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USLE

검색결과 31건 처리시간 0.026초

해외토사유출량 산정공식의 국내적용성 검토(II);MUSLE를 중심으로 (Applicability Examination of the RUSLE Sediment Yield Prediction Equation in Korea)

  • 손광익
    •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 /
    • 제34권3호
    • /
    • pp.209-216
    • /
    • 2001
  • 개발등 인위적 건설활동에 의하여 발생되는 토사유출량을 산정하기 위하여 국내에서는 주로 범용토양손실공식(USLE)을 주로 사용하여 왔으나 이 기법은 연평균 토사생산량을 산정하기위한 기법으로 개발되었다. 따라서 l본 연구에서는 단일호우에 대한 토사유출향 산정을 목적으로 개발된 수정범용토양손실공식(MUSLE)을 강우자료와 토사유출 실측값이 있는 국내 개발현장에 적용하여 실측치와 계산치를 비교함으로써 그 적용가능성을 확인하였으며 MUSLE 적용시 필요한 첨두유출량과 총유출량 산정기법 중 국내여건에 적합한 산정기법도 제시하였다. 또한 MUSLE 적용결과와 개정범용토양손실공식(RUSLE)을 이용한 토사유출량 산정 결과와도 비교하였다.

  • PDF

산지소유역의 토사유실량 예측을 위한 RUSLE와 MUSLE 모형의 적용성 평가 (Application of RUSLE and MUSLE for Prediction of Soil Loss in Small Mountainous Basin)

  • 정유경;이상원;이기환;박기영;이헌호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103권1호
    • /
    • pp.98-104
    • /
    • 2014
  • 본 연구는 산지소유역에서 예측한 토사유실량 모형과 실측한 토사유실량을 비교함으로써 예측모형의 적용성 여부를 검토하였다. 또한, 정량적인 토사량 산정을 위하여 72개의 조사지점별로 각각의 영향인자를 산정하여 토사유실량 모형의 정확도를 높이고자 하였다. 토사유실량 산정에 영향을 주는 인자로는 LS 인자가 영향성이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RUSLE, MUSLE 모형과 실측된 토사유실량의 총량을 비교한 결과, 두 모형은 실측치에 비하여 다소 높은 값을 보였으며, RUSLE 모형이 실측치와 근사한 값을 나타내었다. 조사 지점별 값의 비교에서는 MUSLE 값의 변동계수가 더 낮았으나, 값의 차이가 크지 않았다. 따라서 산지소유역에서의 RUSLE와 MUSLE 모형을 이용한 토사유실량의 예측은 적합한 것으로 보여진다. 또한, 산지소유역에서 토사유실량 예측 정도를 높이기 위해서는 강우사상에 대한 데이터 수집과 기존 토사유실 예측 모형에 사용되는 인자의 보완 및 개선에 대한 연구가 요구된다.

RUSLE모형을 이용한 낙동강 상주보까지의 토사유출량 산정 (Estimation of Sediment Yield to Sangju-Dam of Nakdong-River Using the RUSLE Model)

  • 김종희
    • 한국수자원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수자원학회 2012년도 학술발표회
    • /
    • pp.495-499
    • /
    • 2012
  • 토사유출량이란 강우가 발생한 지점에서 토양침식에 의해 생산된 토사가 퇴적 및 이송 등의 과정을 거쳐 유역의 특정 지점까지 도달한 토사량을 의미한다. 토사유출량을 정확하게 산정하는 방법은 현재까지 없다. 그러나 유역단위의 대략적인 토사유출량 산정을 위해서는 경험적 모형인 USLE 모형과 수정된 형태의 RUSLE 모형 또는 MUSLE 모형이 보편적으로 사용되고 있다. 최근에는 지형정보시스템(GIS)의 발달로 RUSLE 모형과 MUSLE 모형이 주로 사용되는데 연평균 토사량 산정에는 RUSLE 모형이 사용되며 단일호우에 대한 토사량은 MUSLE 모형이 사용된다. 그러나 이 모형들은 구곡 및 하천에서의 수리학적 특성 반영하기 힘든 단점이 있어서 유출지점에 따라 유사전달률(SDR)의 개념이 요구된다. RUSLE 모형과 MUSLE 모형에 사용되는 유사전달률은 외국에서의 경험적 공식으로서 우리나라 유역 실정을 제대로 반영하지 못하는 단점이 있다. 그러므로 추후 연구에는 8~10년 이상의 토사유출량 자료를 바탕으로 그 유역의 유사전달률을 결정하고, 그 결과 값을 이용하여 단일호우 사상의 유출량과 모의유출량을 비교하여 MUSLE 모형의 강우인자인 R값을 산정해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그 선행 작업으로, 본 연구에서는 RUSLE 모형과 기존의 유사전달률을 사용하여 낙동강 상주보까지의 토사유출량을 산정하였다. 상주보유역은 안동댐유역, 임하댐유역, 안동댐하류유역, 내성천유역, 영강유역으로 구성되며 안동댐유역과 임하댐유역은 댐의 차단으로 본 연구의 토사유출량 산정에서 제외하였다.

  • PDF

도시유역에 대한 토사유출량 모의기법 적용성 검토 (Application of Sediment Yield Estimation Methods for an Urbanized Basin)

  • 손광익;노진욱
    •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 /
    • 제42권9호
    • /
    • pp.737-745
    • /
    • 2009
  • 국내 도시화 시험유역에 대한 기존 토사유출공식의 적용 가능성을 검토하기 위해 도시 시험유역의 실측자료와 모의기법 적용결과를 비교.분석하였다. 적용된 토사유출량 산정 모의공식으로는 개정범용토양손실공식(RUSLE - Revised Universal Soil Loss Equation), 수정범용토양손실공식(MUSLE - Modified Universal Soil Loss Equation)을 활용하였다. 시험유역은 유역면적 약 3.81 $km^2$로 면적대비 56 % 정도가 도로 및 포장 등으로 도시화가 진행된 도시 시험유역을 선정하여 자동 강우 및 수위계측기를 이용하여 지난 3년간 연속적으로 수문자료를 축적하였다. 또한 계측지점에서의 유출량별 소류사 및 부유사 실측을 통하여 유량-유사량 관계곡선을 개발한 후 호우사상별 유역으로 부터의 토사유출량을 산정하였다. 실측된 강우 및 유량 자료를 활용하여 모의한 토사유출량과 실측한 토사유출량을 비교한 결과 RUSLE를 적용한 모의결과가 실측 토사유출량과 근접한 결과를 제시하였으나 상관계수가 낮아 적용에 세심한 주의가 요구됨을 알 수 있었다. 반면, 실제 유출수문곡선을 MUSLE기법에 적용하여 모의한 토사유출량과 실측 토사유출량의 상관관계는 우수한 예측결과를 보였으나 보정계수의 적용이 필요함을 확인하였다.

국내 토지이용별 MUSLE 유출인자의 계수 및 지수 적용을 통한 토양유실 발생 및 거동 분석 (Occurrence and Behavior Analysis of Soil Erosion by Applying Coefficient and Exponent of MUSLE Runoff Factor Depending on Land Use)

  • 이서로;이관재;양동석;최유진;임경재;장원석
    • 한국습지학회지
    • /
    • 제21권spc호
    • /
    • pp.98-106
    • /
    • 2019
  • SWAT(Soil and Water Assessment Tool) 모형 내 MUSLE(Modified Universal Soil Loss Equation) 유출인자의 계수 및 지수는 각각 11.8과 0.56으로 토지이용별 토양유실 산정에 동일하게 적용되는 문제점이 있다.이는 결과적으로 토양유실량을 과대 또는 과소 평가할 수 있으며, 결과적으로 우심지역 선별과 저감 대책에 따른 효율 평가에 문제를 발생시킬 수 있다. 그러나 아직까지 토지이용별 MUSLE 유출인자에 대한 계수 및 지수 산정과 이에 대한 SWAT 모형 내 적용성 평가가 이루어진 바 없다. 따라서 국내 유역을 대상으로 토양유실 발생 및 거동을 정확하게 예측하기 위해서는 토지이용별 유출인자의 계수 및 지수 산정과 이에 대한 SWAT 모형 내 적용성 평가가 필요하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가아천 유역을 대상으로 토지이용별 유출인자의 계수 및 지수를 산정하고, SWAT 모형 내 적용에 따른 토양유실 및 유사유출 발생량 차이를 비교 분석하였다. 본 연구에서 산정된 토지이용별 유출인자의 계수 및 지수는 국내 고랭지 유역에서의 토양유실 발생 특성을 잘 반영하고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또한 토지이용별 유출인자의 계수 및 지수 적용에 따라 유역에서의 토양유실 및 유사유출 발생량 값은 큰 차이를 보이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따라서 국내 유역을 대상으로 기존에 미국에서 개발된 MUSLE를 적용하기 위해서는 토지이용별 유출인자의 계수 및 지수에 대한 충분한 수정·보완 과정이 중요시되어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향후 본 연구의 결과는 비점오염원관리지역 내 토양유실 우심지역 선별과 토양유실 저감 대책 수립 및 평가를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으리라 판단된다.

산림소유역에서 MUSLE 유출에너지인자 계수값의 적용성 평가 (Evaluation on MUSLE Runoff Energy Coefficient in Small Forest Watershed)

  • 김재훈;최형태;임홍근
    •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지
    • /
    • 제18권6호
    • /
    • pp.191-200
    • /
    • 2015
  •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coefficient and exponent of runoff energy in MUSLE for small forest watershed, Hwachoen watershed in Gangwon-do. For 15 rainfall events, runoff volume, peak discharge and sediment yield were measured and these data were used to calculate coefficient and exponent of runoff energy.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ed that $LS{\bullet}K{\bullet}C{\bullet}P$ factors of MUSLE were affected by slope steepness. The coefficient and exponent of runoff energy were validated with coefficient of efficiency of 0.92 and these values were suggested to 0.002 and 0.81 respectively. The comparison of the coefficients and exponents between Hwacheon and other forest watersheds showed that these values would reflect the effect of forest management within watershed.

개발지역에서의 토사발생규모와 모형의 적용성 연구 (The study of Applicabilities for Sediment Yield Model in the Developing Area)

  • 박무종;김양수
    •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 /
    • 제34권1호
    • /
    • pp.3-17
    • /
    • 2001
  • 본 연구는 개발활동에 의해 가속화되는 토사유출량의 발생규모를 토사유출량 산정모형을 이용하여 산정하고 현장에서의 토사발생량과 비교하여 모형의 적용성을 파악하는데 목적이 있다. 토사유출량 산정시 주로 적용되는 범양토양유실량식(USLE) 혹은 TRB(Transport Research Board) 모형등은 외국에서 개발되어 국내에서는 모형에 대한 검증과 검정이 구체적으로 수행되지 않은 상태로 이용되고 있으며 모형의 적용절차 및 한계에 대한 검토도 이루어지지 않은 상태이다. 본 연구에서는 충남 천안지역 개발현장에서의 토사발생량과 토사유출 발생규모를 조사하고 그 특성을 분석하였으며, 비교적 실무에서 적용가능한 범양토양 손실모형, Transport Research Board모형, MUSLE모형, Morgan과 Finney모형기법을 실유역에 적용한 예측값을 비교하여 모형의 적용성을 분석하였다. 모형의 적용결과 USLE모형과 TRB모형은 과대산정의 가능성이 있으며 단일호우에 대한 토사유출량을 산정하는 MUSLE모형이 상대적으로 실측치와 유사한 결과를 나타냈다. 이러한 결과는 토사유출을 위한 대책수립을 위한 기초자료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 PDF

일단위 강우량을 고려한 경사지의 토양유실량 분석 (Analysis of soil loss on sloping land considering daily rainfall)

  • 김원준;박범수;이재혁;류지철;장춘화;김영석;박화용;임경재
    • 농업과학연구
    • /
    • 제38권4호
    • /
    • pp.739-745
    • /
    • 2011
  • The MUSLE was utilized in this study to estimate soil erosion using daily precipitation which was main influential factor in soil loss estimation. Various scenarios were simulated to evaluate how transition of slope, agricultural products and precipitation could affect soil loss in the field. It was found that slope was the most affecting factor in soil loss estimation. Especially 1.8 times the soil loss was expected with potato at 45% slope compared with codonopsis at same slope with MUSLE model. Fortunately, farmers had planted codonopsis at this slope to reduce soil erosion from this steep slope. As shown in this study, the MUSLE method could be utilized to determine optimum crop type for each field with various slope conditions to minimize soil erosion. This approach utilized in this study could be applied to other agricultural watersheds to evaluate various soil erosion conditions.

지리정보시스템을 이용한 SWAT 모형의 적용 (Application of the SWAT Model Using a GIS)

  • 김지훈;홍성구;권순국
    • 한국농공학회지
    • /
    • 제40권4호
    • /
    • pp.67-76
    • /
    • 1998
  • With the aid of SWAT/GRASS interface, SWAT model was applied to a representative rural watershed and evaluated for its applicability through calibration and verification using observed data. Results of the model application showed that the simulated runoff was in a good agreement with the observed data and indicated reasonable applicability of the model. In predicting sediment yield, however, there were differences between the simulated and the observed values. It seems due to the inaccurate determination of MUSLE factors, better prediction of sediment yield could be achieved by selecting more appropriate MUSLE factors for different land use types. In predicting nutrient loading, the simulation results showed a similar trend to observed data.

  • PDF

도인(桃仁)이 중대뇌동맥 폐색 유발 흰쥐의 근육형태 변화와 혈관신생에 미치는 영향 (Muscle Type Change and Vascularization Effect of Semen Persicae in MCAo rats)

  • 권혁준;소갑석;김호준;이명종
    • 한방재활의학과학회지
    • /
    • 제19권1호
    • /
    • pp.11-21
    • /
    • 2009
  • Objectives : This study was performed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Semen Persicae(SP) on muscle type change and vascularization effect by measuring expression of Myosin heavy chain (MHC) and Vascular endothelial growth factor (VEGF) protein in the Middle cerebral artery occlusion(MCAo) rats. Methods : The middle cerebral artery was occluded, SP extraction was administrated for 4 days. The effects of SP on muscle type change and vascularization were measured. Results : 1. VEGF protein expressions in the Semen Persicae oral administration group of MCAo group were increased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2.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Semen Persicae oral administration of MCAo group and the control group in MHC isoform (Type I, Type IIa) expression change. Conclusions : The present study demonstrates the effect of Semen Persicae in the vascularizing after ischemia, but has no significant effect in musle type change and the improvement of musle atroph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