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INIMUM AREA

검색결과 1,975건 처리시간 0.03초

상위체계구조를 이용한 지역교통망 통제모형 개발 (Development of Area Traffic Control Model by Using High Level Architecture)

  • 이상헌
    • 한국경영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경영과학회 2004년도 추계학술대회 및 정기총회
    • /
    • pp.3-7
    • /
    • 2004
  • There are some limitations in the analysis and evaluation for area traffic control systems. The area traffic is consist of several intersections interconnected which are very complicated and many traffic strategy are adopted for the control system. This paper features an effective area traffic control system by High Level Architecture(HLA) which is a new developed simulation tool. In this paper, we discuss the design of HLA-based area traffic control simulation. We describe technical motivations for the HLA, the key elements of the architecture and how they are minimum and essential to the goal of reuse and interoperability in simulation arena.

  • PDF

FDM에서 경사면의 표면과 면적오차법의 관계에 대한 연구 (A Study on The Surface Roughness and Area Error at FDM)

  • 전재억;정진서;황영모;김수광;김준안;계중읍;하만경
    • 한국공작기계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공작기계학회 2002년도 추계학술대회 논문집
    • /
    • pp.24-29
    • /
    • 2002
  • In any rapid prototyping process, the layer by layer building process introduces an area error between the staircase and the surface line specified by the computer-aided design model. This affects the dimensional accuracy as well as the surface finish for different part build orientations. This paper describes a methodology for computing the area error for any orientation of the part built by the fused deposition modelling system. This technique can be applied to determine the best build orientation of the part, based on the minimum area error. This technique is verified by comparing the results with the experimental measurements of the area error of the parts built at different orientations.

  • PDF

指標植物을 이용한 大氣汚染度 調査硏究 -대전시를 중심으로- (A Study on the Air Pollution Level in Tae Jon Area by Botanical Indicator)

  • Oh, Sob Yun
    • 한국환경보건학회지
    • /
    • 제10권2호
    • /
    • pp.69-77
    • /
    • 1984
  • Air pollution has been one of the severe problems in city area. Sulfur dioxide is the major pollutant among the air pollutants. And the lichen as a botanical indicator have been used to predict the air pollution level.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evaluate the air pollution level in Taejon area through the field survey which were checked lichen status and sulfur dioxide content in the atmosphere.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The average sulfur dioxide content in Taejon area was 0.031ppm. The comparison of measurement methods were regression equation, Y= 0.357$\times$+0.014 and correlation factor, r = 0.771. 2. The maximum point of the SO$_2$ level was site No. 2(Daehwa-Dong), 0.087 ppm and the minimum, site No. 8 (Doma 2-Dong), 0.009ppm. 3. Total amounts of sulfur dioxide yearly emitted from Taejon area by fuel consumption estimated 29829.6 tons. 4. The relationship between degree of lichen and sulfur dioxide contents were 0.000~0.020ppm : Zone No. 2 0.020~0.060ppm : Zone No. 1 over 0.060ppm : Zone No. 0

  • PDF

타당성 평가지표를 활용한 터널식 공동구 설치가능지역 검토 (Review of the installable area of multi-utility tunnel using feasibility assessment indexes)

  • 오원준;진규남;나귀태;조중연;심영종
    • 한국터널지하공간학회 논문집
    • /
    • 제21권6호
    • /
    • pp.795-810
    • /
    • 2019
  • 본 논문에서는 공동구 도입에 대한 계획 및 설계 단계 이전에 공동구 설치가능 지역과 연장을 개략적으로 결정할 수있는 방법에 대한 연구를 진행하였다. 이를 위하여 자료획득이 가능하며 지역적 특성을 반영하고 있는 교통량, 인구밀도, 방재지수(종사자수) 및 시가화율 4개의 타당성 지표를 사용하였다. 서울시 공동구 설치 가능 지역 중 터널식으로 설치 가능한 노선에 대한 타당성 지표의 평균값과 최소값을 고려하여 설치 기준을 설정하였다. 분석대상 지역은 14개의 권역을 기준으로 200개 지역을 대상으로 하였다. 분석결과 타당성 지표의 최소값을 기준으로 터널식 공동구는 교통량 및 인구 등이 많은 39개 지역에 설치가 적합한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군' 단위 등은 '시, 구'에 비하여 인구가 넓게 분포되어 공동구 설치가 적합하지 않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또한 각 지표의 최소값을 중심으로 지표값이 커질수록 터널식 공동구 설치 지역이 줄어듦을 알 수 있었다.

새로운 청광 분석법을 적용한 MR8 안경재료의 광학적 시험 평가 (Optical Evaluation of MR8 Material spectacle Lens with a New Method for the Analysis of Blue Light)

  • 김하림;정주현
    • 대한시과학회지
    • /
    • 제20권4호
    • /
    • pp.413-420
    • /
    • 2018
  • 목적 : MR8 로 제조된 안경렌즈에서 굴절력별로 나누어 투과율을 측정하여 광학적 시험 및 청광 영역을 David L.의 분석법을 적용하여 분석하였다. 방법 : 시중에서 판매되고 있는 MR8 로 제조된 -8.00D, -7.00D, -6.00D, -5.00D, -4.00D, -3.00D, 0.00D의 렌즈를 선정하여 UV-VIS Spectrophotometers(SolidSpec 3700)로 200~1000nm까지 5nm 간격으로 투과율을 측정하고, 청광영역(380~500nm)을 David L.의 청광분석 방법을 적용하여 분석하였다. 결과 : 연구에 선정한 MR8렌즈들 모두 UV영역을 거의 모두 차단하였다. -8.00D의 렌즈가 청광영역에서 투과율 59.56%로 가장 낮게 측정되었고 또한, David L. 분석에 따른 청광영역1과 2에서 낮은 값이 측정되었다. 적외선 영역에서는 모든 렌즈의 투과율이 점진적으로 감소하였다. 그리고 시감투과율에서 평균 23.67%~26.33%의 계산값을 얻었고 -4.00D부터 점진적으로 감소하였다. 결론 : David L.의 분석법을 적용하면, 청광 1영역에서는 최소 41.28%, 최대 46.60%가 측정되었으며, 청광 2영역에서는 최소 87.30%, 최대 97.55%가 측정되었다. 그리고 청광 3영역에서는 최소 86.83%, 최대 96.55%가 측정되었으며 평균 94%였다. 시감투과율에서는 측정된 렌즈 중 -3.00D렌즈가 26.33%으로 가장 높은 값이 계산되었으며, -8.00D렌즈가 23.67%으로 가장 낮은 계산 값을 얻었다.

소나무림 매토종자 최소생존가능개체군에 관한 연구 (Study on Minimum Viable Population of Seed Bank in Pine Forest)

  • 이명훈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32권5호
    • /
    • pp.497-506
    • /
    • 2018
  • 본 연구는 매토종자를 활용한 소나무림 생태복원 시 적정 매토종자 최소생존가능개체군의 크기를 확인하기 위해 2010년 8월부터 2011년 11월까지 매토종자 발아실험을 실시하였다. 상관관계분석 결과, 면적과 초본 종수가 0.686으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도서생물지리학의 이론에 따라 최소생존가능개체군에 적용하여 면적과 유의성이 있는 네 변수에 대해 회귀분석을 한 결과 목본 종수, 목본 개체수, 초본 종수 및 초본 개체수 모두 5% 이내에서 유의하며, 회귀함수의 설명력은 58.3%였다. 종수와 개체수간의 정준상관분석 결과 한 개의 함수가 유의하였으며 함수의 설명력은 82.4%이고, 유의수준 1% 이내에서 정준함수의 정준근 모두 유의한 것으로 판단된다. 연구 결과, 소나무림 매토종자 최소생존가능 개체군의 크기는 면적 $64m^2$이상, 종수 21종 이상, 개체수 120개체 이상을 권장하며 초본 종수의 영향에 따라 매토종자 군집의 크기가 결정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매토종자를 활용한 소나무림 생태복원의 적용 시 초본 종에 대한 고려가 필요하다.

디지털 카메라의 렌즈 왜곡 보정에 사용된 보간 패턴 추출을 통한 카메라 식별 방법 (Digital Camera Identification Based on Interpolation Pattern Used Lens Distortion Correction)

  • 황민구;김동민;하동환
    • 인터넷정보학회논문지
    • /
    • 제13권3호
    • /
    • pp.49-59
    • /
    • 2012
  • 촬영된 카메라의 기초 정보를 담고 있는 EXIF 파일을 편집 프로그램들을 통해 삭제 또는 변형하게 되어 우리 주변에서 출처를 알 수 없는 이미지들이 상당수 존재하게 되었다. 이와 같은 문제점은 디지털 이미지의 출처를 왜곡하여 공공기관에서 사건의 분석 및 감정에 혼선을 줄 수 있다. 특히 증거의 출처를 명시하는 법정 기관에 출처가 삭제, 변형된 EXIF 파일을 가진 디지털 사진은 객관적 증거의 역할을 할 수 없다. 본 논문은 이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연구로써 촬영에 사용된 카메라의 신원을 추적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본 논문은 디지털카메라 이미지 프로세싱에서 사용하는 렌즈 왜곡 보정 알고리즘을 주목하였다. 렌즈 왜곡 보정은 맵핑 알고리즘을 이용하며 이 때 위신호 인공물(Aliasing artifact)와 복원 인공물(Reconstruction artifact)의 발생을 제거하기 위한 보간 알고리즘을 사용한다. 여기서 보간은 맵핑의 패턴과 유사한 형태로 나타나며 이 보간의 흔적을 찾는 것이 연구의 핵심이다. 본 논문에서는 맵핑에 사용된 보간 패턴을 검출하기 위해 미니멈 필터(Minimum Filter)를 이용한 검출 알고리즘을 제안하였다. 보간이 발생한 영역과 그렇지 않은 영역을 분류하여 두 영역에 동일한 미니멈 필터를 적용한다. 이를 DFT를 통해 각 영역간의 주파수 특성이 어떻게 나타나는지 확인하였다. 이 결과를 바탕으로 두 영역간의 차분값을 활용하여 최종 검출 맵으로 구현하였다.

하악의 전방이동이 구인두 내경의 동적 변화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Mandibular Protrusion on Dynamic Changes in Oropharyngeal Caliber)

  • 정재광;허윤경;최재갑
    • Journal of Oral Medicine and Pain
    • /
    • 제35권3호
    • /
    • pp.193-202
    • /
    • 2010
  • 저자는 상기도부의 동적변화를 관찰하여 수면시의 협착부위와 그 정도를 확인하며, 하악의 전방이동이 상기도부에 미치는 영향과 부위를 조사하고자 하였으며 총 9명의 건강한 피험자를 대상으로 임상적 검사, 방사선학적 검사 및 간이수면다원검사를 실시하여 코골이 및 수면무호흡증 등의 수면장애가 없음을 확인한다. 각성시 및 수면시, 하악의 안정위 및 전방이동시에서 각각 전자선 단층촬영(EBT)을 시행하여 각 조건하의 구인두의 부위별 최대 최소 단면적 및 허탈지수를 구하였다. 이때 수면의 유도를 위해 Dormicum$^{(R)}$을 정맥투여하였다. 그 결과, 각 조건에 따라 비교하였을때 수면 및 하악 전돌에 따른 상부, 중간부, 하부 상기도간의 최소 단면적 및 허탈지수의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반면 하악 안정위에서 각성 및 수면상태간의 비교시에 구인두의 하부에서 단면적의 유의성 있는 차이가 관찰되었다. 한편, 각성상태에서 하악 안정시와 전돌시간의 비교시에는 중간부에서 단면적의 유의성 있는 차이과 관찰되며 수면상태에서는 하악 안정시와 전돌시 단면적의 변화율을 나타내는 허탈지수에 있어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지하수 함양량 추정시 공간상에서의 자료 Sampling 방법에 따른 Minimum Entropy Deconvolution의 적용성에 관한 검토 (The Applicability of Minimum Entropy Deconvolution Considering Spatial Distribution of Sampling Points)

  • 김태희;김용제;이강근
    • 한국지하수토양환경학회지:지하수토양환경
    • /
    • 제11권3호
    • /
    • pp.52-58
    • /
    • 2006
  • Kim and Lee(2005)는 기존의 지하수위 변동법과는 달리 지진학에서 관측된 지진파 자료로부터 진원에서의 최초 파형을 추정하기 위해 제안된 방법인 Minimum Entropy Deconvolution(MED) 방법을 이용하여 지하수 함양량의 시간적 변화의 추정 가능성을 검토하였다. 하지만, 이 연구는 MED 자체의 적용 기능성에 대한 검토만을 다루고 있을 뿐, 다양한 경우에 대한 고려는 사실상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함양지의 공간적 분포 및 함양지와 수위 관측지점 간의 공간적 분포에 따라 ME 적용성이 어떻게 달라지는가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전체 수치모의 영역의 일부에만 지하수 함양량을 적용하고, 함양지로부터 거리에 따라 수치모의 결과를 모니터링 하였다. 이 때 적용된 수리전도도 분포는 균질한 경우와, 수리전도도의 난수장의 경우 두가지를 적용하였다. 각각의 수치모의 결과에 MED 를 적용하여 상대 지하수함양량의 시계열을 추정하고, 이 결과를 원래 가정한 지하수 함양량의 시계열과 상호상관성을 이용하여 비교하였다. 이 때 거의 모든 추정값은 원래 가정한 함양량의 시계열과 0.8 이상의 상호상관성을 보여 주었다. 이와 함께, 필터 길이의 불리적, 수학적 의미를 함께 살펴보았는데, 이를 통해 필터의 길이는 지하수위 변화의 겉보기 모양과 함양지로부터의 거리와 밀접히 관련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한국의 시골지역에서의 오존농도의 특성 (Characteristics of Ozone Concentration in the Rural Area of Korea)

  • 정용승
    • 한국환경과학회지
    • /
    • 제4권1호
    • /
    • pp.63-70
    • /
    • 1995
  • 1993년 7월부터 1994년 6월까지 1년간 시골지역에서 지면 부근의 오존을 연속적으로 측정하여 5분 평균치를 연구에 이용하였다. 이 관측은 북위 $37.4{\circ}$, 동경 $127.6{\circ}$ 에 위치한 충북 청원군 강내에서 실시되었으며, 1년 평균값은 17ppbㅠ이고 월평균은6-47ppb이다. 여름에 최대값이 발생하고 겨울에 최소값이 나타나며, 이들은 인위적인 배출물 및 광화학 반응과 관련이 있따. 오존으 일변화는 15:00~16:00시에 최대치와 07:00~08:00시에 최소치가 발생한다. 오존이 80ppb이상 발생하는 기간에는 북-북서풍의 안정한 기류가 유입할때 발생하는 반면, 여름에 오존이 매우 낮게 발생하는 기간에는 북태평양에서 유입되는 기류와 함꼐 발생하였다. 그러므로 장거리에 근원을 둔 인위적인 대기오염의 이동(LRTAP)이 시골지역의 국지적인 오존의 발생보다 더 큰 기여를 하고 있음을 시사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