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AR01

검색결과 90건 처리시간 0.021초

전주지역 노인의 식사의 질 평가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Dietary Quality Assessment among the Elderly in Jeonju Area)

  • 김인숙;유현희;서은숙;서은아;이형자
    •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 /
    • 제35권3호
    • /
    • pp.352-367
    • /
    • 2002
  • 전주 지역에 거주하는 65세 이상 노인 230명 (남자 73명 (31.7%) 여자 157(68.3%))을 대상으로 식생활 조사를 실시하여 식사의 질을 평가,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교육수준은 남자는 중-고졸이 47.9%, 여자는 초등졸 이하가 55.4% (p<0.001), 가구소득은 남자는 51~150만원이 49.3%, 여자는 50만원 이하가 54.3% (p<0.001), 용돈은 남자는 6~10만원이 31.5%, 여자는 5만원 이하가 30.2% (p<0.001), 가족형태가 43.3%로 각각 가장 높은 빈도를 보여 유의적인 차이(p<0.001)가 있었다. 하루에 섭취한 식품가지수인 DVS는 남녀 각각 19.6, 17.7로 남자가 여자보다 유의하게 높았다(p<0.05). 평균 1일 식품 총 섭취량은 남녀 각각 1492.5, 1204.2g으로, 당류, 채소류, 음료, 난류, 어패류, 유제품은 남자가 여자보다 (p<0.05~p<0.001), 해조류는 여자가 남자보다 유의적으로 많이 섭취하였다(p<0.05). 식물성;동물성 식품비율은 남녀 각각 85 : 15, 89 : 11로 식물 비율이 남녀 모두 높았다. DDS(곡류, 육류, 유제품, 채소류, 과일류)의 식품군별 패턴에서 남녀 모두 11011 (유제품만 섭취하지 않음)이 각각 47.9, 33.8%로 가장 많았으며, KDDS(곡류, 육류, 채소류, 유제품, 유지류)의 식품군별 패턴 1위는 11100 (곡류, 육류, 채소류는 섭취하고 유제품, 유지류는 섭취하지 않음)으로 남녀 각각 46.6, 31.8%였다. DDS는 남녀 각각 4.0, 3.7 (p<0.05), KDDS는 각각 3.5, 3.2 (p<0.01)로 KDDS가 DDS보다 낮았다. KDDS를 끼니별로 적용한 Meal balance 분류에서 very bad($\leq$6)가 남녀 각각 4.1, 21.7%, bad(7~9)는 각각 58.9, 55.4%, normal (10~13)은 34.2, 22.3%, good (14~15)은 2.7, 0.5% (p<0.01)로 여자가 남자보다 점수가 낮았으며, 평균 점수는 남녀 각각 9.1, 8.1 (p<0.001)로 매 끼니마다 식품을 다양하게 섭취하지 못하였다. 1일 평균 에너지 섭취량이 남녀 각각 1,740, 1,433 kcal (p<0.05)로, 권장량의 각각 84.0, 80.9%로 단백질 섭취량은 남녀 각각 67, 49 g(p<0.001)으로, 권장량의 각각 100.7, 88.3% (p<0.001)로 양호한 섭취를 보였다. 그러나, 칼슘은 권장량의 각각 62.7, 55.3% (p<0.001), 비타민 A는 각각 60.7, 53.9%이었다. 열량 구성 영양소인 단백질 : 지방 : 탄수화물의 비율이 남자는 15.8:15.7:68.5, 여자는 13.8:13.2:73:0으로 남자가 여자보다 단백질, 지방의 섭취비는 유의적으로 높고 (p<0.001), 탄수화물 비는 낮았다(p<0.01), 아침 : 점심 : 간식 : 저녁 : 밤참의 끼니별 에너지 배분을 보면 남자는 29.2 : 32.4 : 5.0 : 31.2 : 2.2, 여자는 30.5 : 33.5 : 4.5 : 28.6 : 2.9로 세끼 식사 중에 남녀 모두 점심이 차지하는 비율이 가장 높았다. 에너지 섭취를 고려한 INQ는 칼슘과, 비타민 A는 남녀 모두, 비타민 B$_2$는 여자가 1이하로 나타났다. 또한 NAR 중에서도 낮은 영양소는 비타민 A (남 0.52, 여 0.42 (p<0.05), 칼슘 (남 0.68, 여 0.54 (p<0.001)), 비타민 B$_2$(남 0.77, 여 0.67 (p<0.01))이었다. MAR은 남녀 각각 0.82, 0.73 (p<0.001)로 여자가 남자보다 낮았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해 볼 때 전주지역 노인들은 식품을 다양하게 섭취하지 못하였으며, 특히 유제품군과 유지류 섭취가 낮았다. 영양소 섭취는 대체로 양호하였으나, 비타민 B$_2$는 질적 평가에서, 칼슘과 비타민 A는 질과 양이 모두 낮은 영양소로 나타났으며 특히 여자의 경우는 권장량의 절반이하의 수준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이들 영양소의 섭취를 위해 효율적인 식품선택이나 추가 보충등의 방안이 모색되어야 할 것으로 보인다. DVS를 종속변수로 하고 DDS, KDDS, MBS를 독립변수로 하여 다중회귀분석 (Stepwise 방법)을 실시하여, 남자는 KDDS (p<0.001)가, 여자는 MBS, DDS(p<0.001) 순으로 채택되었다. MAR를 종속변수로 하고 DDS, KDDS, MBS를 독립변수로 하였을 때는 남자는 KDDS, DDS 순으로 (p<0.001), 여자는 MBS, DDS(p<0.001)순으로 채택되었다. 이것은 DDS보다는 KDDS가 전체 식품 가짓수를 가늠할 수 있으며, 영양소 섭취를 추정할 수 있는 것으로 생각한다. 즉, 우리나라 노인은 유지류 섭취빈도가 과일류보다 낮아 유지류 섭취 여부가 전체 식품 가짓수를 가늠할 수 있으며, 영양소 섭취를 추정할 수 있는 것으로 생각된다.

Effects of Setaria italica on Gap Junction-Mediated Intercellular Communication for the Development of Cancer Chemopreventive Agents

  • Son, Jang-Won;Fang, Ming-Zhu;Cho, Myung-Haing;Kim, Kyung-Ho;Kim, Soo-Un;An, Gil-Hwan;Lee, Chong-Soon;Kim, Ki-Nam;Chang, Il-Moo;Mar, Woong-Chon
    • Natural Product Sciences
    • /
    • 제5권2호
    • /
    • pp.88-92
    • /
    • 1999
  • Inhibition of gap junction-mediated intercellular communication (GJIC) has been considered as an important factor in the tumor promotion phase of carcinogenesis. Recovery effects of natural products on gap junctional intercellular communication are measured by scrape-loading and dye transfer method using Lucifer yellow after administration of phorbol-12-myristate-13-acetate (PMA) on WBF344 cells. Among tested natural products, the hexane fraction and subfractions (F-01 and F-04) of Setaria italica were relatively effective for recovery of GJIC. The hexane fraction of Setaria italica $(EC_{25},\;12.14\;{\mu}g/ml)$ and subfractions $(F-01:EC_{50},\;10.74\;{\mu}g/ml;EC_{25},\;1.58\;{\mu}g/ml,\;F-04:EC_{50},\;11.03\;{\mu}g/ml;\;EC_{25},\;3.12\;{\mu}g/ml)$ revealed dose-dependent recovery effects on GJIC. Our data show GJIC activity measurement by Lucifer yellow spread on cells can be an effective tool for the screening of natural products with possible cancer chemopreventive effects.

  • PDF

대구지역 택시기사들의 혈중 연농도 (Blood Lead Concentration of Taxi Drivers in Taegu, Korea)

  • 사공준;강복수;정종학
    • Journal of Preventive Medicine and Public Health
    • /
    • 제23권3호
    • /
    • pp.255-261
    • /
    • 1990
  • 배기가스내 연에 노출될 위험이 가장 큰 직업의 하나인 택시기사들의 혈중연농도를 측정하고 운전경력에 따른 연농도의 분포양상 및 그 상관요인을 규명하여 배기가스내의 연이 택시기사들의 건강에 미치는 영향 및 그로 인한 장애를 예방하기 위해, 1989년 8월 1일부터 동년 8월 31일까지 대구시에 소재한 택시회사 2개소의 남자기사 90명과 대구시내에 거주하는 대조군 50명을 대상으로 면접조사를 하고 정맥혈을 채취하여 원자화무염광로를 부착한 원자흡광광도계로 분석하였다. 택시기사들의 평균혈중연농도는 $26.34{\pm}6.53{mu}g/dl$, 대조군의 경우 $20.77{\pm}4.80{\mu}g/dl$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p<0.01). 운전경력에 따른 혈중연농도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으며 운전경력과 혈중연농도의 상관성은 거의 없었다. 흡연습관과 혈중연농도의 관계에서는 택시기사 및 대조군 모두에서 흡연군이 높은 혈중연농도를 나타내었으나 통계학적으로 유의하지는 않았다.

  • PDF

서울 강북구 일부 주민들의 고혈압 분류에 따른 영양상태 비교 (The Relationship of Nutritional Satus to the Degree of Hypertension in Residents of Kangbuk-gu, Seoul)

  • 손은정;문현경
    • 대한지역사회영양학회지
    • /
    • 제7권3호
    • /
    • pp.304-315
    • /
    • 2002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relate the degree of hypertension to nutritional status, in order to prepare basic data for a nutrition program. The study using the WHO standard divided the residents in Kangbuk-gu into a normal group (NG) of 254 adults with systolic blood pressure (SBP) < 130 or diastolic blood pressure (DBP) < 85; a borderline hypertensive group (BG) of 81 adults with 130 $\leq$ SBP $\leq$ 140 or 85 $\leq$ DBP $\leq$ 90; and a hypertensive group (HG) of 143 adults with SBP > 140 or DBP > 90. The mean age of HG was older than the other groups (p < 0.001). The dietary intake was investigated by the 24-hour recall method. The Ca intake as the percentage of the Korean Recommended Dietary Allowances (RDA) for the HG were higher than that of the other groups (p < 0.01). The Nutrient Adequacy Ratio (NAR) of Ca and Vit. A were below 0.75 for all three groups. The Mean Adequacy Ratio (MAR) was above 0.75 (p > 0.05) for all three groups. The Dietary Variety Score (DVS) of the NG was 22.7, and higher than those of the other groups (p > 0.05) The fasting blood sugar (p < 0.001), total cholesterol (p < 0.001), protein (p < 0.001), albumin (p < 0.01), hemoglobin (Hb) (p < 0.001), alkaline phosphatase (ALP) (p < 0.001), and creatinine (p <0.05) values of the HG were higher than those of the other groups. The Body Mass Index (BMI) and the waist-hip ratio (WHR) of the HG were higher than those of the other groups (p < 0.001) . In conclusion, these results showed that there tended to be differences among the three groups. For effective nutritional education and counseling of each group, we should furtherstudy the differences and understand their characteristics of each group in order to provide nutritional education for controling and preventing hypertension.

결혼이주여성의 배우자지지, 성적자율성, 성생활만족이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융합적인 영향 분석 (An analysis of the convergent influence of spouse support, sexual autonomy, sexual satisfaction on self-efficacy in married immigrant women in South Korea)

  • 박미경;문지현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10권12호
    • /
    • pp.477-486
    • /
    • 2019
  • 본 연구는 결혼이주여성을 대상으로 배우자지지, 성적자율성, 성생활만족이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자료 수집은 2019년 1월부터 3월까지 결혼이주여성 171명을 대상으로 조사하였다. 자료 분석은 ANOVA,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Multiple regression analysis로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배우자지지는 3.64±0.86, 성적자율성 3.44±0.93, 성생활만족 3.14±0.90, 자기효능감은 3.06±0.64이었고, 모든 변수들 간에는 높은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다(p<.01). 성관련 변인인 성적자율성과 성생활만족이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강력한 예측 인자로 확인되었으며 설명력은 26.9%였다. 본 연구결과에 기초하여 결혼이주여성의 자기효능감을 높이기 위한 다양한 프로그램 개발 및 실천적인 접근방안을 모색할 것을 제안한다.

Essential Oil of Thujopsis dolobrata Suppresses Atopic Dermatitis-Like Skin Lesions in NC/Nga Mice

  • Nam, Kung-Woo;Noh, Jae-Kyu;Kim, Su-Kwan;Lee, Sung-Jin;Kim, Kyeong-Ho;Oh, Ki-Bong;Shin, Jong-Heon;Mar, Woong-Chon
    • Biomolecules & Therapeutics
    • /
    • 제19권1호
    • /
    • pp.102-108
    • /
    • 2011
  • We examined the effects of essential oil from Thujopsis dolobrata Sieb. et Zucc. var. hondai Makino (EOTD) (Cupressaceae) on atopic dermatitis (AD)-like skin lesions in NC/Nga mice. Treatment with EOTD twice daily for two weeks ameliorate AD-like skin lesions induced by DNCB (2,4 dinitrochlorobenzene), and clinical scores were reduced to 7.29, 7.07, and 4.5 points in the groups treated with 1.5%, 3.0%, and 6.0% extract (p<0.01) respectively, from the 15.0 score obtained using vehicle. EOTD inhibited the infiltration of mast cells into the AD-like skin lesion in NC/Nga mice (p<0.01) and also reduced serum histamine and IgE levels (p<0.05). Furthermore, it dose-dependently inhibited the release of beta-hexosaminidase from rat basophilic leukemia RBL 2H3 cells. These results indicate that EOTD reduces AD-like skin lesions by inhibiting the production of IgE and histamine, and, thus, IgE-mediated degranulation.

성인 여성에서 비만 여부에 따른 식사섭취상태 및 식사의 질 평가 : 2007-2009 국민건강영양조사 자료를 이용하여 (Evaluation of nutrient and food intake status, and dietary quality in Korean female adults according to obesity : Based on 2007-2009 Korean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 배윤정
    •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 /
    • 제45권2호
    • /
    • pp.140-149
    • /
    • 2012
  • 본 연구에서는 성인 여성을 대상으로 비만 여부에 따른 영양소 및 식품 섭취의 질을 평가하고, 식사의 질과 비만지표와의 관련성에 대하여 분석하였다. 총 3,565명의 대상자 (정상군 2,841명, 비만군 724명)가 분석에 포함되었고,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일 총 섭취 열량에서는 정상군이 1,707.81 kcal로 비만군의 1,634.94 kcal에 비해 유의적으로 높게 나타났으며 (p = 0.0199), 또한 섭취 열량 1,000 kcal당 영양소 섭취량을 분석한 결과 정상군은 비만군에 비해 탄수화물 (p = 0.0298) 및 나트륨 (p = 0.0169)의 섭취량은 유의적으로 낮았던 반면 칼슘 (p = 0.0261)의 섭취량은 유의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칼슘의 경우 정상군에서 권장섭취량 대비 섭취율이 비만군에 비해 유의적으로 높았으며 (p = 0.0178), 평균필요량에 미달되게 섭취하는 대상자의 비율은 유의적으로 낮게 나타났다 (p = 0.0152). 영양소별 NAR 및 MAR을 분석한 결과, 정상군에서 칼슘의 NAR이 0.63으로 비만군의 0.60에 비해 유의적으로 높게 나타났으며 (p = 0.0158), 영양소별 NAR의 평균치인 MAR의 경우 정상군이 0.80, 비만군이 0.79로 두군간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또한 1일 총 식품 섭취량은 정상군 1,297.36 g, 비만군 1,271.28 g으로 두군간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나, 우유 및 유제품의 섭취량에서 정상군이 비만군에 비해 유의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p = 0.0162). DDS는 전체 대상자에서 3.753점으로 나타났으며, 정상군이 3.769점으로 비만군의 3.686점 보다 유의적으로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p = 0.0253). 또한 전체 연구대상자의 DVS는 30.07개로 나타났으며, 정상군과 비만군 각각 30.41개, 28.63개로 나타나 유의적인 차이를 보였다 (p = 0.0003). 식품섭취와 관련된 식사의 질 지수 (DDS, DVS)와 비만과 관련된 신체계측치 (체질량지수, 허리둘레)와의 관계를 분석한 결과, DVS가 많은 대상자들의 허리둘레 및 체질량지수가 더 낮은 경향을 보였으며 (p for trend < 0.01), 이 결과는 연령, 음주 상태, 신체활동 정도 및 열량 섭취량을 보정한 후에도 같은 양상으로 나타났다 (p for trend < 0.01). 이상의 결과를 종합하면, 비만한 성인 여성의 경우 정상 체중인 여성에 비해 칼슘 섭취 및 유제품 섭취의 질이 유의적으로 낮았으며, DDS 및 DVS가 유의적으로 낮아 다양하지 못한 식품 섭취 양상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고, DVS는 체질량지수 및 허리둘레와 유의적인 음의 관계를 보였다. 따라서 이와 같은 결과를 비만한 성인 여성을 대상으로 한 비만 관리에 적용할 때 고른 영양 섭취를 위해 식품군의 구성, 섭취하는 식품의 가짓수 등 영양균형에 중점을 두어 식사지도를 해야 할 것으로 생각되며, 칼슘 섭취의 질과 비만과의 인과관계를 명확히 분석하기 위하여 한국인을 대상으로 한 전향적인 코호트 연구 및 추가 분석이 필요하다고 사료된다.

촬영자세별 척추측만각과 척추전만각의 비교 분석에 따른 개선 방안 (Technical Improvement for Spine Radiography by Comparing Scoliotic and Lordotic Angle with Different Positioning Methods)

  • 정재연;손순룡;이종석;유병규
    • 대한방사선기술학회지:방사선기술과학
    • /
    • 제34권4호
    • /
    • pp.263-269
    • /
    • 2011
  • 척추촬영법은 의료기관별로 상이하고 각종 대학 및 국가시험을 위한 교재 등에 상이하게 기술되어 혼선을 빚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동일한 환자의 선자세와 누운자세에서 촬영한 영상을 바탕으로 각 자세에서 척추측만각과 척추전만각의 차이를 비교함으로써 임상 및 관련기관, 참고서적에 가장 적절한 촬영 자세를 정립하여 제시하고자 하였다. 2009년 3월부터 2011년 9월까지 척추질환 환자 중 수술적 치료를 받지 않은 85명을 대상으로 Cobb's method를 이용하여 척추전만각(lordortic angle) 및 척추측만각(scoliotic angle)을 측정하였다. 각각의 측정자료는 t-test(SPSS 18)를 이용하여 유의성을 분석하였으며, 임상의 실태 파악을 위해 서울소재 10곳의 대학병원을 대상으로 척추촬영의 자세와 시행근거를 설문으로 조사하였다. 척추측만각의 측정 결과, 선자세가 바로누운자세보다 평균 20.98% 증가하였으며, 통계적으로 매우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01). 척추전만각은 지지대잡은자세가 측와위자세보다 29.3% 증가하였으며, 통계적으로 매우 유의하였다(p<.01). 의료기관의 실태 결과, 누운자세촬영이 70.0%로 선자세촬영의 30.0%보다 월등하게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선자세촬영은 누운자세촬영보다 척추측만각 및 척추전만각이 증가하여 임상적 진단과 치료에서 중력이 가해진 선자세 촬영의 중요성과 일치하였으므로 임상의 검사자는 그 차이를 인식하여 필히 정확한 선자세에서 촬영이 요구된다.

수도권 일부 지역 청소년의 영양지수 등급에 따른 영양소 섭취와 식행동 실태 비교 연구 (A Comparative Study on the Nutrient Intake and Dietary Behavior according to Nutrition Quotient Grade of Adolescents in Some Areas of the Seoul Metropolitan Area)

  • 최서영;서혜지;황지윤;김민아;육성민;임영숙;오지수;김혜영;오지은
    • 한국식생활문화학회지
    • /
    • 제39권1호
    • /
    • pp.53-63
    • /
    • 2024
  •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nutrition quotient and the dietary intake of adolescents. A total of 393 adolescents were surveyed to evaluate their Nutrition Quotient for Korean Adolescents (NQ-A) scores and dietary intake. The average age of the survey subjects was 15 years and the average NQ-A score of the subjects was 49.11±13.35.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NQ-A scores according to gender and age. The average dietary diversity score was 3.77±0.85, and it was significantly higher in boys than in girls (p< .05) with the scores of 12-14-year-old students being significantly higher than those aged 15-18 years (p< .01). The results of comparing the percentage of recommended intake or adequate intake and the mean adequacy ratio (MAR) according to the NQ-A grade, showed that the 'High' grade had a significantly higher intake percentage of vitamin B1, B12, folate, phosphorus, iron and a significantly higher MAR (p< .05). From a long-term perspective, efforts to improve dietary habits are deemed necessary to meet an individual's nutritional requirements. Adolescents themselves should develop proper eating behaviors and acquire suitable dietary management skills to enhance their nutritional status, ultimately contributing to an improvement in their quality of life.

남성 근로자들의 알코올 섭취에 따른 영양소 섭취상태 연구 (An Investigation of the Nutrient Intakes according to the Alcohol Consumption Level in Male Workers)

  • 최선영;강영순;김경업;박미영;김성희
    •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
    • 제22권4호
    • /
    • pp.669-677
    • /
    • 2009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the anthropometry, nutrient intakes, dietary - related behaviors and health - related behaviors of male workers that were divided according to their alcohol consumption. The mean height, weight and BMI of all subjects were 172.0$\pm$5.8 cm, 67.8$\pm$9.3 kg and 22.9$\pm$2.6 kg/$m^2$, respectively. The WHR was higher in the heavy drinking group than in the other groups(p<0.01), while the other anthropometric indices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among the three groups. The calorie intake was highest(p<0.001) in the heavy drinking group(3,270.4$\pm$686.5 kcal), followed by moderate(2,602.8$\pm$415.8 kcal) drinking group and light drinking group(2,341.5$\pm$449.4 kcal). As alcohol consumption increased, there was a decrease in the percent of energy derived from carbohydrates and lipids, while there was an increase in the percent of energy derived from proteins and alcohol(p<0.001). The heavy and moderate drinking groups had a highers intake of protein compared to the light drinking group, and the heavy drinking group had a higher intake of lipid compared to the light and moderate drinking groups(p<0.01). The intakes of vitamin $B_2$, niacin and phosphorus were lower in the moderate group than the other groups(p<0.01). The average MAR(Mean adequacy ratio) was 1.44$\pm$0.35 and the intake of all nutrients, except for folic acid, was much higher than the Korean RI(Recommended intake). The fruit intake frequency and sleeping hours were the lowest in the heavy drinking group(p<0.05) and the subjects preferred the following order of food products when they drink: meat(42.5%), fish & shellfish(30.0%), fruit & vegetable(22.5%) and others(5.0%) as a side dish. The average rates of smoking and exercise for all the subjects were 77.5% and 67.5%, respectively.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ed that heavy alcohol drinkers were more prone to abdominal obesity and related chronic degenerative diseases, indicating the need for extensive nutritional education for heavy alcohol drinker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