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PEG-4 scalable video

검색결과 48건 처리시간 0.024초

MPEG-4 AVC 기반 미세입자 스케일러블 비디오 코딩을 위한 새로운 스캔 방법 (A New Scanning Method for MPEG-4 AVC based Fine Granular Scalable Video Coding)

  • 정원식;박광훈;김규헌
    • 방송공학회논문지
    • /
    • 제7권4호
    • /
    • pp.345-354
    • /
    • 2002
  • 본 논문에서는 MPEG-4 AVC (Advanced Video Coding) 기반 미세입자 스케일러블 (Fine granular scalable: FGS) 비디오 코딩 기법의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새로운 스캔 방법을 제안한다. 제안한 방법에서는 전송하고자 하는 영상에서 시청자에게 시각적으로 중요한 부분을 우선적으로 부호화하여 전송하고, 수신단에서도 해당 영상 정보를 우선적으로 복호화함으로써, 복원된 스케일러블 비디오의 화질을 향상시킨다. 제안한 방법의 성능을 확인하기 위한 실험 결과로부터 제안한 방법을 FGS에 적용하는 경우에는 복원 영상의 주관적인 화질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Adaptive Transcoding for Object-based MPEG-4 Scene using Optimal Configuration of Objects

  • Cha, Kyung-Ae
    • 한국멀티미디어학회논문지
    • /
    • 제9권12호
    • /
    • pp.1560-1571
    • /
    • 2006
  • In order to transmit multimedia streams over the network with a timely changing channel bandwidth such as Internet, scalable video coding schemes have been studied to represent video in flexible bitstream. Much research has been made on how to represent encoded media(such as video) bitstream in scalable ways. In this paper, rte propose an optimal selection of the objects for MPEG-4 bitstream adaptation to meet a given constraint. We adopt a multiple choice knapsack problem with multi-step selection for the MPEG-4 objects with different bit-rate scaling levels in the MPEG-4 bitstream. The bitstream adaptation based on the optimal selection result is then to fetch the necessary parts of the MPEG-4 bitstream to constitute an adapted version of the original MPEG-4 binary resource. The experiment results show that the optimal selection of MPEG-4 objects for a given constraint can promisingly be made which meets the given constraint.

  • PDF

네트워크에 적응적인 스케일러블 스트리밍 비디오 코딩을 위한 새로운 스캔 방법 (A New Scanning Method for Network-adaptive Scalable Streaming Video Coding)

  • 박광훈;정원식
    • 한국정보과학회논문지:컴퓨팅의 실제 및 레터
    • /
    • 제8권3호
    • /
    • pp.318-327
    • /
    • 2002
  • 본 논문에서는 MPEG-4 미세입자 계충 코딩 기법 등과 같은 망 상태 적응적인 계충적 스트리밍 코딩 기법에 적합한 새로운 스캔 방법을 소개한다. 제안된 스캔 방법은 사용자가 관심있는 영역의 영상정보 부호화를 최우선적으로 수행하여 전송하고 수신단에서도 해당 영상정보의 복호화을 최우선적으로 수행하도록 관리하여 복호된 비디오 영상의 주관적인 화질 향상을 보장하는 방법이다. 제안된 방법을 FGS 코딩 기법에 적용하면 특히 사용자가 관심 있는 영역의 주관적 화질을 약 1 dB ~ 3 dB정도 향상 시킬 수 있다.

FGS를 이용한 계층적 코딩기법에 관한 연구 (A Study on Sealable Video Coding Technique with Fine Granularity Scalability)

  • 김종욱;이배호
    • 한국정보처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처리학회 2002년도 춘계학술발표논문집 (상)
    • /
    • pp.795-798
    • /
    • 2002
  • 본 논문에서는 MPEG-4 표준에서 채택된 FGS(Fine Granualrity Scalability)를 이용한 계층적 비디오 부호화 방법을 적용하였다. MPEG-4 FGS는 인터넷에서 이용되는 다양한 특성의 단말기들과 대역폭 변통에서 유연성 있는 기술이다. 적용된 MPEG-4 FGS 기술은 DCT 기반 비트 평면 부호화를 이용한다. 실험에서는 일반적인 SNR 계층 비디오 코딩(Multi-layered SNR scalable video coding)과의 비교를 통해 FGS의 효율성을 평가한다. 비교는 두 부호화 기술의 PSNR 값의 분석을 가지고 이루어졌고 MPEG-4 FGS 기술이 이전의 다층 SNR계층 비디오 부호화 방법보다 평균 $1\sim2dB$ 정도의 높은 값으로 나타났다. 이를 동해 MPEG-4 FGS가 효율성면에서 다층 SNR계층 비디오 부호화 방법보다 우수함을 알 수 있지만, 단일 계층부호화(Single-layered scalable video coding)에 비해서는 효율성이 낮게 나타났다.

  • PDF

스케일러블 비디오 부호화의 개요 및 성능 분석 (Overview and Performance Analysis of the Emerging Scalable Video Coding)

  • 최해철;이경일;강정원;배성준;유정주
    • 방송공학회논문지
    • /
    • 제12권6호
    • /
    • pp.542-554
    • /
    • 2007
  • 근래의 무선망 및 인터넷의 초고속화에 따라 풍부한 멀티미디어에 대한 사용자의 요구가 증대되고 있으며, 이동 통신의 활성화 및 DMB(Digital Media Broadcasting)와 같은 통방융합 서비스의 등장으로 여러 네트워크 망을 통해 다양한 성능을 가진 단말로의 멀티미디어 서비스가 이루어지고 있다. 이러한 환경 변화에 따라 비트율을 줄이기 위한 비디오 압축 부호화 기술뿐만 아니라 시변의 전송 조건, 전송망 특성, 다양한 단말 성능, 사용자 선호도 등에 대한 비디오의 적응 기술에 관심이 모아졌으며, 그 결과 ISO/IEC MPEG(Moving Picture Experts Group) 및 ITU-T VCEG(Video Coding Experts Group)의 JVT(Joint Video Team)에서는 비디오 부호화의 스케일러빌러티(scalbility)를 제공하기 위한 SVC(Scalable Video Coding) 표준화를 진행하였다. 본 논문에서는 공간/시간/화질적 스케일러빌러티를 지원하기 위한 SVC의 대표적 표준 기술들에 대해 설명하고, 기존의 단일 계층(single layer) 부호화 방식과 비교하여 SVC의 부가 비트 요구량 및 부호화 효율에 대해 성능 평가를 하였다.

영상 화면에 적용한 확장적응성 선택 방법에 관한 연구 (Research about Scalability selection method that apply to Image Scene)

  • 송대건
    • 한국정보전자통신기술학회논문지
    • /
    • 제1권3호
    • /
    • pp.91-96
    • /
    • 2008
  • 최근 네트워크대역 및 수신단말기의 해상도의 다양화에 의해 One Source-Multi use의 영상 전송을 구현하기 위한 기술로서 영상 확장적응성 기능이 주목받고 있다. 현재 MPEG에서는 H.264/MPEG-4 AVC를 기본으로 하는 SVC(Scalable Video Coding)의 표준화가 진행되고 있으며 SVC에서는 공간 시간 SNR 확장적응성을 제공할 수가 있다. 그러나 일반적으로 확장적응한 부호화는 비 확장적응한 부호화에 비해 부호화 효율이 떨어진다고 알려져 있다. 그래서 본 논문에서는 시간, SNR 확장적응성에 착안하여 SVC에 의한 확장적응성의 입자크기의 정도와 부호화 효율 관계를 기초로 하는 SNR 스케일러빌러티를 제공하는 FGS(Fine Granular Scalability) 기능을 전환함으로서 주관 품질의 향상을 꾀하는 수법을 검토한다.

  • PDF

MPEC-4 FGS 비디오 스트리밍에 대한 네트워크 차별화 서비스의 성능분석 (Performance Evaluation of Differentiated Services to MPEG-4 FGS Video Streaming)

  • 신지태;김종원
    • 한국통신학회논문지
    • /
    • 제27권7A호
    • /
    • pp.711-723
    • /
    • 2002
  • ISO/IEC MPEG-4 FGS (finer granular scalable) 비디오 스트림을 패킷손실 측면의 차등서비스 (differentiated services: DiffServ) 네트워크상에서 차별화 전송하는 시스템을 제안하고, 그 성능을 분석한다. 이를 위한 전체 제안시스템의 구조는 크게 다음의 3 부분으로 나눌 수 있다. 즉 1) 선형 근사화한 전송율-왜곡치 (rate-distortion: R-D) 모델를 사용하여 비디오 품질를 일정하게 유지하는 최적의 계층화된 전송율 적응 제어 부분, 2) 각각의 비디오 패킷이 손실될 때 전체품질에 미치는 영향을 고려하는 우선순위 패킷화 (prioritized packetization) 부분, 그리고 3) 이와 같이 우선순위화된 비디오 패킷 스트림을 차등서비스 네트워크 상에서 차별화 전송을 수행하는 부분으로 구분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한 3 부분들이 효율적으로 연동되어 비디오 전송을 수행할 때, 동일한 네트워크 자원이 주어진 경우 얻을 수 있는 종단간 (end-to-end) 비디오 품질의 향상을 비교 분석하였다.

HEVC 기반 스케일러블 비디오 부호화 툴의 성능 분석 (Performance Analysis of Scalable HEVC Coding Tools)

  • 김용태;최진혁;최해철
    • 방송공학회논문지
    • /
    • 제20권4호
    • /
    • pp.497-508
    • /
    • 2015
  • 최근 HD(High Definition)화질 및 UHD(Ultra High Definition)화질과 같은 고품질 방송 서비스가 등장하고, 무선 네트워크 기술의 발달로 스마트폰, 태블릿 PC 등과 같은 휴대용 멀티미디어 기기들이 보편화됨에 따라, 비디오 콘텐츠의 전달 및 소비 환경이 다양화되고 있다. 따라서 스케일러빌러티(Scalability)의 현실적 필요성이 점점 절실해 졌으며, 시간, 공간, 화질 등의 확장성을 제공하는 Scalable Video Coding(SVC)이 등장하였다. 최근 ISO/IEC의 MPEG(Moving Picture Experts Group)와 ITU-T의 VCEG(Video Coding Experts Group)이 공동으로 결성한 Joint Collaborative Team on Video Coding(JCT-VC)에 의해 Scalable High Efficiency Video Coding(SHVC) 표준이 제정되었다. 본 논문은 공간적, 시간적, 화질적 스케일러빌러티를 제공하기 위하여 SHVC의 표준에 포함된 툴 뿐만 아니라 SHVC 표준화 과정에서 논의되었던 다양한 스케일러블 부호화 툴들을 소개하고, 기존 단일 계층 부호화 방식으로 부호화한 결과와 비교하여 SHVC의 부호화 효율에 대한 성능을 분석하였다. 이러한 성능 분석은 향후 부호화 성능 향상을 위한 알고리즘 개발 및 고속 부호화기 개발을 위한 부호화 툴의 선별 및 조정에 유용할 것으로 판단된다.

다중 스트림을 이용한 객체기반 MPEG-4 컨텐트의 적응 기법 (Adaptation for Object-based MPEG-4 Content with Multiple Streams)

  • 차경애
    • 한국산업정보학회논문지
    • /
    • 제11권3호
    • /
    • pp.69-81
    • /
    • 2006
  • In this paper, an adaptive algorithm is proposed in streaming MPEG-4 contents with fluctuating resource amount such as throughput of network conditions. In the area of adaptive streaming issue, a lot of researches have been made on how to represent encoded media(such as video) bitstream in scalable way. By contrast, MPEG-4 supports object-based multimedia content which is composed of various types of media streams such as audio, video, image and other graphical elements. Thus, it can be more effective to provide individual media streams in scalable way for streaming object-based content to heterogeneous environment. The proposed method provides the multiple media streams corresponding to an object with different qualities and bit rate in order to support object based scalability to the MPEG-4 content. In addition, an optimal selection of the multiple streams for each object to meet a given constraint is proposed. The selection process is adopted a multiple choice knapsack problem with multi-step selection for the MPEG-4 objects with different scalability levels. The proposed algorithm enforces the optimal selection process to maintain the perceptual qualities of more important objects at the best effort. The experimental results show that the set of selected media stream for presenting objects meets a current transmission condition with more high perceptual quality.

  • PDF

H.264/AVC-Scalable Extension의 표준화 연구동향과 알고리즘 분석 (Overview of H.264/AVC Scalable Extension)

  • 박성호;김원하;한우진
    • 방송공학회논문지
    • /
    • 제10권4호통권29호
    • /
    • pp.515-527
    • /
    • 2005
  • 앞으로의 동영상의 부호화 방법은 압축효율을 최대화시키는 것뿐 만 아니라 다양한 단말기 및 변화하는 통신 환경에 친화적으로 대응할 수 있는 Scalable Video Codec으로 발전해야 한다. 이러한 요구에 부응하여 ISO/IEC와 ITU-T의 합작 팀인 JVT(Joint Video Team)에서 H.264기반 스케일러블 비디오 부호화(SVC : Scalable Video Coding)에 관한 표준화가 진행 중이다. 본 논문에서는 현재 표준화 진행 중인 H.264/AVC기반 SVC의 연구 방향 및 표준화 진행 현황을 소개하고 그 기술을 분석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