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agnetic Field of Ship

검색결과 54건 처리시간 0.031초

3축 자기검출소자를 이용한 아라호의 선내자계의 측정 (Measurement of the Ship`s Magnetic Field in M . S . ARA by Use of Three Axis Magnetic Detect Elements)

  • 안영화
    • 수산해양기술연구
    • /
    • 제31권4호
    • /
    • pp.385-392
    • /
    • 1995
  • The authors have been studying about and electro-magnetic compass with a three axis magnetic sensor in order to provide and accurate ship's magnetic heading which the compass deviations can automatically compensated in the compass itself, and the theory how to derive the poisson's coefficients from ship's magnetism measured with three axis magnetic sensor. This paper describes on the analysis of deviation derived from the measured values that obtained to measure the various magnetic fields at the compass position of the M. S. ARA, training ship of Cheju University with three axis magnetic sensor at Cheju near sea from 25th, Oct, to 13th, Nov. in 1994.

  • PDF

특이치 분해 방법에 의한 함정 자기원 다이폴 모델링 방안 연구 (A Study on Dipole Modeling Method for Ship's Magnetic Anomaly using Singular Value Decomposition Technique)

  • 양창섭;정현주
    • 한국자기학회지
    • /
    • 제17권6호
    • /
    • pp.259-264
    • /
    • 2007
  • 본 논문에서는 모델 함정에 의해 발생하는 정 자기장 신호 특성을 수학적으로 모델링하는 방법에 대해 기술하고 있다. 특정 위치에 설치된 자기센서들에 의해 계측된 자기장 신호 값들로 부터 특이치 분해(singular value decomposition) 방법을 이용한 등가 자기원 다이폴 모델링 기법을 제안하였으며, 제안된 기법의 타당성은 비자성 자기실험실에서 측정된 자기장 값들과의 비교를 통해 성공적으로 검증되었다. 본 논문에서 제안된 기법은 모델 함정 뿐 만 아니라 실 함정에서의 다양한 심도 변화에 따른 정 자기장 신호 분포 특성 예측 시 직접 활용이 가능하다.

축소 모델 함정을 이용한 소자 최적화 기법의 해석적 검증 (Analytic Verification of Optimal Degaussing Technique using a Scaled Model Ship)

  • 조동진
    • 한국자기학회지
    • /
    • 제27권2호
    • /
    • pp.63-69
    • /
    • 2017
  • 함정은 작전 운용관점에서 음향적 및 자기적으로 정숙성이 요구되며, 그 중에서 함정에서 발생하는 자기장 신호는 근거리에서 적의 감시체계 및 기뢰체계 등 위협세력에 의해 쉽게 노출되게 된다. 따라서 아함의 생존성 증대를 위하여 함정의 자기장 신호저감을 위한 다양한 기법이 연구되고 있으며, 최근에는 단순히 자기장 신호의 크기 감소 뿐 만 아니라 자기장 신호의 변화율 성분에 대한 감소까지 추가적으로 요구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상용 전자기 유한요소해석 도구를 이용하여 함정 축소모델에 대한 유도 자기장 신호를 예측하고, 소자코일을 배치하였다. 그리고 기울기 구속조건을 고려한 입자 군집 최적화 알고리즘을 적용하여 소자코일의 최적 소자전류를 도출하였다. 기울기 구속조건 유/무에 따른 소자 후 자기장 신호를 비교함으로써 최적 소자기법의 타당성을 해석적으로 검증하였다.

Efficient Re-degaussing Technique for a Naval Ship Undergoing a Breakdown in Degaussing Coils

  • Kim, Dong-Wook;Lee, Sang-Kyun;Kang, Byungsu;Cho, Jeonghun;Lee, WooSeok;Yang, Chang-Seob;Chung, Hyun-Ju;Kim, Dong-Hun
    • Journal of Magnetics
    • /
    • 제21권2호
    • /
    • pp.197-203
    • /
    • 2016
  • A naval ship equipped with a degaussing system may undergo a breakdown in degaussing coils at sea. In the case, underwater magnetic field around the ship abruptly grows up and it can make the ship be easily exposed to fatal hazards such as magnetic mines or torpedoes. This paper proposes an efficient and practical re-degaussing technique for a ship where a part of degaussing coils is out of order. To achieve this, an analytical design sensitivity formula and approximated degaussing coil field are exploited, and then new optimum currents of available coils are reassessed. To validate the proposed method, a muck-up ship equipped with 14 degaussing coils is tested in scale-down magnetic treatment facilities under three faulty coil conditions.

함정 탑재 V/UHF 안테나의 전계 특성 분석 (Analysis of the Electric-field Characteristics of V/UHF Antennas Installed on a Shipboard)

  • 이진호;권준혁;송기환
    • 한국군사과학기술학회지
    • /
    • 제11권6호
    • /
    • pp.74-80
    • /
    • 2008
  • Analysis of the electromagnetic environment on topside of a ship is needed for optimal arrangement of all kinds of antennas to be installed on the shipboard in order to minimize the probability of EMI of equipment and subsystems in real ship after construction phase. In this paper we analyze the characteristics of electric-fields such as radiation patterns and near E-fields of V/UHF antennas installed on a shipboard. We compare simulated results with measurements on the real ship for near E-fields to verify the reliability of the computed electromagnetic environment. Although there are various factors causing errors such as cable loss and impedance mismatching etc. when measuring near E-field, both data show similar trends in the range of the acceptable tolerance.

고망간강의 함정 선체 적용 가능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Applicability of High Manganese Steel to Naval Ship Hulls)

  • 신광호
    • 대한조선학회논문집
    • /
    • 제61권1호
    • /
    • pp.61-67
    • /
    • 2024
  • A naval mine is an effective weapon system implemented for defending defends ports and seas. A mine is an underwater weapon that poses a great threat to ships sailing over the sea from shallow areas. Most of the influence-type naval mines detect magnetic field signals from ships and determine the final time of fire. Therefore, the level of underwater electro-magnetic signatures of ships is a key requirement for determining the survival of ships in wartime situations where mines are emplaced. The main reason why the high manganese steel is attracting attention for naval ship hulls is its nature as a non-magnetic steel. The non-magnetic hull does not generate electro-magnetic signatures; thus, it has the advantage improving the stealth of the ship. In this paper, I examine whether this material can be applied in the hulls material of naval ships that must be ableto reduce underwater electro-magnetic signatures by considering the non-magnetic characteristics of the first developed high manganese steel in the world.

디지털 자기 컴퍼스의 자차와 편차 수정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Correction Method for Deviations and Variations of Digital Magnetic Compass)

  • 임정빈;람파드하사하
    • 해양환경안전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해양환경안전학회 2006년도 추계학술발표회
    • /
    • pp.137-141
    • /
    • 2006
  • 선박용 디지털 컴퍼스를 사용하는 경우 선박의 진방위를 획득하기 위해서는 고정밀도의 자차와 편차가 필요하다. 편차는 지구자장의 주 자장과 경년변화에 대한 구면 지구 조화 모델을 이용한 WMM(World Magnetic Model)으로 예측 가능하였고, 자차는 포아송 방정식을 적용한 자차계수 합성과 분석 방법을 적용한 방법을 이용하여 획득 가능하였다. 실습선 '새누리호' 항해 중 디지털 컴퍼스에 편차와 자차를 가해준 결 과 정확한 진방위 획득이 가능하였다.

  • PDF

총체적 선체현장의 이론 모델 (Theoretical Model of Over-all Ship's Magnetism)

  • 정태권;이상집
    • 한국항해학회지
    • /
    • 제14권1호
    • /
    • pp.1-7
    • /
    • 1990
  • A theoretical model for the over-all ship's magnetism was developed, on the assumption that the magnetism of a three-island type vessel can be regarded as that of the prolate spheroidal magnetic body. Modelled values were determined by the simulation on the base of the theoretical analysis of the magnetic field around the above-mentioned magnetic body. The real values were made of the data observed from four different three-islands type vessels alongside the piers. The agreement between the modelled and real values was found to be accurate.

  • PDF

총자력계를 이용한 선상 삼성분 자기 데이터의 선박 점성 자화 효과에 대한 새로운 보정 방법 연구 (A New Correction Method for Ship's Viscous Magnetization Effect on Shipboard Three-component Magnetic Data Using a Total Field Magnetometer)

  • 최한진
    • 지구물리와물리탐사
    • /
    • 제27권2호
    • /
    • pp.119-128
    • /
    • 2024
  • 해양자력탐사는 다른 탐사법에 비해 측정이 간편하여 해저 지구조 및 광상자원 분포 등의 탐사에 개척자 탐사로 주요하게 사용되는 방법이다. 측정은 주로 해수면 견인 자력계와 선상 삼성분 자력계를 주로 사용하고 있다. 해수면 견인 자력계는 분해능이 높다는 장점이 있지만 독자적인 연구선을 사용해야 하고, 자기장의 세기 만 측정할 수 있는 반면, 선상 삼성분 자력계는 상대적으로 분해능이 낮지만 자기장의 벡터 삼성분을 측정할 수 있고 연구선을 단독으로 사용하지 않아도 자료를 획득할 수 있다는 큰 장점을 가지고 있다. 하지만, 선상 삼성분 자력계는 선박의 자성 영향으로 인해 측정된 자료의 까다로운 보정이 필요하다. 현재까지 다양한 방법론이 제시되었지만 점성자화의 영향으로부터 벡터 삼성분의 보정이 불가능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해수면 견인 총 자력계와 선상 삼성분 자력계를 동시에 획득하였을 경우, 회전행렬을 통하여 간단하게 선상 삼성분 자력계로 얻은 자료를 해수면 견인 자력계로 얻은 자료로 바꿔 줌으로써 선박의 점성자화 성분을 효과적으로 제거하여 벡터 삼성분 자력이상 자료를 근사하여 보정하는 방법을 고안하였다. 오차분석을 통해 약 7-25 nT의 오차가 발생한 것을 확인하였는데 이는 지자기 이상 벡터의 잔여성분과 이로부터 유도되는 점성자화의 영향으로 여겨진다. 이 방법은 해양지자기의 정확한 벡터성분을 제공함으로써 지자기 이상 벡터성분의 다양한 해석을 가능하게 할 뿐만 아니라, 판 이동 및 지질 구조 연구, 해양 자원 개발 등 탐사의 정확성 향상에 크게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