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Lymphadenopathy

검색결과 247건 처리시간 0.027초

Clinical Significance of Ultrasonographic Assessment for Small Intestinal Layer in Cats

  • Kim, Young-hwan;Kim, Sung-yong;Hwang, Tae-sung;Lim, Jong-su;Jung, Dong-in;Lee, Hee-chun
    • 한국임상수의학회지
    • /
    • 제36권4호
    • /
    • pp.225-228
    • /
    • 2019
  • Inflammatory bowel disease and alimentary lymphoma are common gastrointestinal disorder in cats. More recently, ultrasonographic features associated with feline alimentary lymphoma has been recognized as a diffuse thickening of muscular layer of small intestine. We investigated correlation between thickening of muscular layer of small intestine and such disease. We found a significantly increased thickness of the muscular layer of small intestine in cats with lymphoma or IBD compared with healthy cats. When a muscularis to submucosa ratio > 1 and regional lymphadenopathy were found during ultrasonography on cats with gastrointestinal signs, full-thickness biopsy could be recommended to make sure presence confirmation of inflammatory bowel disease or alimentary lymphoma.

Pseudomyogenic Hemangioendothelioma Involving the Esophagus: A Case Report

  • Diab, Abdul-Rahman Fadi;Daradkeh, Salam Saleh;Hassouneh, Alaa Mohammed;Alabbadi, Ali Mousa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54권6호
    • /
    • pp.524-527
    • /
    • 2021
  • Herein, we describe the case of a 20-year-old woman who presented with dysphagia of 2 months' duration associated with vomiting, moderate abdominal pain, decreased oral intake, and significant weight loss. During the past 3 years, the patient experienced intermittent mild abdominal pain with infrequent vomiting. Endoscopy at Jordan University Hospital showed a mass in the esophagus, and endoscopic biopsies were performed. The preliminary histopathological report excluded malignancy. Two days after endoscopy, the patient presented to the emergency department complaining of severely worsening pain and total dysphagia. The pain persisted despite intravenous paracetamol administration, which was concerning for esophageal perforation; therefore, an urgent surgical intervention was performed. The mass was removed surgically, along with a para-esophageal lymph node. The final histopathological results of the endoscopic and resected specimens supported the diagnosis of pseudomyogenic hemangioendothelioma (PMHE). This is the first case reporting esophageal involvement of PMHE.

Diffuse large B-cell lymphoma presenting as transverse myelitis

  • Zukhriddin, Urchiyev;Kang, Jin-Ju;Jeong, Myoung-Ja;Oh, Sun-Young
    • Annals of Clinical Neurophysiology
    • /
    • 제24권2호
    • /
    • pp.79-83
    • /
    • 2022
  • Diffuse large B-cell lymphoma (DLBCL) is the most common type of non-Hodgkin's lymphoma. Although progressive lymphadenopathy is a typical feature, extranodal involvement may also occur, including the gastrointestinal tract, skin, bone, thyroid, and testes. Central nervous system invasion is rare, so differentiating it from diseases such as inflammatory demyelinating disorder or infection is essential. DLBCL is therefore a challenge to diagnose, especially when the first findings are neurological symptoms. We report an unusual case of DLBCL that presented as transverse myelitis.

Current concepts of Kimura disease: pathophysiology and evolution of treatment

  • Woo Ju, Kim;Han Koo, Kim
    • 대한두개안면성형외과학회지
    • /
    • 제23권6호
    • /
    • pp.249-255
    • /
    • 2022
  • Kimura disease (KD) is a chronic inflammatory disorder that frequently involves the subcutaneous tissue of the head and neck regions. It often manifests as regional lymphadenopathy or salivary gland enlargement in the affected area. The histologic architecture of the lymph nodes in KD patients is preserved, while the affected tissues show follicular hyperplasia and eosinophilic infiltration. No single modality has been adopted as an optimal treatment for KD. This article concentrates on the fundamental features of KD and reviews current approaches to its treatment.

결핵성 림프절에서 ${\gamma}{\delta}$ T 림프구의 분포에 관한 연구 (The Distribution of ${\gamma}{\delta}$ T Cells in Tuberculous Lymphadenopathy)

  • 심태선;유철규;김영환;한성구;심영수;김건열;한용철
    •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 /
    • 제41권5호
    • /
    • pp.484-488
    • /
    • 1994
  • 연구배경 : 최근에 ${\gamma}{\delta}$ T 램프구가 결핵균의 항원과 반응함이 알려져 ${\gamma}{\delta}$ T 림프구가 결핵균에 대한 방어기전에 관여할 가능성이 제시되고 있다. 본 교실의 연구와 다른 연구에 의하면 폐결핵 환자의 말초혈액에서 ${\gamma}{\delta}$ T 림프구의 숫적 증가나 기능의 활성화가 관찰되지 않아 폐결핵 환자에서 ${\gamma}{\delta}$ T 림프구는 전신적으로 활성화되지 않고 국소병변에서 방어기능을 나타내는 것으로 생각할 수 있다. 이에 저자들은 일차적으로 결핵의 국소병변으로 조직을 얻기가 쉬운 결핵성 림프절에서 ${\gamma}{\delta}$ T 림프구의 분포를 관찰하고자 본 연구를 시행하였다. 방법 : 조직검사상 결핵성 림프절염(n=5)과 반응성 과형성(reactive hyperplasia) (n=3)으로 진단된 환자의 림프절을 대상으로 CD4, ${\alpha}{\beta}$ TCR, ${\gamma}{\delta}$ TCR에 대한 단일 클론항체를 이용해 면역조직화학검사를 시행하였다. 결과 : 반응성 과형성 림프절에서는 총 T 림프구중 ${\gamma}{\delta}$ T 림프구의 비율이 $1.7{\pm}1.5%$였고 결핵성 림프절에서는 ${\gamma}{\delta}$ T 림프구가 전체 T 림프구의 $16.3{\pm}10.3%$를 차지하고 있어 결핵성 림프절에서 반응성 과형성 림프절에 비해 ${\gamma}{\delta}$ T 림프구의 침윤이 유의하게 증가되어 있었다(p<0.05). 결론 : ${\gamma}{\delta}$ T 림프구가 결핵균 감염 국소 병변부위에서 방어기전에 관여할 가능성이 있을 것으로 생각되고 향후 국소 결핵 병변에서의 ${\gamma}{\delta}$ T 림프구 기능에 관한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 PDF

흉부 전산화 단층촬영상 임파절종대가 없는 비소세포암 환자에 있어서 술전 병기판정 (Preoperative Staging in Non-Small Cell Lung Cancer without Lymphadenopathy on Computed Tomogram)

  • 차승익;김창호;박재용;정태훈;장봉현;강덕식
    •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 /
    • 제41권6호
    • /
    • pp.616-623
    • /
    • 1994
  • 연구목적: 수술전 전산화 단층촬영상 임파절종대의 소견이 없는 $T_{1-3}N_0M_0$비소세포폐암 환자들을 대상으로 수술전 후 병기의 차이를 비교하여 이들에 있어 수술전 관혈적인 병기판정의 필요성에 대하여 검토하였다. 방법: 경북대학교병원에서 비소세포폐암으로 개흉절제술을 받았던 환자들 가운데 수술전 병기가 $T_{1-3}N_0M_0$인 41명을 대상으로 수술전과 수술후의 병기의 차이를 비교하였다. 결과: 1) 수술전 병기는 I기의 경우 $T_1N_0M_0$ 3예, $T_2N_0M_0$ 32예로 모두 35예였고 IIIa기 ($T_3N_0M_0$)는 6예였다. 종양의 위치는 중심형 폐암 24예, 말초형 폐암 17예였는데 IIIa기는 모두 중심형 폐암이었다. 2) 수술후 병기는 I기의 경우 $T_1N_0M_0$ 2예, $T_2N_0M_0$ 25예로 모두 27예였고 II기의 경우 $T_1N_1M_0$ 1예, $T_2N_1M_0$ 3예로 모두 4예였으며 IIIa기는 $T_3N_0M_0$ 1예, $T_3N_1M_0$ 2예, $T_3N_2M_0$ 4예, $T_2N_2M_0$ 2예로 모두 9예였고 IIIb기($T_4N_1M_0$)는 1예였다. 3) 수술후 T의 변화가 있은 경우는 $T_2$ 32예 가운데 2예는 $T_3$$T_3$ 6예중 1예는 $T_4$로 판명되었다. 4) 수술후 $N_1$으로 판명된 경우는 7예였고 $N_2$로 판명된 경우는 6예였다. 5) 수술전 T에 따른 임파절전이는 $T_{1-2}$인 경우는 35예 중 8예($N_1$ 5예, $N_2$ 3예)였고 $T_3$인 경우는 6예중 5예($N_1$ 2예, $N_2$ 3예)로 $T_{1-2}$에 비해 $T_3$에서 임파절 전이빈도가 높았고 $N_2/N_1$비도 높았다 그러나 수술전 $T_{1-2}$경우 종양의 위치에 따른 임파절전이의 차이는 없었다. 6) 41예의 대상환자중 $N_2$ 6예와 $T_4$ 1예를 제외한 34예에서 완전 절제가 가능하였다. 결론: 이상의 결과로 전산화 단층촬영상 임파절종대가 없는 비소세포암의 수술전 병기판정시 수술전 $T_3$에서는 종격동경 검사 등의 관혈적인 병기판정방법이 필요하리라 생각된다.

  • PDF

한국인에서 면역글로불린-저항성 가와사키병 환자의 예측 (Prediction of Intravenous Immunoglobulin Nonresponse Kawasaki Disease in Korea)

  • 최명현;박청수;김동수;김기환
    • Pediatric Infection and Vaccine
    • /
    • 제21권1호
    • /
    • pp.29-36
    • /
    • 2014
  • 목적: 이 연구의 목적은 면역글로불린-저항성 가와사키병의 예측 인자를 찾고 점수화된 예측 모델을 만들고자 하는 것이다. 방법: 2009년 1월부터 2012년 12월까지 세브란스 어린이 병원에서 가와사키병으로 진단된 573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하였다. 실험군과 검증군으로 나누었고, 각 군들은 면역글로불린-반응성과 저항성으로 나누었다. 실험군에서 면역글로불린의 예측 인자를 찾았고, 점수화된 예측모델을 만들었다. 그리고 외적, 내적 타당성 검증을 시행하였다. 결과: 남성, 경부림프절종대, 손과 발의 변화, 혈소판, 총빌리루빈, 젖산탈수효소, CRP가 면역글로불린-저항성 가와사키병의 예측 인자로 나타났다. 점수화된 예측 모델을 만들었고, 민감도와 특이도가 실험군에서는 52.5%와 82.4%, 검증군에서는 37.8%와 81.8%로 나타났다. 결론: 우리의 점수화된 예측 모델은 한국 환자에 적용하였을 때 높은 특이도와 낮은 민감도를 갖는다.

Bartonella henselae DNA에 대한 PCR 검사로 확진된 Cat Scratch Disease 1례 (A Case of Cat Scratch Disease Confirmed by Polymerase Chain Reaction for Bartonella henselae DNA)

  • 정주영;구자욱;김상유;유영삼;한태희;임성직
    • Clinical and Experimental Pediatrics
    • /
    • 제48권7호
    • /
    • pp.789-792
    • /
    • 2005
  • CSD는 고양이에 긁히거나 물린 다음에 발생하는 자가제한적 국소 림프선염을 증상으로 하는 질환이다. CSD는 소아와 성인에서 비교적 흔한 인수 공통질환이며, 특히 소아 연령의 림프선염과 원인 불명열의 중요한 원인으로 알려져 있다. CSD는 고양이 벼룩에 존재하는 배설물에 있는 B. henselae가 고양이의 발톱이나 이빨에 물리면서 인체에 접종되는 것으로 여겨지지만 감염 경로는 아직 확실하지 않다. B. henselae는 고양이 벼룩 뿐 아니라 개벼룩, 쥐이 및 진드기 등의 다양한 매개 곤충에 존재하여 다양한 가축과 야생동물을 감염시킨다. 최근에는 고양이 벼룩에 교차 감염되는 애완용 개가 중요한 중간 숙주로 대두되었다. CSD는 애완용 개나 고양이와 접촉하거나 긁힌 기왕력과 전형적인 임상증상, 조직 소견, 혈청학적 검사에 의해 주로 진단되어 왔지만 최근에는 PCR을 이용하여 최종 진단을 하게된다. 저자들은 10개월간 애완용 개를 키웠던 14세 남아에서 진단된 CSD 1례를 보고하는 바이다. 본 연구는 국내 소아에서 PCR로 진단된 최초의 CSD 증례인 점에 의의가 있다. 환아의 발열과 경부 림프선염은 10일 정도 지속되었으나 특별한 치료를 하지 않고 회복되었다. 환자의 혈청에 대해 시행한 B. henselae 간접면역 형광법 검사는 1 : 64 양성이었으며 경부 림프선 흡인물을 대상으로 시행한 PCR 검사에서 B. henselae DNA의 존재가 확인되었다.

악하부에 발생한 Progressive Transformation of Germinal Centers: 증례보고 (Progressive Transformation of Germinal Centers in Submandibular Area: Case Report)

  • 박수원;장수미;김동율;손장호;조영철;성일용
    • Maxillofacial Plastic and Reconstructive Surgery
    • /
    • 제33권4호
    • /
    • pp.368-372
    • /
    • 2011
  • Progressive transformation of germinal centers (PTGC) is mostly a disease of young adults and it presents as unexplained, asymptomatic, localized or generalized lymphadenopathy that is usually persistent or recurrent over a period of many years. PTGCs are larger than regular germinal centers and they contain a variable proportion of small mantle zone lymphocytes and so they become progressively transformed and they may result in the loss of clear demarcation between them and the mantle zone. PTGC may resemble the nodules of nodular lymphocyte predominant Hodgkin's disease (NLPHD) and it may be mistaken for NLPHD. Histological and immunohistochemical studies are helpful in differentiating these diseases. Because of the relatively frequent recurrences of PTGC, follow-up and repeat biopsy are indicated. Although PTGC is not considered to be a premalignant condition, PTGC may occur prior to, concurrent with or following NLPHD. This emphasizes the need for ongoing follow-up and repeat biopsy. Although PTGC is reported in 3.5% to 10% of the cases of chronic nonspecific lymphadenopathy, oral & maxillofacial surgeons are not widely aware of this condition and its clinical implications. Herein, we present a case of PTGC. A 24-year-old male without any history of immunodeficiency or autoimmune disease was admitted to the Department of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t Ulsan University Hospital for evaluation of a right submandibular swelling. He had another mass on the right thigh that was noticed about 1 year ago. The submandibular lesion was completely resected and biopsied. The histological findings and immunohistochemical stains (CD3, CD15, CD20, CD30, CD57, BCL-2, EMA) were consistent with PTGC. He was followed up without any other complaints for 9 months.

위에 발생한 소세포암의 임상 경험 (Clinical Experience of Small-cell Carcinomas of the Stomach)

  • 김형주;박문향;권성준
    • Journal of Gastric Cancer
    • /
    • 제5권4호
    • /
    • pp.252-259
    • /
    • 2005
  • 위에 발생하는 원발성 소세포암은 매우 드물며 예후는 좋지 않아 초기에 발견되어도 60% 이상이 1년 이내에 사망한다. 본원 외과에서 수술치료를 받은 위소세포암 첫 번째 증례는 수술소견상 복막전이 소견 등으로 근치적 수술이 불가능하여 위공장문합술을 시행하였다. 수술 후 etoposide, cisplatin화학요법을 시행하고 6개월 뒤에 찍은 CT촬영상 복막전이, 림프절전이가 악화되어 paclitaxel, cisplatin으로 약제변경 하였으나 수술 후 14개월째 사망하였다. 두 번째 증례는 내시경 조직검사상 위선암과 소세포암의 복합 소견을 보였으며 CT 촬영상 복강동맥주위 림프절종대 및 간전이 소견이 발견되었다. TS-1과 cisplatin 선행화학요법 2차 시행 후 림프절 종대는 완전관해, 원발소 및 간전이소는 부분관해 소견을 보여 위전절제술 및 확대림프절 절제술을 시행하였다. 수술로 절제된 위 및 주변 림프절 35개의 조직검사상 암세포가 모두 사멸되었으며 위내 원 발병소는 심한 심유화변성 소견을 보여 수술 전 사용한 항암요법이 유의했다고 판단되었다. 이에 수술 후에도 동일 제제로 4차례 추가 투약을 하였다. 수술 후 6개월에 시행한 CT촬영상 간전이가 진행된 소견을 보여 간우엽 후부절제술을 시행하고 이후 ininotecan과 cisplatin을 이용한 항암화학요법을 5차례 시행하고 있으며 술 후 14개월째 생존 중이다. 세 번째 증례는 순수 소세포암으로 근치적 위아전절제술을 시행하였으며 수술 후 5차례에 걸쳐 TS-1, cisplatin 보조항암화학요법 시행하였고 수술 후 13개월째 재발 없이 생존 중이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