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SW Ash

검색결과 27건 처리시간 0.023초

안정화제를 첨가한 생활폐기물 소각시설 바닥재의 중금속 용출특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Leachate Characteristics of Heavy Metals from MSW Bottom Ash Solidified with Stabilizing Reagents)

  • 임종완;동종인
    • 공업화학
    • /
    • 제26권6호
    • /
    • pp.692-697
    • /
    • 2015
  • 본 연구에서는 바닥재에 CaO와 $Al_2O_3$를 중량비로 각각 10~40% (W/W)로 첨가 후 7일 및 28일을 양생시킨 다음 중금속 용출 저감 효율에 대한 영향 등을 연구하였다. 실험결과, 7일 양생 기간에서는 구리 69.3%, 납 52.1%의 중금속 저감 효율을 보였다. 28일 양생 시에는 구리 85.2%, 납 100% 제거 효율을 보였다. 위 실험결과 양생 시간이 길어질수록 높은 중금속 저감 효율을 보이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중형폐기물 소각시설의 수은, 납, 비소, 셀렌 배출특성 (Characteristics of Hg, Pb, As, Se Emitted from Medium Size Waste Incinerators)

  • 이한국
    • 한국환경보건학회지
    • /
    • 제32권1호
    • /
    • pp.8-18
    • /
    • 2006
  • The aim of this study is to evaluate the emission characteristics of mercury, lead, arsenic, and selenium from medium size municipal solid waste incinerators(MSWIs) in Korea. The concentrations of mercury, lead, arsenic, and selenium emitted from medium size MSWI stack were $2.67\;{\mu}g/Sm^3,\;0.38\;mg/Sm^3,\;1.33\;{\mu}g/Sm^3,\;0.28\;{\mu}g/Sm^3$, respectively. The concentration levels of mercury, lead, arsenic in flue gas from medium size MSW incinerator stacks selected were nearly detected under the Korea criteria level. Removal efficiencies of mercury, lead, arsenic, and selenium in waste heat boiler(WHE) and cooling tower(CT) were $90.36\%,\;69.76\%,\;43.04\%,\;40.64\%$, respectively. In general, the removal efficiencies of mercury and lead in WHE were higher than those of arsenic and selenium in WHE. Emission gas temperature reduction from waste heat boiler(WHB) and cooling tower(CT) can control mercury and lead of medium size MSWIs. To evaluate the relationship between mercury, lead, arsenic, selenium of fly ash and those of flue gas, it was carried out to correlation analysis of each metal concentration in the fly ash and in the flue gas from medium size MSWIs. From the correlation analysis, the coefficients of mercury, lead, arsenic, and selenium were 0.61, -0.38, 0.87, 0.28, respectively. The results of correlation analysis revealed that it should be highly positive to the correlation coefficients of mercury and arsenic in the fly ash and those of the flue gas emitted from medium size MSWIs. As it were, the concentrations of mercury and arsenic of flue gas from medium size MSWIs are high unless mercury and arsenic in fly ash are properly controlled in dust collection step in medium size MSWIs. It was also concluded that mercury, lead, arsenic, and selenium from MSWIs stacks could be controlled by waste heat boiler(WHE) and dust collecting step in medium size MSWIs.

매립폐기물 성상변화에 따른 침출수 수량 및 수질특성에 관한 연구 (Characteristics of Leachate Quantity and Quality with Different Composition of Municipal Solid Waste in Solid Waste Landfill)

  • 박진규;김혜진;정새롬;이남훈;김석찬
    • 유기물자원화
    • /
    • 제15권2호
    • /
    • pp.109-117
    • /
    • 2007
  • 침출수의 수량 및 수질변화를 평가하기 위하여 세 종류(소각재 100%, 소각재 70%+일반생활폐기물 30%, 생활폐기물 100%)의 모형매립조를 실제 기상조건하에서 운영하였다. 실험결과, 누적 침출수 발생률이 모형매립조 A와 B가 모형매립조 C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모형매립조 A는 pH가 pH 9~11의 범위였으나 시간이 경과하면서 중성으로 점차 변하였다. 염소이온은 소각재를 매립한 모형매립조 A와 B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나 모형매립조 C의 경우 낮게 나타났다. 생활폐기물을 충전한 모형매립조 C의 경우 침출수내의 유기물 농도가 다른 모형매립조보다 높게 나타났다.

  • PDF

생활폐기물 처리시설 배출 비산재의 조성분석 (Chemical Analysis of Fly Ashes from Municipal Solid Waste Incinerators)

  • 장성기;최덕일;임창호;이진숙
    • 분석과학
    • /
    • 제13권2호
    • /
    • pp.215-221
    • /
    • 2000
  • 생활폐기물 소각처리시설에서 발생하는 비산재의 pH와 입자분포 상태 등 물성치를 측정하였으며, XRF와 ICP-AES 및 ICP-MS를 이용하여 성분원소를 분석하였다. XRF 분석결과 비산재의 주성분 원소는 Ca, K, Na, Si, Al, Cl, S 및 O로 확인되었으며, XRD 분석결과 이들 원소는 염화물과 수산화물, carbonate, 산화물 및 복합화합물의 형태로 존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미량원소로 함유된 중금속류의 정량을 위하여 시료의 전처리 없이 XRF를 이용한 직접분석과 마이크로파 분해장치를 사용하여 시료를 분해시킨 뒤 ICP-AES 및 ICP-MS를 이용한 분석결과를 비교하여 보았는데 두 가지 분석방법의 곁과가 잘 일치하였으며, Zn, Pb, Cu, Cr, Cd의 순으로 함량이 높게 나타났다.

  • PDF

생활폐기물의 발생원과 최종 매립장에서 물리화학적 특성 비교 분석 - 충주시를 중심으로 - (A Comparative Analysis on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s of MSW (Municipal Solid Waste) from Dwelling Site and Landfill Site - A Case Study of the Chungju City -)

  • 조병렬;연익준;이병찬
    • 한국지반환경공학회 논문집
    • /
    • 제10권3호
    • /
    • pp.47-52
    • /
    • 2009
  • 폐기물을 적절히 관리하고 처리하기 위해 기본 자료가 되는 폐기물의 물리적 특성과 화학적 특성 분석을 위해 충주시에서 발생된 생활폐기물을 대상으로 발생원과 매립장에서 시료채취를 채취하여 겉보기밀도, 폐기물의 물리적 조성, 삼성분, 화학적 조성 및 발열량을 조사 분석하였다. 발생원별조사결과와 매립장 반입폐기물의 물리적 특성 값들은 차이가 있으나, 화학적 조성 값은 큰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환경부에서 도입예정인 생활폐기물전처리시설(MBT(mechanical biological treatment))과 같은 폐기물중간처리 장치를 도입할 경우 물리적 조성 값을 알기위해서는 발생원별 조사가 필수적이지만, 소각로 설계를 위한 폐기물조사에서는 주로 화학적 특성 값을 이용하기 때문에 간단히 매립장에 반입되는 폐기물의 분석치만 조사하여도 큰 문제가 없는 것으로 판단된다. 폐기물의 중간처리에 중요한 생활폐기물의 물리적 성상은 가연성과 비가연성 성분으로 분석할 경우 가연성은 연평균 87.4%로 나타났고, 비가연성의 경우 연평균 12.6%이며, 생활폐기물의 발생원별 겉보기 밀도 평균은 $0.150ton/m^3$이다. 생활폐기물의 삼성분 분석결과 평균은 수분 27.6%, 가연분 60.5%, 회분 11.9%이고, 원소분석 결과 평균 원소성분에 대한 값은 C: 50.1%, H: 6.%, O: 39.5%, N: 1.9%, S: 0.5%, Cl: 1.3%이며, 저위발열량은 2,441kcal/kg이다.

  • PDF

경기도 B 지역 학교폐기물의 성상 및 물리∙화학적 특성 (The Composition and Physico-chemcal Characteristics of school waste in B area, Kyunggi-do)

  • 이건주
    • 유기물자원화
    • /
    • 제16권1호
    • /
    • pp.70-78
    • /
    • 2008
  • 본 연구에서는 경기도 B지역 학교 폐기물의 성상 및 물리 화학적 특성을 조사하였다. 이것은 폐기물 재활용 및 자원화시설 설계를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할 수 있게 하고자 한다. 학교폐기물의 물리적 조성의 실험결과 음식 쓰레기 12.25%, 종이류 56.26%, 플라스틱과 비닐류 9.26%, 섬유 1.52%, 나무 3.70%, 고무 및 피혁류와 기타는 0.11%이다. 학교폐기물의 대부분은 종이류와 플라스틱류이고, 약 90%가 가연성분인 것으로 나타났다. 삼성분 분석 결과 수분 5.72%, 가연분 88.29%, 그리고 회분 5.98%로 나타났으며, 농촌지역 학교 폐기물 성분중 수분이 도시지역 학교보다 높게 나왔다. 건조된 폐기물의 원소 분석 결과 탄소, 산소, 수소가 높게 나왔으며 학교폐기물의 저위발열량은 3051.44kcal/kg로 조사되어졌다.

  • PDF

태백시 소각로 내 NOx 제거를 위한 전산유체역학(CFD) simulation 연구 (Study on Computational Fluid Dynamics(CFD) Simulation for De-NOx in the incinerator at Taebaek city)

  • 김지현;박영구
    •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
    • /
    • 제30권2호
    • /
    • pp.320-332
    • /
    • 2013
  • 소각로 내 공기 주입은 연소가스의 체류시간, 미연분 제거 및 출구가스 온도 제어 등의 많은 영향을 끼친다. 이에 따라 2차 연소용 공기량을 변화시켜 충분한 체류시간을 확보하고 $850^{\circ}C$ 이상의 출구가스 온도를 유지하며, 높은 turbulent를 관리함으로써 안정적인 소각로 운영이 되어야만 한다. 본 연구에서는 현재 운영 중인 소각장의 소각로를 설계하고, 평균 일일 소각량을 바탕으로 1차 공기량을 산정한 후 2차 공기량을 변화하여 CFD 프로그램(Fluent)을 통해 이론적인 공기유동을 규명하였다. 또한 산정된 공기량을 바탕으로 실제 운영 중인 소각장에 적용함으로써 최적의 연소조건을 도출하였다. CFD simulation 결과 1.2차 공기비는 75:25가 최적의 결과로 나타났으며, 2차 공기 분사노즐 전 후면 유속 비는 1:3에서 가장 우수한 결과로 나타났다. 또한, 실제 운영 중인 소각로에 적용한 결과 적절한 소각로 출구온도는 질소산화물 제거 효율 및 일산화탄소 발생농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