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MP1

검색결과 1,138건 처리시간 0.033초

Effects of prunetin on the proteolytic activity, secretion and gene expression of MMP-3 in vitro and production of MMP-3 in vivo

  • Nam, Dae Cheol;Kim, Bo Kun;Lee, Hyun Jae;Shin, Hyun-Dae;Lee, Choong Jae;Hwang, Sun-Chul
    • The Korean Journal of Physiology and Pharmacology
    • /
    • 제20권2호
    • /
    • pp.221-228
    • /
    • 2016
  • We investigated whether prunetin affects the proteolytic activity, secretion, and gene expression of matrix metalloproteinase-3 (MMP-3) in primary cultured rabbit articular chondrocytes, as well as in vivo production of MMP-3 in the rat knee joint to evaluate the potential chondroprotective effect of prunetin. Rabbit articular chondrocytes were cultured in a monolayer, and reverse transcriptionpolymerase chain reaction (RT-PCR) was used to measure interleukin-$1{\beta}$ (IL-$1{\beta}$)-induced expression of MMP-3, MMP-1, MMP-13, a disintegrin and metalloproteinase with thrombospondin motifs-4 (ADAMTS-4), and ADAMTS-5. In rabbit articular chondrocytes, the effects of prunetin on IL-$1{\beta}$-induced secretion and proteolytic activity of MMP-3 were investigated using western blot analysis and casein zymography, respectively. The effect of prunetin on MMP-3 protein production was also examined in vivo.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prunetin inhibited the gene expression of MMP-3, MMP-1, MMP-13, ADAMTS-4, and ADAMTS-5; (2) prunetin inhibited the secretion and proteolytic activity of MMP-3; (3) prunetin suppressed the production of MMP-3 protein in vivo. These results suggest that prunetin can regulate the gene expression, secretion, and proteolytic activity of MMP-3, by directly acting on articular chondrocytes.

Luteolin Inhibits the Activity, Secretion and Gene Expression of MMP-3 in Cultured Articular Chondrocytes and Production of MMP-3 in the Rat Knee

  • Kang, Bun-Jung;Ryu, Jiho;Lee, Choong Jae;Hwang, Sun-Chul
    • Biomolecules & Therapeutics
    • /
    • 제22권3호
    • /
    • pp.239-245
    • /
    • 2014
  • We investigated whether luteolin affects the gene expression, secretion and activity of matrix metalloproteinase-3 (MMP-3) in primary cultured rabbit articular chondrocytes, as well as production of MMP-3 in the rat knee to evaluate the potential chondroprotective effects of luteolin. Rabbit articular chondrocytes were cultured in a monolayer and IL-$1{\beta}$-induced gene expression levels of MMP-3, MMP-1, MMP-13, a disintegrin and metalloproteinase with thrombospondin motifs-4 (ADAMTS-4), ADAMTS-5 and type II collagen were measured by reverse transcription - polymerase chain reaction (RT-PCR). Effects of luteolin on interleukin- $1{\beta}$ (IL-$1{\beta}$)-induced secretion and enzyme activity of MMP-3 in rabbit articular chondrocytes were investigated by western blot analysis and casein zymography, respectively. The effect of luteolin on MMP-3 protein production was also examined in vivo.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luteolin inhibited the gene expression levels of MMP-3, MMP-1, MMP-13, ADAMTS-4 and ADAMTS-5. However, it increased the gene expression level of collagen in rabbit articular chondrocytes; (2) luteolin inhibited the secretion and activity of MMP-3; (3) luteolin inhibited in vivo production of MMP-3 protein. These results suggest that luteolin can regulate the gene expression, secretion and activity of MMP-3, by directly acting on articular chondrocytes.

알러젠 제거 옻나무 추출물이 종양 전이 억제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Allergen Removed Rhus Verniciflua Extract on Inhibition of Tumor Metastasis)

  • 박재현;문구
    • 대한암한의학회지
    • /
    • 제15권1호
    • /
    • pp.47-61
    • /
    • 2010
  • Objective : The aim of this present study is to evaluate the inhibitory effect of allergen removed Rhus verniciflua (ARV) on Matrix Metalloproteinase-9 (MMP-9), Matrix Metalloproteinase-2 (MMP-2) which is considered to have a clinically important role in tumor metastasis. Methods : The inhibitory effects of standardized extract of ARV on the MMP-2, MMP-9 were investigated by spectrofluorometer while the inhibitory effects on the active MMP-2, pro MMP-2, pro MMP-9 were investigated by zymography. Antimetastatic effect of standardized extract of ARV was investigated in vitro on human fibrosarcoma cell (HT1080)'s invasion through Matrigel. Results : The standardized extract of ARV showed inhibitory effects on the active MMP-2 (IC50, $1.01{\mu}g$/ml), active MMP-9 (IC50, $2.5{\mu}g$/ml) depending on concentrations which was determined by spectrofluorometer. The standardized extract of ARV showed inhibitory effects on the active MMP-2, pro MMP-2, pro MMP-9 depending on concentrations which was determined by zymography. However its inhibitory effect on pro MMP-9 was relatively weaker rather than active MMP-2, pro MMP-2. The standardized extract of ARV showed inhibitory effects in vitro on human fibrosarcoma cell (HT1080)'s invasion through Matrigel according to concentration. Conclusions : These results indicate that standardized extract of ARV has antimetastatic effect through inhibit again MMP-2, MMP-9. Also its inhibitory effect is more powerful on active MMP-2, pro MMP-2 than on active MMP-9, pro MMP-9. It is necessary to conduct further studies on other MMP families, TIMP, and each component of standardized extract of ARV.

  • PDF

후두암 세포주에서 $TGF-{\beta}1$에 의한 MMP2와 MMP9의 발현 양상 (The Effect of Transforming Growth Factor-${\beta}1$ on Expression of MMP 2 and MMP 9 Cell Lines)

  • 권남영;김형진;우정수;권순영;정광윤
    • 대한두경부종양학회지
    • /
    • 제18권2호
    • /
    • pp.135-141
    • /
    • 2002
  • Backgrounds and Objectives: Metastasis is a complex multistep process that requires sequential interactions between the invasive cell and the extra-cellular matrix. Transforming growth factor-${\beta}1$ ($TGF-{\beta}1$) is a multifunctional regulator of cellular differentiation, motility and growth. Loss of sensitivity to the growth inhibitory effects by $TGF-{\beta}1$ plays important roles in neoplastic progression.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role of $TGF-{\beta}1$ in the neoplastic invasion and metastasis through matrix metalloproteinase (MMP) of laryngeal cancer cell lines. Material and Methods: Two laryngeal cancer cell lines, SNU-899 and SNU-1076 were treated with recombinant $TGF-{\beta}1$, and the expression of MMP-2 and MMP-9 was immunohistochemically evaluated and gelatinase activity was studied by gelatin zymogram. Results: The cell growth inhibition was evident on 4th days after 1ng/ml and 10ng/ml $TGF-{\beta}1$ treatment. The expressions of MMP-2 and MMP-9, and their gelatinase activities were increased in dose-dependent manner. Conclusion: $TGF-{\beta}1$ treatment in laryngeal cancer cell lines induces the expression of MMP-2 and MMP-9, thus playing a role in the digestion of extracellular matrix gelatin.

인간피부 섬유아세포에서 UVB 유도된 산화 스트레스와 기질금속단백질가수분해효소 발현에 블루베리의 저해능 (Inhibitory Activity of Blueberries on UVB-induced Oxidative Stress and Matrix Metalloproteinase Expression in Human Skin Fibroblasts)

  • 장영아;김세기
    • 생명과학회지
    • /
    • 제29권12호
    • /
    • pp.1321-1328
    • /
    • 2019
  • 자외선B(UVB: 290-320 nm) 방사선으로도 알려진 중간 파장 태양광선은 인간에게 조기 노화 및 산화손상에 의존하는 피부암을 유발할 수 있다. UVB가 유발하는 반응성 산소종(ROS)의 형성은 종종 이러한 광선에 과도하게 노출되는 결과로 MMP-1과 MMP-3와 같은 매트릭스 금속단백질(MMP)을 활성화할 수 있다. 이 효소들은 인간의 섬유질에서 type 1형 콜라겐을 분해한다. 본 연구에서는 블루베리(EEB)의 에틸 아세테이트 추출물의 항산화 및 항노화 효과를 평가했다. 블루베리의 항산화 실험은 DPPH 분석과 CCD-986sk 세포를 사용하여 ROS 생성을 평가했다. 블루베리의 주름방지 효능을 평가하기 위해 MMP-1 생성과 type 1형 procollagen 합성을 평가하고 Western Blot과 RT- PCR을 통해 MMP 1, 3의 발현량을 평가하였다. EEB는 2,2-diphenyl-1-picrylhydrazyl (DPPH) 라디칼의 소거능을 보이며 UVB에 유도된 ROS의 생성을 저해하였다. 또한 EEB는 procollagen 생성감소 및 MMP-1 생성량의 증가 등 광노화 및 피부암과 관련된 UVB로 야기되는 과정을 억제하였다. 더 정확히 말하면, EEB (50㎍/ml)는 MMP-1과 -3의 mRNA와 단백질 발현을 현저히 억제하였다. EEB의 항노화 효과는 항산화 작용에 기인한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EEB가 type 1형 procollagen, MMP-1, MMP-3의 수준을 조절함으로써 인간 섬유아세포에서 UVB가 유발하는 노화로부터 보호 효과를 가지고 있음을 나타낸다.

월경주기에 따른 치은열구액 내 염증지표의 변화: 예비 연구 (Influence of Menstrual Cycle on Inflammatory Markers in Gingival Crevicular Fluid : Pilot Study)

  • 박후섭;황수정;조민정;김도경;양선연
    • 치위생과학회지
    • /
    • 제12권1호
    • /
    • pp.71-77
    • /
    • 2012
  • 본 연구는 월경주기에 따른 치주조직의 변화에 관한 예비연구로, 건강한 치주조직을 가지고 있고 월경주기가 일정한 20대 여성 7명과 남성 3명을 대상으로 4주간 8회 추구조사를 하였다. 시진상 치주조직의 상태는 건강하므로 치은열구액 내 바이오마커의 변화를 기준 변수로 하여, 상악전치부 치은열구액 내 MMP-9과 MMP-8, IL-$1{\beta}$의 농도를 측정하여 비모수 검정방법으로 분석하였다. 그 결과, 1. 여성대상자에서 월경시기, 배란추정시기에 각 염증지표들이 상승하는 추세를 보였으나 변화정도는 유의하지 않았다. 2. 성별에 따른 각 염증지표들의 차이는 유의하지 않았으며, MMP-9, MMP-8의 농도는 차이가 없었으나 IL-$1{\beta}$의 농도가 남성에서 유의하게 높았다(p=0.03). 3. 검사시점별 각 염증지표들의 상관관계는 강하거나 상당한 강한 양적 선형관계를 나타내었고 배란추정 시기와 월경시기에 상관계수가 더 높게 나타났다. 4. MMP-8과 IL-$1{\beta}$의 관계는 모든 검사시점에서 유의하였으나 MMP-9의 경우, MMP-8과 IL-$1{\beta}$의 상관관계가 유의하지 않은 시점도 있었다. 따라서, 여성대상자도 월경주기에 따른 변화정도가 남성대상자와 유의한 차이가 없으므로 치주병 위험요인에 따른 치주조직 변화의 추구조사에 참여할 수 있는 근거가 마련되었다. 또한 검사지표 중에 MMP-8이 모든 시점에서 다른 지표와 유의하고 강한 상관관계를 나타내어 대표 바이오마커로 적합할 것으로 사료되었다.

비소세포폐암에서 Matrix Metalloproteinase(MMPs)-2, 9와 Tissue Inhibitor of Metalloproteinase(TIMPs)-1, 2의 발현과 생존율과의 관계 (The Relationship Between Expression of Matrix Metalloproteinases(MMPs)-2, 9 and Tissue Inhibitors of Metalloproteinase(TIMPs)-1, 2 and Survival Time in Resected Non-Small Cell Lung Cancer)

  • 김학렬;양세훈;정은택
    •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 /
    • 제52권5호
    • /
    • pp.453-462
    • /
    • 2002
  • 연구배경 : MMPs는 종양 전이의 주된 장벽인 기저막과 세포외 기질을 분해하여 암세포의 침습 및 전이에 주된 역할을 하며, TIMP는 MMP에 의한 기저막 단백질 분해를 억제하는 인자로 알려져있다. MMP의 발현은 임상 병기가 진행할수록 증가하며 주위 림프절 전이와 관계가 있으며, TIMP의 발현은 주위 림파절로 전이가 일어나면 감소 또는 증가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대상 및 방법 : 비소세포폐암으로 진단 받고 근치적 절제술을 시행 받은 74명 환자를 대상으로 paraffin에 보관된 조직에서 면역조직화학염색법을 이용하여 MMP-2, 9, TIMP-l, 2 항체로 발현을 검색하였으며, 발현에 따른 생존율을 Kaplan-Meier, Log-rank로 검색하였다. 결 과 : MMP-2, 9의 발현은 각각 25/74례 (34%), 19/74(26%)였고, TIMP-l, 2의 발현은 각각 27/74(36%), 32/74(43%)였다. 임상 병기에 따른 MMP-2, 9 발현은 병기의 진행에 따라 유의하게 증가하였고, TIMP-2는 유의하게 감소하였다. 임상 림프절의 전이에 따른 발현은 MMP-2, 9에서만 전이의 진행에 따라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MMP-2 발현에 따른 중간 생존기간은 양성군이 20개월, 음성군이 34개월로 양성군이 유의하게 낮았으며, TIMP-2은 34개월, 18개월로 양성군이 유의하게 높았다. MMP-2/TIMP-2에 따른 중간 생존기간은 음성/양성이 유의하게 높았다. 결 론 : MMP-2, 9 발현은 종양의 진행과 림프절의 전이에 관여할 것으로 사료되며, MMP-2와 TIMP-2의 발현은 역비레 관계가 있다.

진귤 과피 추출물의 MMP-1 발현조절 효과 (Effects of Citrus sunki Peel Extract on Matrix Metalloproteinase-1 Expression)

  • 한구슬;이선령
    • 생명과학회지
    • /
    • 제23권12호
    • /
    • pp.1553-1556
    • /
    • 2013
  • 본 연구는 재래감귤종의 하나인 진귤 과피 추출물이 산화적 스트레스에 의한 MMP-1의 발현 조절에 미치는 효과를 확인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H_2O_2$를 피부세포에 처리하여 산화적 스트레스를 유도한 결과 노화 유발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으로 알려진 MMP-1의 발현량이 증가하였고 진귤과피 추출물의 처리는 산화적 스트레스에 의해 증가된 MMP-1의 활성을 현저히 감소시켰다. 이러한 활성 조절이 ERK signaling을 통해 조절되는지 확인한 결과 산화적 스트레스에 의해 증가된 ERK의 인산화는 진귤과피 추출물의 처리로 억제되었고 MEK 억제재인 U0216을 처리하였을 경우 MMP-1의 활성도 또한 저해시키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상의 결과로 보아 $H_2O_2$에 의해 유도된 산화적 스트레스는 MMP-1의 발현을 촉진시켰고 진귤과피 추출물은 ERK 신호전달 경로를 통해 MMP-1의 발현을 조절하는 것으로 보여진다.

Prevotella nigrescens lipopolysaccharide로 자극한 치주인대 섬유아세포에서 기질금속단백분해효소와 단백분해효소억제제의 생성 양상에 대한 연구 (MMP and TIMP production in periodontal ligament fibroblasts stimulated by Prevotella nigrescens lipopolysaccharide)

  • 양원경;이우철;김미리;손호현
    • Restorative Dentistry and Endodontics
    • /
    • 제30권5호
    • /
    • pp.372-384
    • /
    • 2005
  • 이 연구에서는 Prevotella nigrescens (P. nigrescens)의 lipopolysaccharide (LPS)로 자극한 치주인대 섬유아세포에서 matrix metalloproteinase (MMP)와 tissue inhibitor of metalloproteinase (TIMP)의 생성 양상과, LPS를 수산화칼슘으로 처리했을 때의 영향을 평가하였다. P. nigrescens에서 추출, 정제한 여러 농도의 LPS와 수산화칼슘으로 처리한 LPS로 치주인대 섬유아세포를 자극하여, Immunoprecipitation법으로 MMP-1, -2, TIMP-1의 단백질 생성 양상을, real-time polymerase chain reaction법으로 MMP-1의 mRNA 발현 양상을 분석하였다. 이 연구의 결과는 아래와 같다. 1. MMP-1은 단백질과 유전자 수준 모두 자극 시간과 비례하여 증가하여 48시간에 최대값을 보였다. 2. MMP-2단백질 생성은 1, 10 mg/ml에서 자극 시간과 비례하여 증가하였다. 3. TIMP-1 단백질 생성은 24시간까지 증가하다가 48시간에 감소하였고, 0.1과 1 ${\mg}g/ml$에서 증가하였으나 10 ${\mu}g/ml$ 에서 억제되었다. 4. P. nigrescens의 LPS를 수산화칼슘으로 처리시 MMP-1의 mRNA 발현은 현저하게 감소하였다.

인간 신장암 Caki세포에서 dicumarol에 의한 PMA 매개 matrix metalloproteinase-9의 발현 억제 효과 (Dicumarol Inhibits PMA-Induced MMP-9 Expression through NQO1-independent manner in Human Renal Carcinoma Caki Cells)

  • 박은정;권택규
    • 생명과학회지
    • /
    • 제26권2호
    • /
    • pp.174-180
    • /
    • 2016
  • Dicumarol는 전동싸리 식물에서 추출한 coumarin 유도체로 vitamin K 의존적으로 항응고 작용를 한다. 그러나, dicumarol에 의한 MMP-9의 발현 및 활성화 조절에 대한 연구는 수행되지 않았다. 본 연구에서 dicumarol이 인간 신장암 Caki세포에서 PMA 매개의 MMP-9의 발현과 활성화를 조절 할 수 있는지 확인하였다. Dicumarol는 PMA유도 MMP-9의 활성을 억제하였고, MMP-9의 mRNA RT-PCR 및 promoter assay를 통하여 전사단계에서 조절됨을 확인하였다. Dicumarol에 의한 MMP-9 발현 조절에 NF-κB와 AP1 전사인자의 전사 활성 저해에 의하여 야기됨을 확인하였다. NQO1 siRNA를 이용한 knock-down 실험에서 dicumarol이 PMA유도의 MMP-9 활성 억제에 NQO1의 관련성을 확인 할 수 없었다. Dicumarol는 PMA에 의한 세포이동 및 침윤을 억제하였는데, 이러한 현상은 MMP-9의 발현 및 활성을 조절함으로써 일어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