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M-IoT 기기

Search Result 115, Processing Time 0.026 seconds

A Firewall System for IoT Environments (사물인터넷 보호를 위한 방화벽 구현)

  • Lee, Jeong-Hui;Kim, Ji-Won;Shin, Weon
    • Annual Conference of KIPS
    • /
    • 2018.10a
    • /
    • pp.222-224
    • /
    • 2018
  • 최근 다양한 사물인터넷 기기들이 출시되어 일상생활은 물론 다양한 환경에서도 널리 활용되고 있다. 이로 인해 기존의 사이버 위협들이 사물인터넷 환경에서도 고스란히 적용되어 심각한 위협으로 나타나고 있으나, 사물인터넷 기기를 대상으로 하는 침입차단과 대응은 부족한 실정이다. 본 논문에서는 사물인터넷 기기로 들어오는 패킷을 분석하여 사물인터넷 기기에 해당하는 이미 등록된 기능과 다른 이상행위를 하는 통신을 차단할 수 있는 방화벽 시스템을 개발한다. 이를 위하여 사물인터넷 환경을 구축하고, 오픈소스 공유기 환경에서 방화벽 시스템을 구현하였다.

A Study on the Improvement Plan of Voice Recognition Security Vulnerability (음성인식 보안 취약점 개선방안에 대한 연구)

  • Kim, YeonJeong;Yun, HyeMin
    • Annual Conference of KIPS
    • /
    • 2017.11a
    • /
    • pp.746-748
    • /
    • 2017
  • 음성인식을 사용하는 이용자가 많아지는 요즘, 이를 악용하여 개인정보를 탈취하고, 휴대폰을 해킹하는 등 정보보호 상의 문제점이 많아지고 있다. 이 논문에서는 음성인식 중에서도 IoT 기기의 음성비서를 이용하는 사용자들의 개인정보보호를 위해 음성인식의 보안 정도를 높이고, 본인인증을 더 확실히 할 수 있는 방안을 제안한다.

Implementation of Public washing machine reservation management application using smart multi-tab (스마트 멀티 탭을 활용한 공용 세탁기 예약관리 어플리케이션 개발)

  • Yeon, JeMin;Lee, Deok Gyu
    • Annual Conference of KIPS
    • /
    • 2020.11a
    • /
    • pp.346-348
    • /
    • 2020
  • IoT 시장이 날로 성장하는 요즘 원룸 촌이나 회사, 학교 등의 기숙사에서 사용되고 있는 공용 세탁기의 여러 불편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방안이 필요하다. 기존의 기기를 교체할 필요 없이 멀티 탭 하나로 누구나 쉽게 설치 가능하고, 누구나 쉽게 확인할 수 있는 시스템을 구축함으로써, 공용세탁기 사용자들의 불편함을 개선하도록 돕는다.

Smart Wireless Charging Technology (스마트 무선충전 기술)

  • Moon, J.I.;Kim, S.M.;Kim, S.W.;Cho, I.K.;Sohn, S.H.;Lee, H.J.
    •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Trends
    • /
    • v.32 no.3
    • /
    • pp.89-97
    • /
    • 2017
  • 전자기장(電磁氣場, Electromagnetic field)을 이용하는 무선전력 전송기술은 오래전부터 관련 연구가 시작되었다. 최근 스마트폰의 새로운 시장발굴을 위한 산업체의 노력과 새롭고 편리한 기능을 요구하는 소비자의 욕구를 충족시키는 해법 중 하나로 무선전력 전송기술을 이용한 무선충전 기술이 관심을 받기 시작하면서 다양한 스마트기기에 적용되고 있다. 또한, 무선충전 기술이 적용 가능한 웨어러블 기기와 IoT 기기, 그리고 전기자동차 시장의 확대가 기대되고 있어 수년 내 무선충전 기술은 현재보다 빨리 높은 수준에 도달할 것이며, 산업체의 시장선점과 표준화 경쟁이 치열할 것으로 예상된다. 본고에서는 이러한 무선충전 기술의 발전 동향과 표준화 동향을 소개하고, 향후 무선충전 기술의 발전 방향에 대해 논하고자 한다.

Analysis on Coexistence between Unlicensed Wireless Device based on 802.11ah and LTE User Equipment (802.11ah 기반 비면허 무선기기와 LTE 단말기 간 공존 분석)

  • Lee, Il-Kyoo;Park, Yeon-Gyu
    •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Engineering
    • /
    • v.21 no.11
    • /
    • pp.2015-2021
    • /
    • 2017
  • Recently, a lot of attention is fallen to IoT(Internet of Things) for hyper-connected society and the number of unlicensed wireless device has been increasing. Thus, this paper analyzed the impact of unlicensed wireless device on the basis of 802.11ah on licensed LTE user equipment in 900 MHz frequency band for efficient frequency use. As the interference analysis method, Minimum Coupling Loss (MCL) method and Monte Carlo (MC) method were used. In case of one interferer, minimum separation distance between interferer and victim was calculated as about 22 m through the MCL method under the assumption of the worst case. The maximum number of interferer to meet the interference probability of 5% below within a cell radius of the victim was computed as about 3000 by using MC method based on statistical technique. The analysis method and results in this paper are expected to be used for the coexistence between unlicensed wireless device and licensed wireless device.

Home server-client system using IoT technology (IOT 기술을 이용한 가정용 서버-클라이언트 시스템)

  • Park, Tae-Yang;Park, So-Young;Park, So-Jeong;Jang, In-Young
    • Annual Conference of KIPS
    • /
    • 2017.11a
    • /
    • pp.1055-1057
    • /
    • 2017
  • 본 프로젝트는 아두이노 기기와 라즈베리파이 기기, 그리고 여러 센서와 카메라를 이용하여 건강 상태 모니터링 및 판단 기술을 통해 노약자의 위급상황 시에 조치를 취할 수 있게끔 도와주는 프로그램을 개발한다. 라즈베리파이 카메라를 통해 얻은 영상으로 노약자의 위급한 상황의 여부를 판단하고 아두이노를 이용하여 온도와 습도를 측정하여 쾌적한 환경의 적합성을 판단한다. 원격으로 노약자의 응급 상황과 생활 환경의 쾌적함 정도를 웹에서 보호자가 확인할 수 있고, 위급한 상황이 발생할 때 빠른 대처를 취할 수 있게 한다.

Technology Trend of High Rate Close Proximity Communications (초고속 근접통신 기술동향)

  • Lee, J.S.;Shin, G.C.;Kim, Y.H.;Lee, M.S.;Kim, Y.J.
    •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Trends
    • /
    • v.31 no.5
    • /
    • pp.21-30
    • /
    • 2016
  • 현재 이동/무선통신 환경은 사람과 사람 간의 통신 서비스 형태뿐만 아니라 IoT 통신 서비스로 점차 확대되어가고 있으며, Wi-Fi, Bluetooth 중심의 근거리 무선통신뿐만 아니라 더욱 통신영역이 좁아진 근접통신의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이에 따라 근접통신 기술 개발이 지속적으로 이루어지고 있으며, 특히 기기 간의 대용량 데이터 교환이 증가함에 따라 기가급의 속도를 제공하는 초고속 근접통신 기술들이 활발하게 개발되고 있다. IEEE 802에서는 주변 기기들간의 직접(Point-to-Point: P2P) 통신을 지원하는 802.15.3e 초고속 근접통신 기술을 개발하고 있으며, 또한, 802.11ad의 후속 표준으로 개발이 시작된 802.11ay의 Usage Model에도 근접통신이 포함되어 있다. 본고에서는 이러한 초고속 근접통신 기술동향에 대해 기술하고자 한다.

  • PDF

Design of A Remote Device Control System Using Reinforcement Learning in Software Defined Networks (소프트웨어 정의 네트워크에서 강화학습을 활용한 원격 디바이스 제어 시스템 설계)

  • Lim, Hyun-Kyo;Kim, Ju-Bong;Kim, Min-Suk;Hong, Yong-Geun;Han, Youn-Hee
    • Annual Conference of KIPS
    • /
    • 2018.10a
    • /
    • pp.139-142
    • /
    • 2018
  • 최근, Industry과 IoT 기기의 보급으로 인하여 수많은 센서와 액추에이터, 모바일 기기 등이 Cyber-Physical System을 통해 네트워크와 연결되며, 더 효율적인 시스템을 요규한다. 이를 위하여, EdgeX와 SDN을 활용하여 빠르고 효율적인 네트워크 서비스를 제공한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CPS 기반의 Reinforcement Learning을 활용한 Rotary Inverted Pendulum System을 통해 실시간으로 빠르고 안전한 네트워크 서비스를 제공할 수 CPS 아키텍처를 구현한다.

Private Blockchain-based Sensitive Sensing Data Sharing System in IoT Environment (사물인터넷 환경에서 허가형 블록체인 기반 민감한 센싱 데이터 공유 시스템)

  • Kang, Giluk;Kim, Young-Gab
    • Annual Conference of KIPS
    • /
    • 2021.05a
    • /
    • pp.136-139
    • /
    • 2021
  • 사물인터넷 기기들의 빠른 발전과 보급으로 인해 다양한 센서들부터 센싱 데이터가 수집되고 있다. 이에 따라, 많은 센싱 데이터 중 헬스케어 데이터를 기반으로 맞춤형 건강 서비스를 제공하는 사물인터넷 기반 헬스케어 분야가 발전하고 있다. 하지만, 사물인터넷 기기를 통해 수집되는 헬스케어 데이터는 민감한 데이터를 포함하기 때문에 헬스케어 데이터의 공유가 이뤄질 경우, 적절한 사용자만이 헬스케어 데이터를 사용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따라서, 본 논문은 사물인터넷 환경에서 속성기반암호화를 통해 적절한 사용자만이 데이터를 사용할 수 있도록 하고, 블록체인의 분산원장을 통해 데이터의 무결성과 책임추적성을 보장하는 민감한 센싱 데이터 공유 시스템을 제안하고자 한다.

Proactive Handover Management Based on RSSI Prediction for 5G Network (5G 네트워크 관리를 위한 RSSI기반 프로액티브 핸드오버 기법)

  • Jang, YoungHoon;Raza, Syed Muhammad;Kim, MoonSeong;Choo, HyunSeung
    • Annual Conference of KIPS
    • /
    • 2020.11a
    • /
    • pp.186-188
    • /
    • 2020
  • IoT(Internet of Things)기기의 이용률은 가파르게 증가추세를 보이며, 이젠 어떠한 사물에도 인터넷이 보급될것으로 전망된다. 5G 네트워크는 이러한 수많은 기기들을 끊임없이 통신하게 할 수 있는 역할을 해내기 위한 매개체로 보인다. 미래의 원활한 통신을 위한 핵심기술인 5G 네트워크는 기존보다 작아진 셀들로 이루어 져 있다는 것이 가장 큰 특징이다. 그러나, 이러한 점은 셀이동시 사용되는 기존의 핸드오버 방법으로 모빌리티를 관리하기에는 최적화 되어있지 않다.본 논문에서는 5G 환경에서 직면할 문제인 핸드오버의 새로운 관리기법을 제안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