japonicus)의 식성 (Feeding Habits of the Largehead Hairtail, Trichiurus japonicus in the Yellow Sea of Korea)

  • 성기창;김도균;강다연;진수연;김호승;서호영;백근욱
    • 한국어류학회지
    • /
    • 제34권3호
    • /
    • pp.179-185
    • /
    • 2022
  • 우리나라 서해에서 출현하는 갈치의 식성을 파악하기 위해 4.5~33.7 cm의 항문장 범위를 나타내는 377개체의 위내용물을 분석하였다. 갈치의 주 먹이생물은 74.1%의 상대중요도지수비를 나타낸 어류였고, 멸치가 가장 우점하였다. 이번 연구에서 갈치의 영양단계는 3.84를 나타내었다. 어류는 모든 계절 동안 갈치의 가장 중요한 먹이생물이었으며, 가을철과 겨울철에는 멸치가 우점하였고, 봄철과 여름철에는 참조기가 우점하였다. 어류는 갈치의 모든 크기군(<15 cm, 15~20 cm, 20~25 cm, ≥25 cm)에서 가장 중요한 먹이생물이었으며, 크기가 작은 개체의 경우 샛줄멸과 멸치를 주로 섭식하다 항문장이 커짐에 따라 참조기와 갈치의 섭식 비율이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갈치의 항문장이 커짐에 따라 평균 먹이생물 개체수와 중량이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PERMANOVA 분석을 통해 계절과 크기군에 따라 갈치의 식성은 유의한 차이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