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SW (Municipal Solid Waste)

검색결과 94건 처리시간 0.019초

시멘트를 이용한 소각비산회의 안정화공정에 따른 문제점과 해결방안 (Evaluation and improvement of the stabilization process of the MSW Incinerator fly ash into cement)

  • 배해룡
    • 환경위생공학
    • /
    • 제16권2호
    • /
    • pp.63-70
    • /
    • 2001
  • This study was initiated to evaluate and resolve the potential problems caused as the MSWI(Municipal Solid Waste Incinerator) fly ash were stabilized and solidified into the cement. The physical and chemical properties of fly ashes (K and M) used in this study were fixed according to the operating conditions of the incineration plant. The compressible strength of the solidified matrix used in this study were measured at 7, 28, and 56 curing days, respectively, to evaluate the stability of the solidified matrix, which were further analyzed by XRD and SEM. The experimental results obtained in this study showed that the relatively long hours of curing periods were needed to solidify the fly ash. The solidified matrix containing K ash had the high and excellent compressible strength of $200{\;}kg/\textrm{cm}^2$, after 56 curing days, but was not good enough in appearance. The analytical data by SEM confirmed that the alkaline Na and K, which are highly dissolved in water, were included in the fly ash and evenly distributed into the exterior surface of the solidified matrix. Whereas, the solidified matrix containing M ash never showed such a compressible strength as shown in the K ash due to the severe fracture, even as early as 7 curing days. Based on its XRD analysis, it appeared that both $C_2S$ and $C_3S$ highly related to the compressible strength were not crystallyzed into the solidified matrix. However, the compressible strength of the solidified and cemented M ash was remarkably improved by 100 times, after the alkalinity was washed out, which indicated that it is equivalent to 30 to 40g per one kg of fly ash.

  • PDF

소각장(燒却場)에서 발생되는 바닥재의 콘크리트용 잔골재(骨材)로서의 재활용(再活用) (Recycling of the Bottom Ash, Sourced from the Local MSW (Municipal Solid Waste) Incinerators, as a Fine Sand for Concrete)

  • 임남웅
    • 자원리싸이클링
    • /
    • 제16권2호
    • /
    • pp.40-47
    • /
    • 2007
  • 생활폐기물 소각장에서 발생되는 바닥재를 콘크리트 잔골재로 재활용하기 위해서, 기준모르타르에 모래 10%를 바닥재로 대체 하고 시멘트 10%를 포졸란성 규조토로 대체한 후, KS L 5105와 TCLP에 따라 시험하였다. 결과에 의하면, 바닥재의 유해중금속들은 TCLP 허용치 범위에 있었다. 포졸란성 규조토와 바닥재를 혼합한 모르타르 압축강도는 기준모르타르보다 높았으며 동시에 모든 유해중금속들은 TCLP 기준치 범위에 들어 있었다. 따라서 포졸란성 규조토를 안정재로 사용하게 되면 바닥재를 콘크리트 잔골재로 재활용할 수 있다.

기계식(機械式) 회전(回轉)레이크를 이용(利用)한 생활계(生活界) 폐기물(廢棄物) 필름류(類) 선별장치(選別裝置) 개발(開發)에 관(關)한 연구(硏究) (Development of Separation System with Rotating Rakes for Recovery of Film-based Plastics)

  • 이병선;나경덕;한상국;최우진;박은규
    • 자원리싸이클링
    • /
    • 제19권3호
    • /
    • pp.24-32
    • /
    • 2010
  • 본 연구에서는 생활폐기물 전처리 시설 및 재활용 선별시설로 반입되는 필름류를 선별하기 위한 기계식 회전레이크를 개발하였으며, 성능평가 및 환경적합성 검토를 통하여 현장 적용 가능성 평가를 수행하였다. 실험결과 처리용량은 벨트컨베이어속도 38.5 m/min, 레이크 회전속도 26.0 rpm(1,2차 레이크 개수는 각각 39개, 52개, 3차 브러쉬 48개)에서 5.3 ton/hr로 설계용량인 5.0 ton/hr를 만족하였으며, 레이크 회전속도 28.0 rpm에서 필름류 회수율은 92.60%, 순도 96.50%로 매우 높게 나타났다. 본 장치에 대한 소음, 진동 및 비산먼지 농도 등에 대한 환경성 평가 결과, 환경오염법적배출허용 기준치를 모두 만족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또한, 선별된 필름류를 대상으로 고형연료(RPF; Refuse Plastic Fuel) 제조를 통한 재활용 가능성을 평가한 결과, 발열량 약 9,740.3 kg/kcal, 염소함량 약 0.18%로 고형연료 품질기준 1등급을 만족하였다. 따라서 필름류 선별장치를 재활용 선별시설에 적용할 경우 작업량 증가 및 작업환경의 개선이 가능하고, 필름류 제거를 통한 자동화선별장치의 선별효율을 개선 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또한, 선별된 필름류를 고형연료로 제조하면 화석연료의 대체 에너지원으로서 사용 가능할 것으로 사료된다.

국내 산업 부문에 대한 온실가스 배출량 산정 방법 결과 비교 (Comparison of the CO2 Emissions Estimations among Four Tier Methods for the Facilities from Different Industrial Sectors in Korea)

  • 김희진;여민주;김용표;장건우;신원근;이명훈;최형욱
    • 한국기후변화학회지
    • /
    • 제3권3호
    • /
    • pp.195-209
    • /
    • 2012
  • 각 산업 부문별 사업장의 이산화탄소 배출량을 산정하는 방법은 IPCC 가이드라인 및 온실가스, 에너지 목표관리 운영 등에 관한 지침에 의거하여 산정등급 1~4로 나뉜다. 본 연구에서는 발전시설, 소각시설, 그리고 시멘트 생산시설에 해당하는 7개 사업장을 선정하여 각각의 2011년 2월부터 5월까지 3개월 간의 활동 자료를 활용하고, 배출량 실측을 수행하여 산정등급별 이산화탄소 배출량 결과를 비교하였다. 일반적으로 산정등급 4에 의해 측정된 이산화탄소 배출량이 산정등급 3에 따른 계산 결과보다 높게 나타났고, 이는 미국의 발전시설에서의 이산화탄소 배출량 산정 결과와 일치하였다. 또한, 산정등급 3에서 신뢰할만한 이산화탄소 배출량 결과를 도출하기 위해서는 정확한 연료조성 분석 과정이 수반되어야 하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각 사업장의 이산화탄소 실제 배출량을 반영할 수 있는 산정 방법을 적용하기 위해 다각적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한 제도적 보완이 필요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