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aeil Shinbo

검색결과 5건 처리시간 0.02초

개화기 한국가정생활: 매일신보 사설을 중심으로 (Korean Family life in Early 20th Century: Editorial of Maeil-Shinbo, 1910~1945)

  • 임정빈
    • 가족자원경영과 정책
    • /
    • 제3권1호
    • /
    • pp.95-104
    • /
    • 1999
  • This study aims to review the family life and its changing process in the early twenty’s century. It is explored through the editorial of the Maeil-Shinho during 1910∼1945. It is valuable work to explore of family life in the Maeil-Shinbo newspapers because it was continuously published from 1910 to 1945. The author attempted to study family life in five major such as food and nutrition, clothing, resource management, family, and child care. And of the articles food and nutrition parts ranks the highest order and clothing care was the second highest. In the early nineteenth century, many of articles were about to family life but decreased its amount by 1940. Of the editorials, most articles had dealt with the educational context in order to improve the quality of family life.

  • PDF

일제하 "조선미술전람회" 관련 신문보도에 나타난 일본의 오리엔탈리즘 (Discourse Analysis of News Coverage about Chosun Art Exhibition in the Japanese Occupational Era)

  • 유진환;이창현
    • 한국언론정보학보
    • /
    • 제54권
    • /
    • pp.5-31
    • /
    • 2011
  • 이 논문은 1922년부터 1944년까지 열렸던 조선미술전람회에 대한 신문보도의 내용을 분석하여 그 특성을 파악한 것이다. 조선미술전람회는 일본의 식민지배하에 있는 조선 미술의 낙후성과 미개함을 강조하고, '지방색'만을 강조함으로써 식민지 조선의 '열등한 정체성'과 일본의 '우월한 정체성'을 차별적으로 확인하게 만드는 수단이 되었다. 아울러 서양은 발전된 현재이고 동양은 과거에는 발전했으나 현재는 정체된 것으로 바라보는 오리엔탈리즘의 기본 시각이 재현되어 조선의 미술문화를 쇠락(衰落)한 지방문화쯤으로 치부하고 있다. 일제하 총독부 신문이었던, 매일신보에 대한 담론 분석결과 한편으로는 식민지 조선을 중앙(일본)의 연장선상에 있는 '지방(내지)'으로 편입하는 '동화주의적' 측면을 가지면서도, 다른 한편으로는 근대화된 일본과는 구분되는 미개한 일개의 '지방(외지)'으로 차별화하는 '배제주의적' 측면을 갖고 있었다. 동아일보의 경우 오리엔탈리즘적인 시각에서 벗어나지 못하면서도, 조선 미술의 자존심을 지키려는 방식으로 기사를 구성했다는 점에서 혼종적인 보도 태도를 보이고 있었다.

  • PDF

덕혜옹주 유년기 사진의 내포적 메시지에 관한 연구: 롤랑 바르트의 기호학적 사진 분석 방법론을 중심으로 (A Study on the Connoted Messages of Princess Deokhye's Childhood Photography: Focusing on Roland Barthes' Semiological Methodology for Analysis of Photography)

  • 한상훈;이상은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22권6호
    • /
    • pp.208-222
    • /
    • 2022
  • 본 연구는 일제강점기에 덕혜옹주의 소학교 입학 전 사진들이 신문에서 어떻게 활용되었는지 롤랑 바르트의 기호학적 사진 분석 방법론을 도입하여 분석한 것이다. 1920년대 초, 일제는 자신들의 교육 정책을 홍보하기 위해 소학교 입학을 앞둔 덕혜옹주를 적극적으로 활용하였다. 매일신보는 덕혜옹주의 사진과 기사를 보도하면서 그들의 정책에 협조했다. 본 논문에서는 매일신보에 게재된 2장의 사진과 기사를 분석했다. 그 결과 다양한 사진의 수사적 기법과 텍스트를 상호보완적으로 활용해 일본화 교육을 정당화시키는 메시지를 생산하면서, 독자들이 그것을 자연스럽게 받아들이도록 유도하고 있었음을 알 수 있었다. 결론적으로 이러한 기사들은 단순히 정책의 홍보에 그치지 않고 조선의 전통적 가치의 소멸을 부추기는 것이었다는 점에서 문제의 심각성이 있음을 밝힐 수 있었다.

한국복식문화 특성의 변천에 관한 연구-1920년부터 1990년까지- ("The Changes In Cultural Characteristics of Dress and Adronments in Korea"(From 1920 to 1990))

  • 강혜원
    • 복식
    • /
    • 제22권
    • /
    • pp.23-44
    • /
    • 1994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larify the cultural characteristic of dress and adornments by examining articles on dress adornments and related items in Korean newspaper over periods historically and objectively by means of content analysis. This study attempted to at-tain a macro-cultural view by analysing to at-tain a macro-cultural view by analysing closely the cultural characteristics of dress and adornments as a micro-cultural system through culturally based model suggested by hamilton. The two-hundreds and eighty articles on dress and adornments were selected from newspapers(most by form Chosun Ilbo and partly from Maeil Shinbo) pulished between 1920 and 1990.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The culture of dress and adornment received much attention during the 1930's and 1960's and little during 1950's. 2. Various cultural characteristics of dress and adornments appeared on and after 1960's: reporting more foreign news items showing foreign-oriented and future-oriented features showing cultural relativism. In the 1920's and 1970's the contents of news items on dress and adornments show the most common- mass- oriented character. Foreign-oriented cultural tendencies in cloth-ing were increasing during from 1960's to 1970's but the tendencies were turned to rather tradition-oriented features on and after 1980's compare with 1960's-1970's. Advisory critical articles on dress and adornments were small in number and insignificant but compare with other periods these received much atten-tion during the 1920's and 1980's. 3. Ideological components received much at-tention on and after 1920's to 1990. Techo-nological components received much attention during 1920's and little during 1960's. The social structural components received a little attention on and after 1920's-1940's and 1990. 4. News items on women's dress and adornments received much attention from the 1920's to 1960's and news items on both men's and women's dress and adorments were in-creasing and received much attention on and after the 1970's. 5. The pragmatic cultures were mostly re-lated to techonological components and evaluative-normative culture were mostly re-lated to ideological and social structural components. In the light of these results dress and adorments as a cultural sub-system comprise a dynamic inteacting system that articulated directly with the macro-cultural system.

  • PDF

일제강점기 조선총독부의 통치정책과 영화의 활용에 관한 연구 (The study about the ruling policy of Government-General of Chosun and its use of films for the political propaganda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period(1910-1945))

  • 조희문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7권6호
    • /
    • pp.1407-1415
    • /
    • 2006
  • 일본은 1910년, 한국과 을사보호조약을 체결한 것을 계기로 한반도에 대한 식민지 통치를 시작했다. 조선총독부는 한국 내에서 입법, 사법, 행정력을 독점한 최고 권력기관이었다. 일본의 한국지배는 1945년까지 계속되었으며 조선총독부 또한 그때까지 존속했다. 조선충독부는 일본의 한국통치 정책을 충실하게 집행하는 기관이었으며 한국인의 반일, 항일 행위를 무마하고 일본에 대해 우호적인 태도를 갖도록 하기 위한 정책을 지속적으로 펴나갔다. 이를 위해 일본은 일본과 한국은 같은 뿌리에서 탄생한 공동운명체라는 개념을 의식화하여 '내선일체(內鮮一體)' 정책을 주요 수단으로 삼았다. 궁극적으로는 일본과 한국이 하나의 국가라는 개념을 실현하려는 것이다. 이같은 방침에 따라 일본은 한국인을 일본인으로 동화시키기 위한 정책을 지속적으로 펴나갔는데, 1910년부터 1919년까지는 억압적인 통제에 의존했다. 그러나 이같은 조치는 1919년 3월 1일을 기해 대대적으로 일어난 항일 민중봉기에 의해 전면적인 전환을 하기에 이른다. 이후에 취임한 3대 총독 사이토(濟藤實)는 보다 우호적인 문화정치를 표방하며 한국인을 적극적으로 회유하고자 했다. 정책의 변화는 여러 가지 후속 조치들로 구체화 되었는데 민영 언론매체의 설립 허용, 시찰단 구성, 박람회 개최 같은 일들이 그것이다. 일간신문의 경우 이전에는 매일신보 경성일보, Seoul Press 등 총독부 기관지만 발행되었으나 이후 동아일보 조선일보 등의 한국어 신문이 허용되었으며 잡지들도 발간되기 시작했다. 이와 함께 일본파 한국의 상호 이해를 증진시키기 위한 조치로서 일본과 한국시찰단을 구성하여 상호방문하는 사업을 펴기도 했고, 박람회를 개최해 일본의 우수한 문물을 한국인들에게 과시하려는 시도도 나왔다. 이같은 조치의 기저는 '주지(周短)와 선전(宣衝)을 보다 효과적으로 실행하기 위한 것이었다. 이 과정에서 중요한 역할을 담당한 것이 영화였다 조선총독부가 활동사진반을 설치하고 홍보 선전 영화의 제작과 배급에 각별한 노력을 기울인 것은 영화의 선전기능과 효과를 십분 이해하고 있었기 때문이다. 중국(만주), 미국과 차례로 전쟁을 시작한 1937년 이후에는 민간의 영화제작을 엄격하게 금지하는 한편 선전영화 제작을 위한 영화사를 별도로 설립했다. 1942년부터 1945년 사이에 는 조선총독부의 조종을 받는 한개 영화사만이 존재해 선전영화만을 제작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