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RC

검색결과 480건 처리시간 0.029초

페이딩 환경에서 MRC 다이버시티를 이용한 다중반송파 CDMA 시스템 분석 (Performance Analysis of Multicarrier CDMA Systems using MRC Diversity in Fading)

  • 이정도;오장헌;강희조
    • 한국전자파학회논문지
    • /
    • 제12권3호
    • /
    • pp.323-328
    • /
    • 2001
  • 다중반송파 변조방식은 다중 경로 페이딩에 강한 특성과 높은 주파수 이용 효율을 갖고 있는 기술이다. 본 논문에서는 같은 대역폭을 사용하는 MS DS-CDMA/MPSK와 DS-CDMA /MPSK 시스템을 MRC 다이버시티를 이용하여 오율 특성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데이터 통신 서비스에서 요구 BER=$10^{-5}$을 기준으로 한 경우, 다이버시티 기법을 사용하지 않은 MC-DS/CDMA BPSK 시스템은 $E_{b}/N_{0}$=25dB, 다이버시티 기법을 사용한 경우는 $E_{b}/N_{0}$=12dB를 얻었다.

  • PDF

도파민운반체 영상의 임상적 유용성 (Clinical Usefulness of Dopamine Transporter Imaging)

  • 김종민;김유경;김상은;전범석
    • Nuclear Medicine and Molecular Imaging
    • /
    • 제41권2호
    • /
    • pp.152-157
    • /
    • 2007
  • Imaging of the dopamine transporter (DAT) provides a marker for the integrity of presynaptic nigrostriatal dopaminergic system. DAT density is reduced in Parkinson disease, multiple system atrophy, and progressive supranuclear palsy. In patients with suspicious parkinsonism, normal DAT imaging suggests an alternative diagnosis such as essential tremor, vascular parkinsonism, or drug-induced parkinsonism. DAT imaging is a useful tool to aid clinician's differential diagnosis in parkinsonism.

최대비 합성법을 이용한 SISO/MIMO-OFDM 기반 전력선 통신 방식 구현 및 성능분석 (Implementation and Performance Analysis of PLC Scheme based on SISO/MIMO-OFDM using MRC)

  • 유정화;최상호
    • 한국통신학회논문지
    • /
    • 제36권2B호
    • /
    • pp.176-183
    • /
    • 2011
  • 본 논문은 스마트 그리드를 비롯한 각종 미래 전력망 내 고속 데이터 전송을 타깃으로 한 SISO/MIMO-OFDM 기반 전력선통신 (PLC: power line communication) 방식의 구현 및 성능분석에 목적이 있다. 전력선통신 환경은 유선임에도 무선과 같은 다중경로 페이딩, 임펄스 잡음 등 매우 열악한 채널 특성을 갖는다. 다중경로 전력선 페이딩 채널은 Zimmermann 주파수 모델을 이용하며 임펄스 잡음 채널은 Middleton class A 모델을 이용한다. 본 논문에서는 주파수 선택적 다중경로 페이딩 특성을 갖는 전력선 채널 조건하에 공간 다이버시티 이득을 부가한 공간주파수 부호화 SISO/MIMO-OFDM 방식을 고려한다. 특별히 다중 안테나 경로와 다중 경로 페이딩의 다이버시티 이득을 효과적으로 결합한 최대비 합성 방식인 a&f-MRC를 이용한 기존 삼상 혹은 단상 PLC 시스템의 성능 개선 방안을 제시한다. 시뮬레이션을 통해 기존의 SISO/MIMO-OFDM 방식에 비한 성능우위를 입증하며 등비 합성법, 선택적 합성법과의 복잡도 대비 성능 비교로 시스템 설계상의 트레이드오프를 또한 제시한다. 임펄스 잡음지수 등 실제 PLC 채널 조건하에 체계적인 성능분석 및 시뮬레이션을 통해 적정 시스템 설계 파라미터를 도출한다.

4-Hydroxybenzaldehyde, One of Constituents from Gastrodiae Rhizoma Augments Pentobarbital-induced Sleeping Behaviors and Non-rapid Eye Movement (NREM) Sleep in Rodents

  • Choi, Jae Joon;Kim, Young-Shik;Kwon, Yeong Ok;Yoo, Jae Hyeon;Chong, Myong-Soo;Lee, Mi Kyeong;Hong, Jin Tae;Oh, Ki-Wan
    • Natural Product Sciences
    • /
    • 제21권3호
    • /
    • pp.219-225
    • /
    • 2015
  • In the previous experiments, we reported that ethanol extract of Gastrodiae Rhizoma, the dried tuber of Gastrodia ElataBlume (Orchidaceae) increased pentobarbital-induced sleeping behaviors. These experiments were undertaken to know whether 4-hydroxybenzaldehyde (4-HBD), is one of the major compounds of Gastrodiae Rhizoma increases pentobarbital-induced sleeping behaviors and changes sleep architectures via activating GABAA-ergic systems in rodents. 4-HBD decreased locomotor activity in mice. 4-HBD increased total sleep time, and decreased of sleep onset by pentobarbital (28 mg/kg and 40 mg/kg). 4-HBD showed synergistic effects with muscimol (a GABAA receptor agonist), shortening sleep onset and enhancing sleep time on pentobarbital-induced sleeping behaviors. On the other hand, 4-HBD (200 mg/kg, p.o.) itself significantly inhibited the counts of sleepwake cycles, and prolonged total sleep time and non-rapid eye movement (NREM) in rats. Moreover, 4-HBD increased intracellular Cl levels in the primary cultured cerebellar cells. The protein levels of glutamic acid decarboxylase (GAD) and GABAA receptors subunits were over-expressed by 4-HBD. Consequently, these results demonstrate that 4-HBD increased NREM sleep as well as sleeping behaviors via the activation of GABAA-ergic systems in rodents.

하이브리드 위성-지상 중계기 네트워크에서 TCP 성능 분석 (Performance Evaluation of TCP in Hybrid Satellite-Terrestrial Relay Networks)

  • 이규환;장동혁;이성재
    • 한국통신학회논문지
    • /
    • 제42권1호
    • /
    • pp.121-127
    • /
    • 2017
  • 지상 모바일 위성 통신에서 MRC 기법을 사용하는 하이브리드 위성-지상 중계기 네트워크는 위성으로부터 전송된 신호의 품질을 향상하는데 널리 사용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하이브리드 위성-지상 중계기 네트워크에서 TCP 처리율과 spectral efficiency 성능을 수식으로 도출해보고 다양한 환경의 TCP 성능 평가 결과에 대해서 분석해보았다. 분석 결과, MRC 덕분에 지상 중계기의 수를 증가하는 것으로 TCP 처리율과 spectral efficiency 성능을 향상할 수 있지만 채널 상태에 상관없이 고정된 지상 중계기 수를 적용하는 것은 오버헤드가 발생할 수 있다. 또한 TCP 성능은 패킷손실률에 민감하기 때문에 하이브리드 위성-지상중계기 네트워크에서 MRC 기법 적용만으로는 성능 향상에 한계가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그러므로 본 논문에서는 추가적으로 오버헤드를 줄이고 네트워크 성능을 향상할 수 있는 솔루션들에 대해서도 토론해 본다.

Androgen Receptor-dependent Expression of Low-density Lipoprotein Receptor-related Protein 6 is Necessary for Prostate Cancer Cell Proliferation

  • Park, Eun;Kim, Eun Kyoung;Kim, Minkyoung;Ha, Jung Min;Kim, Young Whan;Jin, Seo Yeon;Shin, Hwa Kyoung;Ha, Hong Koo;Lee, Jeong Zoo;Bae, Sun Sik
    • The Korean Journal of Physiology and Pharmacology
    • /
    • 제19권3호
    • /
    • pp.235-240
    • /
    • 2015
  • Androgen receptor (AR) signaling is important for prostate cancer (PCa) cell proliferation. Here, we showed that proliferation of hormone-sensitive prostate cancer cells such as LNCaP was significantly enhanced by testosterone stimulation whereas hormone-insensitive prostate cancer cells such as PC3 and VCaP did not respond to testosterone stimulation. Blocking of AR using bicalutamide abolished testosterone-induced proliferation of LNCaP cells. In addition, knockdown of AR blocked testosterone-induced proliferation of LNCaP cells. Basal expression of low-density lipoprotein receptor-related protein 6 (LRP6) was elevated in VCaP cells whereas stimulation of testosterone did not affect the expression of LRP6. However, expression of LRP6 in LNCaP cells was increased by testosterone stimulation. In addition, knockdown of LRP6 abrogated testosterone-induced proliferation of LNCaP cells. Given these results, we suggest that androgen-dependent expression of LRP6 plays a crucial role in hormone-sensitive prostate cancer cell proliferation.

Autoimmune Sclerosing Cholangitis in Children: A Prospective Case-Control Study

  • Kumar, Nagendra;Poddar, Ujjal;Yadav, Rajnikant;Lal, Hira;Pani, Krushna;Yachha, Surender Kumar;Srivastava, Anshu;Pandey, Rakesh
    • Pediatric Gastroenterology, Hepatology & Nutrition
    • /
    • 제24권2호
    • /
    • pp.154-163
    • /
    • 2021
  • Purpose: In children overlap of autoimmune hepatitis (AIH) and primary sclerosing cholangitis is labelled as autoimmune sclerosing cholangitis (ASC). The only prospective pediatric study showed a high prevalence of ASC by using endoscopic retrograde cholangiopancreatography. Aims of our study were to find the prevalence of ASC by using magnetic resonance cholangiography (MRC) in AIH and in non-AIH cirrhosis and to compare clinical presentation and outcome of AIH and ASC. Methods: Prospectively we did MRC in 38 children with AIH (cases) and 19 disease controls (Wilson disease). Multiple biliary strictures with proximal dilatation on MRC were taken as definitive changes of ASC. Detail clinical, laboratory parameters, liver histopathology and treatment outcome were recorded. Results: The median age of cases was 11.5 (3-18) years, 22 (57.9%) were girls and 28 (73.7%) were diagnosed as type 1 AIH. MRC was done in 11 children (28.9%) at the time of diagnosis and in 27 (71.1%) after a median follow-up of 2.5 (0.3-10) years. Abnormal MRC changes were seen in 14/38 (36.8%) of AIH and 8/19 (42.1%) of controls. However, definite changes of ASC were present in four (10.5%) children in AIH and none in controls. None of the clinical, laboratory, histological parameters and treatment response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between ASC and AIH groups. Conclusion: The prevalence of ASC in children with AIH was just 10.5%. We suggest MRC in select group with cholestatic features, inflammatory bowel disease and in those who showed poor response to immunosuppression instead of all children with AIH.

MRC 모형의 CMIP6 강우 자료에 대한 시간 분해 성능 평가 (Evaluation of multiplicative random cascade models for CMIP 6 rainfall data temporal disaggregation)

  • 곽지혜;이현지;김지혜;전상민;이재남;강문성
    • 한국수자원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수자원학회 2021년도 학술발표회
    • /
    • pp.367-367
    • /
    • 2021
  • 최근 기후변화로 인해 극한 강우 사상의 빈도가 잦아짐에 따라 수공 구조물의 안전성이 저해되거나 인명 및 재산 피해가 발생할 가능성이 커지고 있다. 기후변화에 따른 기상현상의 변화 추세를 파악하고 대비하기 위해 CMIP (Coupled Model Intercomparison Project Phase)의 GCM(General Circulation Model) 기상자료 산출물이 활발하게 이용되고 있다. 기후변화 시나리오는 홍수기 방재 대책 수립 등의 연구에도 적용되고 있으나, GCM에서 산출된 기상자료의 시간 간격은 24시간 혹은 3시간 정도로 시간적 해상도가 낮아 홍수 모형의 입력자료로 사용되기 어려운 형태를 가지고 있다. 따라서 기후변화 시나리오를 홍수 모의 등의 분야에 접목하기 위해서는 GCM 자료의 시간적 해상도를 1시간 이하로 낮춤으로써 시나리오 산출물이 홍수모형과 적절하게 연결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MRC (Multiplicative Random Cascade) 모형은 국내외에서 예보강우의 시간 분해 및 일강우 데이터 분해 연구에 활용된 바 있으며 관측 강우에 대하여 분해 성능이 준수함이 확인되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MRC 모형을 활용하여 미래 기후변화 시나리오 산출물에 적용함으로써 MRC 모형이 일단위 및 3시간 단위 기후변화 자료의 시간 분해에 대해 적절한 성능을 수행하는지 여부를 분석하고, 기후변화 자료의 최소 시간 간격별 강우 분해 결과를 비교·분석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향후 기후변화 시나리오 기반 기상자료 시간 분해에 대한 MRC 모형의 적용성을 평가하는 기초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 PDF

임펄스 잡음과 나카가미 페이딩이 공존하는 무선통신로에서 하이브리드 CDMA 시스템의 성능 해석 (Performance Analysis of Hybrid CDMA Systems in Impulsive Noise and Nakagami Fading of Wireless Radio Communication)

  • 김지웅;강희조;이권현
    •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 /
    • 제4권5호
    • /
    • pp.1005-1015
    • /
    • 2000
  • 본 논문에서는 무선통신로 채널상에 존재하는 가우스 잡음을 포함한 협대역 A급 임펄스 잡음과 나카가미페이딩 환경에서 하이브리드 CDMA MFSK시스템의 성능을 비교 분석하고, 성능 개선 기법으로 MRC 다이버시티 수신 기법과 부호화 기법을 동시에 채용함으로써 고려되어진 시스템의 성능을 개선시켰다. 결과에 의하면 임펄스 지수가 강할수록 또한. 페이딩 지수가 작을수록 하이브리드 CDMA 시스템에서는 성능이 더욱 열화 됨을 알 수 있었고, 성능 개선 기법으로 BCH 부호화 기법을 채용했을 경우 페이딩 지수가 증가할수록 성능개선의 폭이 큼을 알 수 있었다. 페이딩 지수가 작은 열악한 환경에서는 MRC 다이버시티 수신 기법을 채용하였을 경우가 BCH 부호화 기법을 채용하였을 경우 보다 시스템 성능이 우수하였지만, 페이딩 영향이 감소할수록 BCH 부호화 기법을 채용하였을 경우 시스템 성능이 우수함을 알 수 있었다. 또한 반가우시안 분포와 레일리 페이딩 환경에서 각각의 성능 개선 기법을 단독으로 채용하였을 경우, 음성서비스 품질$(10^{-3})$에 도달할 수 없지만, BCH 부호화 기법과 MRC 다이버시티를 동시에 채용함으로써 강한 임펄스 잡음하에서도 24dB 이상에서 음성서비스 기준 오율을 만족하는 성능 개선 효과를 얻을 수 있었고, 페이딩 지수가(m=3) 이상에서는 강한 임펄스 잡음이 부가되어도 22dB에서 $(10^{-3})$을 만족하고 24㏈ 이상에서는 데이터 서비스 기준$(10^{-5})$ 오율을 만족하는 우수한 성능 개선 효과를 보임으로써 다이버시티 가지수와 부호화의 이득에 의한 에러 성능이 향상되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