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aillard browning

검색결과 86건 처리시간 0.018초

Maillard 형(形) 및 Caramelization 형(形) 갈색화(褐色化) 반응물(反應物)에서 얻어진 알콜 추출물(抽出物)들의 항산화(抗酸化) 효과(效果)의 비교(比較) (Comparison of the Antioxidant Effects of Ethyl Alcohol Extracts of a Maillard-type and a Caramelization-type Browning Reaction Mixtures)

  • 이동일;허태련;김동훈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7권1호
    • /
    • pp.43-50
    • /
    • 1975
  • 여러 반응과정(反應過程)에 있는 Maillard 형(形) 갈색화(褐色化) 반응물(反應物) caramelization 형(形) 갈색화(褐色化) 반응물(反應物)에서 얻어진 ethyl alcohol 추출물(抽出物)들의 항산화효과(抗酸化效果)를 측정(測定)하여 서로 비교(比較)하고저 하였다. 실험결과(實驗結果)는 아래와 같다. Maillard 형(形) 갈색화(褐色化) 반응물(反應物)의 색깔의 강도(强度)는 반응시간(反應時間)에 거의 비례(比例)하였다. 그러나 반응(反應) 추출물(抽出物)의 항산화작용(抗酸化作用)은 반응시간(反應時間)에 비례(比例)하지 않은 듯 하였다. 즉 16시간(時間)동안 가열(加熱)되었던 반응(反應) 추출물(抽出物)의 항산화작용(抗酸化作用)은 2시간(時間) 가열(加熱)하여 얻어진 반응추출물(反應抽出物)의 항산화작용(抗酸化作用)보다 그다지 크지 않았다. Caramelization 형(形) 갈색화(褐色化) 추출물(抽出物)의 색깔의 강도(强度)는 반응시간(反應時間)에 거의 비례(比例)하는 듯 하였으나 그 반응추출물(反應抽出物)의 항산화효과(抗酸化效果)는 반응시간(反應時間)에 비례(比例)하지 않는 듯 하였다. 그 항산화효과(抗酸化效果)는 Maillard 반응(反應)에서와 마찬가지로 반응(反應) 초기단계(初期段階)에서 생성(生成)되는 reductone류(類)와 같은 중간생성물질(中間生成物質)들과 밀접(密接)한 관계(關係)가 있는 듯 하다. 같은 갈색화반응(褐色化反應) 시간(時間)에 따른 항산화효과(抗酸化效果)의 비교(比較)에서 Maillard 형(形) 갈색화(褐色化) 반응액(反應液)의 알콜추출물(抽出物)이 caramelization 형(形) 갈색화(褐色化) 반응액(反應液)의 알콜 추출물(抽出物)보다 더 큰 항산화효과(抗酸化效果)를 가지고 있다는 사실을 알 수 있었다. 즉, 반응(反應) 4시간(時間)후와 120시간(時間)후에 채취(採取)한 caramelization 형(形) 갈색화(褐色化) 추출물(抽出物)의 알콜추출물(抽出物)을 함유(含有)하고 있는 기질(基質)의 20일간(日間) 저장(貯藏)후의 과산화물가(過酸化物價)는 각각 88. 9와 33. 0이었으며(control 은 135), 한편 반응(反應) 1시간(時間)후와 16시간(時間)후에 채취(採取)한 Maillard 형(形) 갈색화(褐色化) 반응액(反應液)의 알콜추출물(抽出物)을 함유(含有)하고 있는 기질(基質)의 20일(日) 저장(貯藏)후의 과산화물가(過酸化物價)는 9. 5와 7. 5였다.

  • PDF

옥수수 전분 및 자당에 의한 Casein 과 포도당 간의 갈변반응 저지효과 (Effect of Preventing the Maillard Reaction between Casein and Glucose with Corn Starch and Sucrose)

  • 이종태;우강융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20권4호
    • /
    • pp.526-535
    • /
    • 1988
  • 옥수수 전분에 의한 casein과 포도당간의 갈변반응 저지효과를 검토하기 위하여 반응물에 전분을 15% 첨가한 용액을 냉동 건조하여 전분 보호막을 설치하는 방법으로 casein만 보호한 경우, casein과 포도당을 동시에 보호한 경우, 동시보호시 자당을 첨가한 경우와 무보호 경우 등으로 구분하여 RH 67%, 저장온도 $37^{\circ}C,\;42^{\circ}C$$50^{\circ}C$에서 30일간 저장하여 갈변반응을 시킨 후 비갈변구를 대조구로 하여 갈색도를 측정 하였다. 전분 보초효과를 인정할 수 있는 유의차를 보인 $37^{\circ}C$ 저장 경우에 한하여 아미노산 함량변화, in vitro 아미노산 소화율, in vitro available lysine 함량 및 fructosy1-lysine생성량 등을 조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아미노산의 함량은 16g질소당 g으로 표시하였을 경우 Arg과 Cys을 제외하고는 전분 첨가에 관계없이 갈변에 의하여 증가하였고 전분 첨가효과는 없었다. In vitro 아미노산의 소화율은 총 필수 및 비필수아미노산에 있어서 전분첨가에 관계없이 갈변에 의하여 $6.0{\sim}11.7%$$3.7{\sim}5.9%$ 감소하였고 개별 아미노산의 경우 lysine이 $32.7{\sim}45.4%$ 감소하여 갈변에 의한 가장 격심한 소화율 감소를 나타내었다. 전분 첨가에 의한 보호효과를 보면 전분 및 자당을 동시 첨가한 자당첨가동시보호구가 무보호갈변 경우에 비하여 18.5%의 lysine 소화율 증가를 나타내었다. In vitro available lysine의 함량은 전분첨가에 관계없이 갈변에 의하여 $27.8{\sim}40.0%$ 감소하였고. 전분 첨가에 의한 보호효과를 보면 전분과 자당을 동시첨가한 자당첨가동시보호구가 무보호 갈변경우에 비하여 20.5%정도 증가하였다. Fructosyl-lysine의 함량은 전분 첨가에 관계없이 갈변에 의하여 10배 이상 증가하였고 전분 첨가에 의한 보호효과를 보면 보호 방법에 관계없이 보호구가 무보호 갈변구에 비하여 $12.6{\sim}15.8%$ 정도 감소하였다.

  • PDF

Synergist로서 사용된 식품첨가물이 된장모델액의 갈변억제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Food Additives on Inhibiting the Browning of Model Solutions for Doenjang)

  • 곽은정;임성일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6권5호
    • /
    • pp.589-594
    • /
    • 2007
  • 된장모델로서 0.2 mM $FeCl_2$를 함유한 0.1 M glucose-0.1 M glutamic acid 모델액에 50 mM citric acid와 이의 synergist로 5종의 금속결합능이 있는 식품첨가물을 첨가하여 시료를 조제한 후 $30^{\circ}C$$40^{\circ}C$에서 4주간 저장하면서 식품첨가물들이 된장모델의 갈변억제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았다. $30^{\circ}C$에서 저장시 시료의 갈변억제율은 일정하게 유지 되다가 3주후 급감하였고, $40^{\circ}C$에서 저장한 경우는 저장기간이 증가됨에 따라 감소하였다. $30^{\circ}C$$40^{\circ}C$에서 4주 저장후 가장 높은 갈변억제율을 나타낸 첨가구는 tannic acid 0.015%와 pyrophosphate 0.15%이었으며, $30^{\circ}C$에서 저장시 이들 첨가구의 갈변억제율은 synergist 무첨가구보다 32%가 높았다. 또한 $30^{\circ}C$에서 4주 저장 후 gallic acid, tannic acid, pyrophosphate는 형광물질과 3-deoxyglucosone과 같은 Maillard 반응중간생성물의 생성을 크게 억제하였는데, 이는 이들 synergist들의 높은 철 이온 결합능에 의한 것으로 생각되었다. 중간생성물의 생성 억제효과는 0.15% 첨가 시가 0.015% 첨가시보다 높았다. 한편 gallic acid는 갈변도를 증가시키고, tannic acid는 철 이온과 유색의 착체를 형성하므로, 갈변억제제로 citric acid를 된장에 사용할 경우 이의 synergist로는 pyrophosphate가 가장 적당한 것으로 생각되었다.

The Significance of Pyrazine Formation in Flavor Generation during the Maillard Reaction

  • Yoo, Seung-Seok
    • Preventive Nutrition and Food Science
    • /
    • 제2권4호
    • /
    • pp.360-367
    • /
    • 1997
  • The chemistry background of the Maillard reaction focused on pyrazines and factors affecting the reaction products were reviewed. The Maillard reaction, also called a non-enzymatic browning reaction, is quite complex and generates numerous reaction products. In processed foods, it is generally accepted as a key reaction to produce flavor components. Specially, pyrazines possess an important impact character on the roasted foods with other heterocyclic compounds. The Maillard reaction is initiated by condensation between reducing sugar and amino group, and N-glycosylamines are produced via Schiff base with dehydration of water. After the rearrangement of the N-glycosylamines, they follow transformation into deoxyhexosones which are reactive intermediates. Degradation and fragmentation are facilitated by rearranged compounds. By condensation, pyrazine, one of the final Maillard products, is generated as a relatively stable form to provide specific aromas. During the processes of the reaction, chemical or physical environmental parameters affect the formation of the products.

  • PDF

지질산화에 의한 갈변에 관한 연구 - 지질과 아미노산의 Maillard 반응에 있어서 Aw와 온도의 영향 - (Studies on Lipid Oxidative Browning - Effects of Water Activities and Temperatures on Maillard Reaciton of Amino Acids-Oil -)

  • 서재수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24권6호
    • /
    • pp.998-1004
    • /
    • 1995
  • 23종의 amino acid와 fish oil과의 갈변 반응에서 Aw 및 온도의 영향을 조사한 결과 Aw 0.33에서 Aw 0.85에서 3가지 형태를 보였다. Type I은 Aw 0.33과 Aw 0.95에서의 갈변도가 Aw 0.52와 0.75 보다 높은 값을 나타낸 것이며(phenylalanine, trans-4-hydroxy-L-proline, me0thionine, valine), Type II는 수분활성도가 증가할수록 갈변도가 감소한 것이며(poline, leucine, isoleucine, arginine), Type III은 Aw 0,33과 0.95 보다는 Aw 0.52와 0.75에서 높은 갈변도를 나타냈다(tryptophan, cystein, threonine, lysine). 온도에 대한 갈변도의 정도는 높은 온도 의존도를 보였는데 특히 phenylalanine, valine, trans-4-hydroxy-proline 및 methionin이었다. Activation energy는 8~40kcal/mole이었고, $Q_{10}$ 값은 2~10이었다.

  • PDF

굴 가수분해물을 이용한 천연조미소스 개발을 위한 마이얄 반응의 최적화 (Optimizing Maillard Reaction for Development of Natural Seasoning Source Using Oyster Hydrolysate)

  • 유태현;김진희;신지영;김현정;양지영
    • 생명과학회지
    • /
    • 제26권11호
    • /
    • pp.1269-1274
    • /
    • 2016
  • 굴은 "바다의 우유"라고 불릴 정도로 영양분이 풍부하고, 균형이 잡혀 있다. 또한 타우린, 글리코겐, 셀레늄과 같은 성분이 풍부하다고 알려져 있다. 또한 이러한 영양학적 특징만을 가지고 있는 것이 아니라 식품 산업에서는 천연소스로 사용되어지기도 한다. 최근 다양한 선호도와 특별한 맛 때문에 소비자들의 천연소스에 대한 선호도가 높아졌다. 이 논문은 굴과 굴 가공 부산물인 굴 자숙액을 이용한 천연소스 개발을 위하여 소스 제조에 필요한 마이얄 반응의 최적 조건을 설정하고자하였다. 최적화를 위한 결과값은 갈색도와 열을 가하면 생성되는 향미성분인 pyrazine으로 판단한다. Protamex를 이용하여 굴과 굴 자숙액을 각각 6시간, 2시간 가수분해한 가수분해물과 당은 주로 glucose, xylose, fructose와 반응시켰고, xylose가 갈색화에 가장 적합하였다. 당함량은 1% 이상에서 반응하여도 거의 동일하였으며, 경제적으로 판단한 결과, 최적 농도는 가장 낮은 농도의 1%를 선택되었다. 또한 온도를 달리하여 반응을 시켰을 때, 갈변도는 $60^{\circ}C$ 이상에서 현저히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고, 전반적으로는 갈변도와 pyrazine 모두가 온도가 상승해감에 따라 증가하였다. $120^{\circ}C$에서 가장 높은 수치를 보였지만, 이취가 발생하여 식품으로서는 부적합하였다. 따라서 $100^{\circ}C$에서 반응하는 것이 가장 적합하였다. 반응시간을 달리하여 측정한 결과, 6시간 까지는 상승을 하였으나, 6시간 이상에서 pyrazine과 갈색도의 변화가 없었다. 따라서 천연소스를 제조하기 위해 굴과 굴 자숙액 가수분해물을 이용해 $100^{\circ}C$, 6시간 동안 xylose로 마이알 반응을 시키는 것이 가장 적합하다고 판단하였다. 이러한 부산물을 이용하여 소스로 제조함으로서 산업적 이용이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

마이얄반응속도에 미치는 카페인산의 영향 (Effects of Caffeic Acid on the Rates of Maillard Reaction)

  • Son, Jong-Youn;Ahn, Myung-Soo
    •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
    • 제10권2호
    • /
    • pp.161-165
    • /
    • 1994
  • 본 연구에서는 마이얄반응속도에 미치는 카페인산의 영향을 조사하고자 하였다. 갈색화 반응속도는 60와 8$0^{\circ}C$에서 매우 느리게 나타났으나, 10$0^{\circ}C$에서 크게 증가하였다. 갈색화반응속도는 환원당보다는 아미노산의 종류에 의해 더 큰 영향을 받았다. 또한 카페인산가 첨가될 때 갈색화반응물의 색깔의 강도는 증가되었으며 이러한 증가는 주로 카페인산으로 부터 형성된 o-quinones의 중합에 기인되는 것으로 생각되었다. 더욱이 카페인 산과 아미노산, 특히 phenylalanine이나 methionine과의 상호반층에 의해 색깔의 강도는 더욱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카페인산이 첨가되지 않은 갈색화반응물의 환성화에너지는 108~130J/mo1정도, 온도계수(Q10 value)는 2.6~3.2정도였으며 카페인산의 첨가에 의해 갈색화 반응의 활성화에너지는 상대적으로 낮아졌다. 카페인산이 첨가된 갈색화반응의 활성화에너지는 80~101J/mo1정도, 온도계수는 2.0~2.6정도였다.

  • PDF

Effects of the Preheating Treatments of Raw Ginseng in the Model System on the Synthesis of the Maillard Type-Browning Reaction Products of Red Ginseng

  • Suzuki, Yukio;Choi, Kang-Ju;Uchida, Kei;Ko, Sung-Ryong
    • Journal of Ginseng Research
    • /
    • 제28권3호
    • /
    • pp.136-142
    • /
    • 2004
  • During our investigation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browning reaction of ginseng root and two compounds (arginyl-fructosyl-glucose and arginyl-fructose) in the model system of steaming and heat-drying processes for the preparation of red ginseng, the preheating treatment of main roots of raw ginseng at 60∼70$^{\circ}C$ prior to the steaming and heat-drying processes was found to bring about the gelatinization of starch granules. The enzymatic hydrolysis of gelatinized starch to maltose, a marked formation of maltose, and the increase of both free arginine and total amino acids, resulting the acceleration of the Maillard type-browning reaction of ginseng root during the steaming and heat-drying processes, and the rise of brown color intensity of red ginseng. These results show that the preheating treatment may be effective for the decrease of inside white of red ginseng.

마이얄반응생성물(Maillard reaction product)에 의한 쑥갓의 효소적갈면 억제 (Inhibition of Enzymatic Browning of Crown Daisy by Maillard Reaction Products)

  • 김지혜;송현승;박인식
    • 생명과학회지
    • /
    • 제22권11호
    • /
    • pp.1451-1455
    • /
    • 2012
  • 다양한 아미노산과 당을 $90^{\circ}C$에서 반응시켜 생성한 마이얄반응 생성물(Maillard reaction product)은 쑥갓에서 추출한 폴리페놀산화효소(polyphenol Oxidase, PPO)를 강하게 저해하였다. 글리신(glycine)과 포도당을 함유한 반응물으로부터 MRP의 생성은 $90^{\circ}C$에서 반응시간에 따라 직선적으로 증가하였으나 글리신과 포도당의 양은 상대적으로 감소하였다. 반응액에서 MRP의 증가함에 따라 반응액은 쑥갓 PPO활성을 비례적으로 강하게 저해하였다. 실험에 사용한 아미노산과 당중에서 글루타민과 자일로스를 아미노산과 당으로 이용했을 경우에 생성된 MRP가 쑥갓 PPO의 활성에 강한 저해제로 작용하였다. 카테콜을 기질로 사용한 쑥갓 PPO의 마이클레스 상수(Michaelis Menten constant)는 22.0 mM이었으며, MRP는 쑥갓 PPO의 비경쟁적 저해제로 작용하였다.

Model System Study for the Mutagenicity of Sugar-Glycine Systems

  • Lee, Jae-Hwan;Shin, Han-Seung
    • Food Science and Biotechnology
    • /
    • 제17권4호
    • /
    • pp.839-841
    • /
    • 2008
  • The mutagenicity after heating of different sugars (glucose, fructose, galactose, and tagatose) on the non-enzymatic browning reaction in different sugars and glycine model system was investigated. The model system containing 0.2 M glycine and 0.2 M of different sugars in 10 mL water was heated at $150{\pm}5^{\circ}C$ for 30 min. After heating, degree of non-browning reaction intensity and mutagenicity using Salmonella typhimurium TA 98 were examined. Heated glycine model systems containing different sugars increased their mutgenicity ranged from 30 to 372 revertant colonies. After heating for 40 min, mutagenicity was achieved with glycine model systems containing 4 different sugars with by 145, 356, 206, and 369 revertants per plate, respectively. The glycine model systems containing fructose or tagatose were significantly (p<0.05) higher mutagenic activity than glycine model systems containing glucose or galactose after 40 min of heating. The linear regression between Maillard reaction intensity and mutagenic activities (slope=32.38, $R^2=0.93$) indicates that mutagenicity could be fully ascribed to Maillard reaction produc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