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MUN

Search Result 16,900, Processing Time 0.043 seconds

MUN 수준이 번식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정영채;김창근;이호준;윤종택
    • Proceedings of the KSAR Conference
    • /
    • 2001.03a
    • /
    • pp.81-81
    • /
    • 2001
  • 최근 적절한 사양관리를 위해서 유중 요소태질소 수준(MUN)과 유단백을 이용하여 사료 내 에너지와 단백질의 균형을 평가하는 지표로 활용하고 있으며 요소태질소 수준이 정상보다 크게 높거나 낮았을 때 번식능력이 저하되기 때문에 번식효율의 지표로서 활용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우유내 요소태질소 수준이 번식장애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여 요소태질소 수준을 번식장애의 진단지표로 활용하고자 실시하였다. 본 실험에 공시된 우유시료는 경기도 안성시와 이천시에 소재한 낙농목장에서 사육중인 조사두수를 대상으로 개체당 약 30~50$m\ell$의 우유를 채유하고 냉장보관하여 실험실로 운반하였다. 우유의 분석은 유성분분석기(Fosscomb : 4000, Fossmatic 5000, Denmark)를 이용하여 우유의 일반성분인 유지방, 유당, 유단백, 무지고형분, 총고형분, 빙점, 유중요소태질소, 구연산과 체세포를 동시에 분석하였다. 번식장애우의 진단은 낙농가가 번식장애우로 분류한 개체를 대상으로 직장검사 및 초음파 진단기를 이용하여 진단하였다. MUN준에 따른 공태일수의 조사 결과 MUN수준이 7이하 군의 공태일수가 88.98$\pm$120.68로 7-16의 92.20$\pm$105.39와 16이상의 94.42$\pm$87.51보다 다소 낮은 결과를 나타냈다. 또한 번식장애우의 발생빈도와 유성분 분석결과를 살펴보면 낙농가가 번식장애우로 분류한 68두를 진단한 결과 발정발견을 하지 못하여 번식장애우로 분류된 두수가 30두(44.1%)와 비정상두수 38두(55.9%)로 나타났으며 비정상 두수 중 난포난종이 19두(27.9%)로 영구항체6두(8.8%), 자궁내막염(10.3%), 자궁축농증 6두(8.8%)보다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번식장애우의 유성분 분석결과 자궁축농증이 있는 개체의 유단백 평균이 3.43$\pm$0.35로 다른군에 비해 높았으며 영구항체가 있는 개체군의 MUN수준이 7.73$\pm$8.58로 다른군의 10.84$\pm$4.92, 10.89$\pm$7.38와 10.61$\pm$5.52에 비해 낮게 나타났다.

  • PDF

Establishment for Improving Productivity of Cattle by Fecal Steroid and Milk Urea Nitrogen Analysis - I. Development of Enzyme-linked Immunosorbent Assay for Progesterone and Milk Urea Nitrogen Analysis in Cattle

  • Chung-Boo Kang;Woo-Song Ha;Ji-In Kwon;Young-Sang Yu;Chul-Ho Kim;Soo-Dong Kwak
    • Biomedical Science Letters
    • /
    • v.8 no.4
    • /
    • pp.235-244
    • /
    • 2002
  •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determine the blood and milk progesterone by enzyme-linked immunosorbent assay (ELISA), and milk urea nitrogen (MUN) in cows. MUN and protein concentration were determined using automated infared procedures. The optimum conditions of ELISA system was investigated including the first and second antibody titres, bound percent, and enzyme conjugate and also the factors on MUN and protein concentration by sampling procedures and addition of preservatives. Progesterone antibodies did not react to pregnenlone, testosterone, estrone, estradiol-l7$\beta$, aldosterone, cortisol, corticosterone and 11$\alpha$-dehydroxycortisone (DOC), but reacted with only progesterone. The intra and inter-assay coefficient of variation 4.5%, 6.1~9.4% when used of bovine serum. The morning, MUN concentration (17.6$\pm$2.8 mg/100 ml) in the 13 herds was similar to that of evening MUN concentration of the lactating cows from the same herd. A significant relationship between morning and evening milk samples of upper parameters was found r=0.93. Difference in MUN concentration with sampling procedures and using of preservatives were investigated.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