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Lutein

검색결과 172건 처리시간 0.023초

열풍건조 온도에 따른 고구마 잎의 영양성분 및 수화복원성 변화 (Effect of hot-air drying temperature on nutritional components and rehydration rate of sweetpotato leaves)

  • 정다운;박양균;남상식;한선경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22권4호
    • /
    • pp.498-504
    • /
    • 2015
  • 본 연구에서는 국내에서 잘 이용되지 않는 고구마 잎을 열풍건조하여 이들의 건조속도와 수화복원력을 조사하고, 일반성분, lutein 과 $\beta$-carotene 및 색도 등을 분석 비교 검토하여 고구마 잎의 건조 채소화를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품종 간의 차이는 있었으나 온도가 높을수록 건조속도가 증가해 $70^{\circ}C$에서 건조속도가 가장 빠르며, $60^{\circ}C$, $50^{\circ}C$, $40^{\circ}C$ 순서로 건조시간이 많이 소요되었다. 일반성분은 생엽에서 수분 87~88%로 많았으나 열풍건조 후 6~8% 이었다. 다른 일반성분은 온도별에 따른 유의적인 차이는 없었다. 기능성 성분인 lutein 함량은 신미 $40^{\circ}C$에서 $171.59{\mu}g/g$ 많았으며, 하얀미 $70^{\circ}C$에서 $73.75{\mu}g/g$로 적었다. $\beta$-carotene 함량에서 신미가 $40^{\circ}C$에서 $379.59{\mu}g/g$ 많고, 하얀미 $70^{\circ}C$에서 $170.78{\mu}g/g$로 적었다. 기능성 물질은 $40^{\circ}C$에서 가장 많고 $50^{\circ}C$, $60^{\circ}C$, $70^{\circ}C$ 순서로 함량이 감소되었다. 색도는 생잎과 건잎을 비교하였을 때 신미와 하얀미 모두 $40^{\circ}C$에서 색이 유지되었으며, 수화복원성에서도 신미와 하얀미 모두 $40^{\circ}C$에서 수화복원율이 각각 233.93%, 223.47%로 가장 높았다. 결과적으로 건조 고구마 잎의 품질은 건조시간보다는 온도 영향이 컸으며 저온건조가 상품적 가치가 있는 것으로 판단되었다.

생식샘자극호르몬분비호르몬이 사람 과립-황체화 세포의 스테로이드 생성과 세포자연사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Gonadotropin Releasing Hormone on Steroidogenesis and Apoptosis of Human Granulosa-Lutein Cells)

  • 이효진;양현원
    • 한국발생생물학회지:발생과생식
    • /
    • 제13권4호
    • /
    • pp.353-362
    • /
    • 2009
  • GnRH는 국부적으로 난소에서 합성되며, 난소내 과립 및 황체세포에 직접적으로 작용하여 난소의 기능을 조절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특히, GnRH는 난소내 과립-황체화 세포의 세포자연사를 유도하는 것으로 보고하고 있다. 그러나 GnRH에 의한 세포자연사가 FSH에 의해 회복될 수 있는지는 명확히 밝혀져 있지 않다. 따라서 본 실험에서 난자 채취시 획득한 사람 과립-황체화 세포를 배양한 후 5, 50, 100 ng/$m\ell$ GnRH와 1 IU/$m\ell$ FSH를 처리하고 세포의 세포자연사 여부와 분비된 progesterone$(P_4)$과 estradiol$(E_2)$ 양의 변화를 조사하였다. DNA 분절화 분석과 TUNEL 방법으로 세포자연사를 평가한 결과, GnRH는 농도 의존적으로 과립-황체화 세포의 세포자연사를 증가시켰고, 특히 100 ng/$m\ell$ GnRH을 처리한 군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이며 세포자연사 비율이 증가하였다. 또한 GnRH에 의한 세포자연사의 증가는 FSH에 의해 억제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화학발광면역 측정법을 이용하여 배양내 $P_4$$E_2$의 양을 측정한 결과, GnRH을 처리한 후 $E_2$의 양은 변화가 없었던 반면 $P_4$의 양은 감소하였다. 이러한 GnRH의 $P_4$ 합성 억제 효과는 세포자연사 결과 마찬가지로 FSH에 의해 회복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상의 결과는 체외수정 및 배아이식 시술시 사용되고 있는 GnRH 작용제가 난소의 기능을 억제시킬 수 있을 것으로 보이나, 다량으로 투여되는 FSH에 의해 회복될 수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이러한 실험 결과는 난소에 대한 GnRH의 생리적 기전을 이해하고 향후 새로운 과배란 유도 방법을 개발하는데 필요한 기초 자료로 사용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 PDF

UPLC를 이용한 색상별 파프리카 유래 카로티노이드의 정량적 평가 (Quantitative Analysis of Various Carotenoids from Different Colored Paprika Using UPLC)

  • 황정록;황인경;김선아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47권1호
    • /
    • pp.1-5
    • /
    • 2015
  • 본 연구에서는 UPLC를 이용하여 11종 카로티노이드(neoxanthin, capsorubin, violaxanthin, capsanthin, zeaxanthin, lutein, ${\alpha}$-cryptoxanthin, ${\beta}$-cryptoxanthin, lycopene, ${\alpha}$-carotene, ${\beta}$-carotene)를 30분 내에 분석할 수 있는 방법을 확립하였으며, 이를 이용하여 다양한 색과 품종의 파프리카 내의 카로티노이드를 정량 분석하였다. 분석에는 HSS T3 컬럼과 acetonitrile:methanol:methylene chloride 혼합 용매와 증류수의 이동상을 이용하였으며, 개발한 조건 하에서 10종 카로티노이드를 잘 분리할 수 있었다. Capsanthin에 대한 검량선은 $1-200{\mu}g/mL$ 농도범위에서 상관계수($R^2$) 0.9998의 높은 직선성을 나타내었고 각각 2.4, $7.2{\mu}g/mL$의 검출한계와 정량 한계를 나타내었다. 일내 RSD값은 1.57-3.09%, 일간 RSD값은 1.98-3.83%를 나타냈으며, 회수율은 일내와 일간에서 각각 91.86-94.98, 98.10-99.87%의 값을 나타내어 분석에 적합함을 알 수 있었다. 이후 붉은색 파프리카 3종(레드마운틴, 바이런, 시로코), 주황색 파프리카 1종(오렌지프로), 노란색 파프리카 2종(피에스타, 볼란테), 녹색 파프리카 2종(레드마운틴, 바이런)의 카로티노이드 정량 분석을 실시하여 본 연구에서 제시한 카로티노이드의 분석 조건이 다양한 색상의 파프리카를 동시에 분석할 수 있는 방법임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에서의 분석 조건을 이용하여 파프리카 이외에도 다양한 카로티노이드 함유 식품의 정량 분석을 보다 정확하고 신속하게 수행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체외에서 돼지 황체화 과립막세포의 스테로이드 호르몬 생산에 미치는 Relaxin과 Insulin의 영향 (Effects of Relaxin and Insulin on Porcine Granulosa-lutein Cell Steroidogenesis In Vitro)

  • 이명섭;;이창규;강성근;이병천;황우석
    • 한국수정란이식학회지
    • /
    • 제20권1호
    • /
    • pp.71-77
    • /
    • 2005
  • Relaxin과 insulin이 돼지 난포 과립막세포의 스테로이드 호르몬 분비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하기위하여 체외에서 황체화된 과립막세포에서 prosesterone과 $17{\beta}-estradiol$의 생산을 조사하였다. 돼지난포 과립막세포를 혈청 존재하에 배양접시에 부착 후 48시간 동안 체외배양하고 무혈청 배지에서 24시간 배양하였다. Relaxin과 insulin의 용량의존성을 확인하기 위하여 다양한 농도 (10, 100, 1,000 ng/ml)를 각각 무혈청 배지에 첨가하였다. 병합 효과를 알아보기 위하여 100 ng/ml relaxin과 100 ng/ml insulin을 단독 혹은 병합하여 처리하였는데 황체호르몬 (100 ng/ml)을 처리한 경우와 처리하지 않은 경우 모두를 조사, 분석하였다. 최종 배양이 끝난 배양액을 수집하여 RIA법으로 proses-terone과 $17{\beta}-estradiol$의 농도를 조사하였다. Relaxin과 insulin은 용량이 증가될수록 progesterone의 생산을 증가시켰으나 $17{\beta}-estradiol$의 생산에는 아무런 영향이 없었다. 병합실험에서는 relaxin과 insulin 단독 또는 병합시 황체호르몬 존재 하에서 progesterone의 생산을 증가시켰으나 $17{\beta}-estradiol$의 생산에는 아무런 영향이 없었다. 결론적으로 relaxin과 insulin은 돼지 황체화 과립막세포의 progesterone 분비를 증가시키지만 $17{\beta}-estradiol$의 생산에는 효과가 없었으며 병합에 의한 상승효과는 없었다. Progesterone 생산에 미치는 relaxin과 insulin의 효과는 황체호르몬의 존재에 의해 증대되었다.

국내산 당근 품종별 carotenoid 함량 분석 (Quantitative Analysis of Carotenoids in Carrot Cultivars Produced in Korea)

  • 하정림;배종섭;박문기;김용웅;하선화;배정명;백경환;이철호;이신우;안미정
    • 한국환경과학회지
    • /
    • 제18권10호
    • /
    • pp.1135-1141
    • /
    • 2009
  • Carrots (Daucus carota L.) are consumed as an important dietary source of provitamin A including $\beta$-carotene, $\alpha$-carotene and lutein. An HPLC method was applied to determine the content of the carotenoid composition in carrot cutivars cultivated in Korea. HPLC analyses were carried out with five carrot cultivars (Socheon-5-chon, Hongsim-5-chon, Myeongju-5-chon, Seonhongbom-5-chon and Betarich) sown at April, 2007 and six cultivars (Yeoreum-5-chon, Hanyeoreum-5-chon, Sinheukjeon-5-chon, Bibariheukjeon, Manina and Betarich) sown at August of the same year. In general, the former varieties are not used for the sowing at summer because of their bolting (growth of floral axis). The former and the latter carrots were harvested after 110 and 96 days from seeding, respectively, and the carotenoids were extracted with acetone after freeze-drying. The amount of $\alpha$-carotene ($117.7{\sim}205.3\;{\mu}g/g{\cdot}DW$) was similar to that of $\beta$-carotene ($113.1{\sim}189.6\;{\mu}g/g{\cdot}DW$) for the carrot cultivars sown at spring, while the content ($46.2{\sim}71.1\;{\mu}g/g{\cdot}DW$) was about a half of $\beta$-carotene content ($92.5{\sim}140.2\;{\mu}g/g{\cdot}DW$) for the latter cultivars. In addition, the average content of lutein ($25.2\;{\mu}g/g{\cdot}DW$) in the former cultivars was eight times higher than that in the latter cultivars ($3.1\;{\mu}g/g{\cdot}DW$). Among the spring cultivation types, Socheon-5-chon and Myeongju-5-chon showed higher amount of $\alpha$-carotene and $\beta$-carotene, while the higher amount was determined in Yeoreum-5-chon and Sinheukjeon-5-chon among the autumn cultivation types. Validation of the HPLC-DAD method showed good linearity ($r^2$ > 0.997) of the three compounds analyzed in a wide concentration range ($0.025{\sim}20\;{\mu}g/ml$). The R.S.D. values for intra-day and inter-day precision were less than 19.2% and the mean recovery of each compound was 85.4~104.7%.

수분스트레스가 케일 잎의 카로티노이드 및 프롤린 함량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Water Stress on Carotenoid and Proline Contents in Kale (Brassica oleracea var. acephala) leaves)

  • 이효준;천진혁;김선주
    • 한국환경농학회지
    • /
    • 제36권2호
    • /
    • pp.97-105
    • /
    • 2017
  • BACKGROUND : Environmental stress has a major effect on the growth and yields of vegetables, and can significantly affect nutritionally important phytochemicals, causing large economic losses. METHODS AND RESULTS : The present study was aimed at exploring the effects of water stress on the carotenoid and proline contents in kale leaves to understand drought tolerance of kale plants. Kale was randomly divided into two groups at 57 days after sowing (DAS). One of the groups was well-watered (WW) and the other was water stressed (WS). Harvesting of kale leaves was started one day after treatment (58 DAS) and continued for 10 days (~67 DAS). We investigated the status of plant growth (leaf number, length, width, fresh weight) of kale throughout the study. Carotenoid (lutein, ${\alpha}-carotene$, zeaxanthin, ${\beta}-carotene$) and proline contents were analyzed by high-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 (HPLC). Our results showed that the total carotenoid contents ranged from 926.0 to 1,212.0 mg/kg dry wt. (at 3 and 2 days, respectively) in WW treatment and 887.8 to 1,157.4 mg/kg dry wt. (at 10 and 4 days, respectively) in WS treatment. The ratio of individual carotenoid to the total carotenoid contents of kale leaves was 51.4 for lutein, 4.44 for zeaxanthin, 2.76 for ${\alpha}-carotene$, and 41.4% for ${\beta}-carotene$. Total carotenoid contents showed a significant reduction from 7 days (1,037.2 mg/kg dry wt.) to 10 days (887.8 mg/kg dry wt.) in WS treatment. The lutein content did not show a significant difference in WW between 7 and 10 days after treatment but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 in WS treatment. The ${\alpha}-carotene$ content showed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treatments. However, zeaxanthin content was higher during 4-10 days and ${\beta}-carotene$ content was lower during 6-10 days in WS than in WW on each harvest day. In WW, the proline content showed no significant difference, but in WS, the proline content started to increase at 7 days and almost doubled in 10 days. CONCLUSION : The marked increase in zeaxanthin and proline contents in kale leaves indicated that the two phytochemicals are associated with drought tolerance in the plant.

Xanthophylls의 급여가 계란 노른자의 착색 및 항산화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Dietary Xanthophylls Supplementation on Pigmentation and Antioxidant Properties in the Egg Yolks)

  • 민병진;이규호;이성기
    • Journal of Animal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45권5호
    • /
    • pp.847-856
    • /
    • 2003
  • 크산토필의 첨가 급여가 계란의 난황에서 착색과 항산화 효과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기 위하여 본 실험을 실시하였다. 사료 속에 어떠한 색소도 함유되지 않은 것을 대조구(기본 사료)로 하고, 옥수수와 corn gluten meal이 들어있어 자연 크산토필이 함유된 일반 시판사료를 시험구의 사료로 이용하였다. 50 주령의 갈색 산란계를 이용하여 4주간 사양시험을 실시하였다. 시험구로는 T1(일반 시판사료 + lutein 10ppm + capsanthin 10ppm), T2(T1 + capsanthin 65ppm), T3 (T1 + canthaxanthin 65ppm), T4(T1 + capsanthin 10ppm + canthaxanthin 65ppm), T5(T1 + capsanthin 65ppm + canthaxanthin 10ppm)로 나누어 시험을 수행하였다. 난황의 pH는 처리구간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착색 실험으로 37$^{\circ}C$에서 48시간까지 저장하는 동안 T2~T5 구의 명도(L$^{*}$)가 대조구 또는 T1에 비해 낮았고, 적색도(a$^{*}$)는 더 높았다(P〈0.05). 또한 T2~T5 구의 황색도(b$^{*}$)는 T1에 비해 낮은 값을 보였다. 리포좀 모델시스템에서 산화기간 동안 T1~T5 구가 대조구에 비해 TBARS(O.D.)가 더 낮았고, 급여농도가 높은 T2~T5 구가 T1보다 더 낮았다(P<0.05). 결론적으로 산란계 사료에 lutein, capsanthin, canthaxanthin을 혼합 급여하면 종류와 농도에 따라 난황의 착색에 영향을 미칠 뿐만 아니라 난황의 산화도 지연시킨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Corrigendum to: Protective effects of lutein against vancomycin-induced acute renal injury in mice via upregulation of peroxisome proliferator-activated receptor gamma/nuclear factor erythroid 2-related factor 2 and inhibition of nuclear factor-kappaB/caspase 3

Estimated Carotenoids Intake in Korean Adults Using Food-frequency Questionnaire: Association with Smoking, Drinking and Other Life-style Factors

  • Park, Yoo-Kyoung;Kim, Yoona;Park, Eunju;Kang, Myung-Hee
    • Nutritional Sciences
    • /
    • 제4권2호
    • /
    • pp.98-103
    • /
    • 2001
  •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the association between, smoking, exercise, sex, and dietary carotenoids ($\alpha$-carotene, $\beta$-carotene, $\beta$-cryptoxanthin, lutein + zeaxanthin, lycopne) intake in Korean middle-aged adults. Food-frequency questionnaire were analyzed from 304 healthy adults (115 men, 189 women) aged 20 - 59. The self-administered questionnaire contained subject s habitual diet and alcohol intake were the previous 3 months. Data on frequency of 102 foods, including vegetables, fruits, beverages and legumes were analyzed. Total dietary carotenoids intake were 27.13 $\pm$ 3.09 mg/d for men and 26.71$\pm$ 2.82 mg/d for women. It was found that smoking had no significant contribution to the dietary intake of carotenoids. Among other lifestyle factors that had significant correlation was the amount of exercise time. The increases in exercise time was associated with increase in carotenoids intake (r= 0.121, p : 0.04). The major contributors of $\alpha$-carotene and $\beta$-carotene were carrots consumed as single-food item or carrot juice. Lutein and Zeaxanthin intake mainly came from spinach and most lycopene intake was derived from tomato products not fresh tomatoes. Persimmon was the major contributor of $\beta$-cryptoxanthin. These findings provide valuable information on understanding the unique pattern of dietary intake of Korean, which might help identify the risks for developing various diseases.

  • PDF

Xanthophylls의 급여가 계육의 항산화와 육색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Dietary Xanthophylls Supplementation on the Antioxidant and Color Properties of Broiler Meat)

  • 김혜정;양성운;이규호;김창혁;이성기
    • 한국가금학회지
    • /
    • 제30권3호
    • /
    • pp.177-182
    • /
    • 2003
  • 브로일러에 xanthophylls 급여가 계육의 색깔과 항산화력에 미치는 효과를 구명하기 위하여 본 연구를 실시하였다. 30 ppm의 lutein, canthaxanthin, astasanthin, capsanthin을 생후6주 동안 브로일러에게 급여한 후 도계 처리하였다. 도계후 24시간에 가슴육과 다리육으로 발골하고 정육을 3$^{\circ}C$에 9일 동안 저장하였다. 저장기간 동안 모든 처리구의 pH는 증가하였다. 다리육의 pH는 가슴육에 비해 높은 값을 나타내었으나 처리구간의 차이는 없었다. Xanthophyll을 급여한 브로일러육은 대조구에 비해 저장기간중에 TBARS와 POV가 낮았고, 저장 9일에는 대조구와 비교하여 모든 xnathophylls 급여구에서 유의적으로 낮은 값을 나타내었다(P<0.05). Xanthophyll을 급여하면 육색의 L(명도)값이 감소하고 a(적색도)값이 증가하였다. Astaxanthin을 급여한 브로일러의 가슴육이 저장중 항산화 효과가 있었고, canthaxanthin을 급여한 브로일러의 육이 착색효과가 높았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해 볼 때 육계에 Xanthophylls를 급여하면 일반육에 비해 육색이 농후해지며 저장 중 지방산화가 억제되는 것으로 나타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