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aejakgwa

검색결과 18건 처리시간 0.032초

허브 첨가 매작과의 저장성에 대한 연구 (The Effect of Herbs on Storage Characteristics of Maejakgwa)

  • 김경숙;최선영
    •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
    • 제21권3호
    • /
    • pp.320-327
    • /
    • 2008
  • The principal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assess the storage characteristics of the maejakgwa to which herb extracts had been added. Moisture was highest in the rosemary sample, and significantly so. Ash and crude fat levels were highest to a significant degree in the olive and rosemary samples. Crude protein was shown to be significantly high in the rosemary and lavender samples. With regard to our mineral analysis, the rosemary sample evidenced the highest mineral levels, at 1,143.6 mg/100g. In the case of rosemary, lavender, thyme, lemon balm and olive-added samples, the Ca, K and P contents were found to be the highest. A total of 16 amino acids was detected. The rosemary sample had the highest levels, at 9,897.8 mg/100g. With regard to free sugar content, glucose, fructose and sucrose levels were significantly higher. As the result of our measurements of the storage period. However, the rising tendency resulted in a significant difference observed 6 days later. When we assessed changes according to the quantity of herbs added, the acid value was shown to be significantly lower in the group with a 2% addition than in the control, which suggested that the storage characteristics in herbs could be enhanced. With regard to the change in TBA, according to the passage of the storage period, the TBA value increased significantly in all the groups with added herbs. When we assessed the changes according to the amount of herbs added, much lower values were observed in the group with addition than the control, which suggests that the storage characteristics could be enhanced by the addition of herbs. In particular, a high level of anti-oxidative activity was observed in the group to which 2% herbs had been added.

구기자 용매추출물과 구기자 매작과의 항산화 효과 (Antioxidative Effects of Solvent Extracts of Lycii fructus Powder (LFP) and Maejakgwa Made with LFP)

  • 박복희;조희숙;김동한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4권9호
    • /
    • pp.1314-1319
    • /
    • 2005
  • 구기자 용매추출물의 항산화력과 구기자 분말을 첨가한 매작과의 저장과정 중 항산화 효과를 확인함으로써 구기자 이용의 효율성 증대를 모색하고자 하였다. 식용 대두유에 BHT와 $\alpha$-Toc은 $0.02\%$ 첨가하였고, 구기자 용매 추출물(MeOH, EtOH, EA, PE)은 $0.05\%$씩 첨가하여 oven법으로 항산화효과를 살펴본 결과, 산가의 경우 대부분의 시료가 대조구보다 높은 항산화 효과를 보였으며, 특히 MeOH의 추출물은 뚜렷하게 항산화 효과가 높은 것으로 비교되었다. 과산화물가는 저장 10일 이후부터 증가하기 시작하여 그 후25일까지 급격히 증가한 후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MeOH 추출물은 가장 항산화 효과가 높게 나타나 BHT보다 약간 낮거나 비슷한 수준이었고, TBA가는 구기자 용매추출물이 전반적으로 대조구와 $\alpha$-Toc에 비해 낮은 값을 나타내었다. Rancimat 방법으로 구기자 용매추출물의 유도기간을 측정한 결과 대조구의 경우 $253\pm0.02$분, PE군은 $256\pm0.18$분, $\alpha$-Toc군은 $255\pm0.17$분, EA군은 $305\pm0.17$분, BHT군은 $309\pm0.05$분, EtOH군은 $316\pm0.01$분, MeOH군은 $320\pm0.05$분의 순으로 나타나 BHT 첨가군보다 MeOH군과 EtOH군의 항산화효과가 더 높음을 알 수 있었다. 구기자 분말을 첨가한 매작과의 저장기간에 따른 산가는 모든 실험군에서 유의적으로 증가하였고, 대조구보다 구기자 첨가군에서 더 낮았다. 과산화물가는 저장 30일까지 급격히 증가한 후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TBA가는 구기자 $3\%,\;6\%$$9\%$ 첨가군은 대조구보다 낮은 값을 나타내 지방의 산화를 지연시켰으나 $15\%$ 첨가군에서는 오히려 대조구보다 높아 산가와 같이 산화를 촉진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허브 추출물에 따른 매작과의 품질 특성 (Quality Characteristics of Maejakgwa with Added Herb Extracts)

  • 김경숙;최선영
    •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
    • 제21권3호
    • /
    • pp.312-319
    • /
    • 2008
  • The principal objective of was to assess the effects of herb extracts on the antioxidant activity and quality characteristics of Maejakgwa. The total phenolic and flavonoid contents were found to be the highest by a significant degree in the rosemary, lavender, thyme, lemon balm and olive samples, in order. With regard to electron donating ability, increasing concentrations of added herbs resulted in a more significant rise in the DPPH radical scavenging effect in a range of concentrations of between $100{\sim}1000{\mu}g/m{\ell}$. In particular, the rosemary, lavender, and thyme samples were shown to be lower in antioxidant activity than ascorbic acid, but higher than a-tocopherol, thus the antioxidant activities detected in the rosemary, lavender, and thyme samples were considered to be excellent. With regard to reducing ability, increases in the concentration of added herb extract resulted in significant growth. However, the anti-oxidative activity detected in the rosemary extract was indicated to be superior even to that of $\alpha$-tocopherol when added to concentrations of $500{\sim}1,000{\mu}g/m{\ell}$. In our assessment of external appearance, color, flavor, texture, and overall quality, the highest preference was seen in the control group and in the group with 2% added rosemary extract. The lowest score was earned in the group with a 5% addition of rosemary. The functional ingredients and antioxidant activities of the samples were excellent. Our results appear to indicate that rosemary has some value as a natural antioxidant that can prevent oxidation in food.

감가루를 첨가한 매작과의 관능적 특성 (Sensory Characteristics of Mae-jak-gwa with Persimmon Powder)

  • 이희해;고봉경
    •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
    • 제18권2호
    • /
    • pp.216-224
    • /
    • 2002
  • 가공저장하지 않은 단감을 씨와 꼭지만 제거하고 껍질 체로 동결 건조하여 60 mesh 이하로 분쇄하여 감가루를 제조하고, 이를 첨가하여 매작과를 조리하였다. 중심합성 계획법에 따라서 감가루의 첨가량과 튀김 온도 및 시간의 세 가지 변수가 조절되어 매작과가 조리되었으며 각 매작과의 품질 특성은 관능 검사를 통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에서 첨가한 25% 이내의 감가루 함량일 때, 매작과의 색은 첨가된 감가루 함량보다는 튀김 시간과 온도에 따라서 더 영향을 받았다. 매작과의 품질에 대한 전체적인 선호도와 질감의 관계는 점착성이 적고 바삭함이 클수록 선호도가 높았다. 점착성은 감가루의 함량에 대한 영향이 다른 관능 특성에 비하여 크지만, 감가루의 함량이 많더라도 튀김 시간 및 튀김온도가 높을 때는 점착성이 적었으므로 튀김 시간과 온도를 이용하여 조정 할 수 있다. 바삭함은 선호도에 가장 높은 상관도를 나타내므로 바삭할 수록 품질 선호도가 높은 것을 확인 할 수 있었고 튀김 온도가 가장 중요한 반응 변수이며 튀김 시간과 감가루의 함량은 비슷한 영향을 나타내는 것을 알 수 있다. 단단한 정도 또한 튀김 온도의 영향이 크며 감가루의 함량과 튀김 시간에 따른 뚜렷한 차이가 없었다. 감가루 첨가에 따른 단맛의 상승 효과는 함량이 높을때는 그 효과가 뚜렷이 나타났지만, 첨가량이 적어질수록 감의 첨가량보다는 튀김온도에 따른 영향이 크게 나타나 튀김에 의한 고소한 맛이 단맛의 상승작용을 느끼게 하는 것으로 생각된다. 매작과의 뒷맛 또한 감가루의 첨가량에 따라서 가장 큰 영향을 받지만 높은 온도에서 튀김시간이 길어지면 튀김으로 인한 뒷맛이 강하였다. 감가루를 첨가한 매작과의 선호도는 높은 온도에서 튀길 때는 짧은 시간에 제조하며 낮은 온도에서 튀길 경우는 튀기는 시간이 길수록 선호도가 증가되는 경향으로 튀김 조건에 대한 영향이 크다. 본 실험에서는 실험의 중심점인 감가루 함량 15% 일때 145$^{\circ}C$에서 4분간 튀겼을 때 가장 높은 선호도를 나타냈다. 본 연구의 목적인 감가루의 소비를 위해 함량을 늘일 경우는 최대 20%까지 첨가하면 155$^{\circ}C$에서 3 분간 튀겼을 때 가장 선호도가 높은 감가루 함량이 적은 시료와 선호도의 차이가 같았다. 따라서 감가루 매작과의 관능적 품질 특성을 향상시킬수 있는 최적 조건은 감가루의 함량을 고정하였을때, 색과 바삭거림과 전체적인 선호도가 겹치는 지점인 튀김 온도가 131~14$0^{\circ}C$에서 5~6분간 튀겼을때 가장 적당하였다.

연잎 분말을 첨가한 매작과의 품질특성 (Quality characteristics of Maejakgwa with added Nelumbo nucifera leaf powder)

  • 박복희;박미영;조희숙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21권3호
    • /
    • pp.328-333
    • /
    • 2014
  • 본 연구는 항산화 효과를 비롯한 다양한 기능성이 있는 연잎 분말의 효과적인 활용을 위해 한과의 일종인 매작과를 제조한 후 품질특성을 평가함으로써 현대인의 기호에 맞는 건강식품으로 연잎 매작과의 개발 가능성을 검토하였다. 매작과 반죽의 pH는 연잎 분말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밀도는 연잎 분말을 첨가하지 않는 대조군이 $1.24{\pm}0.02$였으며, 연잎 분말을 첨가한 매작과는 $1.21{\pm}0.02{\sim}1.28{\pm}0.02$의 범위를 나타내었다. 퍼짐성과 수분함량은 연잎 분말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대조군보다 첨가군이 유의적으로 높았다. 매작과의 색도 측정 결과, 연잎 분말 첨가량이 증가함에 따라 명도(L값), 적색도(a값) 및 황색도(b값)는 유의하게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매작과의 경도는 대조군에 비해 연잎 분말 첨가군이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다. 관능평가 결과, 맛이 가장 좋으며 바삭함이 좋은 3% 첨가군이 전반적이 기호도에서 가장 좋게 평가되었다. 따라서 연잎 분말을 첨가하여 매작과를 제조할 때 밀가루에 연잎 분말을 3% 첨가하는 것이 전반적인 기호도 면에서 가장 적절한 것으로 여겨진다. 이상의 결과에서 매작과에 대한 연잎 분말의 첨가는 전반적인 기호도, 저장성 향상 및 맛 증진에 효과적일 것으로 사료되며, 현대인의 기호에 맞는 건강식품으로 연잎 매작과의 개발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사료된다. 이 연구의 제한점은 연잎 매작과의 항산화성 효과가 제한되었고 주로 품질 특성 부분에 기초하여 조사하였다는 점이다. 따라서 향후 연잎 분말을 첨가한 식품의 생리활성 및 항산화 효과에 대한 보다 심층적인 연구가 필요하다.

종가의 과정(한과)류에 관한 탐색적 연구 (An Exploratory Study on Kwa-Jung-ryu of Head Families)

  • 권용석;김영;김양숙;최정숙;이진영
    • 한국식생활문화학회지
    • /
    • 제27권6호
    • /
    • pp.588-597
    • /
    • 2012
  • This study was to examine Kwa-Jung-ryu, a traditional Korean confectionery, made by head families. We examined the materials and recipes of Kwa-Jung-ryu, which were classified into Yumilgwa, Yugwa, Jeonggwa, Dasikgwa, Yeot-Gangjeong, Dang (Yeot), and others. There were 13 head families that introduced Kwa-Jung-ryu, two each from Gyeonggi-do, Jeolla-do, and Chuncheong-do, and seven from Gyeongsang-do. There are 33 types of Kwa-Jung-ryu, which averages to about 2.5 types per family. But the Pungsan Ryu, Yeoju Lee, and Andong Kwon families introduced the most Kwa-Jung-ryu with 5 types each. The most popular types of Kwa-Jung-ryu were Yumilgwa, introduced by 7 families (Yakgwa by 6 and Maejakgwa by 1), then Jeonggwa by 6 families (Jeonggwa by 3, Pyeon-gang by 1, and Jeonggwa and Pyeon-gang by 2), and Dasikgwa and other Kwa-Jung-ryu by 5 families (Gotgam-mari by 4 and Seopsansam by 1). Classifying Kwa-Jung-ryu by recipe, the most frequently introduced were 8 types of Jeonggwa-ryu, 7 types of Yumilgwa, 5 types of Dasikgwa, 3 types of Yeot-Gangjeong and Dang (Yeot), and 2 types of Yugwa.

경기지역 전통음식 중 과학화 및 상품화 대상음식 선정 및 음식선정 인자분석 (A study on the selection of Kyunggi area traditional Korean foods suitable for standardization and commercialization, and factor analysis of the selections)

  • 임영숙;김행란;한귀정
    •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
    • 제23권4호통권100호
    • /
    • pp.511-529
    • /
    • 2007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raditional Kyunggi area Korean foods suitable for standardization and commercialization as well as to investigate the perceptions of experts about these foods, and to analyze the important value factor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classified traditional food groups by residents of the Kyunggi(n=104)areas of Korea. We determined the degree of value of various traditional foods by asking respondents to 13 items based on a 5 point Likert scale, and used the total scores of the items to determine their value. Based on the results of the total scores and frequently chosen foods, we attempted to select the foods suitable for standardization and commercialization. The results are summarized as follows. For main dishes Ogok-bap was selected as the primary suitable for standardization and commercialization. Next were Incheon yeong yang bap, Hobak-beombek, Hobak-juk, Gesungpyeonsu, Tteokguk, Kimchibap, Kimchimandu, and bap, respectively. Of the side dishes Bossam-kimchi was selected as the primary suitable food for standardization and commercialization followed by Bindaetteok, Sondubu, Samgyetang, Baekkimchi, Doenjang-jjigae, Suwongalbi, Japchae, and Cheonggukjang-jjigae, respectively. Finally, for favorite foods, Duteop-tteok was selected as the primary food suitable for standardization and commercialization. Next were Jeungpyeon, Yakgwa, Yaksik, Maejakgwa, Ssuk-tteok, Yeongeunjeonggwa, Songpyeon, and Osaekdasik, respectively. This study shows that a resident's evaluation of a traditional Kyunggi Korean food is affected by the their sense of value of the food, as well as by the social structure, which includes the population, economic condition, food policies, industrial technology, and culture. This research was conducted to preserve traditional Kyunggi Korean foods and to improve this area's regional income from the prospect of sellable goods. We expect that this research to be used as basic data in the development of new commercial traditional foods by the food industry, by offering a better understanding of diverse consumer sense and to also be used with dietary education data relative to following traditional meal patterns for diverse age groups.

한과류의 인지도와 대중화 방안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Awareness and a Method to Popularize Korean Traditional Sweets)

  • 김선경;장순옥
    • 한국조리학회지
    • /
    • 제22권7호
    • /
    • pp.58-71
    • /
    • 2016
  • 본 연구는 한과류의 문화적인 가치와 우수성을 제대로 인식시킴과 동시에 현대사회에서의 한과류산업이 직면한 문제점과 대중화 방안을 살펴보았으며, 한과류에 대한 인지도를 분석하였다. 조사대상자의 한과류에 대한 가장 높은 인지도를 나타낸 한과는 남녀 모두에서 약과였으며, 인지도가 가장 낮은 한과류는 차수과가 가장 낮았다. 인지도에 유의한 차이를 보인 한과류는 여자가 남자보다 오색다식, 흑임자다식, 도라지정과, 인삼정과 등에 높은 인지도를 나타내었다(p<0.05~p<0.001). 주로 성장한 지역에 따른 인지도에 유의한 차이를 보인 한과류는 매작과, 오색다식, 쌀다식, 흑임자다식으로 나타났으며, 반면에 호두강정은 농어촌지역이 다른 지역(대도시, 중소도시)보다 높은 인지도를 보였다(p<0.001). 한과류 산업이 직면한 문제점으로는 남 여 모두 보편화가 되지 않았으며, 판매가격이 비싼 것이 문제점이었다. 한과류의 이용횟수가 줄어드는 이유로는 남 여 모두 양과류보다 쉽게 접할 수 없어 구매가 어렵고, 맛이 덜하다, 가격이 비싸서 이용횟수가 줄어든다고 하였다. 한과류의 대중화를 위한 시급한 과제로는 남 여 모두 모양과 재료를 다양하게 사용하여야 하며, 여러 가지 맛을 개발하여 가격을 싸게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과류의 산업화를 위한 시급한 과제에서는 남, 여 모두 제품의 다양화와 마케팅 강화가 시급한 과제라고 높게 응답하였다. 따라서 한과류산업이 직면한 문제점으로는 보편화되지 않았기 때문이며, 양과류보다 쉽게 접할 수 없어 구매가 어렵다고 하였으며, 한과류의 대중화를 위해서는 모양과 재료를 다양하게 사용함과 동시에 현대인의 입맛에 맞는 맛을 새롭게 개발하여 저렴한 가격과 함께 포장에도 신경을 써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