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FCC (Mel Frequency Cepstral Coefficient)

검색결과 54건 처리시간 0.02초

Emotion recognition from speech using Gammatone auditory filterbank

  • 레바부이;이영구;이승룡
    • 한국정보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과학회 2011년도 한국컴퓨터종합학술대회논문집 Vol.38 No.1(A)
    • /
    • pp.255-258
    • /
    • 2011
  • An application of Gammatone auditory filterbank for emotion recognition from speech is described in this paper. Gammatone filterbank is a bank of Gammatone filters which are used as a preprocessing stage before applying feature extraction methods to get the most relevant features for emotion recognition from speech. In the feature extraction step, the energy value of output signal of each filter is computed and combined with other of all filters to produce a feature vector for the learning step. A feature vector is estimated in a short time period of input speech signal to take the advantage of dependence on time domain. Finally, in the learning step, Hidden Markov Model (HMM) is used to create a model for each emotion class and recognize a particular input emotional speech. In the experiment, feature extraction based on Gammatone filterbank (GTF) shows the better outcomes in comparison with features based on Mel-Frequency Cepstral Coefficient (MFCC) which is a well-known feature extraction for speech recognition as well as emotion recognition from speech.

음성 분류 인공신경망을 활용한 자폐아 치료용 로봇의 지능화 동작 연구 (Motion Study of Treatment Robot for Autistic Children Using Speech Data Classification Based on Artificial Neural Network)

  • 이진규;이보희
    • 전기전자학회논문지
    • /
    • 제23권4호
    • /
    • pp.1440-1447
    • /
    • 2019
  • 현재 아이들의 자폐스펙트럼장애 유병률이 한층 더 높게 보고되고 있으며 다양한 형태의 장애 징후를 보이고 있다. 특히 이들은 사회적 의사소통 영역에서 의사소통장애로 인한 대화에 어려움을 겪고 있으며 이를 훈련을 통해 개선 시킬 필요가 대두된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사전 연구를 통해 설계된 로봇에 장착된 마이크를 통해 음성 정보를 취득하고 이러한 정보를 이용하여 지능적인 동작을 만드는 방식을 제안한다. 음성 정보를 로봇 동작으로 분류하기 위해 인공신경망을 이용하였으며 여러 신경망 기법중 합성곱 방식을 기본으로 한 순환신경망을 결합하여 정확도를 향상시키려고 하였다. 입력 음성 데이터의 전처리는 MFCC를 이용하여 분석하였으며 여러 데이터 정규화 및 인공신경망 최적화 기법을 활용하여 로봇의 동작을 추정하였다. 아울러 설계된 인공신경망은 기존에 사용한 구조 및 사람이 개입하여 분석하는 방법과의 정확도 비교 실험을 진행하여 분석 결과가 높은 정확도를 나타냈다. 향후 보다 높은 정확도를 가질 수 있는 로봇 동작을 설계하여 실제의 자폐아 치료 및 교육 환경에서 적용할 수 있기 위하여 다양한 형태의 데이터를 수집하고 효율적으로 전처리하는 방식에 대한 연구가 요구된다.

머신러닝 기반 음성분석을 통한 체질량지수 분류 예측 - 한국 성인을 중심으로 (Application of Machine Learning on Voice Signals to Classify Body Mass Index - Based on Korean Adults in the Korean Medicine Data Center)

  • 김준호;박기현;김호석;이시우;김상혁
    • 사상체질의학회지
    • /
    • 제33권4호
    • /
    • pp.1-9
    • /
    • 2021
  •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heck whether the classification of the individual's Body Mass Index (BMI) could be predicted by analyzing the voice data constructed at the Korean medicine data center (KDC) using machine learning. Methods In this study, we proposed a convolutional neural network (CNN)-based BMI classification model.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Korean adults who had completed voice recording and BMI measurement in 2006-2015 among the data established at the Korean Medicine Data Center. Among them, 2,825 data were used for training to build the model, and 566 data were used to assess the performance of the model. As an input feature of CNN, Mel-frequency cepstral coefficient (MFCC) extracted from vowel utterances was used. A model was constructed to predict a total of four groups according to gender and BMI criteria: overweight male, normal male, overweight female, and normal female. Results & Conclusions Performance evaluation was conducted using F1-score and Accuracy. As a result of the prediction for four groups, The average accuracy was 0.6016, and the average F1-score was 0.5922. Although it showed good performance in gender discrimination, it is judged that performance improvement through follow-up studies is necessary for distinguishing BMI within gender. As research on deep learning is active, performance improvement is expected through future research.

한국 전통음악 (국악)에 대한 자동 장르 분류 시스템 구현 (An Implementation of Automatic Genre Classification System for Korean Traditional Music)

  • 이강규;윤원중;박규식
    • 한국음향학회지
    • /
    • 제24권1호
    • /
    • pp.29-37
    • /
    • 2005
  • 본 논문은 한국의 전통 음악, 즉 국악 장르를 자동으로 분류하는 시스템을 제안한다. 제안된 시스템은 입력 음악의 내용기반 분석을 통하여 궁중음악, 풍류방음악, 민속성악, 민속기악, 불교음악, 무속음악 등 6가지 장르중 하나로 자동분류하여 해당 음악의 장르 결과를 보여준다. 국악 장르 분류에 사용된 내용기반 알고리즘은 크게 음악의 특징 벡터 추출 그리고 장르 분류를 위한 패턴인식 과정 2가지로 구성된다. 음악의 특징 벡터 추출은 디지탈 신호 처리기술을 이용하여 해당 음악의 spectral centroid, rolloff, flux 등 STFT (Short Time Fourier Transform) 기반의 특징 계수들과 MFCC (Mel frequency cepstral coefficient), LPC (Linear predictive coding) 등의 계수들을 구한 후 SFS (Sequential Forward Selection) 최적 특징 벡터 열을 선별하여 사용하였으며 패틴 분류 알고리즘으로는 k-NN (k -Nearest Neighbor), Gaussian, GMM (Gaussian Mixture Model), SVM (Support Vector Machine) 분류기를 사용하였다. 특히 본 연구에서는 입력 질의의 패턴 (혹은 구간) 변화에 따른 시스템의 불확실성을 개선하기 위하여 MFC (Multi Feature Clustring) 방법을 이용하여 DB를 구축하였다. 모의실험 결과 k-NN 과 SVM 분류기 모두 $97{\%}$ 이상의 장르 분류 성공률을 보였으나, SVM 이 k-NN에 비해 약 3배 이상의 빠른 분류 성능을 가지고 있음을 확인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