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IL-STD-1760

검색결과 5건 처리시간 0.015초

항공기-무장간의 연동 시험을 위한 MIL-STD-1760E 기반 테스트 벤치 구축 사례 연구 (A Case Study on MIL-STD-1760E based Test Bench Implementation for Aircraft-Weapon Interface Testing)

  • 김태복;박기석;김지훈;정재원;권병기
    • 한국항행학회논문지
    • /
    • 제22권2호
    • /
    • pp.57-63
    • /
    • 2018
  • 항공기 발사용 유도무기는 자체점검시험(BIT; built in test) 뿐만 아니라 MIL-STD-1760표준을 준수하여 전원, 이산신호, MUX(multiplexer)통신 등 다양한 시험을 수행해야 시스템 안전성 및 신뢰성이 입증된다. 본 사례 연구 목적은 MIL-STD-1760E 기반 항공기-무장간 연동용 테스트 벤치 구축을 통하여 공대지 유도탄 개발 시 유도탄 전원인가부터 표적정보 입력, 전달정렬, 유도탄 분리 절차에 이르기까지 정의된 TIME LINE에 의거 유도탄 발사 시퀀스 구현 방안을 제시하기 위함이고, 추가적으로 오류삽입기능을 통해 비 활성탄에서 시험할 수 없는 항목까지 검증 범위를 극대화하는 참조 방안이 될 수 있다.

항공기 무장/장착물의 안전 분리 및 성능 검증을 위한 점검 시스템 설계 및 구현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test system for safety separation and performance verification of aircraft weapons/equipment)

  • 김효중;김양원;권병기
    • 한국항행학회논문지
    • /
    • 제26권2호
    • /
    • pp.47-53
    • /
    • 2022
  • 최근 국방 기술이 발달함에 따라 다양한 항공기 무장/장착물이 국내에서 개발되고 있다. 그 중에서 항공기 발사용 순항 유도무기(유도탄)는 다양한 시험을 통해서 신뢰성 및 안전성을 확보한 후 항공기에 장착할 수 있다. 항공기로부터 분리된 유도탄은 항공기와 충돌을 회피하기 위해서 지정된 시간에 날개의 구속을 해제하고, 지정된 방향으로 날개를 제어해야한다. 이를 확인하기 위해서 안전 분리 절차에 따라 MIL-STD-1760 신호를 제어하고, 구속해제 성능을 검증할 수 있는 점검 시스템이 필요하다. 특히, 점검 시스템은 구속해제를 위한 파이로 회로를 점검하는 기능과 MIL-STD-1760 신호를 제어해서 구동 성능을 점검하는 기능이 필요하다. 또한, 항공기로부터 분리된 환경을 유도탄에 모의할 수 있어야한다. 본 논문은 지상에서 유도탄에 장착된 파이로 회로 및 구동 성능을 안전 분리 절차에 따라 검증할 수 있는 점검 시스템을 제시하였고, 비행시험을 통해서 항공기로부터 정상적으로 분리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MIL-STD-1760 기반 항공기용 유도탄 소프트웨어 업데이트 기법 (A Software Update Technique for Aircraft Missiles based on MIL-STD-1760)

  • 이승연;김성권;이현아;조동식
    • 한국군사과학기술학회지
    • /
    • 제21권5호
    • /
    • pp.649-657
    • /
    • 2018
  • It is essential that weapons which are mounted on aircraft need to prove its reliability and safety during its developments. A guided missile should have high reliability and safety throughout various tests which are including ground tests, captive flight tests, detailed technical tests and operational tests. In these various tests, it is vital that software of each component in the guided missile should be easily updated in order to correct algorithms or errors. In this paper, we propose a software update technique based on MDTP(mass data transfer protocol) which are defined in MIL-STD-1760. The proposed techniques have the following advantages: First, software of each unit in a weapon can be updated through a test equipment without disassemble a guided missile. Second, development periods for a software update can be reduced by reusing MDTP. Third, we can easily maintenance of the software because it is based on standard. We proved its efficiency and validity through experiments. Therefore, the proposed technique should be effectively utilized for software update of a weapon mounted on an aircraft during development processes.

항공기 장착 유도탄의 KW급 전력변환장치 설계와 정류방식에 따른 연구 (A Study on the Design and Rectification Method of a KW class Power Converter Unit for an Aircraft Mounted Guided Missile)

  • 김형재;정재원;이동현;김길훈;문미연
    • 한국항행학회논문지
    • /
    • 제26권2호
    • /
    • pp.99-104
    • /
    • 2022
  • 최근 국내에서도 항공기 플랫폼을 기반으로 한 무기체계 수요는 점진적으로 증가 추세이다. 특히 지상 요격 용도로 항공기에 장착되어 발사 후 수백 킬로미터를 순항한 뒤 표적에 침투하는 유도탄의 수요가 높지만 개발 초기단계이며 그에 따른 연구와 자료 역시 제한적이다. 본 논문은 항공기 플랫폼에 장착 할 공대지 유도탄의 전력변환장치(PCU)에 대한 연구이며 항공기와 유도탄 간 인터페이스인 MIL-STD-1760 기반, 배꼽 연결기의 특성과 구조 그리고 항공기와 전기적 연동 체계에 대해 확인한다. 또한 주요 기능인 유도탄 구성품에 전원을 공급해주는 전력변환장치 설계 사양을 언급하였고, 항공기 장착 상태에서 유도탄 전원 입력 조건이 되는 3상 교류 입력을 모의하여 PFC를 이용한 정류 방식과 브릿지 정류회로를 이용한 정류 방식 결과를 비교 하였다. 이는 추후 개발 될 항공기 장착 무기 체계의 전력변환장치 설계 기초 자료로 사용 될 수 있을 것이다.

소형무장헬기 사격통제시스템의 구조를 고려한 공통 무장 인터페이스 모듈 설계 (Designing a Common Weapon Interface Module While Taking into Account the Fire Control System Architecture of a Light Armed Helicopter)

  • 이동호;박한준
    • 한국통신학회논문지
    • /
    • 제39C권11호
    • /
    • pp.1088-1093
    • /
    • 2014
  • 소형무장헬기(Light Armed Helicopter, LAH)의 사격통제시스템(Fire Control System, FCS) 구조와 효과적인 군수지원을 고려하여 분산형 FCS 구조에 적합한 공통 무장 인터페이스 모듈(Weapon interface module, WIM)을 제안하였다. FCS를 분산형 구조와 집중형 구조로 구분하여 장단점을 분석하였으며 분산형 구조 FCS의 무장인터 페이스장치(Store Station Interface Unit, SSIU)에 적용되는 공통 WIM을 설계 및 제작하였다. 제안된 공통 WIM은 무장모의기와의 통합 시험을 통해 분산형 FCS에 적용 가능함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확보된 공통 WIM 설계 방법은 LAH FCS의 케이블 작업을 경감시키고 여러 종류의 무장 제어에 도움이 되리라 예상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