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Lux

검색결과 571건 처리시간 0.021초

고령자의 인지력에 미치는 조도의 영향 (Illuminance Effects Affecting to Cognitive Ability of the Elderly)

  • 김명호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20권3호
    • /
    • pp.507-512
    • /
    • 2019
  • 조도가 고령자의 인지력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하기 위하여, 온도 $25^{\circ}C$, 상대습도 50RH% 및 기류속도 0.02m/sec의 측정실에서 조도를 100lux, 300lux, 600lux, 1000lux 및 1500lux로 변화시키면서 고령자의 뇌파, 집중력, 심박동변이 및 진동 이미지를 측정하였다. 활동이 활발한 남성 고령자 10명을 피험자로 선정하였다. 측정 조건은 의자에 착석하여 안정을 취하고 있는 1met의 활동량으로 하고, 착의량은 약 0.7clo로 통일하였다. 측정 결과 고령자가 1000lux에 있을 때 미드 베타파가 66.35%가 증가했고, 슬로우 알파파는 31.57%가 증가된 것으로 미루어 고령자에게 1000lux가 가장 쾌적한 조도라는 것을 알았다. 또한 집중력은 100lux에서 보다 1000lux에서 8.83%가 증가했고, 집중력의 패턴도 균일하게 유지되었다. SDNN은 100lux에서 보다 1000lux에서 74.94%가 증가하였다. 신경과민은 100lux에서 보다 1000lux에서 97.23%가 감소되었다. 이외에도 1000lux에서 HRT는 뚜렷하게 증가되었고, 공격성은 현저하게 감소되었다. 따라서 고령자가 1000lux에 있을 때 쾌적성, 집중력 및 심장 안정도 등이 가장 높아지는 것을 기반으로 향후 노인복지시설을 설계하는 경우에는 무엇보다도 조도를 가장 우선하여 설계를 해야만 고령자들의 안전과 자립도를 높일 수 있다고 판단된다.

지하철 인공광원과 광도에 따른 자생 송악(Hedera rhombea)과 바위취(Saxifraga stolonifera)의 생육변화 (Effects of Artificial Light Sources and Light Intensities in Subway Stations on the Growth of Hedera rhombea and Saxifraga stolonifera)

  • 주진희;방광자
    •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지
    • /
    • 제11권6호
    • /
    • pp.73-80
    • /
    • 2008
  • 본 연구는 남부상록수종 중 내음성과 내한성이 강하고 자생 송악(Hedera rhombea)에 대한 적정 실내광원과 광도를 알아보고자 가로 1m${\times}$세로 1m${\times}$높이 1m 크기의 목제프레임에서 실험을 실시하였다. 광원의 선정기준은 현재 지하철에 가장 많이 활용되는 인공광인 형광등, 삼파장형광등, 할로겐등으로 하고, 광도는 200Lux, 700Lux, 1,000Lux로 설정하여 실험을 실시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송악(Hedera rhombea) 초장은 광원과 광도별 뚜렷한 통계적 유의성이 나타나지 않았으나, 할로겐등>형광등>삼파장형광등 순으로 광도별로는 1,000Lux>700Lux>200Lux 순으로 길었다. 분지수는 형광등이 삼파장형광등이나 할로겐등보다, 광도가 높을수록 많아지는 경향을 보였다. 엽수는 삼파장형광등 1,000Lux>형광등 1,000Lux>할로겐등 1,000Lux 순으로 나타났다. 엽장과 엽폭은 광원에 관계없이 광도가 낮을수록 넓어지는 경향을 나타났다. 엽록소함량은, 삼파장형광등과 할로겐등은 광도에 따른 차이를 볼 수 없었으나, 형광등에서는 200Lux>700Lux>1,000Lux 순으로 증가되었다. 송악의 전체적인 생육은 인공광원보다는 광도에 의해 확연한 차이를 보여, 지하철 실내식물로 200Lux라는 낮은 광도에서도 도입이 가능하나 원활한 생육을 위해서는 700Lux 이상으로 광도를 조절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2. 바위취(Saxifraga stolonifera)형광등이 광원인 경우, 광도와 무관하게 80% 이상이 고사하거나 생육 상태가 좋지 않았다. 광도가 200Lux에서는 광원에 무관하게 생육 상태가 매우 불량하였다. 초장, 엽수, 분지수, 엽장, 엽폭 등 생육은 할로겐 1,000Lux>삼파장형광등 1,000Lux>삼파장형광등 700Lux순으로 증가하였다. 엽록소함량은 삼파장형광등 700Lux>삼파장형광등 1,000Lux>할로겐등 1,000Lux순으로 높았다. 따라서, 본 실험에서 바위취는 할로겐등에서 가장 좋은 생육을 나타내었으며, 형광등의 광원과 700Lux 이하 광도에서는 현장적용이 불가능한 수종임이 확인되었다.

야간 고등학교의 환경위생학적 조사 -조명을 중심으로- (The Study on Envronmental Sanitation for Night High School. -Illuminate-)

  • 김난천;오석흔
    • 한국환경보건학회지
    • /
    • 제5권1호
    • /
    • pp.40-45
    • /
    • 1978
  • We have selected 36 schools of a total of night high schools for boys and girls in seoul and measured intensity of illumination of the classroom, The corridors and the stairs that students study and live, with priority given to an illumination, a primary factor of environmental sanitation of school following is the result. 1. The maximum average intensity of illumination of the classroom is 93.2 Lux, and the minimum average intensity of illumination 39.5 Lux. Mean$\pm$S, is 59.03$\pm$22.8 Lux 2. The maximum average intensity of illumination of the corridor is 39.2 Lux, and the minimum average intensity of illumination 11.1 Lux. 3. The maximum average intensity of illumination of the stair is 11.58 Lux, and the minimum average intensity, of illumination 4.92 Lux, mean$\pm$S.D is 7.88$\pm$10.0Lux. 4. Schools with tile illumination facilities more than 50 Lux are 63.8% and less than 50 Lux are 36.2%. 5. Schools with 9-11 facilities of a source of light per classroom by a fluorescent lamp are the most as 30.50%. 6. As for the corridor, schools with the illumination equipment less than 10 Lux are 27.8%, are more than 10 Lux 72.2% 7. As for the stairs schools with the illumination equipment less than 10 Lux are 77.8%, and more than 10 Lux 10 Lux 22.2%.

  • PDF

해양 발광 박테리아 Photobacterium Species의 Riboflavin 생합성에 관여하는 유전자들의 발현 (Expression of the Genes Involved in the Synthesis of Riboflavin from Photobacterium species of Bioluminescent Marine Bacteria)

  • 이찬용
    • 미생물학회지
    • /
    • 제36권1호
    • /
    • pp.1-7
    • /
    • 2000
  • 발광 박테리아인 Photobacterium 종들의 lux 오페론 하부 영역에서 riboflavin 생합성에 관여하는 유전자들(ribⅠ,Ⅱ,Ⅲ,Ⅳ)이 발견되었다. Photobacterium phosphoreum의 lux 유전자와 rib 유전자를 포함하는 intergenic 영역의 단일사슬 DNA가 P. phosphoreum의 mRNA에 의하여 S1 nuclease digestion에서 손상받지 않았으며, ribⅠ에 의하여 암호화되는 P. phosphoreum의 riboflavin synthase의 활성도가 lux-specific한 효소들인 luciferase 혹은 fatty acid reductase 활성도와 같이 bioluminescence intensity의 발현과 함께 대수기 말기에서 증가하는 박테리아 발광반응의 특이한 조절 체계인 'autoinduction' 양상을 보였다. 또한 P. leiognathi의 luxB로부터 ribⅡ까지 포함하는 DNA를 강력한 lux 프로모터와 reporter(chloramphenicol acetyl transferase, CAT) 유전자 사이에 삽입하고 접합(conjugation)의 방법으로 P. leiognathi에 유전자 전이(gene transfer)시켜 CAT reporter 유전자의 발현을 P. leiognathi에서 조사한 바, 그 유전자의 발현 정도에 큰 차이가 없었을 뿐만 아니라 이 구조에서 lux 프로모터를 제거하게 되면 CAT reporter 유전자의 발현이 전혀 나타나지 않았다. 이들 실험 결과들은 lux 유전자와 rib 유전자의 intergenic영역에 lux 오페론의 전사 종결 구조(transcriptional terminator)가 존재하지 않으며 ribflavin 생합성 유전자들이 그들 고유의 프로모터에 의하여 전사되는 것이 아니라 lux 오페론의 프로모터에 의하여 발현됨을 나타내는 것으로, 이는 Photobacterium 종들에서 lux 유전자와 rib 유전자들은 공동의 발현 조절 체계를 갖는 것으로 요약된다.

  • PDF

광조건이 마삭줄과 후추등의 생육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Light Intensity on the Growth Characteristics of Trachelospermum asiaticum var. intermedium Nakai and Piper kadzura Ohwi)

  • 송은영;김성철;김천환;임찬규;문경환;손인창;문영일;전승종
    • 생물환경조절학회지
    • /
    • 제22권2호
    • /
    • pp.131-137
    • /
    • 2013
  • 본 연구는 자생 덩굴식물인 마삭줄과 후추등의 실내 광도차에 따른 생육특성의 변화를 알아보고자 광도 처리 조합을 3처리구를 만들어 환경 조절 생육상에서 조사하였다. 사용된 광원은 형광등이고, 광 처리를 각각 100lux, 1,000lux, 2,500lux로 달리하여 5개월간 생육특성 변화를 조사하였다. 자생 마삭줄은 저광도인 100lux에서 처리 2개월 이후 생존율이 약 16.7%로 식물체 대부분이 고사하였고, 1,000lux와 2,500lux에서는 처리 5개월까지도 생존율이 83.3%로 높게 유지되었다. 실내광도가 높아짐에 따라 초장, 엽수, 분지수, 엽장 및 엽폭은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고 고광도인 2,500lux에서 가장 우세한 생육 및 생장을 보였다. 자생 후추등은 저광도인 100lux에서는 처리 4개월 후 생존율이 50%로 생육이 불량하였으나 1,000lux와 2,500lux에서는 처리 5개월까지도 100%의 높은 생존율을 보였다. 1,000lux 조건에서 엽록소 함량이 증가되는 경향을 보였고, 엽장과 엽폭이 약간 넓어지는 경향은 보였다. 상록성 덩굴식물인 자생 마삭줄과 후추등을 실내 광조건을 달리하여 처리한 결과 두 식물 모두 1,000lux 이상의 광조건에서 생육이 양호하였고 특히 후추등의 경우 마삭줄에 비해 1,000lux의 낮은 광도에서도 생육이 양호하고 잎이 넓어지고 엽색도 짙은 녹색으로 유지되어 실내식물로서 활용성이 높을 것으로 판단되었으나 광도가 지나치게 낮아질 경우 생육이 저조한 것으로 나타나 내 음성이 높다고 할지라도 정상적인 생육을 위해서는 적당한 광조건이 필요함을 알 수 있었다.

실내 광조건이 조록나무, 구골나무 및 호자나무의 생육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Indoor Light Intensity on the Growth Characteristics of $Distylium$ $racemosum$, $Osmanthus$ $heterophyllus$ and $Damnacanthus$ $indicus$)

  • 송은영;김성철;전승종;임찬규;김미선;김천환;노나영
    • 생물환경조절학회지
    • /
    • 제21권1호
    • /
    • pp.66-73
    • /
    • 2012
  • 조록나무, 구골나무, 호자나무의 실내 광도차에 따른 생육특성의 변화를 알아보고자 광도처리조합을 3처리구를 만들어 환경 조절 생육상에서 조사하였다. 사용된 광원은 형광등이고, 광 처리를 각각 100lux, 1,000lux, 2,500lux로 달리하여 6개월간 생육특성 변화를 조사하였다. 1. 조록나무는 저광도 100lux에서 처리 2개월 후 생존율이 약 30%로 식물체 대부분이 고사하였고, 1,000lux 이상부터는 양호한 생육 및 생장을 보였는데 처리 6개월까지도 생존율이 100%로 높게 유지되었다. 초장, 엽수, 분지수, 엽장, 엽폭은 광도가 높아짐에 따라 증가하였는데 고광도인 2,500lux에서 가장 우세한 생육 및 생장을 보였다. 2. 구골나무는 저광도인 100lux에서는 처리 2개월 이후 생존이 불가능하였고, 1,000lux와 2,500lux에서는 처리 6개월까지도 생존율이 100%로 높게 생존하였다. 하지만 1,000lux에서는 초장의 신장이 거의 정지되었고 엽수의 증가도 거의 중단되는 경향을 보였으며, 고광도인 2,500lux에서는 초장의 신장 및 엽수의 증가가 월등히 많아 가장 원활한 생육 및 생장을 보였다. 3. 호자나무는 저광도인 100lux에서는 낙엽현상이 심해 식물 전체가 고사하는 현상을 보였으나 1,000lux이상부터는 원활한 생육 및 생장을 보였다. 1,000lux에서 엽록소 함량이 약간 증가되는 경향을 보였고, 엽장과 엽폭이 약간 넓어지는 경향은 보였다. 호자나무는 1,000lux의 낮은 광도에서도 생육이 양호하고 관상가치가 유지되어 실내식물로서 활용성이 높을 것으로 판단된다.

호박과실파리[Bactrocera (Paradacus) depressa (Shiraki)] 성충의 야외 망사상 내 짝짓기 행동 (Mating Behavior of the Pumpkin Fruit Fly [Bactrocera (Paradacus) depressa (Shiraki)] in a Field Cage)

  • 김태흥;전성욱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47권4호
    • /
    • pp.487-490
    • /
    • 2008
  • 호박과실파리의 유충은 전북 완주군 진안의 호박 피해과에서 채집하였다. 실내 사육실 $24{\pm}2^{\circ}C$, RH $65{\pm}5%$, 14L:10D에서 용화를 유도하였으며 번데기에서 우화한 성충은 전지분유를 기본으로 한 diet를 제공하였다. 호박과실파리 짝짓기 관련 행동의 관찰은 우화 후 40일의 암, 수 성충을 대상으로 야외 케이지를 이용하여 2008년 7월과 10월 초 오후 자연광 아래에서 실시하였다. 성충 수컷 날개 떨림의 광 조건은 200 lux-20 lux였고, 30 lux에서 활발하였다. 날개 떨림 후 성충 암, 수의 올라타기는 150 lux-30 lux 사이에서 관찰 되었으며, 올라타기도 30 lux에서 빈도가 높았다. 교미의 경우 올라타기 광 조건과 유사한 150 lux-20 lux에서 관찰되었다. 날개 떨림 중의 수컷은 암컷과 교미 성공률이 64% 수준으로 날개 떨림 행동을 통해 이끌려 날아온 암컷이 수컷의 앞쪽에 있을 때 대부분 교미가 이루어졌다. 날개 떨림을 하지 않은 경우 앞쪽, 옆쪽, 그리고 어느 쪽에 암컷이 있어도 교미가 이루어지지 않았다.

수변구조물의 누수 경로 탐지를 위한 변형된 전기비저항 탐사 및 자료 해석 (Modified Electrical Resistivity Survey and its Interpretation for Leakage Path Detection of Water Facilities)

  • 이보미;오석훈
    • 지구물리와물리탐사
    • /
    • 제19권4호
    • /
    • pp.200-211
    • /
    • 2016
  • 횡단 전위 배열(cross potential array)과 동일열 전위배열(direct potential array) 자료를 뒷받침하여 다양한 수변 구조물의 누수 경로 예측을 가능하게 하는 배열을 제시하고 이를 D-Lux array 라고 명명하였다. 또한 D-Lux array 자료를 색으로 가시화한 하나의 행렬로 정리하여 D-Lux view라고 제시하고 D-Lux view에서 관찰되는 저 전위차 이상대의 위치로 누수 구역의 위치를 해석하였다. D-Lux view의 보다 직관적인 해석을 위해서 D-Lux array 자료와 동일열 전위 배열 자료를 함께 사용하여 각 지점들 사이의 전위차 자료를 각 지점의 전위값으로 역산하고 이를 이용하여 등전위 분포도를 작성하였다. 등전위 분포도는 그래프나 D-Lux view에서 알 수 없었던 누수의 유입구, 유출구 뿐만 아니라 경로까지 예측 가능하게 하였다. 수조 실험과 수치 해석으로 예비 탐사를 실시한 후 현장 탐사로 콘크리트 보와 필 댐에 대한 적용이 이루어졌다. 그 결과, 콘크리트 보와 필 댐에 대해 누수 경로 탐지가 가능함을 확인하였다.

Identification of a Regulatory Region within the luxR Structural Gene in a Marine Symbiotic Bacterium, Vibrio fischeri

  • Choi, Sang-Ho
    • Journal of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 /
    • 제4권3호
    • /
    • pp.176-182
    • /
    • 1994
  • The light-organ symbiont of pine cone fish, Vibrio fischeri, senses its presence in the host and responds to environmental changes by differentially expressing its symbiosis-related luminescence genes. The V. fischeri luminescence genes are activated by LuxR protein in the presence of an autoinducer. In an effort to elucidate the mechanism of regulation of luxR, a plasmid containing luxR was mutagenized in vitro with hydroxylamine and a luxR mutant plasmid was isolated by its ability to activate luminescence genes cloned in E. coli in the absence of the autoinducer. The specific base change identified by DNA sequencing was only single base transition at +78 from the transcriptional start of luxR. Based on a Western immunoblot analysis, the nucleotide change directed the synthesis of much higher level of LuxR protein without any amino acid substitutions. The results suggest that the region including the +78th base is presumably internal operator required for autorepression of luxR, and the increased cellular level of LuxR results in activation of luminescence genes by autoinducer independent fashion.

  • PDF

자생 상록 굴거리나무의 실내조명 하에서 적정광도 분석 및 도입방안 (Analysis on Suitability Light Intensity and Introduction Plan under the Indoor Lighting for the Native Evergreen Daphniphyllum macropodum)

  • 신현철;윤재길;최경옥
    • 한국조경학회지
    • /
    • 제40권1호
    • /
    • pp.110-117
    • /
    • 2012
  • 본 연구는 우리나라 자생종 굴거리나무에 대한 실내조명 하에서 광적응성을 조사해 보고 실내조경공간으로 도입할 때, 도입방안을 제시해 보고자 수행되었다. 공시수종인 굴거리나무는 제주도 농가에서 1년생을 구입한 후, 경남과학기술대학교 종합농장 유리온실에서 40일간 순화시킨 후 2010년 2월 15일에서 2010년 11월 15일까지 실험하였다. 첫째, 형광등의 경우, 100lux에서 500lux까지 식물이 고사하거나 잎이 지는 현상을 보여 생육상태가 좋지 못하였으며, 1,000lux부터 원활한 생육 및 생장을 보였다. 엽수나 수형, 체내 광합성률, 관상가치 등을 토대로 살펴볼 때, 형광등 1,000lux에서 가장 양호한 생장을 하여 최적광도인 것으로 조사되었다. 둘째, LED등의 경우,100lux에서 1,000lux까지 고사현상을 보여 생육상태가 불량하였으며, 광도가 높을수록 원활한 생장을 보였다. 2,000lux에서 가장 원활한 생육 및 생장을 하였다. 셋째, 삼파장의 경우,1,000lux까지 고사현상이 심하여 도입한 4개의 광원 중 생육상태가 가장 좋지 않아 전반적으로 삼파장은 굴거리나무 생육에 부적합한 것으로 파악되었다. 2,000lux에서 가장 원활한 생육 및 생장을 하였다. 넷째, 광섬유의 경우 100lux하에서도 식물 전체가 고사하는 현상은 보이지 않아 생육이 가능하여 도입광원 중 생육 및 생장상태가 가장 양호하였다. 대체적으로 광도가 높을수록 생장률이 높았으나,2,000lux보다 1,000lux하에서 엽수의 출엽률 및 수형이 흐트러지지 않아 관상가치가 더 좋았으며, 체내 광합성률도 높아 1,000lux를 조명해 주는 것이 가장 효과적인 것으로 파악되었다. 광적응성을 고려하여 굴거리나무를 실내조경공간으로 도입할 때, 광섬유, 형광등, LED등의 순으로 도입하는 것이 적합하며, 삼파장 등은 부적합한 것으로 파악되었다. 광원별 최적광도는 광섬유와 형광등을 도입할 경우 1,000lux, LED등을 도입할 경우 2,000lux를 조명해 주는 것이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자생종 굴거리나무는 외래종인 대엽홍콩을 대체할 수 있는 수종으로 실내조경식물로 도입이 가능하며, 중심목으로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