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C-1

검색결과 2,563건 처리시간 0.034초

이동 위성 준동기 리턴링크에서 MC-CDMA와 MC-DS/CDMA 시스템의 비선형 왜곡에 대한 성능 비교 분석 (Performance Comparison on Non-linear Distortion for MC-CDMA and MC-DS/CDMA System in Mobile Satellite Quasi-synchronous Return Link)

  • 안치훈;최영관;이호진;김동구
    • 대한전자공학회논문지TC
    • /
    • 제40권3호
    • /
    • pp.1-9
    • /
    • 2003
  • 준동기 이동 위성 리턴링크에서 MC-CDMA와 MC-DS/CDMA 시스템의 성능을 분석한다. 각 사용자 단말의 리턴링크간 동기가 수 칩 이내인 준동기를 고려하였다. MC-DS/DMA와 MC-DS/CDMA의 송신 신호는 정포락선 신호가 아니기 때문에 송신 증폭기의 비선형성에 의한 왜곡을 받게 된다. MC-CDMA 시스템은 Walsh 코드를 이용해 주파수 영역 확산을 하기 때문에 증폭기 입력신호레벨이 MC-DS/CDMA 시스템에 비해서 낮게 되어 사용자 수가 1명인 경우 증폭기 입력 backoff가 0dB일 때는 2.3dB, 증폭기 입력 backoff가 6dB일 때는 1dB 성능이 우수하였다. 그러나 준동기 AWGN 채널에서 사용자 수가 증가하게 되면 MC-DS/CDMA 시스템이 많은 수의 부 반송파를 사용하는 MC-CDMA 시스템에 비해서 간섭량이 적어 성능이 매우 우수하였다.

Comparison Between TCDD and 3MC Action on CYP1A1 Expression and EROD Activity in the Isolated Perfused Female Rat Liver

  • Ahn, Mee R.;Sheen, Yhun Y.
    • Toxicological Research
    • /
    • 제14권4호
    • /
    • pp.587-594
    • /
    • 1998
  • In order to understand the mechanism if the regulation of CYP 1A1 gene expression and ethoxyresorufin deethylase (EROD) activity in ex vivo system, we have studied the action of TCDD and 3MC in the isolated perfused female rat liver. CYP1A1 mRNA level and EROD activity were measured in rat liver that was isolated and perfused with various chemicals such as 2,3,7,8-tetrachlorodibenzo-p-dioxin (TCDD), 3-methylcholanthrene (3MC), 17$\beta$-estradiol (E$_2$), morin. TCDD or 3MC alone perfusion into female rat liver resulted in increase of CYP 1A1 mRNA level and the magnitude of stimulation was six times higher with TCDD treatment than 3MC treatment. However E$_2$ perfusion into female rat liver showed inhibition of CYP 1A1 mRNA level. When 10$^{-8}$ M E$_2$ was administered concomitantly with either 10$^{-9}$ M TCDD or 10$^{-9}$ M 3MC, stimulated CYP 1A1 mRNA by either TCDD or 3MC was inhibited. Morin was examined for its effects on CYP 1A1 mRNA level and result was similar to that was observed with estrogen. EROD activity was also stimulated with either TCDD or 3MC perfusion, and the magnitude of EROD stiumlation was smaller than that of CYP 1A1 mRNA stimulation in response to TCDD or 3MC perfusion. Unlike CYP1A1 mRNA level, stimulation of EROD activity was greater with 3MC than TCDD. Concomitant perfusion either E$_2$ or morin with TCDD or 3MC inhibited 3MC perfusion or TCDD perfusion stimulated EROD activity. These data suggested that TCDD and 3MC might act diffrently in terms of regulation of CYP 1A1 gene expression in rat liver.

  • PDF

저분자량 유화제 첨가에 의한 계면 흡착 메칠셀룰로오스의 경쟁이탈 특성 연구 (Competitive Displacement of Methylcellulose from Oil-Water Interface by Various Emulsifiers)

  • 홍순택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7권10호
    • /
    • pp.1271-1277
    • /
    • 2008
  • 본 연구는 MC를 함유하는 유화식품 제조에 필요한 기초 자료를 얻고자 물/기름 계면에서 저분자량 유화제와 계면 흡착 MC와의 경쟁이탈(혹은 흡착) 현상을 구명하고자 수행 하였다. 경쟁이탈 특성 변화는 계면막 조성 분석, 표면 전단 점도 측정 혹은 표면 장력을 측정하여 분석하였다. MC 유화액(1 wt% MC, 10 wt% n-tetradecane, 20 mM bis-tris, pH7)에 수용성 Tween 20을 첨가할 경우 첨가 농도의 증가에 따라 MC 흡착량이 감소하여 0.1 wt% 첨가 농도에서 모든 계면에 흡착된 MC가 수용액으로 이탈되었으며, 표면 전단 점도를 측정 결과도 이와 잘 일치하였다. 지용성 Span 80을 첨가할 경우 낮은 농도에서($\leq$0.05 wt%) 유화제를 첨가하지 않은 경우와 비교하여 MC load가 약 10$\sim$25% 증가하였고 (상승작용), 농도의 증가와 더불어 흡착량은 감소하였으나 고농도(0.1 wt%)에서 MC 분자의 완전한 경쟁 이탈은 관찰되지 않았다. 또한, 표면 전단 점도 측정을 통하여 물/기름 계면에서 MC와 Span 80 간의 상승작용을 확인할 수 있었다. 수용성 SDS 첨가할 경우 경쟁 이탈 현상은 Tween 20의 경우와 비교하여 다소 다른 형태를 나타내었다. 즉 SDS 첨가 농도의 증가와 더불어 MC load는 점차로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으나 Tween 20 첨가의 경우와 달리 높은 SDS농도(> 0.1 wt%)에서도 유화 지방구 표면에는 약간의 MC가 존재하고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고, 이를 SDS와 MC 분자간의 경쟁 이탈 현상 혹은 복합체 형성을 시사하는 것으로 추정하였으며, air-water 표면 장력의 변화도 이와 잘 일치하고 있었다. 결론적으로 계면에 흡착된 MC는 저분자량 유화제에 의하여 수용액 상으로 경쟁이탈(competitive displacement) 되었으며, 그 형태는 유화제 종류에 따라 다르게 나타난 것으로 관찰되었다.

Comparison between Old and New Versions of Electron Monte Carlo (eMC) Dose Calculation

  • Seongmoon Jung;Jaeman Son;Hyeongmin Jin;Seonghee Kang;Jong Min Park;Jung-in Kim;Chang Heon Choi
    • 한국의학물리학회지:의학물리
    • /
    • 제34권2호
    • /
    • pp.15-22
    • /
    • 2023
  • This study compared the dose calculated using the electron Monte Carlo (eMC) dose calculation algorithm employing the old version (eMC V13.7) of the Varian Eclipse treatment-planning system (TPS) and its newer version (eMC V16.1). The eMC V16.1 was configured using the same beam data as the eMC V13.7. Beam data measured using the VitalBeam linear accelerator were implemented. A box-shaped water phantom (30×30×30 cm3) was generated in the TPS. Consequently, the TPS with eMC V13.7 and eMC V16.1 calculated the dose to the water phantom delivered by electron beams of various energies with a field size of 10×10 cm2. The calculations were repeated while changing the dose-smoothing levels and normalization method. Subsequently, the percentage depth dose and lateral profile of the dose distributions acquired by eMC V13.7 and eMC V16.1 were analyzed. In addition, the dose-volume histogram (DVH) differences between the two versions for the heterogeneous phantom with bone and lung inserted were compared. The doses calculated using eMC V16.1 were similar to those calculated using eMC V13.7 for the homogenous phantoms. However, a DVH difference was observed in the heterogeneous phantom, particularly in the bone material. The dose distribution calculated using eMC V16.1 was comparable to that of eMC V13.7 in the case of homogenous phantoms. The version changes resulted in a different DVH for the heterogeneous phantoms. However, further investigations to assess the DVH differences in patients and experimental validations for eMC V16.1, particularly for heterogeneous geometry, are required.

이동위성 리턴링크에서 준동기 MC-CDMA와 MC-DS/CDMA 성능 분석 (Performance Analysis of Quasi-synchronous MC-CDMA and MC-DS/CDMA in Mobile Satellite Return Link)

  • 안치훈;최영관;이호진;김동구
    • 대한전자공학회논문지TC
    • /
    • 제40권8호
    • /
    • pp.307-317
    • /
    • 2003
  • 준동기 이동위성 리턴링크에서 MC-CDMA와 MC-DS/CDMA 시스템의 성능을 분석한다. 단말 사이의 칩 옵셋이 수 칩 이내인 준동기가 고려되었다. Walsh 코드를 사용한 MC-DS/CDMA 시스템은 준동기 ±0.5 T/sub c/, MC-CDMA 시스템 준동기 ±5/64 T/sub c//sup MC/ 상황하에서 사용자가 5명인 경우 MC-CDMA 시스템의 성능에 비해 10-3 BER에서 0.3dB 우수하였다. Walsh 코드를 사용한 MC-DS/CDMA은 extended m코드, gold 코드를 사용할 때와 비교하여 0.2dB 이상 성능이 우수하였다. Walsh 코드를 사용한 MC-CDMA 시스템은 사용자가 5명인 경우 준동기 ±5/32T/sub c//sup MC/ 이하이면 gold 코드에 비해서 성능이 1.2dB 이상 우수하였다.

랜드레이스, 대요크셔, 듀록 및 제주 흑돈의 Melanocortin 1 Receptor(MC1R) 유전자의 유전자형 분석 (Studies on the MC1R Gene Frequencies in Landrace, Large White, Duroc and Jeju Native Black Pigs)

  • 조인철;이정규;정진관;양보석;강승률;김병우
    • Journal of Animal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44권2호
    • /
    • pp.207-212
    • /
    • 2002
  • 본 연구에서는 제주 재래흑돈의 모색에 관여하는 MC1R 유전자를 이용하여, 모색유전자 빈도를 조사함으로써, 제주 재래흑돈군 확보를 위한 선발계획 수립에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수행하였다. 공시동물은 랜드레이스, 대요크셔, 듀록 각 품종별 20두와 제주흑돈 93두 등 총 153두를 공시하여 수행하였다. 품종별 MC1R 유전자형을 설정하기 위하여 genbank에 등록되어 있는 돼지 MC1R 유전자(AF181964)를 참고로 하여 두 쌍의 primer (MERL1-EPIG2, EPIG1-EPIG3)를 제작 PCR 증폭을 수행하였다. 먼저 primer MERL1-EPIG2를 이용하여 428bp의 PCR 산물을 얻었으며, primer EPIG1-EPIG3를 이용하여 405bp의 PCR산물을 얻었다. 이들 증폭된 PCR 산물은 서로 다른 2개의 제한효소를 이용하여 PCR-RFLP를 실시하였다. 먼저 primer MERL1-EPIG2를 이용하여 증폭한 428bp의 PCR산물은 제한효소 BspHⅠ(TCATG|A)을 이용하여 절단하였으며, primer EPIG1-EPIG3으로 증폭한 405bp의 PCR산물은 제한효소 AccⅡ(CGC|G)를 이용하여 절단하였다. 이들 절단된 DNA 단편은 TBE buffer에서 전기영동 후 EtBr로 염색하거나 Silver stain 염색을 하여 다형현상을 관찰하였으며,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제한효소 BspHⅠ을 이용하여 PCR-RFLP을 수행한 결과 백색의 랜드레이스와 대요크셔는 전 개체 모두가 2개의 밴드(256bp, 172bp)가 확인되었으며, 듀록은 절단되지 않은 하나의 밴드(428bp)가 확인 되었다. 그러나 제주 흑돈에서는 3개의 서로 다른 형태의 밴드가 발견되었는데, 전체 93두중 밴드가 하나인 개체는(428bp)는 29두(31.2%), 밴드가 두 개인 개체는(256bp, 172bp)는 19두(20.4%), 밴드가 3개인(428bp, 256bp, 172bp) 개체는 전체의 절반 정도인 45두(48.4%)이었다. 2. AccⅡ를 이용하여 PCR-RFLP를 실시한 결과 랜드레이스와 대요크셔 종에서는 2개의 밴드(222bp, 183)가 확인 되었으며, 듀록은 한 개의 밴드(405bp)만이 관찰되었다. 그러나 제주흑돈에서는 3개의 서로 다른 형태의 밴드가 확인되었으며, 분포빈도는 BspHⅠ을 이용한 PCR- RFLP 결과와 동일하였다. 3. 이상의 결과를 MC1R 유전자형으로 분류하면 백색품종인 랜드레이스와 대요크셔 품종은 MC1R*3 allele이었으며, 적색의 듀록은 MC1R*4 allele로서 도입종의 모색유전자는 한가지 형태로 고정되어 있었다. 그러나 제주 재래흑돈에 있어서 MC1R*2 allele과 MC1R*3 allele 모두 다 나타났으며, 대부분은 이들의 헤테로 형태였다. 따라서 제주 재래흑돈의 모색고정을 위하여 종모돈 선정시 MC1R 유전자를 이용하면, 짧은 기간 내에 모색이 고정될 것으로 추정되며, 명확한 유전양상 구명을 위해서는 agouti 유전자의 추가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Surface characteristics and bioactivity of minocycline-treated Ti-6Al-4V alloy

  • Lee, Jung-Hyuk;Sun, Young-Gon;Na, Eui-Ri;Moon, Jong-Wook;Kim, Young-Joon
    • 구강생물연구
    • /
    • 제42권4호
    • /
    • pp.187-197
    • /
    • 2018
  • Chemical agents such as minocycline (MC) and citric acid (CA) were suggested in the treatment of contaminated implant surface. In this study, MC-HCl treatment was performed to enhance surface characteristics of titanium alloy surfac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ssess the characteristics and the biocompatibility of Ti-6Al-4V surface treated by MC. Alpha-beta titanium alloy (Ti-6Al-4V) samples were prepared and they were divided into 6 groups according to chemical concentration and treatment time. These groups include 1) group I, non-treated smooth titanium alloy; 2) group II, MC 1.5 mg/mL for 1 hour; 3) group III, MC 1.5 mg/mL for 24 hours; 4) group IV, MC 15 mg/mL for 10 minutes; 5) group V, MC 100 mg/mL for 5 minutes; 6) group VI, pH1 CA for 3 minutes. The analysis of the surface characteristics of MC-treated titanium alloy was executed using scanning electron microscopy, roughness test, and X-ray photoelectron spectroscopy (XPS). Cell adhesion and MTT assay was done using MC3T3 cell. Titanium surfaces treated with MC indicated a more smoothened surface microstructure. For group II and III, the new peaks of rutile TiO2 were found. Group II and V have more basic group of Ti-OH form in XPS. In MTT assay, all MC-treated groups showed significantly higher cell viability compared to control. The surface roughness, crystal structure, surface hydrophilicity, cell viability of smooth titanium surface was improved by MC treatment. Compared with the control experiment and CA-treated group, smooth titanium surface treated with MC showed improved surface characteristics and cell biocompatibility.

On McCoy modules

  • Cui, Jian;Chen, Jianlong
    • 대한수학회보
    • /
    • 제48권1호
    • /
    • pp.23-33
    • /
    • 2011
  • Extending the notion of McCoy rings, we introduce the class of McCoy modules. Over a given ring R, it contains the class of Armendariz modules (over R). Some properties of this class of modules are established, and equivalent conditions for McCoy modules are given. Moreover, we study the relationship between a module and its polynomial module. Several known results relating to McCoy rings can be obtained as corollaries of our results.

포유돈 사료에 Malty Culture의 첨가가 모돈 및 자돈 생산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Malty Culture supplementation diets during lactation on sow and litter performance)

  • 권오석;홍종욱;이상환;김인호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5권3호
    • /
    • pp.254-259
    • /
    • 2004
  • 본 연구는 포유돈 사료내 Malty Culture(MC)의 첨가가 모돈 및 자돈의 생산성에 미치는 효과를 구명하기 위해 모돈 18마리를 공시하였다. 처리구는 대조구, MC0.5% 첨가한 구 그리고 MC1.0% 첨가한 구로 배치하였다. 모돈의 일당 사료 섭취량은 처리간의 4.49∼4.58 kg으로 나타났으며 통계적인 유의성은 없었다(P>0.62). 모돈의 등지방 두께의 차이 역시 처리간의 변화를 보이지 않았다(P>0.25). 모돈의 변비정도를 측정하기 위해 분의 수분을 측정한 결과 70%정도로 처리구간 변비의 발생은 없었다. 자돈의 생산성의 경우 한배새끼수의 증체량은 47∼48kg으로 처리간의 차이는 보이지 않았다(P>0.24). 모든 처리구에서 모돈의 발정일수는 5-7일 이었으며 처리간의 차이는 찾아 볼 수 없었다. 유생산량에 있어서도 대조구와 MC0.5와 MC1.0 처리구에서 각각 8.97, 9.18, 9.20(kg/d)으로 서로간의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지는 않았다. 자돈의 생존율에 있어 처리간의 차이는 없었다. 건물의 소화율은 처리간의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나 질소의 소화을은 MC0.5와 MC1.0 처리구에서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linear effect, p<0.10; quadratic effect, p<0.08). 또한 인 소화율의 경우 MC 처리구에서 약간의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지만 통계적인 차이는 보이지 않았다. 결론적으로 MC 첨가는 모돈과 자돈의 생산성에 있어 소화율의 향상을 보여주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