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 sinensis

검색결과 330건 처리시간 0.024초

경상남도 거창군 고제면 주민들의 장흡충 감염상 (Intestinal trematode infections in the villagers in Koje-myon, Kochang-gun, Kyongsangnam-do, Korea)

  • 손우영;허선;이수응;우호춘;홍성종
    • Parasites, Hosts and Diseases
    • /
    • 제32권3호
    • /
    • pp.149-156
    • /
    • 1994
  • 주민들의 장내 기생충 감염상황 조사와 구충을 목적으로 1994년 3월 경상남도 거창군 고제면 주민 116명의 대변을 수거하여 포르말린-에테르 집란법으로 1번 검사하였다 장흡충 충란 양성자들에게 프라지콴텔을 투여하여 충체를 회수하였다. 주민들의 충란 양성율은 11.2%(13례)이었으며 간흡충 3.4%(4례), 메타고니무스 5.2%(6례), 호르텐스극구흡충 9.5%(11례)이었다. 7명의 호르텐스극구흡충 양성자를 치료하여 평균 65(6-227)마리의 호르텐스극구흡충을 수집하였다 그중 1례에서 이전고환극구흡충 3마리를 수집하였고, 다른 1례에서 수세미이형흡충 한마리를 수집하였다. 상복부 팽만감, 무른변 설사, 변비가 감염자의 주된 위장관 증상이었다. 경남 거창군 고제면을 호르텐스극구흡충 유행지의 하나로 추가한다. 이 조사의 이전고환극구흡충증은 국내 제6례, 수세미이형흡충증은 국내 제 5례이다.

  • PDF

Whole-Genome Characterization of Alfalfa Mosaic Virus Obtained from Metagenomic Analysis of Vinca minor and Wisteria sinensis in Iran: with Implications for the Genetic Structure of the Virus

  • Moradi, Zohreh;Mehrvar, Mohsen
    • The Plant Pathology Journal
    • /
    • 제37권6호
    • /
    • pp.619-631
    • /
    • 2021
  • Alfalfa mosaic virus (AMV), an economically important pathogen, is present worldwide with a very wide host range. This work reports for the first time the infection of Vinca minor and Wisteria sinensis with AMV using RNA sequencing and reverse transcription polymerase chain reaction confirmation. De novo assembly and annotating of contigs revealed that RNA1, RNA2, and RNA3 genomic fragments consist of 3,690, 2,636, and 2,057 nucleotides (nt) for IR-VM and 3,690, 2,594, and 2,057 nt for IR-WS. RNA1 and RNA3 segments of IR-VM and IR-WS closely resembled those of the Chinese isolate HZ, with 99.23-99.26% and 98.04-98.09% nt identity, respectively. Their RNA2 resembled that of Canadian isolate CaM and American isolate OH-2-2017, with 97.96-98.07% nt identity. The P2 gene revealed more nucleotide diversity compared with other genes. Genes in the AMV genome were under dominant negative selection during evolution, and the P1 and coat protein (CP) proteins were subject to the strongest and weakest purifying selection, respectively. In the population genetic analysis based on the CP gene sequences, all 107 AMV isolates fell into two main clades (A, B) and isolates of clade A were further divided into three groups with significant subpopulation differentiation. The results indicated moderate genetic variation within and no clear geographic or genetic structure between the studied populations, implying moderate gene flow can play an important role in differentiation and distribution of genetic diversity among populations. Several factors have shaped the genetic structure and diversity of AMV: selection, recombination/reassortment, gene flow, and random processes such as founder effects.

Cryopreservation of Mulberry Germplasm Core Collection and Assessment of Genetic Stability through ISSR Markers

  • Rao, A. Ananda;Chaudhury, Rekha;Kumar, Suseel;Velu, D.;Saraswat, R.P.;Kamble, C.K.
    • International Journal of Industrial Entomology and Biomaterials
    • /
    • 제15권1호
    • /
    • pp.23-33
    • /
    • 2007
  • A simple and reliable cryo technique using desiccation and slow freezing of winter dormant buds was employed for 238 core collection of mulberry germplasm collected from diverse geographical regions and maintained under tropical conditions in the ex situ field gene bank to develop long-term biodiversity conservation for ensuring sustainable utilization of these valuable resources. Desiccation and freezing tolerance of bud grafts and excised shoot apices in the axillary buds of different Morus species under in vivo and in vitro condition indicated species-specific variation and most of the wild Morus species were found sensitive. In vitro regeneration and cryopreservation($-196^{\circ}C$) protocols using differentiated bud meristem like axillary winter dormant buds were worked out for a wide range of Morus species, land races, wild and cultivated varieties. Successful cryopreservation of mulberry winter dormant buds of different accessions belonging to M. indica, M. alba, M. latifolia, M. cathayana, M. laevigata, M. nigra, M. australis, M. bombycis, M. sinensis, M multicaulis and M. rotundiloba was achieved. Among wild species Morus tiliaefolia, and M. serrata showed moderate recovery after cryopreservation. Survival rates did not alter after three years of cryopreservation of different Morus species. ISSR markers were used to ascertain the genetic stability of cryopreserved mulberry, which showed no difference detected among the plantlets regenerated from frozen apices in comparison to the non-frozen material.

금오산(金烏山)의 산화지(山火地)에서 벌목지(伐木地)와 비벌목지(非伐木地)의 식물(植物) 군집구조(群集構造) 비교(比較) (Comparison of Plant Community Structures in Cut and Uncut Areas at Burned Area of Mt. Gumo-san)

  • 제상훈;김원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86권4호
    • /
    • pp.509-520
    • /
    • 1997
  • 1994년 4월에 산불이 일어나서, 소나무림과 임상식생이 완전히 전소된 경북 김천시 부상면 금오산(976m)의 일부 지점으로 사면방위가 S10W로, 산불이 발생한 지역을 벌목지와 비벌목지로 구분, 인접한 소나무림을 대조구로 선정하여, 산불이 일어난 후 1년째인 1995년 4월부터 1996년 10월에 걸쳐 식생구조, 종다양성지수, 우점도지수, 균등성지수, 천이도 및 토양의 이화학적 변화를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조사지에 출현한 식물은 벌목지가 32종, 비벌목지가 36종, 비산화자가 34종으로 나타났으며, 출현된 식물의 생활형은 벌목지 $H(G)-D_1-R_5-e$ 비벌목지가 $H(M)-D_1-R_5-e$, 비산화지가 $M(N)-D_1-R_5-e$ 형으로 나타났다. 적산우점도는 산화지, 비산화지의 출현한 식물의 층상구조로 볼 때, 산화지 중 벌목지는 초본층만 출현하여, 억새(100.00), 산거울(52.27), 졸참나무(51.19), 큰까치수영(39.40)순이었고, 비벌목지의 교목층은 상수리나무(56.91), 소나무(26.83), 관목층은 졸참나무(50.43), 감태나무(40.51), 싸리(37.85), 초본층은 억새(72.27), 고사리(69.02), 산거울(63.63)순이고, 비산화지의 경우 교목층은 소나무(99.88), 감태나무(21.07), 관목층은 졸참나무(77.47), 소나무(60.03), 청미래덩굴(56.19), 초본층은 억새(82.74), 산거울(74.02), 졸참나무(49.43)순으로 나다났다. 종다양성지수는 벌목지 1.05, 비벌목지 1.32, 비산화지 0.22, 균등성지수는 벌목지 0.70, 비벌목지 0.85, 비산화시 0.63이며, 우점도지수는 벌목지 0.15, 비벌목지 0.06, 비산화지 0.96, 천이도는 벌목지 345.19, 비벌목지 747.47, 비산화지 674.34, 각 지소별 유사도지수는 벌목지와 비벌목지간 0.66, 비산화지와 벌목지간은 0.50, 비산화지와 비벌목지간은 0.61이었다. 토양성분은 pH, 치환성양이온인 $Ca^{2+}$, $Mg^{2+}$, $Na^{2+}$, $NH{_4}^+$-N, $NO{_3}^-$-N은 벌목지가 비벌목지 보다 높게 나타냈으며, 유기물함량, 유효인산, 총질소함량, 총탄소함량, 치환성양이온인 $K^+$는 비벌목지가 벌목지보다 높게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로 보아 산화지의 관리에 있어서 무조건 벌목보다는 산화지의 식생회복과 재생의 정도를 고려한 선택적인 벌목이 이루어져야 된다고 생각된다.

  • PDF

한국산 Claviceps의 조사(제1보) (Claviceps Species Collected in Korea(1))

  • 이응권;정봉조;이석종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9권1호
    • /
    • pp.49-51
    • /
    • 1970
  • 1. 1969년 수원을 중심으로 한 경기도지방의 맥각균을 조사하여 보고하는 것이다. 2. 목초인 Reed canary grass와 기타화본과잡초인 개밀, 털개밀, 산조풀, 가는산조풀, 김의털, 흰줄갈풀, 띠, 새, 억새, 물억새, 큰기름새, 참억새, 개억새, 솔새, 갈대 등 11속 16종의 기주에서 맥각균의 균핵을 채집하였다. 3. 개밀을 제외한 15종은 한국에서 새로 기록되는 맥각균의 기주이며 이미 보고된 호밀을 합하면 한국산 맥각균의 기주는 12속 17종이 된다. 4. 맥각의 균종은 이미 보고된 Claviceps purpurea $(F_r.)\;T_{ul}$에 새로 C. pucilla $C_{ES}$를 추가하여 2종이 된다. 5. 이번 조사에서 수직분포로는 449m인 광교산(수원)항에서 참억새의 맥각균을 채집하였다.

  • PDF

아파트 단지 지하주차장 상부에 식재된 교목의 생장 특성에 관한 연구 (Studies on the Growth Characteristics of the Trees in Parking Lot in the Apartment Complex)

  • 장병관;윤주철
    •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지
    • /
    • 제24권1호
    • /
    • pp.111-119
    • /
    • 2021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growth characteristics of artificially planted trees on top of the underground parking lots. The trees were planted 17 years ago and are now in good condition. The survey results are as follows. The planting depth of the trees was 0.9 - 1.3m. The horizontal roots of the trees were distributed in the depth of 0.2m ~ 0.6m, Growth condition was also considered to be good. Also, in the case of the straight root of the trees, the pine tree(Pinus densiflora) grew near the bottom but tree root was very thin, and the Japanese hackberry tree(Celtis sinensis) and the zelkova tree(Zelkova serrata) were seemed to bend at the bottom and to grow by changing direction. When trees were planted on artificial ground, the roots grew well horizontally, and the forces of growing vertically were much weakened. because the plants were planted in earth ball state. As a result, it was considered that the roots would hardly penetrate the bottom-pressing concrete floor.

훼손비탈면의 한지형 잔디 파종량에 따른 자생식물의 생육특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Growth Characteristics of Native Plants by Seeding Amounts of Cool-season Turfgrasses on the Disturbed Slope)

  • 김재환;심상렬
    •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지
    • /
    • 제12권5호
    • /
    • pp.1-12
    • /
    • 2009
  • This research was initiated to investigate the revegetation characteristics under the seeding amount treatments of cool-season turfgrasses on the disturbed slope. 4 different seeding amounts of cool-season turfgrasses (0.0 $g/m^2$, 1.5 $g/m^2$, 3.0 $g/m^2$, 6.0 $g/m^2$) with the same seeding amounts of native woody (Rhus chinensis, Albizzia julibrissin) and herbaceous plants (Lotus corniculatus var. japonicus, Dianthus sinensis, Aster yomena) were treated with 3 replications on the experimental disturbed slope. Data such as soil hardness (mm), moisture content (%), surface coverage rate (%), the number of each germinating plant and plant height were analyzed. There were no statistic differences observed in the soil hardness and the soil moisture content while a significant difference was observed in the surface coverage rates. The surface coverage rates were higher in 3.0 $g/m^2$ and 6.0 $g/m^2$ plots compared to the rest two plots of cool-season turfgrasses. However, the emergence of native woody and herbaceous plants was relatively low in 3.0 $g/m^2$ and 6.0 $g/m^2$ plots of high seeding amounts of cool-season turfgrasses. This result indicated that high seeding amounts of cool-season turfgrasses could decrease the emergence of native woody and herbaceous plants. We concluded that 1.5 g~3.0 $g/m^2$ seeding amounts of cool-season turfgrasses was optimum level for the balanced emergence of cool-season turfgrasses, native woody and herbaceous plants in the viewpoint of the ecological disturbed slope revegetation.

폐광산(廢鑛山) 주변(周邊) 토양(土壤) 및 식물체(植物體)의 중금속(重金屬) 존재형태(存在形態)와 함량조사(含量調査) (Investigation on the Content and the Existential Form of Heavy Metals in Plants and Soils surrounding Ruined Mine)

  • 정상섭;박창동;강상재;박우철
    • Current Research on Agriculture and Life Sciences
    • /
    • 제11권
    • /
    • pp.111-120
    • /
    • 1993
  • 폐광산(廢鑛山) 주변(周邊)의 토양(土壤) 및 식물체(植物體)에 존재(存在)하는 중금속(重金屬)과 그들의 토양(土壤)에서의 존재형태(存在形態)에 따른 분포(分布)를 조사(調査)하였다. 토양(土壤) 중(中) 중금속(重金屬) 함량(含量)은 Mn을 제외(除外)하고 A토양(土壤)에서 제일 많았고, Mn은 B토양(土壤)에서 함량(含量)이 제일 높았다. 존재형태(存在形態)에 따른 각 중금속(重金屬)의 함량(含量)은 각 원소별(元素別)로 차이가 있었는데, 즉 Cd와 As는 유기태(有機態), Cu와 Pb 및 Mn은 Carbonate태(態), Fe와 Zn은 잔사태(殘渣態)가 다른 형태(形態)보다 더 높게 나타났다. 참억새와 골풀은 각각 75%와 15% 정도(程度)로 서식(棲息)하고 있었으며, 이는 이들 식물(植物)들이 중금속(重金屬)에 대해 내성(耐性)을 가지고 있음을 보여주었다. 참억새와 골풀에 분포(分布)되어 있는 중금속(重金屬)은 Mn을 제외하고 줄기보다는 뿌리에 더 많이 함유(含有)되어 있었다. 참억새의 경우 Zn은 줄기와 뿌리에 비슷하게 분포(分布)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주변(周邊) 용수(用水)의 분석(分析) 결과(結果) 침출수(浸出水)에서 중금속(重金屬) 함량(含量)이 높게 나타났으며, Fe와 Mn 및 Zn이 많이 검출(檢出)되었다.

  • PDF

한국산 녹차추출물 catechin 성분의 ethanol 재추출 공정 최적화 (Optimization of the re-extraction process of ethanol from catechin components from Korean green tea extract)

  • 조인희;김명규;장서윤;김나라;이원영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23권5호
    • /
    • pp.696-703
    • /
    • 2016
  • 녹차 추출물의 에탄올을 이용한 카테킨 성분의 고순도 및 고효율 추출을 위한 추출조건을 반응표면분석법을 사용하여 최적화하였다. 고형분 수율은 에탄올 사용 비율 및 온도 조건 모두 유의적으로 영향을 받았다(p<0.001). 녹차의 카테킨 성분 함량 및 총 카테킨 함량 모두 1%이내의 유의성이 인정되었고 온도보다 에탄올 사용 비율 조건이 추출결과에 더 영향을 미친다. 카페인 함량은 에탄올 사용비율에 유의적으로 영향을 받았다. 반응표면 분석 결과 카페인을 제외한 종속변수의 $R^2$값은 0.90 이상으로 1% 이내의 유의성이 인정되었다. 예측된 조건은 에탄올 사용 비율이 6 mL/g, 온도가 $0^{\circ}C$에서 고형분 수율 33.01%, EGC 12.56%, EC 3.78%, EGCG 22.43%, ECG 5.39%로 총 카테킨 함량은 40.17%이며 카페인 함량은 5.87%로 예측되었다. 예측된 조건에서 실제 추출시 고형분 수율은 35.02%, EGC 13.31%, EC 3.97%, EGCG 19.11%, ECG 4.29%로 총 카테킨 함량은 40.68%이며 카페인 함량은 5.30%로 분석되었다.

한국산기종 차나무뿌리썩이선충, Pratylenchus Ioosi Loof(참선충 목: 뿌리썩이선충科) (An Unrecorded Species of Pratylenchus Ioosi Loof (Tylenchida: Pratylenchidae) from Tea in Korea)

  • Park, Byeong-Yong;Park, Dong-Ro;Lee, Jae-Kook;Park, Young-Eoun;Shin, Gil-Ho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41권4호
    • /
    • pp.299-303
    • /
    • 2002
  • 차나무뿌리썩이선충(Pratylenchus loosi)이 국내에서 처음으로 전라남도 명암군과 제주도 남제주군의 차나무 뿌리와 주변 중에서 발견되었다. 차나무뿌리썩이선충의 두부주름은 2개이며 암컷의 길이는 433-646$\mu\textrm{m}$이고, a = 29.1-37.5, b = 5.1-6.4, c = 15.0-21.3, vulva (%) = 73.0-85.4였다. 수컷의 몸길이는 408-512 $\mu\textrm{m}$였으며 a = 36.1-40.0, b = 4.8-6.7, c = 17.0-19.0, spicule = 14.1-18.0$\mu\textrm{m}$였다. 구침의 길이는 11.6-18.0$\mu\textrm{m}$였으며, 측선의 갯수는 4개였다. 저정낭은 정자로 차 있으며, 모양은 둥근 고치모양 또는 직사각형 모양이다. 꼬리의 형태는 가늘고 끝이 둥글거나 뾰족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