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CP-1

검색결과 466건 처리시간 0.029초

MCP 세척용 전자총 개발을 위한 컴퓨터 시뮬레이션 (Computer Simulation for Development of Electron Gun for MCP Cleaning)

  • 김성수
    • 한국정보기술학회논문지
    • /
    • 제16권11호
    • /
    • pp.43-49
    • /
    • 2018
  • MCP 세척용 전자총을 개발하기 위하여 SIMION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컴퓨터 시뮬레이션하였다. 표적인 MCP는 전자총의 전자방출원으로부터 180mm에 위치해 있고, MCP의 직경은 약 20mm이고, E, ${\phi}$, d1, d2 등 4개의 변수를 이용하여, MCP에 도달하는 전자의 빔직경이 20mm가 되는 조건을 찾았다. 여기서 E는 MCP에 도달하는 전자의 에너지, ${\phi}$는 익스트랙터의 직경, d1과 d2는 각각 전자방출원에서 익스트랙터 관 끝까지의 거리, 전자방출원에서 쳄버 벽까지의 거리이다. 컴퓨터 시뮬레이션한 결과, E와 d2는 빔직경에 거의 영향을 주지 않음을 확인하였다. 반면에 빔직경은 d1에 따라서는 매우 민감하게 변하고, ${\phi}$에 따라서도 다소 크게 변함을 알 수 있었고, d1은 ${\phi}$와 2차함수의 관계가 있음을 알아내었다. 이 함수를 이용하여 본 연구의 목적에 적합한 전자총을 설계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동양 배 '진황'에 있어 1-MCP 처리에 따른 다양한 온도 환경에서의 유통력 비교 (Comparison of Fruit Maketability at Various Temperature Environment in Asian Pear 'Jinhwang' Treated with 1-Methylcyclopropene)

  • 이욱용;최진호;김윤경;오광석;김성주;천종필
    • 생물환경조절학회지
    • /
    • 제26권1호
    • /
    • pp.19-26
    • /
    • 2017
  • 본 연구에서는 동양배 '진황'의 1-MCP처리 후 유통온도에 따른 과실의 품질 변화를 관찰하였다. 과실의 감모율의 경우 저장온도가 낮을수록 적었으며 1-MCP처리구가 무처리구 보다 유의하게 적은 감모를 보였다. 수확 후 1-MCP처리는 과육경도에서 유통온도(18, 25 및 $30^{\circ}C$)와 관계없이 20N이상으로 무처리구보다 높게 유지되었다. 과피색의 변화는 모든 처리구에서 저장기간이 길어질수록 어두워졌으며, $a^*$값은 18 및 $25^{\circ}C$에서는 처리구간 차이를 보이지 않았지만, $30^{\circ}C$에서는 1-MCP처리구가 유의하게 적은 변화를 보였다. 과실의 생리장해에서 과심갈변, 분질과 발생은 저장온도가 낮을수록 발생이 적었으며, 1-MCP 처리구가 무처리구 보다 낮은 발생을 보였다. '진황'과실에서 1-MCP처리후 유통온도에 따른 과실의 품위유지 기간은 18 및 $25^{\circ}C$에서는 28일 내외이며, $30^{\circ}C$에서는 21일 내외로 1-MCP 처리로 유통기간을 약 7일 이상의 품위유지에 효과를 보였다. 이러한 결과는 특히 고온의 시장조건에서는 조생종 '진황' 과실에 1-MCP처리가 품위유지에 효과적인 것으로 사료된다.

Massachusetts General Hospital 미니돼지 유래 이종이식용 형질전환 돼지의 번식 특성 분석 (Reproductive Characteristic of Transgenic Massachusetts General Hospital Miniature Pigs for Xenotransplantation)

  • 지수정;이건섭;박상현;김경운;변승준;옥선아;황성수;우제석;오건봉
    • 한국수정란이식학회지
    • /
    • 제32권3호
    • /
    • pp.165-170
    • /
    • 2017
  • Pigs have been extensively used as mediators of xenotransplantation research. Specifically, the Massachusetts General Hospital (MGH) miniature pig was developed to fix major histocompatibility antigens for use in xenotransplantation studies. We generated transgenic pigs for xenotransplantation using MGH pigs. However, it has not been studied yet whether these pigs show similarity of reproductive physiological characteristics to wild types of MGH miniature pig. In this study we analyzed the estrous cycles and pregnancy characteristics of wild type (WT) and transgenic MGH miniature pigs, which were ${\alpha}1,3$-galactosyltransferase (GalT) heterozygous and homozygous knock-out, and membrane cofactor protein (MCP) inserted in its locus, $GalT^{-MCP/+}$ and $GalT^{-MCP/-MCP}$ pigs. Estrous cycles of WT, $GalT^{-MCP/+}$ and $GalT^{-MCP/-MCP}$ pigs were $20.9{\pm}0.74$, $20.1{\pm}1.26$, and $17.3{\pm}0.87days$, respectively, and periods of estrous were $3.2{\pm}0.10$, $3.1{\pm}0.12$, and $3.1{\pm}0.11days$. The periods of gestation of WT, $GalT^{-MCP/+}$ and $GalT^{-MCP/-MCP}$ pigs were $114.2{\pm}0.37$, $113.3{\pm}0.67$, and $115.4{\pm}0.51days$, respectively. Litter sizes of WT, $GalT^{-MCP/+}$ and $GalT^{-MCP/-MCP}$ pigs were $4.8{\pm}0.35$, $4.8{\pm}1.11$ and $3.0{\pm}0.32$ respectively.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on estrous cycle, periods of estrous and gestation, and litter size among WT, $GalT^{-MCP/+}$ and $GalT^{-MCP/-MCP}$ pigs, meaning that GalT knock-out and additional expression MCP of the MGH miniature pig did not effect on reproduction traits. These results provide relevant information to establish breeding system for MGH transgenic pig, and for propagation of $GalT^{-MCP/-MCP}$ pig to supply for xenotransplantation research.

'대석조생' 자두(Prunus salicina L.)의 숙기에 따른 1-Methylcyclopropene 처리효과 (The Effects of 1-Methylcyclopropene on the Quality of 'Ooishiwase' Plums (Prunus salicina L.) with Different Ripening Stage)

  • 오소영;임병선;이재욱;이지현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14권5호
    • /
    • pp.511-515
    • /
    • 2007
  • Pre-climacteric 단계의 '대석조생' 자두(Prunus salicina L.)를 착색정도 따라 3단계로 구분하여 1-Methylcyclopropene (1-MCP, $1\;{\mu}L\;L^{-1}$ for 24 hours at $10^{\circ}C$)을 처리한 후 $10^{\circ}C$에서 유통시키면서 에틸렌 생성 량, 호흡량 경도, 산도, 색도 변화 등의 품질변화를 관찰하였다. 1-MCP처리에 의한 에틸렌 생성과 호흡량 감소가 모든 숙기에서 유의성이 인정되었다. 또한 1-MCP는 숙기와 관계없이 경도, 산도, 색도를 유지시키고, 가용성 고형물함량에는 아무런 영향을 미치지 않아, 악영향 없이 자두의 품질유지 효과를 나타내었다. 따라서 1-MCP를 적용하면 자두의 유통기간을 연장 할 수 있으므로 수확시기를 늦춰 맛있는 자두를 수확하여 유통시켜 소비자에게 좀더 맛있는 자두를 공급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되었다.

동양배 '원황' 및 '화산'의 상온유통 중 품질 및 생리장해 발생에 미치는 1-methylcyclopropene (1-MCP) 처리의 영향 (Effects of 1-methylcyclopropene (1-MCP) on Fruit Quality and Occurrence of Physiological Disorders of Asian Pear (Pyrus pyrifolia), 'Wonhwang' and 'Whasan', during Shelf-life)

  • 이욱용;오경영;문승주;황용수;천종필
    • 원예과학기술지
    • /
    • 제30권5호
    • /
    • pp.534-542
    • /
    • 2012
  • 본 연구에서는 1-MCP 처리가 조생종 '원황' 및 중생종 '화산 '배의 상온유통기간 중 과실품질 및 생리장해 발생 경감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원황' 배는 만개 후 130일과 140일에, '화산' 배는 만개 후 135, 145 및 150일에 각각 수확하여 실험에 이용하였다. 1-MCP를 $1{\mu}L{\cdot}L^{-1}$ 농도로 처리한 후 $25^{\circ}C$ 상온에서 21일간 유통시킨 후 과실경도를 조사한 결과, 1-MCP 처리에 의한 과실 경도 저하 지연효과가 인정되었다. '원황' 배에 있어 만개 후 130일에 수확한 과실의 경우, 무처리구의 과실 경도는 상온유통 14일 후 32.3 N, 21일 후 10.1N으로 유통기간이 경과하면서 경도가 급격하게 저하되었다. 1-MCP 처리구는 같은 조사 기간에 각각 39.4 및 33.1N으로 무처리구에 비해 유의하게 높게 유지되었다. 만개 후 140일에 수확한 '원황'에 있어서는 상온유통 14일에 각각 14.8 및 35.0N으로 1-MCP 처리구의 경도가 두 배 이상 높게 유지되었고 유통 21일에는 1-MCP 처리구가 33.3N이었던 반면 무처리구는 6.6N으로 상품성을 완전히 상실하였다. '화산'에 대한 1-MCP 처리 효과는 수확시기가 늦은 과실에서 효과가 크게 나타났다. '원황'에 대한 1-MCP 처리는 각 수확기에 있어 가용성고형물 함량이 높게 유지되는 경향을 보였는데 '화산'에 있어서는 1-MCP 처리에 따른 함량차이는 인정되지 않았고 1-MCP 처리에 의한 산함량 감소지연효과도 '원황'에서만 나타났다. 에틸렌 발생량은 '원황'의 경우 수확시기가 늦은 과실에서 다소 높게 측정되었으나 최대 $0.58{\mu}l{\cdot}L^{-1}$으로 매우 소량에 머물렀는데 '화산'의 경우에는 '원황'에 비해 현저히 낮은 수준으로 검출되었고 1-MCP 처리유무 및 유통기간의 경과에 따른 유의한 변화가 없었다. 유통기간 중 1-MCP 처리에 따른 과실의 호흡량은 '원황'에 대한 1-MCP 처리는 만개 후 130일 및 140일 수확 과실에 있어서 상온유통 14일에 무처리구 대비 각각 44 및 50% 감소시킨 것으로 조사되었다. '화산'의 호흡량은 '원황'에 비해 유의하게 낮은 수준으로 조사되었고 1-MCP 처리에 따른 호흡률의 감소는 관찰되지 않았다. 과실내부에 발생하는 생리장해를 측정한 결과, 두 품종 모두 수확시기가 늦어지는 경우 증가하는 경향이었다. '원황'에 있어 만개 후 130일 수확 과실에 대한 1-MCP 처리는 과육갈변을 완전히 방지하였고, 바람들이 및 과심갈변의 발생을 현저히 경감되었던 반면 flesh spot decay 장해는 증가하였다. 1-MCP 처리는 '원황'에서만 생리장해 경감효과가 나타났고 상대적으로 '화산'에서는 그 효과가 다소 떨어지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MCP-1에 의해 유도된 THP-1 유주에 미치는 Zerumbone의 영향 (Inhibitory Effects of Zerumbone on MCP-1-Induced THP-1 Migration)

  • 김사현;김시현;유성률;이평재;문철
    • 대한임상검사과학회지
    • /
    • 제50권2호
    • /
    • pp.177-182
    • /
    • 2018
  • 본 연구는 zerumbone이 단구의 유주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고자 진행되었다. 단구는 다양한 염증 질환의 중요한 매개자로 인식되고 있으며, 활성, 유주 등 단구의 기능 조절을 통해 염증 질환을 조절하는 가능성이 보고 되고 있다. 염증 발생 시 증가하는 케모카인인 MCP-1에 의해 단핵구 세포주 THP-1의 유주가 유발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10 ng/mL의 농도에서 유주가 발생하였으며, 100 ng/mL과 200 ng/mL의 농도에서 가장 높은 유주 현상이 나타났다. MCP-1에 의해 유발된 THP-1 유주는 zerumbone 존재 시 50% 이상 감소하였다. MCP-1 수용체인 CCR2 신호전달 과정의 중요 2차 전달자인 cAMP의 배양액 내 농도는 zerumbone 단독 처리 시 세포 단독 배양 조건에 비해 증가하였으며, MCP-1 단독 처리 시에는 의미있게 감소하였다. 그러나, zerumbone과 MCP-1을 동시에 처리했을 때에는 다시 cAMP의 증가가 관찰되었다. MCP-1 처리에 의해 일어나는 Erk 인산화도 zerumbone과 동시 처리 시 감소하는 결과를 확인했다. 본 연구는 염증성 질환에 중요한 매개자로 인식되고 있는 단구의 유주 현상을 조절하는 zerumbone의 가능성을 보여준다.

1-methylcyclopropene 처리의 수삼의 신선도 유지 및 저장성 연장 효과 (Effect of 1-methylcyclopropene Treatment on Extension of Freshness and Storage Potential of Fresh Ginseng)

  • 박미희;신유수;김선주;김지강
    • 원예과학기술지
    • /
    • 제31권3호
    • /
    • pp.308-316
    • /
    • 2013
  • 수삼은 생리적인 노화와 미생물군에 의한 부패에 따른 품질의 변화로 인해 상대적으로 낮은 저장력을 가지고 있다. 본 연구는 에틸렌 작용 억제제인 1-methylcyclopropene(1-MCP) 처리가 수삼의 저장기간 동안 품질 및 미생물군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수확된 수삼은 $1{\mu}L{\cdot}L^{-1}$ 1-MCP를 $4^{\circ}C$에서 20시간 처리 후 상온에서 18일간, 저온($4^{\circ}C$)에서 160일간 저장하였다. 상온에서 18일간 저장 시 1-MCP가 처리된 수삼의 중량감소율은 8.3%로 무처리구의 10.1%에 비해 낮게 나타났다. 수삼을 $4^{\circ}C$에서 장기저장 시, 중량감소율은 저장 120일까지는 1-MCP 처리구와 무처리구간의 차이 없이 약간 증가하였다. 반면에 $4^{\circ}C$에서 120일 이상 저장 시는 1-MCP 처리구에 비해 무처리구가 높은 중량감소율이 나타났다. 수삼의 호흡량과 에틸렌 발생량은 상온저장 시 1-MCP 처리구가 대조구에 비해 낮았다. 또한 1-MCP 처리는 상온저장 시 대조구에 비해 미생물군이 적게 나타났다. 반면에 저온에서 단기저장 시(45일간)에는 1-MCP 처리구와 무처리구간의 중량감소율과 미생물 군에서의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1-MCP 처리에 따른 중요한 ginsenosides 함량의 변화도 없었다. 본 연구결과는 1-MCP가 상온에서 단기저장 시 및 저온에서 장기저장 시 수삼의 신선도 유지를 위해 사용될 수 있음을 제시한다. 또한 1-MCP 처리는 수삼이 저장 및 수송 중에 접할 수 있는 외부 에틸렌의 유해한 영향을 방지하기 위해 수삼에 적용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Decreased Serum Monocyte Chemoattractant Protein-1 in Salivary Gland Tumor Patients

  • Mardani, Maryam;Andisheh-Tadbir, Azadeh;Khademi, Bijan;Melekzadeh, Mahyar;Vaziri, Lida
    • Asian Pacific Journal of Cancer Prevention
    • /
    • 제17권7호
    • /
    • pp.3601-3604
    • /
    • 2016
  • Background: The monocyte chemoattractant protein-1 (MCP-1/CCL2) is a potent chemoattractant for natural killer cells, monocytes, and memory T lymphocytes. However, any role in the genesis of salivary gland tumors (SGT) is unknown. To assess the diagnostic relevance of chemokines in SGT, MCP-1 levels in the serum of patients were investigated in association with tumor progression and clinical aggressiveness. Materials and Methods: Using an ELISA kit, we assessed and compared the circulating levels of MCP-1 in blood serum of 70 SGT patients with 44 healthy control samples. Results: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ed that the concentration of MCP-1 was significantly lower in patients with benign ($463.8{\pm}158.5pg/ml$, P=0.033) and malignant ($454.8{\pm}190.4pg/ml$, P=0.007) SGT than in healthy subjects ($645.7{\pm}338.9$).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mean serum levels of MCP-1 was observed between the benign and malignant group (p=0.9). While MCP-1 levels were lower in patients with an advanced clinical stage, advanced tumor size, higher tumor grade, or lymph node involvement, but the mean MCP-1 level between groups showed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p>0.05). Conclusions: MCP-1 levels in the serum of patients with SGT were decreased, indicating that this might a good marker for discriminating patients with SGT from healthy people. However, no clear-cut relationship was detected between MCP-1 levels and clinicopathologic factors, and MCP-1 is not a good marker for evaluating tumor dissemination.

배추 력광 품종의 저장 중 1-MCP에 대한 반응 (Responses to 1-MCP during Storage of Kimchi Cabbage Ryouckgwang Cultivar)

  • 홍세진;김병섭;김병삼;엄향란
    • 생물환경조절학회지
    • /
    • 제27권2호
    • /
    • pp.125-131
    • /
    • 2018
  • 배추를 저장하는 동안 품질을 유지하기 위한 방안으로 1-methylcyclopropene(1-MCP) 처리효과를 확인하였다. 수확된 배추는 즉시 실험실로 옮겨와 4개의 그룹(차압예냉 (forced-air cooling, FAC) 처리구, FAC + 0.03mm LLDPE film(Liner) 처리구, $FAC+2{\mu}L{\cdot}L^{-1}$ 1-MCP(1-MCP) 처리구, FAC + 1-MCP + Liner 처리구)으로 분류하여 각각의 처리를 실시한 후 $2^{\circ}C$, 95% RH 저온에서 저장하였다. 저장중 품질변화는 무게 감모율, 가용성 고형물 함량, 경도, 그리고 색도($CIE\;L^*$, $a^*$, $b^*$, chroma, hue angle)를 통해 확인하였다. 저장기간 동안 각 실험구의 감모율은 Liner 처리에 의해서 감소하였다. 저장기간 6주가 경과되면 FAC + 1-MCP + Liner 처리구는 12.5%의 감모율을 보이면서 다른 처리구들에 비해서 감모율을 최소화하였다. 가용성 고형물의 함량은 수확 시 $2.5^{\circ}Brix$였으며, 저장기간이 3주 경과되면서 FAC + 1-MCP + Liner 처리구에서 수확 시의 값이 유지된 반면, 다른 처리구 들은 증가하였다. 배추의 경도는 수확 직후 24.0N 이었으며, FAC + 1-MCP + Liner 처리구에서 저장 6주 경과 후 22.6N으로 수확 당시의 경도가 유지되는 경향을 보였다. 저장 기간 동안 배춧잎의 색 변화는 $CIE\;a^*$와 hue angle 값으로 확인할 수 있으며, 1-MCP 만을 처리할 경우에는 색도 변화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반면 1-MCP를 처리한 다음 Liner 포장을 실시하면 $CIE\;a^*$와 hue angle의 변화를 최소화 시키면서 수확 당시의 색도를 유지시킬 수 있었다. 이상의 결과에서 1-MCP 처리는 배추 력광 품종 저장에는 효과가 미비하나, Liner와 함께 처리할 경우 6주까지 품질유지가 가능하였다.

Monocyte Chemoattractant Protein-1 (MCP-1)/CCL2 Induces the Chemotactic Activity of Human Eosinophils

  • Lee, Ji-Sook;Kim, In-Sik
    • 대한의생명과학회지
    • /
    • 제14권3호
    • /
    • pp.199-201
    • /
    • 2008
  • Eosinophil is an improtant leukocyte in the development of various inflammatory diseases. Monocyte chemoattractant protein-1 (MCP-1) acts as a key regulator on monocyte movement, and activation of T cells and NK cells. However, the role of MCP-1 in eosinophils remains to be solved. In the present study, we examined the effect of MCP-1 on eosinophil migration, using human eosinophilic EoL-1 cells as an in vitro model of eosinophils. The surface expression of CCR2 in EoL-1 cells was little detected but MCP-1 strongly induced EoL-1 cell migration in a dose-dependent manner. Increased chemotactic activity due to MCP-1 was blocked by pertussis toxin, a $G_i/G_o$ protein inhibitor and U73122, a phospholipase C (PLC) inhibitor. These results suggest that MCP-1 activates $G_i/G_o$ protein and PLC and this signal pathway is involved in eosinphil movement. This finding supports the elucidation of pathogenic mechanism of eosinophilic inflammation such as asthma and atopic dermatitis.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