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aillard browning

검색결과 86건 처리시간 0.018초

홍삼으로부터 분리한 수용성 갈변물질의 항산화 활성 1. DPPH의 수소공여능 및 hydrogen peroxide 소거능 중심으로 (Antioxidant Activity of the Water Soluble Browning Reaction Products Isolated from Korean Red Ginseng 1. DPPH Radical and Hydrogen Peroxide Scavenging)

  • 이종원;도재호;심기환
    • Journal of Ginseng Research
    • /
    • 제23권3호
    • /
    • pp.176-181
    • /
    • 1999
  • 홍삼에서 분리한 수용성 갈변물질의 항산화 활성을 DPPH 수소공여능 및 hydrogen peroxide 시스템에서 조사한 결과를 다음과 같다. 1. DPPH 수소공여능 수용성 갈변물질 S-1, S-2는 반응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완만하게 감소하였고, L은 S-1, S-2보다 시간이 경과 함에 따라 감소폭이 증가하였다. L의 경우 BHT, BHA $5{\times}10^{-4}M,\;{\alpha}-tocopherol\;1{\times}10^{-4}M$ 및 ascorbic acid $5.7{\times}10^{-3}M$ 보다 감소폭이 증가하였으나, S-1, S-2는 합성 항산화제와 감소폭이 비슷하였다. 2. Synergist 효과 L, S-1 및 S-2 와 상기의 합성 항산화제 농도와 시너지스트 효과를 조사한 결과, 모든 시험구에서 반응 시간이 경과 함에 따라 감소폭이 증가하여 시너지스트 효과가 나타났다. 3. Hydrogen Peroxide 소거능 :수용성 갈변물질의 hydrgen peroxide 소거능을 조사한 결과, L은 $50\~80\%$, S-1은 $70\~100\%,$ S-1은 모든 첨가구에서 반응 초기부터 $100\%$로 완전히 소거되었다.

  • PDF

탈지대두단백 산 가수 분해물과 당의 반응에 의하여 생산된 Maillard Reaction Products의 이화학적 특성 및 항산화성 (Physicochemical Properties and Antioxidant Activities of Maillard Reaction Products from Defatted Hydrolyzed Soybean Protein with Various Sugars)

  • 김윤숙;문지혜;김명희;최희돈;박용곤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8권1호
    • /
    • pp.62-69
    • /
    • 2009
  • 본 연구는 식물단백 가수 분해물(HVP)인 탈지대두 단백산 가수 분해물(DFHSP)과 환원당(glucose, fructose, ribose)을 기본 원료로 하여 여러 가지 반응온도, 반응시간, 압력 등 다양한 반응조건 model system하에서 MRP를 제조하여 이화학적 특성과 항산화 효과, 관능적 특성이 우수한 MRP생산을 위한 최적기질과 반응조건을 찾고자 하였다. 반응액의 이화학적 특성은 pH, 갈변도, 색도의 변화로 비교하였으며 항산화활성은 DPPH radical 소거활성과 hydroxy radical 소거활성을 통해 측정하였으며 관능적 특성은 기호도로 비교하였다. 당 종류에 따른 MRP의 반응성을 비교한 결과, MRP의 pH 감소와 갈변도의 증가는 환원당 중 ribose와 반응시킨 MRP가 유의적으로 크게 나타났으며 대기상태에서 제조된 시료보다 압력을 가해 반응시킨 MRP가 높은 반응성을 보였다. Glucose와 fructose를 사용한 경우에는 유의적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그중에서도 R/DFHSP을 가압반응기에서 $140^{\circ}C$에서 30분 동안 2.8 kg/$cm^2$ 압력을 주어 반응시킨 MRP가 가장 높은 pH 감소와 갈변도를 보였다. DPPH radical 소거활성과 hydroxy radical 소거활성의 경우 glucose나 fructose의 hexose보다 반응성이 큰 pentose인 ribose를 당원으로 한 R/DFHSP 반응계가 높은 활성을 보였으며 이를 가압상태의 조건으로 반응시킬 경우 항산화활성이 훨씬 증대되는 효과를 보였다. 관능적 특성비교 결과 ribose와 반응시킨 MRP가 고기 향에 근접한 MRP의 기질로 선정되었으며 대기압 상태의 낮은 반응조건에서 제조될 경우 탈지대두 단백 산 가수 분해물액 자체의 간장냄새로 인하여 기호도가 높지 않았다. 가압반응조건에서는 R/DFHSP을 $121^{\circ}C$에서 1.5 kg/$cm^2$의 압력 하에서 30분간 반응시킨 MRP의 경우 고기 향에 근접하는 평가를 얻었으나 $140^{\circ}C$에서 2.8kg/$cm^2$의 압력 하에서 제조 시 탄내가 심하여 기호도가 저하되었다. 이상의 결과에서 반응성과 항산화적 측면에서는 ribose를 당원으로 하며 가압의 조건을 가해 MRP를 제조할 경우 상당한 항산화활성 증강효과를 얻을 수 있으나 관능적 특성을 고려하였을 때는 높은 압력은 너무 높은 반응성으로 인해 기호도 감소의 원인이 된다.

Maillard 반응 생성물을 이용한 천연 육류향의 제조 (Development of Natural Meat-like Flavor Based on Maillard Reaction Products)

  • 문지혜;최인욱;박용곤;김윤숙
    • 한국축산식품학회지
    • /
    • 제31권1호
    • /
    • pp.129-138
    • /
    • 2011
  • 본 논문에서는 리보오스와 저염 및 저 Glu 소맥글루텐산 가수분해물을 기본 기질로 하여 기존의 시스테인, 메티오닌, 티아민 등의 전구체로 반응시킨 육류향과 이를 버섯분말 및 지질전구체 등으로 대체하여 반응시킨 육류향의 관능적 특성을 비교하여 천연 육류 향미제를 개발하고자 하였다. 기본 기질로 식물단백 가수분해물은 염농도에 따른 소맥글루텐 산 가수분해물과 저 Glu 소맥글루텐 산 가수분해물을 사용하였으며 향 특성을 검토하였을 때 염 7%의 저 Glu 소맥글루텐 산 가수분해물을 사용하는 것이 적합하였으며 황화물 채소로 마늘 분말을 기본 기질로 하였다. 기존의 synthetic meat flavor의 전구체를 omission test에 의해 검토하였을 때 시스테인은 육류향의 기여도가 컸으며 메티오닌과 티아민 및 레시틴은 영향이 적어 다른 소재로의 대체 가능성을 나타내었다. Natural meat flavor의 전구체로 효모 자가분해물 적용시 이취가 강하여 적합하지 않았으며 마늘 분말 대신 마늘 착즙 분말로 대체가 가능하였다. 버섯분말의 경우 표고버섯을 protease로 효소처리하여 건조시킨 분말이 육류향 생성에 적합하였으며 느타리버섯은 고유의 향긋한 향미가 감소되어 적합하지 않았다. 지질전구체의 경우 라드를 적용하였을 때 다른 지질에 비해 느끼한 향 특성이 적당하고 1%의 농도에서 육류향과 황내의 향 특성이 조화로웠다. 지질인 라드와 인지질인 레시틴을 첨가하여 비교하였을 때 레시틴 첨가와 라드와 레시틴의 혼합 첨가보다 1% 농도의 라드를 단독 첨가하는 것이 좋은 육류향을 생성하였다. 따라서 기본 기질로 소맥글루텐 산 가수분해물을 저염 및 저 Glu화 하였으며, 기존의 육류향 생성에 사용되었던 메티오닌 티아민 및 레시틴의 전구체를 마늘 착즙 분말과 버섯분말 및 라드로 대체하였을 때 상대적으로 전체적인 향의 강도는 낮았으나 느끼하고 짠향이 감소되어 부드러운 육류향을 생성할 수 있었다.

열처리된 김치 첨가가 그라탱의 이화학적 품질 특성과 항산화 활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Heated-Kimchi Addition on the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s and Antioxidant Activity of Gratin)

  • 김태준;서정희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6권10호
    • /
    • pp.1178-1185
    • /
    • 2017
  • 그라탱과 김치의 퓨전을 위해 먼저 열처리가 김치의 항산화 활성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았다. 김치를 $100^{\circ}C$에서 최대 60분까지 열처리하였을 때 가열시간이 길어질수록 김치의 갈변도와 색 강도는 유의적으로 증가하였으며 이 현상은 상대적으로 숙성이 더 진행된 김치에서 뚜렷하게 관찰되었다. 이는 김치 숙성에 따른 고분자 물질의 분해와 고온에서 가속화된 Maillard 갈변반응의 결과로 해석되었다. 총 환원력, 금속 소거능, DPPH 라디칼 소거 활성으로 측정된 김치의 항산화 활성 역시 가열시간이 길수록, 숙성이 진행될수록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이는 숙성과 열처리로 증가한 김치 속 비당체 형태의 페놀과 Maillard 반응 생성물(Maillard Reaction Products)의 환원성에서 기인한 것으로 보인다. 특히 $100^{\circ}C$, 10분 동안의 열처리에도 김치의 항산화 활성이 유의적으로 증가하였으며, 따라서 이 조건으로 가열한 김치를 20% 농도로 첨가하여 그라탱을 제조하였다. 열처리 김치첨가로 그라탱은 식이섬유, GABA, 오르니틴 함량이 유의적으로 증가하였다. 반면 김치 첨가로 우려되는 염 함량의 실질적 변화는 관찰되지 않았다. 열처리 김치에서 확인된 항산화 활성이 그라탱에서도 동일하게 관찰됨에 따라 김치의 항산화 기능성이 열처리 후에도 그라탱에 부가되었음을 확인해주었다. 이 결과들은 김치 그라탱 제조로 전통 발효식품인 김치의 영양성과 기능성이 그라탱에 실질적으로 부가되었음을 보여주었다. 이는 서구 음식과 우리 전통 발효 음식과의 다양한 퓨전을 통한 건강 지향적 제품 개발의 가능성을 시사해준다.

열처리에 의한 우유의 이화학적 품질변화에 관한 고찰 (A Review on the Change of Physicochemical Quality during Heating of Milk)

  • 정인경;인영민
    • Journal of Dairy Science and Biotechnology
    • /
    • 제19권1호
    • /
    • pp.13-21
    • /
    • 2001
  • Milk can be regarded as a complete food, containing protein, fat, lactose, vitamins and minerals. Milk is heated for a variety of reasons. The main reasons are: to remove pathogenic organisms; to increase shelf-life. But, when milk is heated, many changes take place: denaturation of whey proteins and interaction with casein, Maillard browning, losses of vitamin and minerals. The addition of a additive and milk powder to flavor and taste may cause undesirable change of quality during heating milk. The reconstituted milk is the milk product resulting from the addition of water to the dried or condensed form in the amount necessary to re-establish the specified water solids ratio. Therefore, according to the increasement of consumption of processed milk, the necessity for study about the quality of processed milk mixed with reconstituted milk arose.

  • PDF

건어육저장중의 유효 Lysine 및 Ex분질소의 변화와 갈변 (Changes in Available Lysine and Extractable Nitrogen, and Extent of Browning during the Storage of Dried Fish Meat)

  • 이강호;송동숙;유병진;김무남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15권4호
    • /
    • pp.271-282
    • /
    • 1982
  • The browning development, mainly through the Maillard reaction, occurring in the dried fish meat products during storage causes reduction of the nutritional value due to the loss of the essential amino acid such as available lysine as well as off -flavor resulting in the deterioration of the food quality thus shortening the shelflife. In the work, the changes in the amount of available lysine, extractable nitrogenous compounds (nonprotein-N, amino-N, trimethylamine oxide, trimethylamine, and free lysine) and development of browning were measured to assess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shelflife and the quality loss in dried filefish under the steady state conditions (35,45, and $55^{\circ}C;a_{w}'s$ of 0.44 0.52, 0.65 and 0.75 at each temperature) and fluctuating temperature condition of $35/55^{\circ}C$ will. alternating 7 day periods at each water activity. The results indicated that the amount of available lysine and extractable nitrogenous compounds except TMA decreased rapidly with increasing temperatures and water activities while the rate of available lysine and extractable nitrogenous compounds must be involved in the initial stage of brown pigment formation. The available lysine loss of the dried filefish products stored under the fluctuating temperature conditions was greater than that stored under its fixed mean temperature, $45^{\circ}C$. The activation energies for lysine loss obtained from the Arrhenius plot ranged 6.9 to 4.4 Kcal/mol and $Q_{10}$ values at $40^{\circ}C$ were 1.4 to 1.2. The values for browning were 15.7 to 14.4 Kcal/mol and 2.2 to 2.0 respectively. Shelf-life, defined as the time to reach 0.15 O. D./g solid or the limit of off-color deterioration by browning reaction, was extented longer than the halflife of Iysine loss, actually corresponding $75\%$ loss of available lysine. This suggested that the halflife of lysine loss might not be adequate to assess the shelf-life of the food system with high potential of protein, nonproteinous nitrogen compounds, and lipids.

  • PDF

Glucose-Ammonia (1M+8M) 갈색화(褐色化) 반응액(反應液)에서 얻어진 Methylene Chloride 추출물(抽出物)의 항산화(抗酸化) 효과(?果) (Antioxidant Activity of Methylene Chloride Extracts Obtained from Glucose-Ammonia (1M+8M) Browning Mixtures)

  • 백향덕;김동훈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11권2호
    • /
    • pp.93-98
    • /
    • 1979
  • 본실험(本實驗)에서는 Maillard형(型) 갈색화반응(褐色化反應)의 중요(重要)한 중간생성체(中間生成體)의 하나인 pyrazine유도체(誘導體)의 항산화효과(抗酸化效果)를 보기위해 먼저 이를 주요구성성분(主要構成成分)으로 하는 methylene chloride추출물(抽出物)의 항산화효과(抗酸化效果)를 검토(檢討)하고저 했다. 즉, pyrazine유동체생성(誘導體生成)의 최적조건(最適條件)에 따라 glucose-ammonia(1M+8M)갈색화(褐色化) 반응액(反應液)을 $100^{\circ}C$에서 4시간(時間) 반응(反應)시킨후, 여기서 methylene chloride추출물(抽出物)을 얻었다. 이 추출물(抽出物)과 별도(別途)로 furfural을 식용(食用)평지씨기름기질(基質)에 첨가(添加)하여, control과 함께 $37^{\circ}C{\pm}1.0^{\circ}C$에서 저장(貯藏)하여, 그 과산화물가(過酸化物價)(POV), thiobarbituric acid value(TBA 가(價))와 산가(酸價)(AV)를 규칙적으로 측정(測定)하였다. 그리고 methylene chloride추출물(抽出物)과 furfural이 들은 기질(基質)들의 POV, TBA가(價)와 AV의 변화(變化)를 control의 그것과 비교(比較)하여 methylene chloride추출물(抽出物)과 furfural의 항산화효과(抗酸化效果)를 검토(檢討)하였다. 이상(以上)의 실험(實驗)의 결과(結果), glucose-ammonia (1M+8M)갈색화반응액(褐色化反應液)의 methylene chloride추출물(抽出物)에는 상당(相當)한 항산화효과(抗酸化效果)를, 그리고 furfural에도 다소의 항산화효과(抗酸化效果)를 확인(確認)할 수 있었다.

  • PDF

Browning Reaction을 이용한 Meat Flavor Extract의 개발 (Manufacturing of Meat Flavor Extract used for Browning Reaction)

  • 김덕숙;김종승
    •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
    • 제17권3호
    • /
    • pp.313-321
    • /
    • 2004
  • Maillard reaction을 이용하여 제조한 여러 종류의 reaction meat flavor로부터 함유황 이원자고리 화합물을 분리, 농축한 다음 GC와 GC-MSD를 이용하연 함유황 이원자고리 화합물의 profile을 얻어 성분의 확인 및 정량분석을 시도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Reaction meat flavor의 함유황 이원자고리 화합물의 profile을 조사한 결과 7종의 thiozole과 11종의 thiophene을 동정 할 수 있었으며, thiophene, thinzolidine, 4-methyl-5-thiazole ethanol이 주요 생성 화합물이었다. 2. 함유황 이원자고리 화합물의 경우 반응조건(온도, 시간)의 변화에 따라 생성성분의 종류에는 거의 차이가 없었지만 그 양에 있어서는 상당한 차이가 나타났고, 반응온도가 높을수록, 반응시간이 길수록 구조가 복잡한 함유황 이원자고리 화합물과 caramellike note를 갖는 함산소 이원자고리 화합물이 보다 많이 생성되었으며, 반대로 반응온도가 낮고 반응시간이 짧을수록 함유황이 원자고리 화합물의 생성이 비교적 적었다. 3. 수분함량 50%, 반응온도 10$0^{\circ}C$, 반응시간 2시간의 반응조건에서 thiophene과 thiazole 같은 비교적 구조가 단순한 함유황 이원자고리 화합물의 생성율이 가장 높았으며, reaction meat flavor의 발현을 위하여는 10$0^{\circ}C$ 이내의 온도에서 2시간을 넘기지 않고 반응시키는 것이 좋았다. 4. 수분함량이 낮으면 반응온도 및 시간을 낮고 짧게, 수분함량이 높을수록반응온도 및 시간은 높고 길게 반응시키는 등 수분함량은 반응온도 및 시간과 밀접한 관계에 있으므로 수분함량에 따라 반응조건을 변화시킴으로써 일정한 flavor profile을 계속하여 얻을 수 있었다. 이와 같이 원료를 단순화하여 reaction meat flavor를 제조한 다음 함유황 이원자고리 화합물을 추출, 분리, 농축하여 분석함으로써 향료산업 및 조미식품산업에서 reaction meat flavor의 생산에 필요한 하나의 방향을 제시할 수 있었다.

각종용매(各種溶媒)로부터 추출(抽出)한 Maillard형(型) 갈색화반응(褐色化反應) 생성물(生成物)의 산화억제작용(酸化抑制作用) (Antioxidant Activity of Various Solvent Extracts Obtained from A Maillard-type Browning Reaction Mixture)

  • 원종태;김동훈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12권4호
    • /
    • pp.235-241
    • /
    • 1980
  • $100^{\circ}C$에서 12시간 가열한 Maillard형(型) 갈색화반응액(褐色化反應液)을 8개의 용매(溶媒)로 추출하여 각 추출물(抽出物)의 산화억제(酸化抑制) 작용(作用)을 대두유(大豆油)를 기질(基質)로 하여 비교하고자 하였다. 실험대조(實驗對照)와 아세톤, 벤젠, 클로로포름, 에탄올, 에테르, 메탄올, 메틸렌 클로라이드, 석유에테르 추출물(抽出物)이 들은 기질(基質)의 저장 12일 후의 과산화물(過酸化物)값, 16일 후의 TBA값은 각각 66.0, 31.9, 37.6, 48.1, 11.9, 48.5, 11.5, 45.3, 43.3 (m. mole/kg oil)과 0.28, 0.20, 0.21, 0.26, 0.16, 0.28, 0.17, 0.33, 0.31이었다. 과산화물(過酸化物)값이 30이 되는 데 소요한 시간을 유도기간(誘導期間)으로 할 때 실험대조(實驗對照)와 각용매추출물(各溶媒抽出物)이 들은 기질(基質)의 유도기간(誘導期間)은 각각 193, 280, 252, 220, 478, 229, 455, 217과 214시간이었다.

  • PDF

Propylene Glycol 용매계에서 DL-Alanine과 D-Glucose의 마이야르 반응에 의한 휘발성 화합물의 생성 (Formation of Volatile Compounds from Maillard Reaction of D-Glucose with DL-Alanine in Propylene Glycol Solution)

  • 김영희;김옥찬;이정일;양광규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20권2호
    • /
    • pp.157-163
    • /
    • 1988
  • Propylene glycol 용매계에서 0.5M DL-alanine(${\alpha}-amino-propionic acid$) 와 0.5M D-glucose 를 $100^{\circ}C,\;120^{\circ}C$$140^{\circ}C$에서 각각 20분, 2시간 반응시켜 생성되는 휘발성 화합물을 분석하고 반응온도와 시간이 갈색화반응 및 휘발성 화합물생성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갈색화반응 및 휘발성 화합물생성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갈색화반응은 반응온도와 시간이 증가함에 따라 급격히 증가 하였다. 휘발성 화합물은 7종의 alkylpyrazine, 4종의 pyrrole, 3종의 furan, 1종의 furanone 그리고 기타성분으로 2-hydroxy-3-methyl-2-cyclopenten-1-one을 포함하여 11종이 확인되었으며 pyrazine, pyrrole 및 furan화합물의 생성량은 반응온도가 높아지고 반응시간이 길어짐에 따라 급격히 증가하였다. 또한 alanine과 glucose의 마이야르 반응에 의해 생성되는 구수한 카라멜냄새 및 설탕 탄냄새(burnt sugar-like)는 주로 2-hydroxy-3-methyl-2-cyclopenten-1-one, 2, 5-dimethyl-4-hydroxy-3(2H)-furanone과 같은 함 산소화합물과 pyrazine, pyrrole과 같은 함 질소화합물에 의해 생성되는 것으로 추정되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