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C

검색결과 4,804건 처리시간 0.048초

살충제 Carbofuran과 Phenobarbital Sodium 및 3-Methylcholanthrene이 이스라엘 잉어의 효소활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Insecticide Carbofuran and Phenobarbital Sodium and 3-Methylcholanthrene on Activity of Enzyme in Israeli Carp(Cyprinus israeli carpio L.))

  • 임요섭;정재훈;한성수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39권1호
    • /
    • pp.77-83
    • /
    • 1996
  • 이스라엘 잉어에 있어서 carbamate계 살충제 carbofuran의 독성에 미치는 phenobarbital sodium(PB) 또는 3-methylcholanthrene (3-MC)의 영향과 작용기작을 효소적 측면에서 구명할 목적으로 carbofuran과 PB나 3-MC를 이스라엘 잉어에 각 조합으로 처리하여 독성경감 효과를 조사하였고, 공시한 농약과 PB나 MC가 acetylcholinesterase(AChE), glutathione S-transferase(GST), UDP-glucuronosyltransferase(UDPGT) 및 cytochrome P-450-dependent monooxygenase(monooxygenase)의 효소활성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기 위하여 carbofuran과 PB나 3-MC를 각각 조합으로 처리한 후 경시적으로 이스라엘 잉어의 각 효소들의 상대활성도를 조사하였다. PB와 3-MC만 투여한 실험군에서 이스라엘 잉어의 생존수는 무처리군과 동일하였고 살충제만 처리한 실험군의 이스라엘 잉어 생존수는 처리농도가 증가하면서 감소되었으나, PB나 3-MC와 살충제를 조합처리한 실험군에서는 살충제만 처리한 실힘군에 비하여 매우 높은 생존율을 나타낸 것으로 보아 해독효과가 인정 되었다. 효소활성(in vivo)은 AChE의 경우 carbofuran 0.95 ppm만을 처리한 실험군에서는 24시간내내 각 조사시기마다 무처리군에 비해 40% 이상의 활성저해를 보였으나 carbofuran과 PB 및 3-MC를 조합처리한 실험군에서는 효소활성이 초기에 감소하다가 서서히 증가하여 24시간후에는 무처리군과 비슷한 수준을 나타냈고, GST의 경우 carbofuran만을 처리한 실험군에서는 초기에 약 20% 이상의 활성저해를 보였으나 carbofuran과 PB나 3-MC를 조합처리한 실험군에서는 약제처리 1시간 후 부터 무처리군에 비해 효소활성이 20% 이상 증가하였다. UDPGT와 monooxygenase의 효소활성은 carbofuran과 PB나 3-MC를 조합처리한 실험에서 처리 $6{\sim}12$시간 후에는 carbofuran 처리군에 비해 효소활성이 $4{\sim}8$배 이상 급격히 높아졌다. 이상의 결과에서 PB 및 3-MC처리가 이들 효소의 활성을 유도함으로써 carbofuran의 독성으로 부터 이스라엘 잉어를 보호 하는데 관여한 것으로 보인다.

  • PDF

메칠셀룰로오스/Tween 20 경쟁 흡착이 메칠셀룰로오스 유화액의 안정도 특성에 미치는 영향 (Changes in the Stability Properties of Methylcellulose Emulsions as Affected by Competitive Adsorption Between Methylcellulose and Tween 20)

  • 홍순택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7권10호
    • /
    • pp.1278-1286
    • /
    • 2008
  • 본 연구는 MC와 저분자량 유화제 Tween 20 간의 경쟁 흡착 현상이 MC 유화액(1 wt% MC, 10 wt% n-tetradecane, 20 mM bis-tris, pH 7)의 안정도(크리밍 안정도 및 orthokinetic stability) 특성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고자 수행하였다. 크리밍 특성 변화는 시료 유화액의 크리밍 프로화일 및 지방구 평균 이동 속도($V_m$) 등을 비교하였고, orthokinetic stability는 전단시간(shear time)에 대한 지방구 크기 변화를 측정하여 평가하였다. 지방 함량을 달리하여(1$\sim$30wt%) 제조한 Tween 20 무첨가 MC 유화액의 경우 지방구 평균 이동 속도($V_m$)로 표현된 크리밍 안정도는 유화액 중 지방구 크기에 의존하는 경향을 보였다. 즉 지방구 크기가 클수록 안정도는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V_m$: 0.326 $\mu$m $min^{-1}$ ($d_{32}$: 0.32 $\mu$m)${\rightarrow}V_m$: 0.551 $\mu$m $min^{-1}$ ($d_{32}$: 0.53 $\mu$m)]. Tween 20을 첨가할 경우 MC 유화액의 크리밍 안정도는 Tween 20을 첨가하지 않은 경우보다 낮았고(0.2 wt% Tween 20 첨가 제외), 낮은 첨가 농도에서 가장 낮은 안정도를 보였으며, 농도가 증가할수록 안정도는 회복되는 것으로 관찰되었다[$V_m$: 0.598 $\mu$m $min^{-1}$(0.01 wt%)${\rightarrow}V_m$: 0.389 $\mu$m $min^{-1}$(0.2wt%)]. MC 유화액 연속상의 점도를 측정한 결과 이러한 크리밍 안정도 변화는 연속상의 점도 변화 경향과 잘 일치하고 있었다(Stokes 법칙에 잘 따름). 따라서 Tween 20을 함유하는 유화액의 크리밍에 대한 안정도는 물/기름 계면에서 일어나는 MC/Tween 20 간 경쟁흡착에 의하여 수용액 상으로 이탈된 MC 농도에 의존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유화 불안정화 시간($t_d$)으로 평가한 orthokinetic stability의 경우 Tween 20 첨가에 의하여 MC 유화액의 유화 안정도는 낮아 졌으며, 유화제 첨가 농도의 증가와 더불어 더욱 낮아지는 경향을 보였다[$t_d$: 160 min(0.03 wt%)${\rightarrow}t_d$: 100 min(0.2wt%)]. Tween 20은 계면 흡착 MC를 수용액 상으로 이탈시키므로 Tween 20을 함유한 MC 유화액의 orthokinetic stability 특성은 MC load에 지수 함수적으로 의존됨을 확인할 수 있었다. 결론적으로 MC 유화액에 Tween 20을 첨가할 경우 유화안정도에 영향을 미칠 수 있으며 그 정도는 첨가한 Tween 20의 농도에 의존되는 특성을 보였다.

PB/MC-CDMA 시스템에서 여분의 코드집합을 이용한 PAPR 감쇄기법에 관한 연구 (Research on the PAPR Reduction Method using Selection of Extra Code Set in PB/MC-CDMA System)

  • 이규진;이동준;이계산;김진영
    • 한국ITS학회 논문지
    • /
    • 제8권1호
    • /
    • pp.110-118
    • /
    • 2009
  • PB/MC-CDMA(Partial Block Multi Carrier Code Division Multilple Access) 시스템은 사용자간의 코드 간 간섭을 줄임으로써 성능을 향상 시키는 시스템이다. 또한, 이 시스템은 심볼 간 간섭을 피하면서 주파수 다이버시티 이득을 얻을 수 있어 MC-CDMA(Multi Carrier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시스템보다 향상된 성능을 보여준다. 그러나, 다중캐리어를 사용함으로써 PAPR 문제가 발생하여 시스템의 성능을 저하 시킨다. 이 논문에서는, PB/MC-CDMA 시스템에서 추가적인 정보 없이 여분의 확산 코드를 이용하여 최적화된 확산코드를 선택함으로써, 피크전력을 줄이는 방법을 제안한다. PB/MC-CDMA 시스템은 각 블록 단위로 확산 코드를 재사용함으로써, 여분의 코드가 남게 된다. 이러한 여분의 코드를 여러 개의 그룹으로 나누어 PAPR(Peak to Average Power Ratio)을 계산하고, 피크전력이 최소가 되는 코드를 선택하여 전송함으로써 PAPR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방법이다.

  • PDF

Development of Melanotropin Antagonists: Investigating Potent and Specific Ligands for New Receptors

  • Lim, Sejin
    • 한국응용약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응용약물학회 1996년도 제4회 추계심포지움
    • /
    • pp.153-159
    • /
    • 1996
  • ${\alpha}$-Melanotropin (Ac-Ser-Tyr- Ser-Met-Glu$\^$5/-His-Phe-Arg-Trp-Gly$\^$10/-Lys-Pro-Val-NH$_2$) is one of the first peptide hormones to be isolated and have its structure determined. It was early recognized to have essentially the same N-terminal tridecapeptide sequence as adrenocorticotropic hormone (ACTH) except that the N-terminal was acetylated in the case of ${\alpha}$-MSH but not in the case of ACTH, indicating that their biosyntheses were different (Figure 1). Subsequently it was discovered that ${\alpha}$-MSH and ACTH were derived from the same gene, currently referred to as proopiomelanocortin (POMC). Its original bioactivity was pigmentation, but it also was recognized that it may have activity in the central nervous system, though the precise nature of these central activities have been controversial. The recent cloning and expression of five melanocortin receptors, with the MC3 and MC4 receptors found primarily in the brain and the MC5 receptor (MC5-R) found throughout the body, has provided new impetus to understand the structure-activity relationships of ${\alpha}$-MSH at these receptors. The effects of ${\alpha}$-MSH on pigmentation are mediated by the MC1-R expressed specifically on the surface of melanocytes. Similarly the MC2-R is involved in the regulation of adrenal steroidogenesis by ACTH. However, given the complexity of expression of the MC3, MC4, and MC5 receptors, it has not been possible to identify any simple correlations between these receptors and the reported biological activities of the melanocortin peptides. Consequently, potent and receptor specific agonists and especially antagonists would be extremely valuable tools for the determination of the physiological roles of the MC3, MC4, and MC5 receptors. Though the extensive structure-activity relationships have provided much information on agonist activity related to pigmentary effects, only recently has it been possible to begin to systematically develop potent and selective antagonists.

  • PDF

식물 약재 구성성분과 국내 약전 성분과의 비교 연구 (Comparison of chemical compounds of medicinal plant materials with compounds of domestic pharmacopoeias)

  • 김상균;이승호;김안나
    • 대한본초학회지
    • /
    • 제31권5호
    • /
    • pp.55-62
    • /
    • 2016
  • Objective : TM-MC was constructed to provide information on the chemical compounds of medicinal plant materials which were listed in Korean, Chinese, and Japanese pharmacopoeias.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of the chemical compounds of TM-MC with those of domestic pharmacopoeias.Methods : First of all, TM-MC was updated on medicinal materials and chemical compounds which were extracted from articles up to the PubMed identifier of 26 millions. After searching for medicinal plant materials with information on their major compounds in Korean pharmacopoeias, we identified that the information on medicinal materials and chemical compounds were also existed in TM-MC. Then, we figured out how much the compounds have been studied by counting the number of articles for those compounds in TM-MC.Results : Information on 9 medicinal materials and about 1,700 compounds was newly added to TM-MC after manually curating 645 articles. Korean pharmacopoeias contained a total of 91compounds from 53 medicinal plant materials, while TM-MC provided information on the 89 compounds from the 53 medicinal materials in Korean pharmacopoeias. The compounds stated in Korean pharmacopoeias has been much studied by comparison with other compounds of each medicinal material in TM-MC.Conclusion : Most of chemical compounds stated in Korean pharmacopoeias were also listed in TM-MC, excluding two compounds. Thus, we concluded that information in TM-MC is mostly consistent with that of Korean pharmacopoeias. In the future, we will periodically update TM-MC with articles added to the MEDLINE.

랜드레이스, 대요크셔, 듀록 및 제주 흑돈의 Melanocortin 1 Receptor(MC1R) 유전자의 유전자형 분석 (Studies on the MC1R Gene Frequencies in Landrace, Large White, Duroc and Jeju Native Black Pigs)

  • 조인철;이정규;정진관;양보석;강승률;김병우
    • Journal of Animal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44권2호
    • /
    • pp.207-212
    • /
    • 2002
  • 본 연구에서는 제주 재래흑돈의 모색에 관여하는 MC1R 유전자를 이용하여, 모색유전자 빈도를 조사함으로써, 제주 재래흑돈군 확보를 위한 선발계획 수립에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수행하였다. 공시동물은 랜드레이스, 대요크셔, 듀록 각 품종별 20두와 제주흑돈 93두 등 총 153두를 공시하여 수행하였다. 품종별 MC1R 유전자형을 설정하기 위하여 genbank에 등록되어 있는 돼지 MC1R 유전자(AF181964)를 참고로 하여 두 쌍의 primer (MERL1-EPIG2, EPIG1-EPIG3)를 제작 PCR 증폭을 수행하였다. 먼저 primer MERL1-EPIG2를 이용하여 428bp의 PCR 산물을 얻었으며, primer EPIG1-EPIG3를 이용하여 405bp의 PCR산물을 얻었다. 이들 증폭된 PCR 산물은 서로 다른 2개의 제한효소를 이용하여 PCR-RFLP를 실시하였다. 먼저 primer MERL1-EPIG2를 이용하여 증폭한 428bp의 PCR산물은 제한효소 BspHⅠ(TCATG|A)을 이용하여 절단하였으며, primer EPIG1-EPIG3으로 증폭한 405bp의 PCR산물은 제한효소 AccⅡ(CGC|G)를 이용하여 절단하였다. 이들 절단된 DNA 단편은 TBE buffer에서 전기영동 후 EtBr로 염색하거나 Silver stain 염색을 하여 다형현상을 관찰하였으며,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제한효소 BspHⅠ을 이용하여 PCR-RFLP을 수행한 결과 백색의 랜드레이스와 대요크셔는 전 개체 모두가 2개의 밴드(256bp, 172bp)가 확인되었으며, 듀록은 절단되지 않은 하나의 밴드(428bp)가 확인 되었다. 그러나 제주 흑돈에서는 3개의 서로 다른 형태의 밴드가 발견되었는데, 전체 93두중 밴드가 하나인 개체는(428bp)는 29두(31.2%), 밴드가 두 개인 개체는(256bp, 172bp)는 19두(20.4%), 밴드가 3개인(428bp, 256bp, 172bp) 개체는 전체의 절반 정도인 45두(48.4%)이었다. 2. AccⅡ를 이용하여 PCR-RFLP를 실시한 결과 랜드레이스와 대요크셔 종에서는 2개의 밴드(222bp, 183)가 확인 되었으며, 듀록은 한 개의 밴드(405bp)만이 관찰되었다. 그러나 제주흑돈에서는 3개의 서로 다른 형태의 밴드가 확인되었으며, 분포빈도는 BspHⅠ을 이용한 PCR- RFLP 결과와 동일하였다. 3. 이상의 결과를 MC1R 유전자형으로 분류하면 백색품종인 랜드레이스와 대요크셔 품종은 MC1R*3 allele이었으며, 적색의 듀록은 MC1R*4 allele로서 도입종의 모색유전자는 한가지 형태로 고정되어 있었다. 그러나 제주 재래흑돈에 있어서 MC1R*2 allele과 MC1R*3 allele 모두 다 나타났으며, 대부분은 이들의 헤테로 형태였다. 따라서 제주 재래흑돈의 모색고정을 위하여 종모돈 선정시 MC1R 유전자를 이용하면, 짧은 기간 내에 모색이 고정될 것으로 추정되며, 명확한 유전양상 구명을 위해서는 agouti 유전자의 추가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Cellulase 생성균(生成菌)에 관(關)한 연구(硏究) (제1보(第1報)) -유용균(有用菌)의 분리(分離) 및 그 배양조건(培養條件)에 대(對)하여- (Studies on the Cellulase Producing Microorganisms(Part I) -Isolation of the Cellulase Producing Molds and their Cultural Conditions-)

  • 김찬조;최우영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11권
    • /
    • pp.83-88
    • /
    • 1969
  • 각지(各地)에서 수집(蒐集)한 토양(土壤), 퇴비(堆肥), 부후목(腐朽木) 고류(藁類) 및 초식동물(草食動物)의 분(糞)과 위내용물(胃內容物)을 시료(試料)로 하여 94주(株)의 cellualase 생성균(生成菌)을 분리(分離)하고, 이중(中) CMC분해력(分解力)이 비교적(比較的) 강(强)한 MC-9, MC-10, MC-53 및 MC-61의 4균주(菌株)를 선정(選定)하여 이들 균(菌)의 cellulase 생성(生成)에 대(對)한 최적배양조건(最適培養條件) 및 무기(無機), 유기물질(有機物質)의 첨가효과(添加效果)를 검토(檢討)한 결과(結果)는 다음과 같다. 1. 선정(選定)한 4균주(菌株)의 cellulase 생산(生産)에 있어서의 최적(最適) 외적조건(外適條件)은 MC-9: pH 5.5, 온도(溫度) $35^{\circ}C$, 배양일수(培養日數) 5일(日) MC-10: $pH\;5.5{\sim}6.0$, 온도(溫度) $30^{\circ}C$, 배양일수(培養日數) 5일(日) MC-53 : pH3.5, 온도(溫度) $30^{\circ}C$, 배양일수(培養日數) 5일(日) MC-61 : $pH\;3.5{\sim}40$, 온도(溫度) $30{\sim}35^{\circ}C$, 배양일수(培養日數) 5일(日) 이었다. 2. 선정균주(選定菌株)의 cellulase 역가(力價)는 최적배양조건하(最適培養條件下)에서 MC-9 : CMC점도저하력(粘度低下力) 87.7%, CMC 당화력(糖化力) 3.20 glucose mg./국건물(麴乾物) gm./분(分) MC-10 : CMC점도저하력(粘度低下力) 82.9%, CMC 당화력(糖化力) 2.48 glucose mg./국건물(麴乾物) gm./분(分) MC-53 : CMC점도저하력(粘度低下力) 72.4%, CMC 당화력(糖化力) 1.76 glucose mg./국건물(麴乾物) gm./분(分) MC-61 : CMC점도저하력(粘度低下力) 87.1%, CMC 당화력(糖化力) 2.68 glucose mg./국건물(麴乾物) gm./분(分) 이었다. 3. 선정균(選定菌)을 밀기울 배양(培養)할 시(時)에 무기염류(無機鹽類) 첨가(添加)의 효과(效果)는 인정(認定)할 수 없었으며 유기물질(有機物質)로서 대두피(大豆皮)와 감귤피(柑橘皮)의 첨가(添加)는 $3{\sim}5%$의 CMC점도저하력(粘度低下力)을 향상(向上)시키는 효과(效果)를 보였다.

  • PDF

시변 채널 하에서의 MC-DS-CDMA 시스템의 성능 분석 (Performance Evaluation of MC-DS-CDMA Systems over Time Variant Channels)

  • 최승국
    •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 /
    • 제14권3호
    • /
    • pp.581-586
    • /
    • 2010
  • MC-DS-CDMA 전송 방식에서는 서로 직교성이 있는 여러 개의 부반송파들을 사용함으로서 주파수 다이버시티 효과를 얻을 수 있어 우수한 성능의 전송이 가능하다. 시변 페이딩 채널은 전송되는 MC-DS-CDMA 신호에 인접 부 반송파 간섭을 발생시켜 수신단에서 데이터 재생 시 비트오류율이 증가된다. 본 논문에서는 파일럿 심볼을 이용하여 채널을 추정하는 MC-DS-CDMA 시스템에서 선호가 시변 채널을 통하여 전송될 때의 시스템 성능을 분석한다. 이러한 다중 반송파 전송 방식에서는 채널 추정 에러, 송수산간 반송 주파수 편차 등에 의하여 시스템 성능이 열화 된다. 그러므로 위와 같은 영향들을 모두 고려하여 송선 신호가 다중 경로 페이딩 채널을 통하여 전송될 때의 데이터 비트오류율 성능을 분석한다.

PB/MC-CDMA 시스템에서 처리량 향상을 위한 효율적인 자원 할당 기법 (Efficient Resource Allocation Scheme for Improving the Throughput in the PB/MC-CDMA System)

  • 이규진;서효덕;한두희
    • 중소기업융합학회논문지
    • /
    • 제4권1호
    • /
    • pp.1-6
    • /
    • 2014
  • PB/MC-CDMA는 기존 MC-CDMA 시스템과는 달리 여러 개의 블록으로 전체 주파수 대역을 분할하는 효율적인 시스템이다. 다중 블록 PB/MC-CDMA에서 효율적인 자원 할당 방식을 제안한다. 이 시스템은 주파수 효율을 향상시키고 다양한 채널 조건을 통해 사전에 정의 된 임계값을 만족시키면서 전체 처리량을 극대화 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또한, 컴퓨터 시뮬레이션을 통해 제안하는 시스템의 성능 처리량 측면에서 더 효과적인 것을 확인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