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acrofauna

검색결과 42건 처리시간 0.02초

황해 대청도 옥죽포의 외해로 노출된 모래갯벌에 서식하는 대형저서동물의 대상분포 (Zonation of the Exposed Sandy Beach Macrofauna in Okjukpo, Taechongdo, Korea)

  • 윤상필;홍재상
    • 한국해양학회지:바다
    • /
    • 제5권2호
    • /
    • pp.146-156
    • /
    • 2000
  • 황해 대청도 옥죽포의 모래갯벌에 서식하는 대형저서동물의 대상분포 양상을 파악하기 위해 1998년 6월 24일에 1개의 조사지선을 설정하여 10개의 정점에서 조사를 실시하였다. 퇴적물의 평균 입도 범위는 1.97${\sim}$2.23${\phi}$였으며, 유기물 함량은 0.52${\sim}$1.02% 사이의 값을 나타내었다. 조사 결과 총 25종의 저서동물이 채집되었으며, 채집된 저서동물의 총 개체수와 생체량은 각각 10,705개체, 89.13 gWWt였다. 본 연구 지역에서 가장 우점한 분류군은 미소갑각류에 속하는 단각류와 등각류였으며, 주요 우점종으로 Eohaustorius setulosus(33%), Excirolana chiltoni(26%), Haustorioides koreanus(12%), Platorchestia crassicornis(8%), Cycladicama cumingii(6%) 등이 출현하였다. 이들 주요 우점종들의 대상분포 양상은 Dahl(1952)과 Jo(1990)의 연구 결과와 매우 유사하였으며 다음과 같이 3층의 대상분포 양상이 뚜렷하게 나타났다: (1) 상부의 Platorchestia crassicornis, (2) 중부의 Excirolana chiltoni, (3) 하부의 haustoriid - dogielinotid - urothoid - oedicerotid로 구성되는 단각류 군집.

  • PDF

울돌목 암반조간대 부착생물상 연구 (A Survey of the Rocky Intertidal Biota in Uldolmok, Korea)

  • 박자양;임병진;이재일
    • 한국신재생에너지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신재생에너지학회 2005년도 춘계학술대회
    • /
    • pp.502-506
    • /
    • 2005
  • 2003년 11월과 2004년 4월의 2회에 걸쳐 상용조류발전소 건설 예정지인 울돌목에서 발전소 건설로 인해 야기될 주변생태환경의 변화를 파악하기 위해 4개 지점의 주변 암반조간대에 형성된 기존의 부착생물상 조사가 수행됐다. 울돌목 주변의 암반조간대에 형성된 부착생물상은 서식 형태에 따라 크게 대형해조류(Macroalgae)를 포함한 고착생물, 소 이동성 부착동물, 이동성 소형 무척추동물 등으로 구분된다 부착생물상은 서식양상에 있어 각각의 정점별 특이성이 관찰되었으며, 이는 각기 다른 비생물학적 요인에 따라 지역 특유의 서식환경이 조성되어 있음을 시사하는 간접적인 결과로 간주된다. 이같은 지역 간 생물상 차이는 조위에 따른 수직분포 분석결과 주로 중부조간대를 중심으로 형성된 생물상에 따라 대별되고 있음이 발견되었다.

  • PDF

인천 화수 부두 주변 해역의 저서생물의 군집구조와 분포 (The Community Structure and Distribution of the Benthic Macrofauna near Hwasoo Wharf, Inchon, Korea)

  • 김재진
    • 자연과학논문집
    • /
    • 제10권1호
    • /
    • pp.49-56
    • /
    • 1998
  • 1995년 10월부터 1996년 9월까지 인천 화수 부두 주변 해역의 저서생물상을 조사하였다. 다모류가 모든 정점에서 4계절 모두 우점하였다. 그 다음으로 연체동물과 갑각류가 많이 출현하였으며 극피동물은 닻해삼 1종(Protankyra bidentata)만이 출현하였다. 정점 1에서는 오염지표종으로 알려진 Capitella capitata가 적은 수나마 출현하여 다른 정점에 비하여 오염이 다소 진행된 것으로 생각되며, 정점2와 3에서는 Heteromastus sp.가 다량 출현하여, 유기물 유입이 많은 곳으로 추정된다.

  • PDF

신두리 해안의 조하대와 모래 갯벌에 서식하는 대형저서동물의 분포 (Distribution of Benthic Macrofauna in subtidal area and on sand flat of Sindu-ri coast, Korea)

  • 구본주;신상호;우한준
    • 한국습지학회지
    • /
    • 제7권2호
    • /
    • pp.69-88
    • /
    • 2005
  • 신두리 해안의 조하대와 갯벌에서 2002년 7월 대형저서동물의 분포를 조사하였다. 조사 해역에서는 총 134종, 3,511개체, 388g의 저서동물이 채집되었다. 조하대 10개 정점에서는 109종, 1,298개체/$m^2$, $69.4g/m^2$의 저서동물이 출현하였으며, 이 가운데 갯지렁이류가 54종, 813개체/$m^2$의 분포를 보이며 출현 종수 (49.5%)와 서식밀도 (62.7%)에서 가장 우점하는 분류군이었다. 집괴분석 결과 신두리 해역에는 퇴적물 특성에 따라 네 개의 저서동물군집이 형성되어 있었다. 펄과 자갈이 혼재하는 양식장 주변 해역에는 Cirrophorus armatus와 Lumbrineris longifolia로 대표되는 군집, 암반기질로 된 해역에는 Aonides oxycephala 군집, 모래 함량이 높으며 최저조선에 인접한 곳에는 Scoloplos armiger와 Grandifoxus cuspis 군집, 그리고 역시 모래 함량이 높으며 외해쪽으로 인접한 해역에는 뚜렷하게 우점하는 종 없이 균등도지수가 높은 군집이 형성되어 있었다. 양식장 주변 해역의 저서동물 군집은 출현 종수, 서식밀도, 종다양도지수가 높았으나 오염지시종들이 우점하고 있었다. 모래 퇴적물 해역에는 S. armiger와 G. cuspis 등이 우점하는 일반적 모래 조하대 군집 특성을 보였다. 갯벌 두 조사선에 설정한 8개 정점에서는 50종, 2,443개체/$m^2$, $381.3g/m^2$의 저서동물이 출현하였으며, 연체동물이 출현 종수, 서식밀도, 생체량에서 각각 20종, 1,345개체/$m^2$, $350.4g/m^2$를 차지하며 가장 우점하는 분류군이었다. Umbonium thomasi, Veneridae sp., Mandibulophoxus mai, Armandia lanceolata, Eohaustorius spinigerus, Urothoe convexa 등이 신두리 갯벌의 우점종이었으며, 전체 개체수의 83% 이상을 이들 종이 차지하였다. 갯벌의 저서동물 분포는 노출시간 정도에 따라 구분되는 특성을 보였다. 즉, 상부에서 하부로, 노출시간이 감소하면서 Scopimera globosa, M. mai, E. spinigerus 군집이 뚜렷한 대상분포를 하였다. 양식장이 위치한 남서해역을 제외한 신두리 해안은 자연성을 가진 건강한 서식지였으며, 특히 천연기념물인 신두리 사구와 연결되는 갯벌과 주변 조하대 해역에는 인위적인 구조물이 거의 없으며 외부로부터의 오염원도 없어 향후 보전을 위한 가치가 충분히 있는 서식지로 판단되었다.

  • PDF

강릉 남대천 하구역의 1997년 9월중 대형저서동물의 분포패턴 (Notes on the Benthic Macrofauna During September 1997 Namdaecheon Estuary, Gangneung, Korea)

  • 홍재상;서인수;윤건탁;황인서;김창수
    • 환경생물
    • /
    • 제22권2호
    • /
    • pp.341-350
    • /
    • 2004
  • 본 연구는 동해안에 위치하는 강릉 남대천 하구역의 대형저서생물상을 파악하기 위하여 1997년 9월 22일에 총 15개 정점을 대상으로 현장조사를 실시하였다. 채집된 저서동물은 총 50종, 5,664개체, 312g WWt의 생물량을 나타냈다. 중요 우점종은 빈모류에 속하는 Oligochaeta unid., 다모류의 Hediste japonica, Rhynchospio Glutaea, Poecilochaetus trilobatus, Scoloplos armiger, Spiophanes bombyx, 단각류의 Platorohestia crassicornis 등이었다. 한편, 정점간 및 종간 유사도 분석 결과에서는 각각 두 개의 그룹으로 나뉘었다. 정점간 분석에서는 하구역 정점군과 해양역 점정군으로, 종간에서는 해양성 종군과 기수-담수성 종군으로 구분되었다. 염분농도 구배에 따른 조하대 저서동물의 분포 양상을 보면, 저서동물의 출현 종 수는 하구역의 12개 정점에서는 총 13종이 출현한 반면, 해양역의 3개 정점에서는 총 43종이 출현하였다. 개체수와 생물량도 해양역이 하구역과 비교해 높았다. 생태학적 지수로써 다양도는 하구역에서 1 이하로 낮았고, 해양역에서 2 이상으로 높았다. 결론적으로, 강릉 남대천 하구역 저서동물의 분포는 하구역 입구부분에 위치한 모래톱을 경계로 염분농도가 급격하게 변화하였으며, 이것을 경계로 두 개의 정점군과 종군으로 나뉘는 특징이 있었다.

인천 송도지역 척전 갯벌 대형저서동물의 군집 생태학 2. 우점종의 시ㆍ공간적인 분포양상 (The Community Ecology of Benthic Macrofauna on the Cheokjeon Tidal Flat, Incheon, Korea 2. Spatio-temporal distribution patterns of the major dominant species)

  • 서인수;홍재상
    • 한국해양학회지:바다
    • /
    • 제9권3호
    • /
    • pp.93-105
    • /
    • 2004
  • 인천 동춘동 척전 갯벌에 서식하는 대형 저서동물의 중요 우점종에 대한 시ㆍ공간적인 분포 패턴을 알아보기 위하여 1990년 9월부터 1992년 7월까지 2개년 동안 격월별로 현장조사를 실시하였다. 조사 기간 중, 총 111종, 25,491 개체가 채집되었고, Le Bris Index에 근거한 상위 15위의 우점종은 19,072개체의 밀도를 나타내 74.8%를 점유하였다. 백금갯지렁이과(Nephtyidae)의 다모류 3종과 칠게아과(Macrophthalminae)의 갑각류 2종은 동일한 속(genus)이 면서 조위와 퇴적상에 따라 뚜렷이 구분되는 서식처를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척전 갯벌의 중요 우점종은 다모류의 Heteromastus filiformis, 이매패류의 동죽(Mactra veneriformis), 맛조개(Solen strictus), 극피동물 해삼류의 가시닻해 삼(protankyra bidentata), 갑각류의 칠게(Macrophthalmus japonicus)등이었다. 5종의 중요 우점종에 대하여 공간에 따른 개체밀도를 비교한 결과, H. filiformis와 동죽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으나(P>0.05), 맛조개, 칠게와 가시닻해삼은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p<0.001). 이것은 중요 우점종이 조위와 퇴적상에 따라 출현 개체밀도에서 공간적인 차이가 있음을 의미한다. H. flzyomis와 동죽은 조위와 퇴적상에 무관하게 갯벌의 전역에서 높은 밀도로 출현하였다. 그러나, 칠게는 펄이 많은 상부에서 밀도가 높았고, 맛조개, 가시닻해삼은 갯벌의 중ㆍ하부인 모래펄에서 우세한 밀도로 출현하여 이를 반영하고 있다.

인천 송도지역 척전 갯벌 대형저서동물의 군집 생태학 1. 군집의 구조 (The Community Ecology of Benthic Macrofauna on the Cheokjeon Tidal Flat, Incheon, Korea 1. Community Structure)

  • 서인수;홍재상
    • 한국해양학회지:바다
    • /
    • 제6권3호
    • /
    • pp.190-200
    • /
    • 2001
  • 인천 동춘동 척전 갯벌 저서동물의 군집구조를 알아보기 위하여 3개의 정점을 대상으로 1990년 9월부터 1992년 7월까지 2개년동안 격월별로 현장조사를 실시하였다. 조사 기간 중 총 111종, 평균 708.1 개체/$m^2$와 214.9 gWWt/$m^2$의 저서동물이 채집되었다. 출현 종 수와 개체수에 있어서는 환형동물의 다모류가, 생물량에 있어서는 연체동물과 극피동물이 대표적인 분류군이었다. 조위에 따른 저서동물의 출현 경향은 종 수와 개체수는 갯벌의 하부로 갈수록 뚜렷하게 증가하는 결과를 보였고, 생물량은 갯벌의 중부에서 가장 높았다. 척전 갯벌의 집괴분석 결과에 의하면, 3개의 정점군과 4개의 종군으로 구분할 수 있었다. 정점군은 조위에 따라 상부, 중부 그리고 하부 정점 그룹으로 나뉘었고, 종군은 다음과 같았다: 1) 중하부 광역분포 종군으로 Heteromastus filifomis-Mactra veneriformis-Solen strictus-Ilyoplax finggi 군집, 2) 상부 분포 종군으로 Nephtys chemulpoensis-Macrophthalmus gaponicus 군집, 3) 중부 분포 종군으로 Glycera subaenea-Decorifer matusimana-Tritodynamia 군집 ,4)하부 분포 종군으로 Nephtys polybranchia-Borniopsis tsurumaru-Asthenognathus inaequipes-Protankyra bidentata 군집으로 구분되었다.

  • PDF

A Preliminary Study on Changes in Macrobenthic Assemblages in the Fenced Experimental Plots for Restoring Tidal Marsh, Hogok-ri Tidal Flat, West Coast of Korea

  • Koo, Bon-Joo;Je, Jong-Geel
    • Ocean and Polar Research
    • /
    • 제24권1호
    • /
    • pp.63-71
    • /
    • 2002
  • This preliminary study on the changes of macrobenthic assemblages in experimental sediment fences was conducted as a part of tidal marsh restoration project. Intertidal sediment fences were designed to increase the efficiency of trapping sediments on unvegetated tidal flats in order to raise sediment elevation and to allow colonization of intertidal vegetation. Although increment of soil surface level was not observed over the first three months of the study, it was possible to obtain some effects of the sediment fence. Three months later, the particle sizes of the surface sediment at experimental plots became much finer compared to unfenced areas on the natural mudflats located in the same tide level as that of the plots. The difference was much greater on the plot with drainage canals than on the plot without ones. Species diversity of the experimental plots became much higher than that of natural sites. Perinereis aibuhitensis and Glauconome chinensis which were absent from initial community appeared with high density in the plot with drainage canals. Those species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in abundance between the experimental plot and the natural mudflat. Changes in species composition were not detected in another experimental plot without drainage canals.

A Benthic Polychaete Assemblage off the Korean South Coast(Gwangyang Bay and Yeosu Sound)

  • Kim, Yong-Hyun;Shin, Hyun-Chool
    • Fisheries and Aquatic Sciences
    • /
    • 제13권2호
    • /
    • pp.157-166
    • /
    • 2010
  • We investigated the benthic polychaete assemblage in Gwangyang Bay and Yeosu Sound in February 1997. The sediment was an almost entirely muddy facies. The benthic macrofauna comprised 295 species occurring at a mean density of 875 $indiv./m^2$. Polychaetes were the major faunal component; there were 94 species at mean density 765 $indiv./m^2$. The highest abundance and species richness occurred in the Myodo south and north channels, in the mouth of Gwangyang Bay, and in the Noryang channel mouth. The most abundant polychaete was Tharyx sp. (47.9%), followed in rank order by Heteromastus filiformis (9.6%), Melinna cristata (9.3%), and Lumbrineris longifolia (7.3%). Cluster analysis divided the study area into four station groups based on station similarities in benthic polychaete assemblages: the Glycinde-Prionospio cluster in the western inner bay, the H. filiformis cluster in the middle inner bay, the Melinna-Lumbrineris cluster in the Myodo south-north channel, and the Tharyx cluster in the eastern main channel region. The sediment type of Gwangyang Bay has changed gradually from sandy to muddy. Dominant species have also changed from Chone teres and Lagis bocki to Tharyx sp., which is a potential organic pollution indicator.

새만금 방조제공사로 인한 조하대 환경과 저서동물 군집 변화 (Benthic Environment and Macrofaunal Community Changes During the Dike Construction in Saemangeum Subtidal Area, Korea)

  • 안순모;이재학;우한준;구본주;이형곤;유재원;제종길
    • Ocean and Polar Research
    • /
    • 제28권4호
    • /
    • pp.369-383
    • /
    • 2006
  • The Saemangeum project is one of the biggest reclamation efforts in Korea and may cause coastal ecosystem change due to altered environments and habitat loss. Since February 2002, benthic environment and community structure in the Saemangeum studied area were studied to assess the influence of the project on macrofaunal community. The result of seasonal study from February, 2002 to August 2005 is reported here. Overall, changes of species numbers and dominant species of benthic animals in the periods before (1988) and after $(2002{\sim}2005)$ the Saemangeum dike construction were not evident both inside and outside the dike. However, local environmental and community change were noted The partial completion of Saemangeum dike $(4^{th}\;dike)$ in June 2003 altered water circulation and sediment deposition patterns both inside and outside the dike. Fine sediment was accumulated inside and outside the $4^{th}$ dike while coarse sediment dominated near the main channel (Sinsi gate). Benthic community resl)ended to the altered sediment type in these areas. Species number and diversity in both site was low compared to other sites. The dominant species in these areas were composed of the benthos that had not commonly occurred in the Saemangeum subtidal are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