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T. BALWANG

검색결과 8건 처리시간 0.016초

아고산대 사스래나무군락의 식물군집구조 분석 연구 (The Structure Analysis of Plant Communities of Betula ermanii Community in Subalpine)

  • 윤다움;오충현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38권3호
    • /
    • pp.338-350
    • /
    • 2024
  • 강원도 가리왕산, 발왕산, 방태산, 함백산의 아고산대에서 출현하는 사스래나무군락 25개 조사구를 대상으로 식생조사를 실시하고 분석하였다. TWINSPAN 및 DCA 분석 결과, 사스래나무-신갈나무군락(Group I), 사스래나무-당단풍나무군락(Group II), 사스래나무군락(Group III)의 총 3개 군락으로 분류되었다. 사스래나무-신갈나무군락(Group I)은 해발 1,082~1,192m 방태산 등산로 주변에 위치하고, 사스래나무-당단풍나무군락(Group II)은 해발 1,230~1,373m 방태산, 가리왕산, 함백산의 능선과 사면에 위치한다. 사스래나무-신갈나무군락과 사스래나무-당단풍나무군락은 현재 교목층에 사스래나무가 우점하고 있으나 장기적으로는 경쟁 관계인 신갈나무가 우점할 것으로 예상된다. 사스래나무군락(Group III)은 해발 1,428~1,464m 함백산과 발왕산 정상부 전석지에 위치한다. 현재 사스래나무 세력이 매우 우세하고 차세대 형성도 활발하여 앞으로도 사스래나무가 우점할 것으로 예상된다. 사스래나무군락은 일반적으로 해발 1,000m 이상에서 출현하며, 해발고도가 높을수록 사스래나무의 세력이 우세한 것으로 나타났다. 토양 분석 결과, 설악산 대청봉 및 지리산 반야봉 아고산대 지역과 비슷한 양상을 보였다. 군락별 종다양도는 1.210~1.293, 균재도는 0.698~0.795, 우점도는 0.208~0.302로 나타났다.

한국산 외대버섯 속의 기록 ( IX ) (Notes on the genus Entoloma of Korea ( IX ))

  • 조덕현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7권1호
    • /
    • pp.67-72
    • /
    • 1994
  • Many species of the genus Entolama were collected at Mt. Jiri National Park, Mt. Baikyang National Park, Mt. Sunun Provincial Park and Mt. Balwang from June, 1991 to september, 1991.These sepecies were identified. According to the results, Entolama convexum, E. roanense, E.clavipes,E.tephreum, E.ochraceumand E.weberi were newly recorded in Korea.These species were described and their Korean names were designed.

  • PDF

강원도 음나무 자생 임분의 입지환경, 식생구조 및 동태 (Site Characteristics, and Vegetation Structure, and Dynamics of Forest Communities growing Kalopanax septemlobus (Thunb.ex Murray) Koidz. in Gangwon-do)

  • 이철호;최영철;김세현;권기원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13권3호
    • /
    • pp.227-242
    • /
    • 2000
  • 음나무 자생지의 보존과 복원을 위한 연구의 일환으로 개체목 단위로 산재하여 서식하는 것으로 알려진 음나무의 군집을 탐색하고, 인위적 간섭이 적고 보전상태가 양호한 강원도 흥정산, 발왕산, 가리왕산 지역을 대상으로 지형, 토양특성 등의 물리적 환경과 식생구조를 조사하였다. 1. 음나무 자생지의 입지환경 조사 결과 분포범위는 해발고 780~1,300m의 북서, 북동 및 북향을 중심으로 경사가 심한 산복-사면에 위치하였으며, 토양 산도는 5.81($\pm$0.05)로 비교적 중성에 가까운 토양이며, 양이온치환용량(C.E.C.)은 평균 22.30($\pm$8.1)(me/100g), 유기물함량 8.63($\pm$0.48)%로 비옥한 토양이였다. 2. 음나무의 평균 연륜 생장량은 1.60~2.41mm/year으로 발왕산이 2.41mm/year로 가장 높고, 가리왕산 1.98mm/year, 흥정산 1.60mm/year 순으로 생장량을 나타냈다. 초기 20년간의 생장량은 평균 생장량 보다 컸으나, 그 후는 계속적으로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냈다. 3. TWINSPAN에 의한 군집의 분리는 지역간의 군집분리에 중요하게 작용하였으며, 음나무림의 평균 상대우점치 (MIV)는 흥정산지역 24.55%, 가리왕산지역 29.25% 그리고 발왕산지역 38.28%로 나타났으며, 종다양도는 전체적으로 1.3124~1.3992 범위를 보여 대체적으로 3개 지역간에 큰 차이는 보이지 않았다. 4. 음나무 층위별 분포형(Morista's index)은 교목층, 아교목층 및 관목층이 각각 0.9629, 2.9570, 20.5419로 나타나 교목층은 임의 분포하는 경향을 보였으나 아교목층과 관목층은 집중분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5. 종다양성 분석 결과 상대우점도의 범위가 0.1476~0.2065으로 몇몇 종에 의한 단순림을 이루지 않고 다수의 종에 의해 혼효되어 자생하고 있으며, 유사도지수는 64.31~64.54% 범위로 3개 조사지역간에 식생의 연속성이 있는 것으로 판단되었다. 6. 조사지의 상대우점치를 이용한 종간 상관관계를 조사한 결과 음나무는 사스레나무, 물참대, 까치박달나무 그리고 들메나무와는 동일한 생태적 지위를 갖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노린재나무 1%, 쪽동백, 고로쇠 나무, 나래회나무, 느릅나무는 5%수준의 부의 상관관계를 보여 생태적 지위가 다른 것으로 나타났다. 7. 직경급 분포에 의한 개체군의 생육 동태를 예측한 결과 흥정산 지역은 정규분포를 보여 앞으로 지속적인 유지가 가능하며, 발왕산의 경우에도 소경목에서 대경목에 이르기까지 골고루 출현하여 음나무림의 지속적인 유지가 가능할 것으로 생각되나 가리왕산의 경우는 치수나 어린 개체가 출현이 되지 않고 중경급과 높은 직경급의 개체의 밀도도 높지 않아 앞으로 이 집단에서는 음나무 집단의 지속적인 유지가 어려울 것으로 생각된다.

  • PDF

아고산대 주목 군락의 식생구조에 관한 연구 (Vegetation Structure of Taxus cuspidata Communities in Subalpine Zone)

  • 조민기;정재민;정혜란;강미영;문현식
    • 농업생명과학연구
    • /
    • 제46권5호
    • /
    • pp.1-10
    • /
    • 2012
  • 본 연구는 설악산, 발왕산, 태백산, 오대산의 아고산대에 분포하는 주목 군락의 보존과 효율적인 관리방안을 제시하기 위하여 종조성과 흉고직경급을 조사, 분석하였다. 각 조사지의 교목 아교목 관목층의 층위별 식생은 설악산 11, 22, 33종, 발왕산 15, 21, 33종, 태백산 10, 23, 36종, 오대산 14, 30, 32종으로 구성되어 있다. 층위별 중요치 분석 결과, 전 조사지의 교목층은 주목과 분비나무, 아교목층은 주목, 분비나무, 시닥나무, 관목층에서는 미역줄나무의 중요치가 가장 높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전 조사지에 있어서 종다양도는 교목층 0.834~1.234, 아교목층 1.125~1.329의 범위 내에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흉고직경 분포에서는 오대산지역의 주목개체군이 역J자형의 유형을 보이고 있어 주목군락이 유지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한국산 고등기 (X I) (Notes on the Korean Higher Fungi (X I))

  • 조덕현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8권3호
    • /
    • pp.253-258
    • /
    • 1995
  • 1988년 7월부터 1991년 9월까지 전주와 근교의 만덕산, 위봉사 그리고 내장산 국립공원, 발왕산, 그리고 월출산 국립공원에서 많은 고등균류를 채집하여 동정하였다. 그 결과 한국산 미기록종으로 확인 된 것은 다음과 같다. 빨강꽃버섯(Hygrocybe marchii), 헛물털애주름버섯(Hydropus floccipes), 뿔껍질갓버섯(Lepiota hystrix), 사초외대버섯(Entoloma cinchonense), 물외대버섯(E.hypoporhryum), 그리고 봉밀외대버섯(E,mellum)이다.

  • PDF

한국산(韓國産) 외대버섯 속(屬)의 기록(記錄) (V) (Notes on the genus Entoloma of Korea (V))

  • 조덕현;이용보
    • 한국균학회지
    • /
    • 제20권3호
    • /
    • pp.195-203
    • /
    • 1992
  • 1990년 5월부터 1991년 10월까지 국립공원 내장산, 지리산과 전주근교의 용문사와 전라도 임업시험림이 있는 만덕산, 강원도 평창군의 발왕산에서 다수의 외대 버섯를 채집하였다. 이 외대버섯류를 동정한 결과 한국 미기록종으로 확인된 것은 다음과같으며 이들에 대하여 한국보통명을 신칭하였다. 이것들은 E. fuscodiscum (검댕이 외대 버섯), E. incanum (녹색외대버섯), E. fracturans (파열외대버섯), E. lignoputridum (고목외대버섯), E. nigroviolaceum var. striatulum (흑보라줄외대버섯), E. grayanum var. grayanum (회색외대버섯아재비), E. maleoens (큰렌즈외대버섯) and E. pungens (가시외대버섯)이다.

  • PDF

Selection of Superior Trees for Larger Fruit and High Productivity in Sorbus commixta Hedl.

  • Kim, Sea-Hyun;Jang, Yong-Seok;Chung, Hun-Gwan;Choi, Myoung-Sub;Kim, Sun-Chang
    • Plant Resources
    • /
    • 제6권2호
    • /
    • pp.120-128
    • /
    • 2003
  • The objectives of this study, an analysis of the variation for leaf and fruit characteristics among the selected ten populations of Sorbus commixta Hedl. could be used for the conservation of gene resources and could provide information to superior trees selection. The results obtained from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Approximately, the Mt. Sungin population at Ulleung island showed larger values in overall characteristics and populations. On the other hand, Mt. Halla population at Jeju island showed the smaller values of the overall characteristics and populations. ANOV A tests showed that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all leaf characteristics among the populations as well as individual trees within populations. But, for fruit characteristics, differences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only among the populations. Cluster analysis using single linkage method based on leaf and fruit characteristics showed that ten selected populations of S. commixta in Korea could be clustered into three groups. Group I is Mt. Sungin at Ulleung island, Group II is Mt. Halla at Jeju island, and Group III comprises Osan, Mt. Kaji, Mt. Duckyoo, Mt. Balwang, Mt. Sobaek, Mt. O-dae, Mt. Jiri, and Mt. Taebaek. The selection level based on major agronomic traits, which are the Number of Fruit per Fruiting Lateral(NFL) over 50, and Fruit Length(FL) and Width(FW) over 10 mm, and Weight of 100 Fruit(WFI00) over 66 g, was applied on 100 sample trees, and five trees were selected. The selection effects from selected trees in NFL, FL, FW, and WF100 were evaluated as 132%, 151 %, 142%, and 264% compared to the mean of those 100 sample trees, respectively. Especially, Ulleung 2 showed excellent values that NFL and WFI00 were 95, and 69 g, respectively, suggesting a promising new cultivar for larger fruit and high productivity.

  • PDF

The Variation of Winter Buds among 10 Selected Populations of Kalopanax septemlobus Koidz. in Korea

  • Kim, Sea-Hyun;Ahn, Young-sang;Jung, Hyun-Kwon;Jang, Yong-Seok;Park, Hyung-Soon
    • Plant Resources
    • /
    • 제5권3호
    • /
    • pp.214-223
    • /
    • 2002
  •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understand the conservation of gene resources and provide information for mass selection' of winter bud characters among the selected populations of Kalopanax septemlobus Koidz using analysis of variance(ANOVA) tests. The obtained results are shown below; 1. Ten populations of K. septemlobus were selected for the study of the variation of winter bud characters in Korea. The results of the analysis of variance(ANOVA) tests shows that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all of the winter bud characters among those populations. 2. Correlation analysis shows that width between Height and DBH(Diameter at breast height) characters have negative relationship with all of the characters, as ABL(Apical branch length), ABW(Apical branch width), AWBL(Apical branch winter bud length), AWBW(Apical branch winter bud width), ABT(Apical branch No. of thorns), ABLB(Apical branch No. of lateral bud) and LBL(Lateral branch length), LBW(Lateral branch width), LBT(Lateral branch No. of thorns), LBLB(Lateral branch No. of lateral bud). 3. The result of principal component analysis(PCA) for winter buds showed that the first principal components(PC' s) to the fourth principal component explains about 78% of the total variation. The first principal component(PC) was correlated with AWBW, LWBW, and LBL and the ratio of ABL/ABW and LBL/LBW out of 16 winter bud characters. The second principal component correlated with ABL, ABW, ABLB, LWBL(Lateral branch winter bud length), and LBW and the ratio of AWBL/AWBW. The third principal component correlated with ABL, ABW, LWBL, LBL, and the ratio of LBL/LBW. The fourth principal component correlated with LBL and the ratio of LWBL/LWBW(Lateral branch winter bud width), LBL/LBW. Therefore, these characters were important to analysis of the variation for winter bud characters among selected populations of K. septemlobus in Korea. 4. Cluster analysis using the average linkage method based on 10 selected populations for the 16 winter bud characters of K. septemlobus in Korea showed a clustering into two groups by level of distance 1.1(Fig. 3). As can be seen in Fig. 3, Group I consisted of three areas(Mt. Sori, Mt. Balwang and Mt. Worak) and Group Ⅱ contisted of seven areas(Suwon, Mt. Chuwang, Mt. Kyeryong, Mt. Kaji, Mt. Jiri, Muan, and Mt. Halla). The result of cluster analysis for winter bud characters corresponded well with principal component analysis, as is shown in Fig. 2.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