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ET maize

검색결과 19건 처리시간 0.019초

다수다얼성 재래종 옥수수 계통의 청예수량 (Silage Yield of Korean Local Maize Lines(MET) with Many Tillers and Ears)

  • 이희봉;최봉호;조영찬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30권3호
    • /
    • pp.277-286
    • /
    • 1985
  • 다수다얼성 재래종 옥수수 (MET라 칭함)의 자식5세대인 3계통을 Siliage생산을 목적으로 상이한 재식밀도에서 대조품종인 수원 19호, 부여 #3 $\times$ #2를 공시하여 재배한 결과 그 성적은 다음과 같다. 1. 수확기의 초장에 대한 분산분석은 품종간에 유의차가 인정되지 않았으며, 특히 MET 계통은 교잡종이나 합성 품종에 비해 초기생육이 늦었는데 이는 MET계통이 재내종으로 자식열세 현상때문이라 추측된다. 재식밀도의 차이에 있어서 공시 품종의 초장은 큰 효과를 기대할 수 없었다. 2 수확기에서 총생체중은 MET 1이 교잡종보다 10a당 2000kg이 많았으며 특히, 밀식구인 60$\times$20cm에서 가장 높았다. 3. 단위 면적당 건물중 역시 생체량과 같은 경향의 증감으로 나타났으며, 10a부 MET 1의 총건물중은 2.4톤으로 수원 19호보다 10% 높았는데, 밀식구인 60$\times$ 20cm에서 그 효과가 컸다. 4. 10a당 종실수량은 MET 1 이 교잡종에 비해 소식구에서 낮았다. 5. MET계통의 평균 분얼수는 4.5개인 반면에 교잡종과 합성품종에서는 나타나지 않았다. 6. MET계통의 재배상의 가장 큰 문제로 도복율이 높았는데 MET계통의 착수고를 낮춤으로서 피해를 경감시킬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되며 7. MET계통의 100입중은 9gr인 반면에 교잡종과 합성품종은 30gr정도이었다.

  • PDF

Development of AFLP and STS Markers Related to Stay Green Trait in Multi-Tillered Maize

  • Jang Cheol Seong;Lee Hee Bong;Seo Yong Weon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49권4호
    • /
    • pp.358-362
    • /
    • 2004
  • In order to develop molecular markers related to stay green phenotype, AFLP analysis was conducted using near-isogenic lines for either stay green or non stay green trait. Both lines have characteristics of multi-ear and tillers (MET). Two out of 64 primer combinations of selective amplification identified three reproducible polymorphic fragments in MET corn with stay green. Both of E+AGC/M+CAC and E+AAG/M+CAA primer combinations produced two and one specific polymorphic fragments linked to stay green trait, respectively. For the conversion of AFLPs to sequence tag sites (STSs), primers were designed form both end sequences of each two polymorphic fragments. One fragment, which was amplified with E+AAG/M+CAA primer combinations, possessed 298 bp long and showed a $91\%$ homology with maize retrotransposon Cinful-l. One out of two polymorphic fragments produced with E+AGC/M+CAC primer combination had 236 bp long and matched a $96\%$ homology with an intron region of 22kDa alpha zein gene cluster in Zea mays. One out of two PCR fragments amplified with MET2 primer set in the stay green MET was not produced in the non-stay green MET. The developed AFLP and STS marker could be used as an efficient tool for selection of the stay green trait in the MET inbred.

재래종 옥수수 수집종에 대한 특성조사 제5보 다수다벽 재래종 옥수수계통의 특성변이 (Investigation on Korean Local Maize Lines V. Variabilities of Plant Characters of Multi-eared and Tillered Lines(MET))

  • 최봉호;박종성;김영래;박근용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26권1호
    • /
    • pp.56-68
    • /
    • 1981
  • 재래종의 수집종 가운데서 선접된 다종다벽계통 (약칭 : MET)의 일반적 대성을 분석하여 청예용 옥수수의 육종을 위한 기초자료를 얻고져 수행한 시험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주요 특성들의 환경변이와 유전변이를 추정하였던 바 MET계통의 분벽성, 개체당 이삭수(수수)는 환경변이보다도 유전변이가 큰 것으로 추정되었다. 개체당 건물중 및 건엽중 등도 유전변이가 커 MET 계통의 유전적 특성으로 확인되었다. 그러나 건기중, 입중 등은 환경변이가 컸었다. 2. 몇가지 특성의 평균치를 두 품종간에 비교하면 다음과 같다. 가. 분벽기수 및 이삭수 : 수원 19호는 환경변이 (파종기, 재식밀도)에 관계없이 분벽기이 없고 이삭수도 변하지 않았으나 MET계통은 분벽기수 및 이삭수가 크게 달라졌다. 나. 개체당 건물중, 건엽중 및 건기중 : 파종기나 재식밀도에 따라 다르기는 하지만 MET계통의 개체당 건물이 수원 19호보다 비교적 높았으며 건엽중은 월등히 높았고(1.5-2.5)배 개체당 건기중도 비교적 높았다. 다. 개체당 입중 및 입중 대 건기엽중비 : MET계통의 개체당 입중은 수원 19호보다 5~40% 낮았다. 따라서 MET계통의 입중 대 건기엽중비가 평균 35%였고 수원 19호는 41%로서 높았다. 3. MET계통은 파종 2주 후부터 분벽하기 시작하여 3 ~ 5일간격으로 다음 분벽이 되었으며 생육초기에 왕성하여 최고 6~7개에 이르나 2~3개만이 유효기으로 신장되였다. 유효기비율은 소식일수록 높았다. 분벽의 발생은 주기의 최하절읍부터 시작되는 데 하부절위가 짧아 한절위에서 분벽이 여러개 발생하는 것처럼 보였다. 제 1, 2분벽기의 기장은 주기의 것에 비하여 10cm 정도씩 짧았으며 재식밀도에 따라 주기 및 제일, 이분벽기의 기장은 소식(60$\times$60cm)한 경우 밀식(60$\times$20cm)한 경우와 같이 분벽들에 의한 밀식의 효과가 있었고 중간재식밀도(60$\times$40cm)인 경우에는 소ㆍ밀도의 중간되는 기장을 보였다. 4. MET계통은 개체당 이삭수가 많은 것에 반하여 이삭의 크기는 수원 19호의 \frac{1}{3}도 못되었다. 각분벽기에 달리는 이삭수는 소식의 경우 주기에 4개, 제일, 이분벽기에 2~3개씩 달렸다. MET계통의 입은 경입종이며 황색입이 주가되고 백색입이 약간 섞여 있었으며 100입중은 14~15gr. 의 소입종이었다. MET계통은 착수고가 수원 19호보다 훨씬 높았다. 5. 주요 특성간의 상간 : 수원 19호에 비하여 MET 계통은 주요 특성간에 높은 상관계수를 보여 유전상관도 높을 것이라는 것을 간접적으로 나타내주었다. 6. MET계통은 생장속도가 수원 19호보다 훨씬 늦었으며 개화기도 2~3주나 늦었다. 7. 흑조위축병 : 수원 19호와 같이 MET계통도 흑조위축병에 대해 이병성이었다. 이병성은 늦게 파종하거나 밀식할수록 높아지는 경향이 있었다.

  • PDF

다수.다얼성 옥수수(NET)의 세포질적 유전 (Cytoplasmic Inheritance of High Tillering and Earing Characters of a Korean Local Maize Line(MET))

  • Han, C.H.;Lee, I.S.;Choe, B.H.;Park, K.Y.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29권1호
    • /
    • pp.55-61
    • /
    • 1984
  • 1981년부터 최 등이 재래종 옥수수의 수집종 가운데서 병발한 한계통(MET)을 분얼이 많이되고 또한 개체당 이삭(수)수도 많아서 사료용 옥수수의 육종재료로 가치가 있다고 생각되었으나 이 옥수수에 대한 유전적 분석이 확실히 되어 있지를 않았다. 따라서 본연구에서는 MET와 비분얼성이며 이삭도 하나 밖에 달리지 않는 수원 19호 (Mo17$\times$B68) 교잡종을 이용하여 F$_1$, F$_2$, BC$_1$, 세대를 양성하고 Mather의 세대평균분석법에 의하여 분석한 결과 MET 계통의 다수.다얼성은 염색체상의 유전인자에 의한 다기 보다 세포질적 유전인자에 의한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같은 결론은 MET계통을 모계로 하여 교잡한 려잡종 세대에서 확실히 얻을 수가 있었다. 즉 MET 계통을 모계로 이용했을 때의 평균분얼과 이삭수는 MET를 부계로 이용했을 때의 분얼수와 이삭수 보다 많았는데 이는 이같은 특성들이 모계유전을 하기 때문이다. 그러나 이같은 특성들이 F$_1$이나 F$_2$에서 나타나지 않은 것은 F$_1$에서 특히 보여주는 잡종강세현상 때문에 옥수수의 정부우세성이 매우커서 상반적으로 분얼이나 이삭의 발달이 억제되었기 때문이라고 생각된다. 그리고 분얼이나 이삭의 절대수가 모계로 이용했던 MET에서 보다 잡종세대가 진전될수록 적어지는 것은 잡종강세외에도 MET계통의 세포질약 내지 유전인자적 축적량(Dose)이 적어지기 때문이라고 생각되어진다. 이같은 MET계통의 특성은 려교잡에 의한 MET계통의 세포질을 유지하거나 축적하므로써 사료용 옥수수의 육종에 이용될 수 있을 것으로 보여졌다.

  • PDF

다수다얼성 옥수수의 동위효소 특성 (Isozymic Characteristics of Multiple-Ear and Tiller Maize Lines)

  • 이희봉;최봉호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32권1호
    • /
    • pp.16-23
    • /
    • 1987
  • 다수다얼성 옥수수의 동위효소 특성을 구명하고 자얼성성 품종을 비교하여 생육단계에 따라 여러 조직을 6% polyaclamide gel을 사용 peroxidase와 esterase 동위효소 패턴을 관찰하였던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성숙한 옥수수의 엽, 간, 업소. 근 및 미숙종자의 조직에서 독특한 peroxidase의 동위효소의 존재가 확인되었다. 2. 암조건에서 7일간 자란 다수다얼성 계통의 중심주와 초엽조직은 peroxidase 도위효소의 차이를 나타내는데 효과적이었다. 3. Esterase의 동위효소에 대한 활성은 양친의 경위가 그들의 교잡종보다. 밴드수나 활성이 높았다. 4. Esterase에 대한 밴드는 암조건인 7 일 유묘상태의 중심주, 초엽, 미숙종자에서 뚜렸한 차이가 있었다. 5. 효과적인 동위효소 관찰을 위해서는 성묘보다는 유묘조직이 유리하게 보였다. 6. 흑조위축병에 감염된 옥수수 잎은 PX나 EST 동위효소에서 모두 뚜렷한 차이를 보였다.

  • PDF

자식(自殖)된 다수다얼성(多穗多蘖性) 옥수수(MET)의 특성(特性) 비교(比較) 시험(試驗) (Plant Characters of Selfed MET Maize Line)

  • 최봉호;이희봉
    • 농업과학연구
    • /
    • 제12권2호
    • /
    • pp.166-173
    • /
    • 1985
  • 5세대(世代)나 자화수정(自花受精)시켜 육성(育成)한 다수다얼성(多穗多蘖性)의 MET 계통(系統)의 식물학적(植物學的) 특성(特性)을 알고자 미국종(美國種) 일대(一代) 교잡종(交雜種)옥수수와 3개(個)의 수수${\times}$수단그라스 교잡종(交雜種)과 비교(比較) 시험(試驗)한 결과(結果)를 요약(要約)하면 다음과 같다. 1. 전(全) 공시품종(供試品種)들의 일반적(一般的) 생육상황(生育狀況)은 신개간지(新開墾地)에 가까운 토양관계(土壤關係)로 충분(充分)한 생육(生育)을 얻지 못했다(종실수량(種實收量) 등(等)). 2 생육시기별(生育時期別)로 예취(刈取)하여 단위면적당(單位面積當) MET 계통(系統)의 생초중(生草重)을 비교(比較)하여 본 결과(結果) 비교(比較) 옥수수 품종(品種)을 100%로 하였을 경우(境遇) MET 계통(系統)은 평균(平均) 97.8%로서 10a당(當) 5.652kg였다. 3. 단위면적당(單位面積當) MET 계통(系統)의 건물중(乾物重) 역시 비교품종(比較品種)에 비(比)하여 94.5%로서 10a당(當) 1,602kg이었다. 4. MET 계통(系統)의 특성(特性)은 다분얼(多分蘖), 다수성(多穗性)인 관계(關係)로 생초중(生草重)과 건물중(乾物重) 의 증가(增加)는 경엽(莖葉)의 무게에 기인(基因)하였다. 5. 성장속도(成長速度)를 보면 MET 계통(系統)이 자식계통(自植系統)에서 나타나는 자식열세현상(自殖劣勢現象) 때문에 비교품종(比較品種)인 일대(一代) 잡종(雜種)들에 비(比)하여 매우 저조(低調)하였다(MET의 평균(平均) 초장(草長)은 234.7cm, 그외(外) 교잡종(交雜種)의 평균(平均) 초장(草長)은 250.7cm였다). 6. MET 계통(系統)과 비교(比較)하기 위(爲)해 공시(供試)한 다른 4개품종(個品種)은 모두 미국(美國)에서 널리 재배(栽培)하는 다수성(多收性) 품종(品種)이지만 본(本) 연구(硏究)에서는 흑조위축병(黑條緯縮病)에 매우 약(弱)한 것으로 나타났다(미국종(美國種) 평균(平均) 이병율(罹病率)은 20% 이상(以上), MET 계통(系統)은 5%였다). 7. 종실수량(種實收量)을 보면 MET 계통(系統)이 10a당(當) 390.1kg으로 다른 미국종(美國種)의 평균수량(平均收量) 508.7kg에 비(比)하면 약(約) 76.7% 밖에 안되었다. 그러나 주당(株當) 종실수(種實數)로 환산(換算)하면 1,170개(個)로 미국종(美國種)들의 690개(個) 보다 훨씬 많았다. 이처럼 10a당(當) 종실수량(種實收量)을 무게로 환산(換算)하면 MET 계통(系統)이 적은 이유(理由)는 MET 계통(系統)이 자식계통(自殖系統)과 유사(類似)하기 때문이고 입수(粒數)로 환산(換算)하면 MET가 많은 것은 이 계통(系統)이 소립종(小拉種)(100립종(粒重)=10gr정도(程度))이기 때문이다. 8. 3개(個)의 수수${\times}$수단그라스 교잡종(交雜種)의 청예(靑刈) 수량(收量)을 MET 계통(系統)과 비교(比較)한 결과(結果) 10a당(當) 생초중(生草重)이나 건물중(乾物重)이 모두 MET 계통(系統)과 큰 차이(差異)가 없었다. 9. 따라서 농민(農民)이 재배(栽培)할 교잡종(交雜種) 값이 고가(高價)인 경우(境遇)에 MET 계통(系統)을 청예용(靑刈用)으로 이용(利用)하는 것은 종자대(種子代)의 절감(節減)은 물론(勿論) 단위면적당(單位面積當) 필요(必要)한 종자량(種子量)이 다른 교잡종(交雜種)에 비(比)해 적어 이중(二重)의 효과(效果)를 얻을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 PDF

재래종 옥수수 수집종에 대한 특성조사 제6보 청예를 위한 재래종 옥수수의 이용에 관한 연구 (Investigation on Korean Local Maize Lines VI. Use of a Korean Local Maize Line for Silage Production)

  • 최봉호;박종성;김영래;정승근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26권3호
    • /
    • pp.251-256
    • /
    • 1981
  • 수입에 의 한 수요충족이 절대불가능한 양질다수성 싸이레지용 옥수수의 개발은 우리나라에 매우 필요한 사항이다. 양질 다수성인 싸이레지용 옥수수의 개발을 위한 육종적 재료를 확보코저 재래종 옥수수의 수집종 가운데서 선발된 다약다수성인 계통을 가지고 재배환경이 다양한 조건하에서 싸이레지용으로서의 가부시험을 한 결과는 다음과 같이 요약된다. 1. 싸이레지용 주요특성의 하나인 단위면적당 총건물중 생산양에 있어서 파종기나 재배밀도에 관계없이 수원 19호 교잡종보다 다약다종성인 MET 계통이 평균 10% 더 높았다. 2. 식물체의 부입별 특성을 비교하면 MET 계통은 건엽중이 수원 19호보다 월등히 높아 MET 계통의 건물중 증가에 기여하였다. 3. MET 계통의 건엽중이 수원 19호보다 높았던 것은 MET계통의 분벽에 의한 엽수의 증가 때문이었으며, 4. 기타 곡실수량에 관련된 이삭의 무게라든가 입중, 이확속중 등은 수원 19호가 높았다. 다만 포엽중만은 MET 계통이 다수성으로 인해 더 높았다. 5. TDN의 증감과 관계가 있는 100a당 배의 생산은 소입성인 MET 계통이 수원 19호보다 10$\sim$15% 더 높았다. 6. MET 계통이 다약다수성이고 수원 19호가 무약일수성인데도 불구하고 분산분석결과 품종$\times$재배환경(파종기 또는 재식밀도)라는 유의적인 상호작용이 없이 다 같이 밀식함으로써 총건물중이 증가하였다. 7. 싸이레지로 만들었을 때 MET 계통과 수원 19호의 일반조성분 TDN 등을 비교한 결과 일반 조성분에 있어서는 두 품종간에 큰 차이가 없었으나 TDN에 있어서는 MET 계통이 더 높았고 DCP에 있어서는 수원 19호가 더 높았다. 8. 아미노산의 분석결과 두 품종간에 큰 차이는 없었다.

  • PDF

Relative Performance and Immune Response in White Leghorn Layers Fed Liquid DL-methionine Hydroxy Analogue and DL-methionine

  • Panda, A.K.;Rama Rao, S.V.;Raju, M.V.L.N.;Bhanja, S.K.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20권6호
    • /
    • pp.948-953
    • /
    • 2007
  • The relative performance and immune response was evaluated in White Leghorn layers fed liquid DL-methionine hydroxyl analogue-free acid (MHA-FA) relative to dry DL-methionine (DLM) in maize-soybean-sunflower based diets. Three graded levels of methionine (Met) from DLM or MHA-FA were added to the basal diet containing 0.27% Met on an equimolar basis to achieve 0.30, 0.36 and 0.42% Met in the diet. Each diet was fed ad libitum to 25 replicates of one bird (individual feeding) each, from 24 to 40 weeks of age. A regime of 16 h light was provided and all the layers were kept under uniform management throughout the experimental period. None of the parameters studied were influenced by the interaction between source and level of Met in diets. Similarly, the majority of parameters, except for daily feed consumption and immune response (influenced by level) and egg specific gravity and shell thickness (influenced by source), were not affected by either source or level of Met in the diets. Feed consumption was significantly lower in the birds fed a diet containing 0.42% Met compared to those fed lower levels of Met. The cutaneous basophilic hypersensitivity response to PHA-P and antibody titre (32 and 40 wk) to inoculation of sheep red blood cells increased significantly by increasing the concentration of Met in the diet from 0.30 to 0.36%. Thus, the Met requirement for immune competence was higher than for optimum production. The source of Met significantly influenced the egg specific gravity and shell thickness. The specific gravity and shell thickness of eggs increased significantly when MHA-FA was used as the source of Met in the diet compared to DLM. From the study it is concluded that Met requirement for immune competence (360 mg/b/d) is higher than for optimum production (300 mg/b/d). MHA-FA was comparable with DLM as a source of Met for production performance and immunity, when the bioavailability of MHA-FA was considered as 88% of DLM. Further, MHA-FA improved egg shell quality compared to DLM.

Effects of Intra-duodenal Infusion of Limiting Amino Acids on Plasma Insulin-like Growth Factor I, Growth Hormone, Insulin and Liver Insulin-like Growth Factor I mRNA in Growing Goat Fed a Maize Stover-based Diet

  • Sun, Z.H.;Tan, Z.L.;Yao, J.H.;Tang, Z.R.;Shan, J.G.;Hu, J.P.;Tang, S.X.;Jiang, Y.M.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20권5호
    • /
    • pp.733-741
    • /
    • 2007
  • The effects of intra-duodenal infusion of methionine (Met), lysine (Lys) and leucine (Leu) on dry matter intake (DMI), the concentrations of insulin-like growth factor I (IGF-I), growth hormone (GH) and insulin in plasma, and liver IGF-I mRNA level were investigated in two experiments for Liuyang Black growing wether goats. In Experiment 1, three goats ($10.0{\pm}0.1$ kg) were fitted with ruminal, proximal duodenal and terminal ileal fistulaes to determine the infusion amounts of Met, Lys and Leu at the duodenum according to essential amino acid flows into the duodenum and their apparent digestibility. The infusion amounts were 0.77 g/d, 0.91 g/d and 0.58 g/d respectively. In Experiment 2, 4 groups of goats (($10.0{\pm}0.2$ kg) for each group, were cannulated at the duodenum, and were infused with a mixture of Met, Lys and Leu (Control), or mixtures with 21% Met, Lys or Leu replaced with glutamate respectively on a nitrogenous basis. The replacement of 21% Met, Lys or Leu with glutamate did not affect intakes of maize stover, concentrate or both (p>0.05) when compared with the control. The replacement of 21% Met or Lys significantly (p<0.05) reduced plasma GH, insulin and IGF-I concentrations and liver IGF-I mRNA level. The replacement of 21% Leu with glutamate reduced (p<0.05) plasma IGF-I concentration only, but not plasma insulin and GH, as well as liver IGF-I mRNA level (p>0.05). The close relationships between supplying Met and Lys in the lumen of the duodenum and plasma IGF-I, GH and insulin concentrations, as well as liver IGF-I mRNA level in this study indicate that the effects of the limiting amino acids on nutrition of animals are likely intermediated via their effects on these hormones, and these hormone profiles could be used as intermediate markers for the limiting order of amino acids.

Comparing Bio-efficacy of Liquid DL-methionine Hydroxy Analogue Free Acid with DL-methionine in Broiler Chickens

  • Mandal, A.B.;Elangovan, A.V.;Johri, T.S.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17권1호
    • /
    • pp.102-108
    • /
    • 2004
  • The present experiment was conducted to assess the efficacy of methionine hydroxy analogue free fatty acid (MHAFA) in comparison to DL-methionine (DL-Met) utilizing day-old commercial broiler chicks (n=300). The chicks were randomly distributed into 30 groups of 10 chicks each. Three dietary treatments, viz. D1-maize-soybean meal based basal diet (Control), D2- control diet supplemented with DL- methionine to meet its requirements and D3-control supplemented with MHA-FA @ 1.54 times of DL-methionine used in D2, were formulated. Each dietary treatment was offered to 10 replicated groups of chicks following completely random design (CRD). The chicks fed on supplemental DL-Met had significantly higher (p<0.01) gain in body weight, followed by MHA-FA group and control during 0-3 weeks of age. During overall growth period (0-6 weeks), chicks in DL-Met and MHA-FA groups grew better (p<0.01) than those in control. Feed conversion ratio (FCR) improved (p<0.01) on supplementation of either DL- Met or MHA-FA in the basal (Control) diet during 0-3 weeks of age. The FCR for overall period, however, did not differ statistically (p>0.05) amongst the treatments. The eviscerated yields emanated from diets with DL-Met or MHA-FA were higher (p<0.01) than that in Control. Abdominal fat pad was also more (p<0.01) in broilers fed control diet than in DL-Met or MHA-FA supplemented group. Breast yield was higher (p<0.05) in MHA-FA fed broilers than those fed DL-methionine supplemented or un-supplemented diets. The efficacy of MHA-FA in comparison to DL-Met for growth was 62.11, 64.82 and 63.88% and for feed efficiency was 62.98, 67.73 and 64.01% at 0-3, 3-6 and 0-6 weeks of age, respectively, while it was 65.85, 71.40 and 67.49% for eviscerated yield, abdominal fat pad reduction and breast yield at 6 weeks of age, respectivel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