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VTec AD

검색결과 6건 처리시간 0.022초

MLP-Mixer를 이용한 이미지 이상탐지 (Image Anomaly Detection Using MLP-Mixer)

  • 황주효;진교홍
    • 한국정보통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통신학회 2022년도 춘계학술대회
    • /
    • pp.104-107
    • /
    • 2022
  • 오토인코더 딥러닝 모델은 이상 데이터도 정상 데이터로 복원하는 능력이 우수하여 이상탐지에 적절하지 못한 경우가 발생한다. 그리고 데이터의 일부를 가린(마스킹) 후 가린 데이터를 복원하는 방식인 Inpainting 방식은 잡음이 많은 이미지에 대해서는 복원능력이 떨어지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MLP-Mixer 모델을 수정·개선하여 이미지를 일정 비율로 마스킹하고 마스킹된 이미지의 압축된 정보를 모델에 전달해 이미지를 재구성하는 방식을 사용하였다. MVTec AD 데이터 셋의 정상 데이터로 학습한 모델을 구축한 뒤, 정상과 이상 이미지를 각각 입력하여 재구성 오류를 구하고 이를 통해 이상탐지를 수행하였다. 성능 평가 결과 제안된 방식이 기존의 방식에 비해 이상탐지 성능이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 PDF

전이학습을 활용한 시설물 균열 탐지 모델 설계 (Design of Facility Crack Detection Model using Transfer Learning)

  • 김준영;박준;박성욱;이한성;정세훈;심춘보
    • 한국정보처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처리학회 2021년도 추계학술발표대회
    • /
    • pp.827-829
    • /
    • 2021
  • 현대사회의 시설물 중 다수가 콘크리트를 사용하여 건설되었고, 재료적 성질로 인해 균열, 박락, 백태 등의 손상이 발생하고 있고 시설물 관리가 요구되고 있다. 하지만, 현재 시설물 관리는 사람의 육안 점검을 정기적으로 수행하고 있으나, 높은 시설물이나 맨눈으로 확인할 수 없는 시설물의 경우 관리가 어렵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다양한 영상장비를 활용해 시설물의 이미지에서 균열을 분류하는 알고리즘을 제안한다. 균열 분류 알고리즘은 산업 이상 감지 데이터 세트인 MVTec AD 데이터 세트를 사전 학습하고 L2 auto-encoder를 사용하여 균열을 분류한다. MVTec AD 데이터 세트를 사전학습시킴으로써 균열, 박락, 백태 등의 특징을 학습시킬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Self-Attention 딥러닝 모델 기반 산업 제품의 이상 영역 분할 성능 분석 (Performance Analysis of Anomaly Area Segmentation in Industrial Products Based on Self-Attention Deep Learning Model)

  • 박창준;김남중;박준휘;이재현;곽정환
    • 한국컴퓨터정보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컴퓨터정보학회 2024년도 제69차 동계학술대회논문집 32권1호
    • /
    • pp.45-46
    • /
    • 2024
  • 본 논문에서는 Self-Attention 기반 딥러닝 기법인 Dense Prediction Transformer(DPT) 모델을 MVTec Anomaly Detection(MVTec AD) 데이터셋에 적용하여 실제 산업 제품 이미지 내 이상 부분을 분할하는 연구를 진행하였다. DPT 모델의 적용을 통해 기존 Convolutional Neural Network(CNN) 기반 이상 탐지기법의 한계점인 지역적 Feature 추출 및 고정된 수용영역으로 인한 문제를 개선하였으며, 실제 산업 제품 데이터에서의 이상 분할 시 기존 주력 기법인 U-Net의 구조를 적용한 최고 성능의 모델보다 1.14%만큼의 성능 향상을 보임에 따라 Self-Attention 기반 딥러닝 기법의 적용이 산업 제품 이상 분할에 효과적임을 입증하였다.

  • PDF

개선된 Deep Feature Reconstruction : 다중 스케일 특징의 보존을 통한 텍스쳐 결함 감지 및 분할 (Enhanced Deep Feature Reconstruction : Texture Defect Detection and Segmentation through Preservation of Multi-scale Features)

  • 시종욱;김성영
    • 한국정보전자통신기술학회논문지
    • /
    • 제16권6호
    • /
    • pp.369-377
    • /
    • 2023
  • 산업 제조 분야에서 품질 관리는 불량률을 최소화하는 핵심 요소로, 미흡한 관리는 추가적인 비용 발생과 생산 지연을 야기할 수 있다. 본 연구는 제조품의 텍스쳐 결함 감지의 중요성을 중심으로, 보다 정밀한 결함 감지 방법을 제시한다. DFR(Deep Feature Reconstruction) 모델은 특징맵의 조합 및 재구성을 통한 접근법을 채택하였지만, 그 방식에는 한계가 있었다. 이에 따라, 우리는 제한점을 극복하기 위해 통계적 방법론을 활용한 새로운 손실 함수와 스킵 연결구조를 통합하고 파라미터 튜닝을 진행하였다. 이 개선된 모델을 MVTec-AD 데이터세트의 텍스쳐 카테고리에 적용한 결과, 기존 방식보다 2.3% 높은 결함 분할 AUC를 기록하였고, 전체적인 결함 감지 성능도 향상되었다. 이 결과는 제안하는 방법이 특징맵 조합의 재건축을 통한 결함 탐지에 있어서 중요한 기여함을 입증한다.

단순한 합성데이터 생성 방식을 활용한 gMLP 기반 자기 지도 학습 이상탐지 기법 (gMLP-based Self-Supervised Learning Anomaly Detection using a Simple Synthetic Data Generation Method)

  • 황주효;진교홍
    •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 /
    • 제27권1호
    • /
    • pp.8-14
    • /
    • 2023
  • 기존의 자기지도 학습 기반의 CutPaste 기법은 정상 이미지에서 특정 패치를 자르고 붙이는 방법으로 합성 데이터를 생성한 뒤 이상탐지를 수행하였다. 그러나 이런 방식으로 생성된 합성데이터는 패치의 경계에 뚜렷한 차이가 나타나는 문제가 발생된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NSA 기법은 Poisson Blending을 통해 자연스러운 합성 데이터를 생성하여 더 높은 이상탐지 성능을 달성하였다. 그러나 NSA 기법은 클래스마다 조정해야하는 하이퍼 파라미터가 많은 단점을 가지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합성 패치의 크기를 매우 작게 하는 단순한 방법으로 정상과 유사한 합성 데이터를 생성하였다. 이 때 패치가 매우 지역적으로 합성되기 때문에, 지역적인 특징을 학습하는 모델을 사용하면 합성 데이터에 쉽게 과적합 될 수 있다. 따라서 전역적인 특징을 학습하는 gMLP를 사용하여 이상탐지를 수행하였고, 단순한 합성 방법으로도 기존 자기 지도 학습 기법보다 더 높은 성능을 달성할 수 있었다.

다중 클래스 이상치 탐지를 위한 계층 CNN의 효과적인 클래스 분할 방법 (Effective Classification Method of Hierarchical CNN for Multi-Class Outlier Detection)

  • 김지현;이세영;김예림;안서영;박새롬
    • 한국컴퓨터정보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컴퓨터정보학회 2022년도 제66차 하계학술대회논문집 30권2호
    • /
    • pp.81-84
    • /
    • 2022
  • 제조 산업에서의 이상치 검출은 생산품의 품질과 운영비용을 절감하기 위한 중요한 요소로 최근 딥러닝을 사용하여 자동화되고 있다. 이상치 검출을 위한 딥러닝 기법에는 CNN이 있으며, CNN을 계층적으로 구성할 경우 단일 CNN 모델에 비해 상대적으로 성능의 향상을 보일 수 있다는 것이 많은 선행 연구에서 나타났다. 이에 MVTec-AD 데이터셋을 이용하여 계층 CNN이 다중 클래스 이상치 판별 문제에 대해 효과적인지를 탐구하고자 하였다. 실험 결과 단일 CNN의 정확도는 0.7715, 계층 CNN의 정확도는 0.7838로 다중 클래스 이상치 판별 문제에 있어 계층 CNN 방식 접근이 다중 클래스 이상치 탐지 문제에서 알고리즘의 성능을 향상할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계층 CNN은 모델과 파라미터의 개수와 리소스의 사용이 단일 CNN에 비하여 기하급수적으로 증가한다는 단점이 존재한다. 이에 계층 CNN의 장점을 유지하며 사용 리소스를 절약하고자 하였고 K-means, GMM, 계층적 클러스터링 알고리즘을 통해 제작한 새로운 클래스를 이용해 계층 CNN을 구성하여 각각 정확도 0.7930, 0.7891, 0.7936의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이를 통해 Clustering 알고리즘을 사용하여 적절히 물체를 분류할 경우 물체에 따른 개별 상태 판단 모델을 제작하는 것과 비슷하거나 더 좋은 성능을 내며 리소스 사용을 줄일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