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P3스마트웨어

검색결과 4건 처리시간 0.018초

MP3 스마트웨어 제품 상용화를 위한 디자인 프로토타입 개발 및 사용성 평가 연구 (Usability Evaluation and Development of Design Prototyping for MP3 Smart Clothing Product)

  • 채행석;홍지영;김준희;김진형;한광희;이주현
    • 감성과학
    • /
    • 제10권3호
    • /
    • pp.331-342
    • /
    • 2007
  • 본 연구에서는 MP3스마트웨어 상용화를 위한 디자인 프로토타입을 개발하였다. 본 연구에서 개발한 MP3 스마트웨어는 MP3 플레이어, 리모컨 모듈, 이어폰이 하나의 키트(One-kit) 형태로 되어 있으며 조립과 분리가 용이하다. 개발된 의류는 재킷타입의 MP3-YSJ(Yonsei Smart Jacket)와 사파리타입의 MP3-YSS(Yonsei Smart Safari)의 2종류의 MP3스마트웨어 였다. 2종류의 스마트웨어를 대상으로 한 두 차례의 사용성 평가가 각각 모듈별 평가와 항목별 평가로 진행되었다. 모듈별 평가는 외관, 소재, 음악컨트롤러, 이어폰/스피커, 커넥터였고 항목별 평가는 사회적 수용성,착용감,유용성,관리용이성,안전성을 평가하였다. MP3-YSJ 1.0과 MP3-YSS 1.0을 대상으로 한 1차 사용성 평가에서는 모듈별 평가는 전체적으로 긍정적인 결과를 보여주었다. 또한 항목별 평가에서는 MP3-YSJ 1.0와 MP3-YSS 1.0모두 다른 항목에 비해 사회적 수용성이 약간 낮게 평가되었고, 커넥터의 관리 용이성과 음악컨트롤러의 사회적 수용성이 낮게 나타났다. 2차 사용성 평가는 1차 사용성 평가 결과를 반영하여 개발된 제품을 대상으로 실시하였다. MP3-YSS 2.0은 음악 컨트롤러의 사회적 수용성과 관리용이성, 커넥터의 관리용이성이 개선이 필요한 항목으로 밝혀졌고, MP3-YSS 2.0의 경우에는 음악컨트롤러로의 사회적 수용성, 커넥터의 사회적 수용성, 소재의 관리용이성이 개선이 필요한 항목으로 나타났다. 특히 사용자는 키패드의 배치 때문에 사회적 수용성 측면에서 불편을 느꼈다. 음악컨트롤러의 사회적 수용성 문제를 보완하기 위해서는 음악컨트롤러의 키패드 인터페이스에 대해 보다 구체적인 연구가 필요하다.

  • PDF

MP3 기능 재킷과 심박 모니터링 스포츠웨어에 대한 소비자 수용 모델 (Applying the Technology Acceptance Model (TAM) to MP3-playing Jackets and Heart Rate Monitoring Sports Wears)

  • 채진미;조현승;이주현
    • 한국감성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감성과학회 2009년도 춘계학술대회
    • /
    • pp.127-130
    • /
    • 2009
  • 본 연구에서는 스마트 의류에 대하여 소비자들이 느끼는 지각된 가치가 소비자 수용도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MP3 기능 재킷과 심박 모니터링 스포츠웨어를 대상으로 소비자들의 수용도에 대한 연구모형을 수립하였고, 선행연구들을 근거로 각 구성요인 간의 관계에 대해 연구가설을 설정하였으며, 그 경로가설을 검증하였다. Davis(1989)가 제안한 TAM을 적용하여 스마트 의류의 수용과정을 설명한 결과 모형의 적합성을 검증하였으며, 8 개의 경로가설 중 6 개의 경로가 통계적으로 유의함이 밝혀져 채택되었다. 그 결과는, 첫째, 지각된 사용용이성은 유용성을 거쳐 태도에 간접적으로 영향을 주었고, 태도는 다시 수용의도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지각된 유용성은 지각된 가치에 대한 태도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스마트 의류의 수용의도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셋째, 지각된 가치가 스마트 의류에 대한 태도와 수용의도에 둘 다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스마트 의류에 대한 태도는 구매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

컨버전스 유형에 따른 혁신성, 지각된 가치, 구매의도의 차이에 대한 탐색적 연구 (A Exploratory Study on the Differences of Innovativeness, Perceived Value, and Buying Intention among Convergence Types)

  • 김문태
    • 경영과정보연구
    • /
    • 제33권1호
    • /
    • pp.219-235
    • /
    • 2014
  • 본 연구는 과거 컨버전스의 기능추가 실험대상에서 많이 이용되지 않았던 스마트폰을 대상으로 그 연구를 진행하였다. PDA, MP3 플에이어에 어떠한 기능을 추가한다고 하여 계속적으로 소비자의 사랑을 받을 수 있을 까? 하는점 그리고 스마트폰의 등장으로 타격을 받은 많은 전자제품들을 대상으로 컨버전스를 논한다는 것은 분명 마케팅 측면에서 문제가 있다고 판단되어 기존의 연구와 다른 틀로 진행되었다. 그리고, 이미 실용적 기능과 쾌락적 기능이 복잡하게 공존하고 있는 상황에서 기존제품의 컨셉과 일관적이라는 것은 연구 또한 적어도 스마트폰에서는 의미가 없다고 판단되어 이러한 의문점들을 바탕으로 기술의 혁신성, 기술의 다양성, 하드웨어 추가 및 소프트웨어 추가, 마지막으로 기술제품의 성능개선 등에 의한 컨버전스 효과를 예측 해보았다. 그 결과 연구의 시사점은 다음과 같이 정리될 수 있다. 먼저, 브랜드 인지도는 전반적으로 새로운 기능 추가시 소비자의 지각된 혁신성 평가를 높이고 전반적으로 높은 소비자 평가를 이끌어 내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브랜드 인지도가 높은 경우만 비교해서 다양한 기능 추가 상황을 비교했는데 혁신적인 기술의 추가>다양한 하드웨어의 추가>기존 하드웨어의 성능개선>다양한 소프트웨어의 추가 순으로 소비자에게 좋은 평가를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브랜드 인지도가 없는 경우에도 확실히 혁신적 기술 1개가 여러 개의 다른 평범한 기술의 추가보다 나은 결과를 보였는데 브랜드 인지도가 없는 제품의 경우는 혁신적인 새로운 기술 하나를 추가하는 것이 오히려 브랜드 인지도가 있는 경우의 일반적인 여러기술을 추가하는 경우, 성능을 개선하는 경우, 그리고 소프트웨어를 추가하는 경우보다 더 혁신적인 신제품으로 인식되고 구매의도도 높을 수 있다.

  • PDF

임베디드 운영체제 커널 기술 동향 (Trend of Embedded Operating System Kernel Technology)

  • 이형석;정영준
    • 전자통신동향분석
    • /
    • 제21권1호통권97호
    • /
    • pp.1-13
    • /
    • 2006
  • 임베디드 시스템이라 함은 우리가 생활하는 주변에서 흔히 접할 수 있고, 얘기만 들어도 쉽게 이해할 수 있는 PDA, 스마트폰, MP3 플레이어, 셋톱박스 등의 정보가전 기기들을 비롯하여 로봇, 텔레매틱스, 공장자동화, 군사기기와 센서노드에 이르는 디지털기기들에 컴퓨터가 내장되어 들어가 있는 시스템을 의미한다. 이러한 임베디드 시스템에 사용되는 임베디드 운영체제는 VxWorks, VRTX, pSOS, QNX와 같은 전용 RTOS에만 의존해 왔으나, 최근의 발전된 하드웨어와 네트워크 인프라로 인하여 보다 낮은비용으로 쉽고 빠르게 개발하며 범용으로 사용될 수 있는 임베디드 리눅스를 활용하는사례가 늘어나고 있는 추세에 있다. 이렇게 각광 받기 시작하는 임베디드 리눅스의 커널 기술과 관련한 대표적 관련 기술에 대해 설명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