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50

검색결과 20,810건 처리시간 0.051초

보리 엽록체의 광계 II에서 수은, 구리 및 아연의 저해효과 비교 (Comparison of Toxic Effects of Mercury, Copper and Zinc on Photosystem II of Barley Cholroplasts)

  • 전현식
    • Journal of Plant Biology
    • /
    • 제36권3호
    • /
    • pp.195-201
    • /
    • 1993
  • The room temperature fluorescence induction of chloroplasts was utilized as a probe to locate the site of inhibition by mercury, copper and zinc on PS II by mercury. Inhibitory effect of Hg2+ on electron transport activity was notable as compared with Cu2+ and Zn2+. At concentrations of HgCl2 over 50 $\mu$M, activities of PS II and whole-chain electron transport decreased more than 70%, while that of PS I decreased about 10~30%. This suggests that PS II is more susceptible to Hg2+ than PS I is. In the presence of diphenylcarbazide (DPC), 50 $\mu$M HgCl2 inhibited the reduction of dichlorophenolindophenol (DCPIP) about 50%. Addition of heavy metals induced marked decrease in maximal variable fluorescence/initial fluorescence [(Fv)m/Fo], but no changes in Fo. With various concentrations of heavy metals, changes of chlorophyll a fluorescence emitted by PS II showed gradual decrease in photochemical quenching (qQ), which indicates an increase in reduced state of electron acceptor, QA. Especially, the addition of HgCl2 caused a notable decrease of qQ. In the presence of 50 $\mu$M CuCl2, energy-depended quenching (qE) was completely reduced, whereas in the presence of 50 $\mu$M CuCl2 and ZnCl2 it was still remained. The above results are discussed on the effects of mercury in relation to water-splitting system and plastoquinone (PQ) shuttle system.

  • PDF

고도에 따른 제주도 지하수의 수질특성 (Characteristics of Groundwater Quality by Elevation in Cheju Island)

  • 이용두
    • 한국토양환경학회지
    • /
    • 제5권3호
    • /
    • pp.65-75
    • /
    • 2001
  • 본 연구는 제주도의 전체 지하수공 중 수역별로 대표성이 있는 150공을 선정하여 고도에 따른 수질 특성을 파악하는데 목적을 두었다. 수질특성의 평가는 물리.화학적 특성과 통계분석을 이용하였다. Piper diagram에 의한 수질 유형은 표고 50m이하 지역은 $Na^{+}$$K^{+}$-C $l^{-}$ 형태를 보이고 있다. 40~100 m에 위치한 지하수에서는 $Na^{+}$$K^{+}$-HC $O_3$$^{-}$ +C $O_3$$^{2-}$ 형태와 일부 $Na^{+}$$K^{+}$-C $l^{-}$ 형태의 군을 이루고 있다. 그리고 100 m이상의 지역에서는 $Na^{+}$$K^{+}$-HC $O_3$$^{-}$ +C $O_3$$^{2-}$ 형태에 속하고 있다. 요인분석 결과, 50 m이하와 100 m이상 지역에서 공통적으로 TDS와 오염물질 2개 요인이 추출되었다. 50~100m지역에는 3개의 요인이 추출되었으며, 요인1에는 TDS함량으로 요인2는 오염의 영향과 광물용해로 볼 수가 있다. 그리고 요인 3에는 HC $O_3$$^{-}$ 함량으로 나타났다..

  • PDF

나일론 4와 이의 블렌드 막을 이용한 에탄올-물 혼합물의 투과 증발분리 (Pervaporation Separation of Ethanol-Water Mixtures Using Nylon 4 and Its Blended Membranes)

  • 임지원;로버트 황
    • 공업화학
    • /
    • 제4권4호
    • /
    • pp.791-797
    • /
    • 1993
  • 생물공학에의 투과증발공정의 응용은 성장 중에 있다. 2단계 투과증발공정이 에탄올 발효의 분리공정에 적용되어질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물-에탄올의 조성이 50:50wt.%가 되는 두번째 투과분리공정을 나일론 4와 폴리비닐알코올 및 폴리아크릴산을 포함하는 나일론 4블렌드 막을 이용하여 조사하였다. 나일론 4막은 25, 30, $35^{\circ}C$에서 에탄올의 조성 변화에 따라 실험이 수행되어졌다. 나일론 4막은 물-에탄올 조성이 50 : 50wt.%에 대해 선택도 4.18 그리고 투과도 $0.69kg/m^2hr$을 얻은 반면에 5Mrad의 감마선에 의해 가교된 나일론 4-PVA 블렌드 막은 선택도 10.56, 투과도 $0.55kg/m^2hr$을 얻었다. 또한 나일론 4 막은 물-에탄올 혼합물의 공비점에서 호모폴리머 중 27.8의 높은 선택도를 얻을 수 있었다.

  • PDF

작은 정현파입력의 50% Duty Ratio 디지털 클럭레벨 변환기 설계 (Design of digital clock level translator with 50% duty ratio from small sinusoidal input)

  • 박문양;이종열;김욱;송원철;김경수
    • 한국통신학회논문지
    • /
    • 제23권8호
    • /
    • pp.2064-2071
    • /
    • 1998
  • 휴대용 기기에서 자체 발진하여 클럭원으로 사용되는 TCXO의 출력과 같은 작은 진폭(400mV)의 정현파 입력을 내부 논리회로의 클럭원으로 사용하기 위한 파형정형 및 50%의 듀티 비(duty ratio)의 출력을 가지는 새로운 디지털 클럭레벨 변환기를 설계, 개발 하였다. 정, 부 두 개의 비교기, RS 래치, 차아지 펌프, 기준 전압 발생기로 구성된 새로운 신호 변환회로는 출력파형의 펄스 폭을 감지하고, 이 결과를 궤환루프로 구성하여 입력 비교기 기준 전압단자로 궤환시킴으로서 다지털 신호레벨의 정확한 50%의 듀티 비를 가진 출력을 생성할 수 있다. 개발한 레벨변환기는 ADC등의 샘플링 클럭원, PLL 또는 신호 합성기의 클럭원으로 사용할 수가 있다. 설계는 $0.8\mu\textrm{m}$ double metal double poly analog CMOS 공정을 사용하고, BSIM3 model을 사용하였으며, 실험결과 370mV의 정현파 입력율 50 + 3%의 듀티 비를 가진 안정된 논리레벨 출력 동작특성을 얻을 수 있었다.

  • PDF

마테(Ilex paraguariensis) 추출물/분획물의 항산화능 및 타이로시네이즈 저해 활성 (Antioxidative Effects and Tyrosinase Inhibitory Activities of Mate (Ilex paraguariensis) Extract/Fractions)

  • 공봉주;김용재;백지선;이다빈;이지원;민나영;김아영;박수남
    • 대한화장품학회지
    • /
    • 제41권4호
    • /
    • pp.391-400
    • /
    • 2015
  • 본 연구에서는 마테(Ilex paraguariensis)로부터 50% 에탄올 추출물,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 및 아글리콘 분획물을 제조하였고 이들 추출물/분획물에 대하여 항산화능을 평가하였다. 추출물 및 분획물의 수율은 건조분말 당 각각 32.0, 4.48 및 0.82%를 나타냈다. 1,1-Phenyl-2-picrylhydrazyl (DPPH) 라디칼 시험법을 이용한 자유 라디칼 소거 활성과 루미놀 발광법을 이용한 총 항산화능을 평가하였다. 50% 에탄올 추출물,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 및 아글리콘 분획물의 라디칼 소거활성($FSC_{50}$)은 각각 8.83, 5.84 및 $6.05{\mu}g/mL$이었다. 추출물 및 분획물의 총항산화능($OSC_{50}$)은 모든 추출물이 비교 대조군으로 사용한 L-ascorbic acid ($1.72{\mu}g/mL$)과 유사한 항산화능을 나타냈으며. 50% 에탄올 추출물의 경우 $OSC_{50}$$1.03{\mu}g/mL$로 활성이 가장 큰 것으로 평가되었다. $^1O_2$로 유도된 세포 손상에 대한 보호 효과 실험에서 모든 추출물은 $10{\mu}g/mL$ 농도에서 비교 대조군인 (+)-${\alpha}$-tocopherol과 유의적으로 큰 세포 보호 활성(${\tau}_{50}$)을 나타내었다. 특히 아글리콘 분획물은 10 및 $50{\mu}g/mL$ 농도에서의 세포 보호 효과가 (+)-${\alpha}$-tocopherol 보다 약 5배나 크게 나타났다. 에틸아세테이트 분획과 아글리콘 분획의 tyrosinase에 대한 저해 효과는 미백제로 알려진 알부틴과 유사하였다. 이상의 결과들은 마테 추출물이 항산화 및 항노화 화장품 원료로서 응용 가능성이 있음을 시사한다.

Abscisic acid 농도에 따른 밀 종자의 발아와 단백질체의 발현 특성 (Germination and Proteome Profile Characteristics of Wheat Seeds Treated under Different Concentrations of Abscisic Acid)

  • 정재혁;김대욱;황운하;안승현;정한용;이현석;최인배;최경진;윤종탁;윤성중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63권1호
    • /
    • pp.25-34
    • /
    • 2018
  • 휴면성이 다른 백중밀, 금강밀, 우리밀 후숙종자의 ABA 농도에 따른 발아 및 배아에서의 단백질체 발현 특성을 조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백중밀, 금강밀, 우리밀 등 3품종의 0, 10, 30 및 $50{\mu}M$ ABA에서의 평균 발아지수와 발아율은 각각 0.95와 98% 이상으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유아와 유근의 생장은 $0{\mu}M$ ABA보다 10, 30 및 $50{\mu}M$ ABA에서 생장이 크게 억제되었는데, ABA 농도가 높을수록 생장이 더 억제되었다. 2. 3품종 배아의 평균 ABA 함량은 $0{\mu}M$ ABA와 $50{\mu}M$ ABA에서 각각 0.78 ng/mg과 269.04 ng/mg으로서 농도에 따른 ABA 함량의 차이가 컸다. 3. $0{\mu}M$ ABA 처리구에 비하여 $50{\mu}M$ ABA 처리구에서 발현양이 증가한 단백질 spot (S1, S3, S4, S6, S15, S16, S17)은 7개였으며, 감소한 단백질 spot (S2, S5, S9, S10, S11, S12, S13, S14, S18)은 8개였고, 증가와 감소가 동시에 이루어진 단백질 spot (S2)은 1개였다. $50{\mu}M$ ABA에서만 검출된 단백질 spot (S7, S8)은 2개였다. 4. 각 단백질 spot의 $0{\mu}M$ ABA 처리구 양에 대한 $50{\mu}M$ ABA 처리구 양의 평균 배수 값(fold 값)이 1.5배 이상으로 증가한 단백질 spot은 S1 (globulin-3A), S6 (globulin-1 S allele), S16 (globulin-1 S allele), S17 (globulin-1 S allele) 등으로 모두 globulin류 단백질이었다. 또한 $50{\mu}M$ ABA에서만 확인된 단백질 spot인 S7 (globulin 3)과 S8 (globulin-1 S allele)도 globulin 단백질이었다. 5. 각 단백질 spot의 $0{\mu}M$ ABA 처리구 양에 대한 $50{\mu}M$ ABA 처리구 양의 평균 배수 값(fold 값)이 0.7 이하로 감소한 단백질 spot은 S10 (glutamine sysnthetase cytosolic isozyme), S12 (S-adenosylmethionine synthetase 2), S14 (isocitrate dehydrogenase NADP)이었다. 이상의 결과는 ABA에 의한 밀 유묘의 유아와 유근의 생장억제는 배아에서의 ABA 농도 증가, 그리고 이에 따른 배아의 glutamine 합성에 관여하는 다양한 효소의 발현 감소 및 메틸기공여물질의 감소와 이에 따른 메틸기 전이활성의 감소 등이 관여하고 있음을 의미한다. 한편 배아에서의 ABA에 의한 globulin 단백질의 증가는 배아 특이적 globulin의 일시적 합성 증가와 globulin 분해 효소의 활성 억제 등이 복합적으로 관여한 결과로 생각된다.

지유 에탄올추출물의 생체외 항산화 활성 (In vitro Antioxidant Activity of Sanguisorbae Radix Ethanol Extracts)

  • 임태진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26권2호
    • /
    • pp.149-158
    • /
    • 2013
  • 본 연구에서는 지유 에탄올추출물의 항산화 효과를 조사하였다. Pyrogallol의 억제율을 100%로 기준하였을 때, DPPH 라디칼을 50% 억제시키는데 필요한 지유 추출물의 농도는 0.33 mg/mL으로 ${\alpha}$-tocopherol의 $IC_{50}$(0.40 mg/mL)과 유사하게 나타났다. 지유 추출물의 총항산화능은 ${\alpha}$-tocopherol에 비해 높게 나타났다. 지유 추출물의 superoxide 소거활성은 catechin에 비해 높게 나타났다. 지유 추출물의 peroxyl 라디칼 소거활성은 ascorbic acid에 비해 높게 나타났다. 지유 추출물의 구리이온 환원력은 ${\alpha}$-tocopherol에 비해 높게 나타났다. 지유 추출물은 hydroxyl 라디칼 및 peroxyl 라디칼로 유발된 supercoiled DNA strand의 절단을 억제시켰다. 지유 추출물 0.5 및 5 mg/mL의 총페놀 함량은 각각 0.50 및 3.33 mM gallic acid와 동등한 수준이었다. 또한, HepG2 세포주를 이용한 세포배양에서 지유 추출물 0.01, 0.1 및 0.5 mg/mL 농도의 첨가는 0.2 mM t-BHP로 유도된 세포독성을 각각 33.8, 79.1 및 96.9% 감소시켰다. 따라서, 본 연구 결과들은 지유 추출물의 강력한 항산화 효과와 세포독성 억제효과를 나타내며, 이러한 효능은 적어도 자유라디칼의 산화억제와 높은 총페놀 함량에 기인하는 것으로 사료된다.

마늘의 가공 조리방법에 따른 Lipoxygenase활성도 저해효과 -마늘 추출액이 Lipoxygenase 활성도 저해에 미치는 영향- (Inhibition of Lipoxygenase Activity by the Extract of Various Processed Garlic - Inhibitory Effect of Garlic Extracts on Soybean Lipoxygenase Activity -)

  • Kim, Mee-Ree;Mo, Eun-Kyung;Kim, Seong-Hee;Sok, Dai-Eun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22권3호
    • /
    • pp.280-285
    • /
    • 1993
  • 동물체내에서 천식, 염증, 혈소판 응고 등에 관련된 매개체를 생성시키는 효소인 lipoxygenase작용기 전과 유사한 대두 lipoxygenase (Type IV)를 사용하여 생마늘의 수용액, 에탄올, 클로로포름 추출분획에 의한 lipoxygenase 저해 정도를 측정하였다. 효소를 클로로포름 추출 분획과 10분 preincuba-tion시킨 후의 효소 저해 양상은 비가역적 저해(1$_{50}$값, 55mg/$m\ell$)이었으며, 수용액 추출 분획의 경우는 주로 가역적 저해 양상(1$_{50}$값, 65mg/$m\ell$)을 나타내었다. 한편, diallyldisulfide와 dimethyldisulfide의 1$_{50}$값은 각각 1.3mM, 18mM 이었으며 이들은 가역적, 비가역적 저해 현상을 모두 나타내었다. 합성품 alliin은 비교적 높은 농도(10mM농도에서 22%저해)에서 저해하였으며, alliin의 분해산물은 비가역적 저해 양상을 나타낸 반면에, S-ethylcysteine sulfoxide는 효소를 거의 저해하지 않았다. 따라서 다진 마늘 속에는 가역적 저해제가 주로 함유되어 있고, 소량(25~30%)의 비가역적 저해제가 함유되어 있는 것으로 사료되었다.사료되었다.

  • PDF

다양한 유산균이 존재하는 발효식품으로 부터 Bifidobacteria의 선별 및 계수 (Selection and Enumeration of Bifidobacteria in Fermented Foods with Various Lactic Bacteria)

  • 이시경;박동기;오훈일;박종현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1권3호
    • /
    • pp.751-756
    • /
    • 1999
  • Bifidobacteria를 다양한 유산균이 함께 공존하는 발효식품에 첨가시 이들을 분리할 수 있는 선택배지를 제조하기 위해 다양한 항생제의 생육저해 효과를 조사하였다. Gentamycin과 ripampicin은 $100\;{\mu}g/mL$의 농도에서 일반 유산균의 생육을 심하게 억제하였으나, bifidobacteria의 생육은 억제하지 않았다. ampicillin은 $50\;{\mu}g/mL$의 농도에서 일반 유산균은 거의 생육하지 못하였으나, bifidobacteria의 생육도 억제되었다. fosfomycin은 $100\;{\mu}g/mL$이상의 농도에서 일반 유산균보다 bifidobacteria의 생육이 더 억제되었다. Neomycin $80\;{\mu}g/mL$, gentamycin $50\;{\mu}g/mL$, ripampicin $50\;{\mu}g/mL$, nalidixic acid $15\;{\mu}g/mL$, $LiCl_2$ $3\;{\mu}g/mL$의 항생제가 함유된 MRS배지를 이용하였을 때 김치나 치즈에 존재하는 다양한 유산균의 생육을 억제시키지만 bifidobacteria의 생육을 억제시키지 않아 이를 선택적으로 분리할 수 있었다.

  • PDF

냉동.동결건조된 Tetraselmis suecica의 먹이효과 (Dietary Value of Frozen and Freeze-Dried Tetraselmis suecica)

  • 김철원;허성범
    • 한국양식학회지
    • /
    • 제11권2호
    • /
    • pp.183-191
    • /
    • 1998
  • 조개류의 인공종묘생산시 생멱이생물의 대체먹이원을 개발하기 위해 냉동 EH는 건조한 먹이생물의 먹이효율을 조사하였다. T. suecica를 대상으로 실험구를 생 T. suecica, 건조 T. suecica, 냉동 T. suecica, 생 T. suecica(50%)+냉동 T. suecica(50%), 생 T. suecica(50%)건조 T. suecica(50%)를 구분하여 참굴과 개량조개 유생 그리고 바지락 치패에게 먹이로 공급하며 먹이효율을 비교하였다. 참굴 유생의 경우는 생 T. suecica를 공급한 실험구가 각고 $231.9^{\mu}$m로 성장이 가장 좋았고, 생존율은 72.6%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다른 실험구와 유의적인 차이를 보였으며 건조 T. suecica를 단독으로 공급한 실험구에 각고 $168.7^{\mu}$m, 생존율 39.3%로 가장 저조한 것으로 나타났다. 개량조개 유생에서는 생 T. suecica를 공급한 실험구가 각장 $213.0^{\mu}$m, 생존율 42.9%로 가장 좋았으나 다른 실험구와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다. 바지락 소형 치패의 경우 성장은 생 T. suecica, 생 T. suecica(50%)+냉동T. suecica50%)를 공급한 실험구와 다른 실험구와 유의적인 차이를 보였다. 그리고 대형 치패 경우 성장은 생 T. suecica, 생 T. suecica(50%)+건조 T. suecica(50%) 실험구와 유의적인 차이를 나타냈다. 그러나 바지락 치패의 생존율에서는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이와같이 냉동, 건조된 T. suecica의 먹이효율은 유생의 종류와 성장단계에 따라 다른 것으로 나타났으며 생 T. suecica를 부분적으로 대체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