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DF

검색결과 251건 처리시간 0.025초

조립식(組立式) 탁자(卓子)의 CBA접합부(接合部) 강성(剛性)에 관(關)한 연구(硏究) (A Study on the Stiffness of CBA(Corner Block with Anchor Bolt) Joint in Knockdown Type Table Furniture)

  • 정우양;이필우
    •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17권2호
    • /
    • pp.34-64
    • /
    • 1989
  • 포장(包裝) 용적(容積) 감소에 따른 수송비(輸送費) 절감(節減) 효과(效果)가 있어 조립시(組立式) 탁자류(卓子類) 가구(家具)의 제작(製作)에 널리 쓰이는 CBA(corner block with anchor bolt) 접합방식(接合方式)은 일정기간(一定期間) 사용(使用)함에 따라 접합부위(接合部位)가 약해지고 그 결과(結果) 구조(構造)가 불안정(不安定)하게 되는 반강접합(半剛接合)(semi-rigid joint) 특유(特有)의 결점(缺點)도 지니고 있다. 따라서 본(本) 연구(硏究)에서는 CBA 접합(接合) 강도(强度)에 영향하는 주요(主要) 설계(設計) 인자(因子)로서 side rail 규격, corner block의 side rail에의 부착시(時) 보강재(補强材)의 효과(效果) 및 corner block관통 anchor bolt의 사용(使用) 수(數) 그리고 corner block의 형태등(等)의 평가(評價)를 하기 위해 22개(個)의 접합군(接合群) 별(別)로 총(總) 88개(個)의 table section 시험체(試驗體)를 제작(製作)한 후(後)그들의 강성(剛性) 계수(係數)(Z - 값) 및 유효강도(有效强度)를 수평 하중(荷重)에 의한 변형측정(變形測定) 실험(實驗)을 통해 결정(決定)한 후 설계(設計) 인자별(因子別) 효과(效果)를 비교 분석(分析)하였다. 분석결과(分析結果), side rail의 높이 증대(增大) 및 corner block 부착시(時) PVAc 수지(樹脂)의 사용효과(使用效果)가 뚜렷하여 유효강도(有效强度)의 유의적(有意的) 향상(向上)을 나타냈고 anchor bolt의 효과(效果) 역시 2개 사용시(使用時)가 1개 사용시(使用時) 보다 훨씬 큰 것으로 나타났다. 또 side rail 높이 와 anchor bolt 사용(使用) 수(數)간에는 상호작용(相互作用) 효과(效果)도 있었다. 그러나 side rail의 두께 효과(效果)는 22mm에서 25mm로 증대(增大)시켰을때 뚜렷한 상승 경향(傾向)은 보여주지 못했다. 한편 corner block의 형태는 MDF를 주재료(主材料)로 사용(使用)한 탁자(卓子) 설계시(設計時)는 두께 25mm, 높이 100mm의 side rail에 PVAc 수지(樹脂)로 보강(補强)하고 mitered corner block에 2개(個)의 anchor bolt를 관통시킨 경우가 유효강도(有效强度) 3171.7 kgf-cm로 22개의 접태군(接台群)들 중 최대치(最大値)를 나타냄으로써 miter type이 rectangular type보다 바람직한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적(結論的)으로 자재(資材)의 효과적(效果的) 이용(利用)을 통한 생산비(生産費) 절감(節減)과 동시(同時)에 구조(構造)의 안정(安定)된 강도적(强度的) 측면(側面)을 고려할 때, 두께 22mm, 높이 75mm의 MDF side rail에 mitered corner block을 PVAc 수지(樹脂)와 나사못을 이용하여 부착한 후(後) 2개(個)의 anchor bolt를 관통시키는 방법(方法)을 가장 합리적(合理的)인 MDF 사용(使用) 조립시(組立式) 탁자(卓子) 설계(設計) 방안(方案)으로 제시(提示)하는 바이다.

  • PDF

내진성능평가를 위한 비선형 직접스펙트럼법의 특성 (The Properties of a Nonlinear Direct Spectrum Method for Estimating the Seismic Performance)

  • 강병두;김재웅
    • 한국지진공학회논문집
    • /
    • 제6권4호
    • /
    • pp.65-73
    • /
    • 2002
  • 성능에 기초한 설계법에서는 비선형 응답산정이 필수적이며, 이를 위한 방법으로는 비선형시각이력해석법, 비선형 정적해석법, 비선형 효과를 고려한 등가선형해석법 등이 있다. 일부 규준에서는 pushover곡선으로부터 작성한 성능스펙트럼과 선형 응답스펙트럼으로부터 작성한 요구스펙트럼으로 이루어진 능력스펙트럼법을 제안하고 있다. 이 방법은 개념적으로는 간단하나 반복과정이 요구되며, 부정확한 결과를 산출하는 경우가 많다. 이에 따라 시행착오적인 등가선형 스펙트럼대신 비선형스펙트럼을 사용하는 방법들에 대한 연구들이 진행되고 있다. 비선형 요구스펙트럼은 표준적 선형 설계스펙트럼으로부터 결정될 수 있으며, 이 방법은 등가선형의 경우보다는 계산과정이 대폭 줄어들기는 하나 아직도 다소의 연산과정이 요구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다자유도계의 구조물에 대한 pushover곡선으로부터 구조물의 진동주기와 항복강도를 구한 다음, 일련의 계산과정을 거치지 않고도, 직접적으로 비선형 최대응답을 구할 수 있는 비선형 직접스펙트럼법(NDSM)을 제시하극 집중질량계의 MDF(다자유도계) 모델에 대해 다양한 지진기록과 제하강성저하지수를 변수로 하여 NDSM의 적용성과 신뢰성을 평가하고자 한다. 본 연구의 결론은 다음과 같다. 1) 다자유도계 구조물에 대한 비선형 직접스펙트럼법에 의한 최대변위 응답은 비선형 시각이력해석법에 의한 응답과 거의 일치하므로 실용적인 방법으로 사료된다. 2) 비선형 직접스펙트럼법과 비선형 시각이력해석에 의해 산정된 죄상층 변위 결과를 비교하면, 항복후강성계수가 0.1, MAD(modal adaptive distribution)에 의한 수평정적하중분폰 그리고 제하강성저하지수가 0.2~O.3일 때 평균오차가 가장 줄어드는 것으로 나타났다.

브루나이 열대우림 내 주요 3개 수종 고사목의 초기 질량 감소율과 탄질율 변화 (The initial mass loss rates and the changes in carbon/nitrogen ratio of dead woods for the three dominant tree species in tropical rainforests of Brunei Darussalam)

  • 노유진;장민주;손요환
    • 환경생물
    • /
    • 제39권2호
    • /
    • pp.218-224
    • /
    • 2021
  • 본 연구에서는 열대우림인 브루나이 MDF와 PSF의 주요 수종(D. aromatic, D. rappa, C. arborescens)을 대상으로 초기 분해 단계의 수종별 질량 감소율과 탄질율의 변화를 파악하였다. 2019년 5월에 총 48개의 고사목 시료(15 cm ×4.8 cm ×5 cm)를 산림 지표면에 배치하고 16개월 후 수거하였다. 분해 전 수종별 고사목의 밀도(g cm-3)는 0.64±0.01 (D. aromatic), 0.60±0.00 (D. rappa), 0.44±0.02 (C. arborescens) 등이었으며, 16개월 동안 수종별 연간 질량 감소율(%)은 6.37 (D. aromatic), 8.17 (D. rappa), 18.53 (C. arborescens) 등으로 나타났다. 부후등급은 C. arborescens에서 III등급이 약 25%로 높았으며 흰개미의 분해 흔적이 나타났다. 한편, 16개월 후 탄질율은 D. aromatic과 D. rappa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감소하였으나, C. arborescens에서는 감소하는 경향이 유의하지 않았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열대우림 내 고사목의 초기 분해는 밀도와 같은 수종의 물리적 특성에 따라 차이가 나타날 수 있으며, 주요 분해자의 유형에 따라 탄질율의 변화에도 상대적으로 차이가 있을 수 있음을 시사하는 것이다.

간략화 된 모듈 기반의 휴머노이드 로봇을 위한 자기충돌 탐지 (Simplified Module Based Self-collision Detection for Humanoid Robots)

  • 곽환주;박귀태
    • 대한전기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전기학회 2008년도 심포지엄 논문집 정보 및 제어부문
    • /
    • pp.240-241
    • /
    • 2008
  • We are presenting the efficient and robust simplified module based self-collision detection of humanoid robot simulator. For safe and reliable operations of humanoid robot, the self-collision detection is essential and extremely important. The main methods of self-collision detection are inverse X-Y-Z fixed angles and module distance filtering (MDF). According to experiments on the humanoid robot simulator with the self-collision detection, we could have a confidence about the efficiency of the self-collision.

  • PDF

방염 처리에 따른 화재지연 효과 연구 (A Study on the Ignition Delay Effect by Flame-Resistance Paint Treatment)

  • 오규형;김황진;이성은
    • 한국화재소방학회논문지
    • /
    • 제23권2호
    • /
    • pp.111-116
    • /
    • 2009
  • 시중에 유통되는 17종의 방염 도료를 소방법에서 요구하는 성능에 맞게 MDF에 방염처리하여 화재시 발생되는 복사열에 노출시켰을 경우 어느 정도의 화재지연 효과가 있는지를 연구하였다. 복사열의 크기는 콘히터를 이용하여 $10kW/m^2$에서 $30kW/m^2$까지 변화시키며 실험하였다. 착화시간과 착화형태를 측정하였으며 시료 표면의 온도를 측정하였다. 실험 결과 방염도료를 처리한 시료의 착화 임계열유속은 $10kW/m^2$ 였으며 $30kW/m^2$에서는 방염에 의한 착화지연효과가 없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시료 표면온도가 $400^{\circ}C$ 이상이 되어도 방염에 의한 화재 억재효과를 기대하기 어렵게 됨을 알 수 있었다.

목재 가연물의 두께에 따른 화염연소와 훈소상태에서의 화재특성 (Fire Characteristics of Flaming and Smoldering Combustion of Wood Combustibles Considering Thickness)

  • 김성찬;남동군
    • 한국화재소방학회논문지
    • /
    • 제29권4호
    • /
    • pp.67-72
    • /
    • 2015
  • 본 연구는 콘칼로리미터 실험을 통해 건축물 마감재와 가구소재로 널리 적용되는 목재 가공품의 화염연소와 훈소시 화재특성을 파악하고자 한다. 시험대상 목재 가연물은 MDF, 합판, 칩보드이며 $50kW/m^2$의 복사열유속을 시편에 가하여 점화를 유도하였다. 실험과정에서 화재특성을 나타내는 발열량, 연소가스 생성율, 유효연소율 등의 주요 인자를 가연물의 두께에 따라 정량화하였다. 실험결과 초기 평면방향의 화염전파와 후기 시편의 관통에 의한 화재확대로 인해 단위면적당 발열량에 대한 두 개의 피크점이 관측되었다. 화염연소시의 질량감소율이 훈소시에 비해 5배 이상 높게 나타난 반면에 훈소과정에서 CO 생성율은 화염연소에 비해 10배 이상 높게 측정되어 훈소시 높은 독성가스 생성율을 보였다. 본 연구는 목재 가연물의 화재성상을 이해하고 화재해석을 위한 물성자료로 활용될 수 있다.

보행 속도 변화에 따른 발목 관절의 운동학적 분석과 하퇴 근육의 근전도 분석 (The kinematic analysis of the ankle joint and EMG analysis of the lower limbs muscle for the different walking speed)

  • 문곤성
    • 한국운동역학회지
    • /
    • 제15권1호
    • /
    • pp.177-195
    • /
    • 2005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kinematic variables of ankle joints and EMG signal of the lower limbs muscle activity for the different walking speed. The subjects were 6 males of twenties. It was classified into three different walking speed-0.75m/s, 1.25m/s, 1.75m/s. The walking performances were filmed by high speed video camera and EMG signal was gained by ME3000P8 Measurement Unit. Tibialis anterior(TA), Gastrocnemius medial head(GM), Gastrocnemius lateral head(GL), Ssoleus(SO) were selected for the dorsiflexion and plantarflexion of the ankle joint. The result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1. In the gait cycle, The time parameters for the phases were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 without the terminal stance phase and terminal swing phase for the different walking speed. 2. The angle of ankle joint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for each time point and MDF, MPF but increasing walking speed the angle had the increasing pattern slightly. 3. The angular velocity of ankle joint was showed the significant difference for LHC, RTO, RKC, LHU, MPF and MDF point along the walking speed. 4. TA was showed about 2-3 times muscle activity at the 1.75m/s than 1.25m/s in some phases. And it was showed the similar muscle activity between the 0.75m/s and 1.25m/s but, showed a little much muscle activity in the 0.75m/s. GM was showed about 2-3 times muscle activity in the 1.75m/s than 1.25m/s, and even much muscle activity at the 0.75m/s than 1.25m/s in some phases. GL was showed increasing pattern of muscle activity specially in the initial swing phase as the walking speed increased. SO was showed about 3 times muscle activity in the 1.75m/s than 1.25m/s during the plantarflexion of ankle joint. It was showed the similar muscle activity between the 0.75m/s and 1.25m/s but, showed a little much muscle activity in the 1.25m/s.

원자외선 영상/분광 측정기 광학설계 (OPTICAL DESIGN OF THE FAR ULTRAVIOLET IMAGING SPECTROGRAPH)

  • 유광선;선광일;민경욱
    • Journal of Astronomy and Space Sciences
    • /
    • 제15권2호
    • /
    • pp.359-371
    • /
    • 1998
  • 본 연구에서는 원자외선 영역($900~1750AA$)에서 오로라, 주/DIRKS 대기 광 관측 및 천문학적 관측을 동시에 수행하기 위한 FUVS(Far Ultraviolet Spectrograph)를 설계하고, 그 성능을 평가하였다. FUVS의 설계는 에돌이발(grating)의 광학적 특성과 비구면 광학을 충분히 고려하여 이루어졌으며, 분해능 계산을 위해 ray-trace 방법과 파면수차 계산에 의한 방법을 사용하여 설계의 검증을 시도하였다. 두 가지 방법에 의한 결과가 오차범위 안에서 일치하여 분석 방법에 큰 문제점이 없다는 것을 간접적으로 확인할 수 있었고, 전 영역에 걸쳐 대략 $2~5AA$의 분해능을 얻었다. 또한, FUVS의 수행 임무 중 가장 검출이 힘들 것으로 생각되는 고온의 성간 플라즈마에서 방출되는 선 방출의 검출 가능성을 타진하기 위하여 FUVS의 최소 검출가능 플럭스(MDF)를 계산하였다. 이 계산을 위하여 지금까지 알려진 반사물질, MCP 등의 특성을 충분히 고려하였으며, 선의 세기에 따라 하루에서 일주일에 걸친 관측을 통해 고온의 성간 플라즈마에서 방출되는 선 방출을 검출할 수 있다는 결론을 얻었다.

  • PDF

MDO 프레임워크 개발을 통한 항공기 날개 통합최적화 설계 (Multidisciplinary Aircraft Wing Design Using the MDO Framework)

  • 이재우;김종환;정주영;전권수;변영환
    • 한국항공우주학회지
    • /
    • 제32권6호
    • /
    • pp.23-33
    • /
    • 2004
  • 다분야 통합 최적화 설계 환경을 제공하는 소프트웨어 체계인 MDO 프레임워크 개발을 위해서는 다양한 운영체계와 언어에서 개발된 해석코드들의 통합, CAD 및 데이터베이스 시스템과의 통합, 복잡한 GUI 환경의 구현 등이 필수적으로 요구되고 해석코드의 추가, 새로운 MDO 기법의 도입에 따른 수정 및 확장에 대한 고려가 충분히 이루어져야 한다. 본 논문에서는 MDO 프레임워크의 설계단계부터 고려되어야 할 사항들과 각 구성요소들의 시스템 통합 방법을 연구, 적용 방안을 제시하며 이를 바탕으로 비행체 통합 최적설계 시스템 환경을 구현하였다. MDF 및 CO 기법 등 대표적인 MDO 기법을 적용할 수 있는 데이터베이스 설계과정을 정립하고, 구현된 통합 최적설계 시스템을 이용하여 전투기 날개 형상 최적 설계를 수행하여 개발된 MDO 프레임워크의 효율성 및 유용성을 검증하였다. 구배 기반 최적화 기법을 이용하여 삼십번의 설계 반복으로 최적 날개 형상을 도출하였다.

3차원 곡판 성형을 위한 비정형롤러의 형태에 따른 성형성 평가 (Evaluation of Formability Dependent on Reconfigurable Roller Types for 3D Curved Sheet Forming)

  • 손소은;윤준석;김형호;김정;강범수
    • 소성∙가공
    • /
    • 제25권1호
    • /
    • pp.12-20
    • /
    • 2016
  • Press machines and dies are commonly used for 3D curved sheet forming. Using conventional die forming can cause economic problems since various modifications of the die shape are required depending on the product shape. Various types of flexible forming such as multi-point dieless forming (MDF), flexible incremental roll forming have been developed to improve the needed process flexibility. Although MDF can reduce the production cost using reconfigurable dies, it still has significant material loss. Drawbacks such as wrinkling, dimpling, and forming errors can also occur despite continuous investigations to mitigate these defects. A novel sheet forming process for 3D curved surfaces, a flexibly-reconfigurable roll forming (FRRF), has been recently proposed to overcome the economic and technical limitations of current practice. FRRF has no limitation on blank siz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also minimizes or eliminates forming defects such as wrinkling and dimpling. Feasibility studies of FRRF have been conducted using FE simulations for multi-curved shapes and various sheet thicknesses. Therefore, the fabrication of a FRRF apparatus is required for any follow-up studies. In the current study, experiments with reconfigurable rollers were conducted using a simple design pre-FRRF apparatus prior to fabricating the full size FRRF apparatus. There are three candidates for the reconfigurable roller: a bar-type shaft, a flexible shaft, a ground flexible shaft. Among these candidates, the suitable reconfigurable roller for FRRF is determined through various forming te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