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Lymphokine

검색결과 32건 처리시간 0.045초

Serum이 CD8+ T cell의 lymphokine 생산양상의 변화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serum on lymphokines producing capabilities of CD8+ T cells)

  • 류시윤;윤원기;조성환;김무강;김태환
    • 대한수의학회지
    • /
    • 제34권3호
    • /
    • pp.441-446
    • /
    • 1994
  • serum factor가 $CD8^+$ T cell의 lymphokine 생산양상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13-20주령의 BAL B/C 마우스로 부터 $CD8^+$ T cell를 분리한 후 serum-containing medium과 serum-free medium을 사용하여 배양하였다. serum-free medium에서 배양한 $CD8^+$ T cell이 분비하는 lymphokine의 양은 serum-containg medium에서의 결과와는 달리 IL-2의 생산양은 낮았으나 IFNr의 생산양은 상당히 높았다. 이와같은 결과로 미루어 serum-derived factor가 $CD8^+$ T cell의 lymphokine 생산에 영향을 미친다고 생각된다.

  • PDF

비유기간에 따라 murine 림프조직에서 생산되는 lymphokine의 양상에 관한 연구 (Murine lymphokines production in lymphoid organs during the various stages of lactation)

  • 류시윤
    • 대한수의학회지
    • /
    • 제34권1호
    • /
    • pp.19-24
    • /
    • 1994
  • 비유중기, 건유초기 및 임신말기의 C3H/HeN 마우스의 비장, 장간막림프절, 말초림프절(액와, 상완 및 샅림프절)유래 림프구에서 생산되는 lymphokine의 양을 비교하였다. 비장에서의 IL-2 생산양은 임신말기와 비유중기에 낮았지만, IL-4, IL-6와 $IFN_{\gamma}$의 생산양은 임신말기와 건유초기에 높았다. 말초림프절에서의 IL-4, IL-6 및 $IFN_{\gamma}$ 생산양은 임신말기와 건유초기에 높았지만, IL-2의 생산양은 임신말기, 비유중기 및 건유초기에 각각 감소하였다. 장간막림프절에서의 IL-4 생산양은 임신말기와 비유중기에 각각 증가하였으나, IL-2의 생산양은 임신말기에 감소하였다. 이와같이 전반적으로 건유초기와 임신말기에 IL-2의 생산양은 낮지만, IL-4, IL-6와 $IFN_{\gamma}$의 생산양이 높은 결과는 이 시기에 유방염의 발생비율이 높은 것과 연관성이 있는 것으로 추정된다.

  • PDF

T lymphocyte에 관한 연구동향

  • 김길현
    • 미생물과산업
    • /
    • 제17권1호
    • /
    • pp.32-37
    • /
    • 1991
  • 이 글에서는 다음의 내용을 다루었다. 1. T세포에 있어서 피아식별의 기본 메카니즘 2. T세포의 활성화와 그에 관련된 세포 표면 분자들 3. T세포가 분비하는 lymphokine

  • PDF

Lewis 폐암 마우스 모델에서 톡소포자충에 의한 항암 및 항전이 효과 (Antitumor and Antimetastatic Effects of Toxoplasma Gondii in Mice with Lewis Lung Carcinoma)

  • 김주옥;정성수;박희선;김명훈;김선영;이영하
    •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 /
    • 제52권4호
    • /
    • pp.317-329
    • /
    • 2002
  • 배 경: 종양은 우리나라뿐만 아니라 선전 국가에서도 주요 사망 원인의 하나로, 새로운 치료법의 개발이 절실히 요구된다. 최근 면역종양학의 발전으로 면역강화요법에 의한 종양의 면역치료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Lewis 폐암 마우스 모델을 대상으로 원충의 일종인 톡소포자충 (Toxoplasma gondii)에 의한 비특이적 면역증강요법에 의한 폐암의 성장 및 전이 억제 효과를 평가하고자 시행하였다. 방 법: C57BL/6 마우스 톡소포자충 충체 (마우스당 5개의 씨스트를 복강내로 주사) 혹은 Lewis폐암세포 (마우스당 $1{\times}10^6$씩 대퇴근육에 주사)를 여러 조합으로 처치하여 각 군별 생존기간, 주사부위 근육의 종양크기, 근육 및 폐장의 조직병리 소견을 조사하였다. 또한 각 군별 마우스를 톡소포자충 항원(마우스당 $50{\mu}g$)혹은 lymphokine(마우스당 0.5ml)으로 추가 면역한 다음 항암 및 항전이 효과를 비교하였다. 결 과: 톡소포자충 충제만을 감염시킨 마우스는 실험기간중 한 마리도 죽지 않았으나, 폐암세포만을 주입한 마우스(폐암대조군)의 평균 생존기간은 $29.1{\pm}4.4$일이었다. 톡소포자충 감염 후 2주에 폐암세포를 주입한 마우스 (전감염대조군), 충체와 폐암세포를 동시에 주입한 마우스 (동시감염대조군) 및 폐암세포 주입 후 충체를 감염시킨 마우스(후감염대조군)의 생존기간은 각각 $32.4{\pm}3.3$$30.9{\pm}5.0$일 및 $34.9{\pm}2.9$일로 폐암대조군에 비하여 모두 유의하게 증가하였으며(0.0001

비장동맥에 선택적으로 투여한 Interleukin-2와 $^{99m}Tc-Phytate$ 혼합물의 생체내 분포 (The in Vivo Distribution of $^{99m}Tc-Phytate$ IL-2 Complex on Selective Splenic Arterial Injection)

  • 전석길;이희정;손수상
    • 대한핵의학회지
    • /
    • 제26권1호
    • /
    • pp.124-126
    • /
    • 1992
  • Interleukin-2 (IL-2)는 많은 immunoenhancing lymphokine의 한 종류로서 lymphokine activiated killer (LAK) cell의 생성을 자극시켜 흑종의 종양세포를 죽인다고 알려져 있다. 최근 간종양에서 비장동맥 또는 간동맥으로 투여한 IL-2가 비장의 임파계를 자극하여 LAK cell을 생성하여 어느정도효과가 있음이 밝혀지면서, 여러가지의 투여 방법이 시도되고 있다. 그러나 각종의 투여 방법에서 실제로 투여한 IL-2의 인체내 분포에 관한 연구는 없다. 저자들은 비정맥과 간문맥에 이상이 없는 증례의 비동맥에 IL-2와 $^{99m}Tc-phytate$ 혼합물을 투여하고, IL-2의 생체에서의 비장과 간에 어떻게 분포하는지 알아보기 위하여 $^{99m}Tc$의 radioactivity를 계측하여 보았다. 6예의 간세포암과 3예의 위암으로부터의 전이성간암에서 동맥조영술적방법을 이용하여 초선택적 비장동맥에 투여한 IL-2와 $^{99m}Tc-phytate$ 혼합물이 비장 27%, 간73%의 분포를 보여 비장을 거쳐온 $^{99m}Tc$의 방사능이 간에 많이 침착함을 확인하였고 간과 비장이외의 부위 즉 골수, 복수 또는 폐장이나 늑막에는 전혀 방사능 분포가 없음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비정맥이나 간문백에 이상이 없는 증례에서 IL-2의 비장동맥 투여는 목적하는 바 IL-2의 생체내 분포를 이룩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 PDF

사이토카인의 소개 (The Cytokines:An Overview)

  • 김희선
    • Journal of Yeungnam Medical Science
    • /
    • 제27권1호
    • /
    • pp.1-7
    • /
    • 2010
  • Having an understanding of the properties of cytokines is essential for the immunologist, the researcher and the medical practitioner who need to understand immunologic diseases and immunological therapeutic approaches. Cytokines are redundant in their actions on target cells and promiscuous in their receptor reactions. (ED note: That is some cool use of English!) Moreover, many cells concomitantly produce several cytokines that have overlapping actions. Here this review provides conceptual framework to understand the intriguing aspects of the cytokine system.

  • PDF

B lymphocyte에 관한 연구동향

  • 이헌구
    • 미생물과산업
    • /
    • 제17권1호
    • /
    • pp.29-31
    • /
    • 1991
  • B 세포이 가장 중요한 기능은 항체를 생산하여 체액성 면역반응을 조절하는 일이다. B 세포가 항체를 생산해 내는 형질세포(plasma cell)로 분화하기 위해서는 다음의 몇 가지 단계를 거쳐야 한다. 즉 resting 상태에서 mitogen이나 항원의 자극에 의한 활성화(activation)가 첫번째 단계이고 두번째로는 증식(proliferation)이며 마지막 단계가 분화(differentiation)이다. B 세포가 일단 mitogen이나 항원에 의해 활성화가 되면 활성화 된 clone의 증식과 분화는 T 세포에서 생산되는 여러 종류의 림포카인(lymphokine)의 영향하에서 이루어진다. 따라서 B 세포 기능에 영향을 미치는 림포카인의 종류를 알아내고 최근 새롭게 발견되는 림포카인의 B 세포에 대한 영향을 연구함이 중요하리라 생각된다. 여기에서는 B 세포 기능에 영향을 미치는 여러 림포카인의 종류의 그 기능에 관해서 간략하게 기술하고자 한다.

  • PDF

금은화, 연교 및 황련해독탕 약침이 아토피 피부염 유발 NC/Nga 생쥐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Lonicerae Flos, Forsythiae Fluctus and Hwangryunhaedok Decoction Pharmacopuncture on Atopic Dermatitis in NC/Nga Mice)

  • 유정석;김종욱;이창현;이상룡;육태한
    • Journal of Acupuncture Research
    • /
    • 제32권4호
    • /
    • pp.119-131
    • /
    • 2015
  • Objectives : Atopic dermatitis is a chronic inflammatory skin disease characterized by pruritic and erythematous skin lesion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suppressive effects of Lonicerae Flos, Forsythiae Fluctus and Hwangryunhaedok Decoction Pharmacopuncture on the development of atopic dermatitis-like skin lesions in NC/Nga Mice. Methods : The Atopic Dermatitis was induced by biostir AD on the mice's back skin. Experimental groups were divided into three including LFP(Lonicerae Flos Pharmacopuncture, EtOH extract), FFP(Forsythiae Fluctus Pharmacopuncture, EtOH extract) and HHP(Hwangryunhaedok Decoction Pharmacopuncture, Hydrodistillation extract). Every second day, the mice of three groups were treated with $0.1m{\ell}$ of pharmacopuncture using a syringe at right and left acupoints ($BL_{13}$), alternatively. On the control group, normal saline was used instead of pharmacopuncture. Subsequently optical observation with a handscope, a clinical skin score, Tissue(general/immune) mast cell, Serum IgE level, Serum histamine level, and Serum lymphokine(IL-2, IL-4, $IFN-{\gamma}{\gamma}$) were measured. Results : FFP and HHP decreased the clinical skin score, the total cell number of mast cells, and the Serum total IgE level and Serum histamine level. In Serum lymphokine levels, all groups were decreased to the IL-4 level, LFP and FFP were increased to the IL-2 level, and LFP was increased to the $IFN-{\gamma}$ level. Conclusions : From the above results, Forsythiae Fluctus Pharmacopuncture (EtOH extract) and Hwangryunhaedok Decoction Pharmacopuncture (Hydrodistillation extract) exerted anti-allergic and anti-inflammatory effects, suggesting a promising agent for improving atopic dermatitis related symptom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