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Lung cancer risk

검색결과 514건 처리시간 0.026초

일부 한국인 Debrisoquine 대사분포에 대한 연구 (A Study on the Debrisoquine Metabolism in a Group of Korean Population)

  • 이명학;문화영;손명호;손석준;최진수
    • Journal of Preventive Medicine and Public Health
    • /
    • 제27권3호
    • /
    • pp.569-579
    • /
    • 1994
  • The genetically determined ability to metabolize debrisoquine (DBR) is related to risk of lung cancer and DBR hydroxylation exhibits wide inter-individual variation. In this study, 100 korean adults were tested for their ability to metabolize DBR. The DBR metabolic phenotype were determined by metabolic ratio (MR, DBR / 4-HDBR) which is the percent dose excreted as unchanged DBR divided by the percent dose excreted as 4-hydroxyebrisoquine(4-HDBR) in a aliquot of an eight hour urine sample, after 10mg DBR test dose administration. Analysis was performed on a capillary gas chromatograph fitted with electron capture detector.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Geometric mean of DBR MR was 0.32 in male,0.27 in female,0.30 in total and the distribution of log (MR) was seemed to follow normal distribution. 2. Metabolic ratio of DBR was higher in non-smoker and non-drinker than in smoker and drinker without any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3. None of personal factors was significantly related to DBR MR except age. 4. The DBR metabolic phenotype was extensive metabolizer(EM) 93, intermediate metabolizer(IM) 7 by traditional method and EM 98, IM 3 by Caporaso's method. The poor metabolizer (PM) phenotype was not found by either method. 5. Maximal expected PM phenotype was 0.36% by traditional method and 0.04% by Caporaso's method.

  • PDF

활성탄소 입도에 따른 산화마그네슘 경화체의 공극특성과 흡착성능 평가 (Pore Characterisitics and Adsorption Performance Evaluation of Magnesium Oxide Matrix by Active Carbon Particle Size)

  • 편수정;이상수
    • 한국건축시공학회지
    • /
    • 제18권1호
    • /
    • pp.59-65
    • /
    • 2018
  • 라돈가스는 암석이나 토양 등에 존재하는 자연 방사성 물질인 우라늄이 붕괴할 때 발생하는 무색, 무취, 무미의 가스이다. 인체가 연간 노출되는 방사선의 85%는 자연 방사선에 의한 것이고, 그 중 50%가 라돈가스이다. 미국 환경보호청(EPA)의 조사결과에 의하면, 라돈가스에 장시간 노출될 경우 흡연자는 1,000명 중 62명, 비흡연자는 1,000명 중 7명이 폐암 발병률에 노출된다. 이러한 라돈가스의 위해성을 저감하고자 활성탄소를 사용하여 경화체를 제작하여 그에 대한 공극 특성과 라돈가스 저감 특성에 대한 실험을 진행하였다. 활성탄소를 활용하였을 경우, 측정기간이 길어질수록 라돈가스 농도는 급격한 저감과 그래프 상의 변화를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활성탄소의 재료적 특성 중 하나인 공극 분포와 미세공 특성을 파악할 수 있다.

폐암 환자의 방사선수술 시 호흡연동 방사선치료 방법의 적용을 통한 계획용표적체적 감소 효과 분석 (Analysis on the Decrease of Planning Target Volume in the Case of Lung Radiation Surgery with the Application of Respiratory Gated Radiotherpy Method)

  • 송주영;나병식;정웅기;안성자;남택근;윤미선;정재욱
    • 한국의학물리학회지:의학물리
    • /
    • 제19권4호
    • /
    • pp.263-268
    • /
    • 2008
  • 방사선치료 시 환자 호흡에 의한 종양의 움직임 영향을 줄이기 위해 사용하는 호흡연동 방사선치료 방법을 폐암 환자의 방사선수술에 적용하였을 경우와 종양의 움직임 영역을 모두 고려하여 계획용표적체적(PTV)을 설정한 일반적인 방사선 수술 경우를 비교, 평가하고자, 각 치료계획에서 계산한 종양 주변의 중요 장기에 조사되는 선량분포의 변화를 분석하고, 그 영향을 고찰하였다. 총 5명의 방사선수술 대상 비소세포성 폐암 환자의 4차원 전산화단층촬영(CT) 모의치료 영상을 획득한 후, 호흡주기 내 50% 위상에서 구성한 CT 영상을 기반으로 호흡연동 방사선치료 방법의 방사선수술 계획을 수립하고, 호흡주기 내 모든 위상에서의 CT 영상들에서 생성한 내부표적체적(ITV)을 기반으로 한 방사선수술 계획을 수립하여 각 계획에서 계산된 중요장기들의 선량체적히스토그램(DVH)을 비교, 분석하였다. 호흡연동 방법을 적용하지 않은 ITV를 기반으로 한 치료계획과 비교한 결과, 호흡연동 방사선치료 방법을 적용하였을 경우의 중요장기 평균선량이 기관지는 평균 $16.88{\pm}9.97%$, 척수는 평균 $34.13{\pm}19.15%$, 흉벽은 평균 $28.42{\pm}18.49%$, 폐의 경우는 평균 $32.48{\pm}16.66%$의 상대적인 감소를 보여, 폐암 환자의 방사선수술 시 호흡연동 방사선치료 방법 적용의 유용성 및 타당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 PDF

유방 부분 절제술 후 방사선 치료 시 TOMO Direct를 이용한 접선 조사의 선량적 유용성에 관한 고찰 (Evaluation of Tangential Fields Technique Using TOMO Direct Radiation Therapy after Breast Partial Mastectomy)

  • 김미정;김주호;김훈겸;조강철;전병철;조정희
    • 대한방사선치료학회지
    • /
    • 제23권1호
    • /
    • pp.59-66
    • /
    • 2011
  • 목 적: 유방 부분 절제술 후 방사선 치료 시 기존의 라이낙을 이용한 치료기법과 비교하여 TOMO Direct를 이용한 접선 치료 기법의 임상적 유용성을 알아보고자 한다. 대상 및 방법: 유방 부분 절제술 후 방사선 치료를 받은 좌측 유방암 환자 3명을 대상으로 라이낙을 이용한 쐐기 접선 조사 기법(Wedged tangential fields technique)과 조사면 내 선량 보강 기법(Field In Field technique, FIF), TOMO Direct, TOMO Direct 세기 변조 방사선 치료(Intensity Modulated Radiation Therapy, IMRT)기법을 이용하여 동일한 처방 조건(CTV 내 $D_{90%}$: 50.4 Gy/28 fx)으로 치료계획을 수립하였다. 선량 분석을 위해 선량 체적 히스토그램(Dose Volume Histogram, DVH)과 등선량 곡선 (Isodose curve)을 이용하여 종양 내 표적체적(Clinical Target Volume, CTV)과 손상위험장기(Organ At Risk, OAR)에 대한 선량을 비교분석 하였다. 표적체적의 선량 인자로는 $D_{99}$, $D_{95}$, 선량 균일 지수(Dose homogeneity index, DHI: $D_{10}/D_{90}$)와 $V_{105}$, $V_{110}$을 손상위험장기의 선량 인자로는 심장의 $V_{10}$, $V_{20}$, $V_{30}$, $V_{40}$과 좌측 폐의 $V_{10}$, $V_{20}$, $V_{30}$을 비교 분석하였다. 결 과: 표적체적의 선량 분석 결과로 $D_{99}$, $D_{95}$의 평균값은 각각 쐐기 접선 조사(W)에서 $47.7{\pm}1.1Gy$, $49.4{\pm}0.1Gy$이었으며, 조사면 내 선량 보강 기법(F)은 각각 $47.1{\pm}0.6Gy$, $49.2{\pm}0.4Gy$, 그리고 TOMO Direct(D)와 TOMO Direct IMRT(I)에서는 각각 $49.2{\pm}0.4$ vs. $48.6{\pm}0.8Gy$, $49.9{\pm}0.4$ vs. $49.5{\pm}0.3Gy$이었다. 선량 균일 지수의 평균값은 W: $1.1{\pm}0.02$, F: $1.07{\pm}0.02$, D: $1.03{\pm}0.001$, I: $1.05{\pm}0.02$이었다. 각각의 치료 기법으로 $V_{105}$, $V_{110}$의 평균값을 비교하였을 때 쐐기 접선 조사 시 각각 $34.6{\pm}9.3%$, $7.5{\pm}7.9%$로 가장 높았고 조사면 내 선량 보강 기법은 $16.5{\pm}14.8%$, $2.1{\pm}3.5%$로, TOMO direct IMRT는 $7.5{\pm}8.3%$, $0.1{\pm}0.1%$로 낮아졌으며 TOMO direct에서는 두 값 모두 0%로 나타났다. 손상 위험 장기에 대한 선량 분석 결과 각각의 치료 기법 사이에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결 론: TOMO Direct를 이용한 접선 조사 기법은 기존의 쐐기 접선 치료 기법보다 치료 용적 내에 균일한 선량분포를 얻을 수 있을 뿐만 아니라 IMRT 또는 Tomotherapy와 달리 정상조직의 저 선량 영역의 노출용적을 증가시키지 않았으며 조사면 내선량 보강 기법 보다 용이한 치료계획 절차를 수행하므로 유방 부분 절제술 후 방사선 치료 시 임상적으로 유용하리라 사료된다.

  • PDF

사람의 정상 피부세포 및 폐세포의 발암에 미치는 2,3,7,8-Tetrachlorodibenzo-$\rho$-dioxin의 영향 (Tumorigenic Effects of 2,3,7,8-Tetrachlorodibenzo-$\rho$-dioxin in Normal Human Skin and Lung Fibroblasts)

  • 강미경;염태경;김강련;김옥희;강호일
    • 한국환경성돌연변이발암원학회지
    • /
    • 제26권3호
    • /
    • pp.77-85
    • /
    • 2006
  • 2,3,7,8-Tetrachlorodibenzo-$\rho$-dioxin(TCDD) displays high toxicity in animals and has been implicated in human carcinogenesis. Although TCDD is recognized as potent carcinogens, relatively little is known about their role in the tumor promotion and carcinogenesis. It is known that TCDD can increase of cancer risk from various types of tissue by a mechanism possibly involving the aryl hydrocarbon receptor (AhR) activation. In this study, effects of TCDD on cellular proliferation of normal human skin and lung fibroblasts, Detroit551 and WI38 cells were investigated. In addition, to enhance our understanding of TCDD-mediated carcinogenesis, we have investigated process in which expression of Erk1/2, cyclinD1, oncogene such as Ha-ras and c-myc, and their cognate signaling pathway. TCDD that are potent activators of AhR-mediated activity was found to induce significant increase of cytochrome P4501A1 mRNA expression, suggesting a presence of functional AhR. These results support that CYP1A1 enzyme may be involved in the generation of TCDD-induced toxicity. Moreover mitogen-activated protein kinases (MARKs) phosphorylation and cyclin D1 overexpression are induced by TCDD, which corresponded with the progression of cellular proliferation. However, TCDD did not affected Ha-ras and c-myc mRNA expression. Taken together, it seems that TCDD are could be a part of cellular proliferation in non-tumorigenic normal human cells such as Detroit551 and WI38 cells through the upregulation of MAPKs signaling pathway regulating growth of cell population. Therefore, AhR-activating TCDD could potentially contribute to tumor promotion and Detroit551 and WI38 cells have been used as a detection system of tumorigenic effects of TCDD.

  • PDF

발암인자 노출감시를 위한 CAREX(CARcinogen EXposure, CAREX) 프로그램 고찰; 한계점과 활용 방안 (Review for CAREX(CARcinogen EXposure) Exposure Surveillance System: Limitation and Application to Korea)

  • 정혜정;류승훈;장지영;김승원;하권철;고동희;김원;배현주;윤충식;이경희;이광용;곽현석;신정아;박동욱
    • 한국산업보건학회지
    • /
    • 제24권3호
    • /
    • pp.247-255
    • /
    • 2014
  • Objectives: We reviewed the CAREX (CARcinogen EXposure) program designed to estimate the prevalence of occupational exposure to carcinogens and summarized the advantages and limitations of this program. Methods: All literature, including reports on CAREX and the use of CAREX, were reviewed. The keyword search term was CAREX. Additional articles were identified from references cited in articles and reviewed. Results: An exposure information system, CAREX was developed based on data from the Finnish Institute of Occupational Health of Finland and from the US. CAREX has been applied in several countries, including in the EU, in order to estimate national exposure patterns to carcinogens. The initial exposure assessment carried out through CAREX was aimed at estimating exposures over the period of 1990-1993. To estimate the number of workers exposed to carcinogens by using CAREX, reference exposure prevalence from Finland and the United States was computed, which was then reviewed and corrected by national experts. Finally the overall number of workers exposed to carcinogens can be estimated. We found that CAREX has been used in a total of 18 countries. No Asian country has used CAREX. Conclusions: CAREX can be applied not only to estimate the number of workers exposed to carcinogens in Korea, but also to identify high-risk industries with workers most exposed to carcinogens.

Adjuvant Chemotherapy in Patients with Node-Negative Non-Small Cell Lung Cancer with Satellite Pulmonary Nodules in the Same Lobe

  • Park, Jiyoun;Lee, Junghee;Jeon, Yeong Jeong;Shin, Sumin;Cho, Jong Ho;Kim, Hong-Kwan;Choi, Yong Soo;Kim, Jhingook;Zo, Jae Ill;Shim, Young Mog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55권1호
    • /
    • pp.10-19
    • /
    • 2022
  • Background: According to the eighth TNM (tumor-node-metastasis) staging system, the presence of separate tumor nodules in the same lobe is designated as a T3 descriptor. However, it remains unclear whether adjuvant chemotherapy confers survival advantages in this setting. Methods: We retrospectively identified 142 pathologic T3N0M0 patients with additional pulmonary nodules in the same lobe from a single-institutional database from 2004 to 2019. The main outcomes were overall survival and recurrence-free survival. Multivariable Cox regression was used to identify the benefit of adjuvant chemotherapy while adjusting for other variables. Results: Sixty-one patients received adjuvant chemotherapy (adjuvant group) and 81 patients did not receive adjuvant therapy after surgery (surgery-only group). There were no demonstrable differences between the 2 groups regarding hospital mortality and postoperative complications, indicating that treatment selection had not significantly occurred. However, the use of adjuvant chemotherapy was associated with improved 5-year overall survival (70% vs. 59%, p=0.006) and disease-free survival (60% vs. 46%, p=0.040). A multivariable Cox model demonstrated that adjuvant chemotherapy was associated with a survival advantage (adjusted hazard ratio, 0.54; p<0.001). In exploratory analyses of subgroups, the effect of adjuvant chemotherapy seemed to be insufficient in those with small main tumors (<4 cm). Conclusion: Adjuvant chemotherapy was associated with better survival in T3 cancers with an additional tumor nodule in the same lobe. However, the role of adjuvant chemotherapy in patient subgroups with small tumors or those without risk factors should be determined via large studies.

한국형 흉부 MRI 영상 진단 정당성 권고안 (Korean Clinical Imaging Guidelines for the Appropriate Use of Chest MRI)

  • 송지영;남보다;윤순호;유진영;정연주;여창동;임성용;이승룡;김현구;김병혁;진광남;용환석
    • 대한영상의학회지
    • /
    • 제82권3호
    • /
    • pp.562-574
    • /
    • 2021
  • MRI는 방사선 위험이 없으며, 높은 연조직 대조도 및 기능 정보 획득의 장점을 가지고 있다. 과거 기술적 한계로 흉부 분야에서 MRI의 사용이 제한되었으나, 최근 기술 발전 및 흉부 MRI의 보험 적용 확대로 흉부 MRI의 적응증과 수요가 급증할 것으로 예상된다. 이에 대한 영상의학회는 한국의 의료 실정에 맞는 흉부 MRI의 적절한 활용과 관련된 지침의 개발이 필요하다고 보고 개발위원회, 실무위원회 및 자문위원회의 의견을 모아 한국형 흉부 MRI 정당성 가이드라인을 개발하였다. 5가지 문장형 핵심질문을 선정하고, 근거기반 임상영상 가이드라인 수용개작 방법론에 의거하여 권고안을 작성하였다. 권고 내용은 다음과 같다. 우연히 발견된 전종격동 병변 환자에서 비종양성 질환 진단을 위하여 흉부 MRI를 권장한다. 폐 종괴가 발견된 진폐증 환자에서 악성 종양과 진행성거대섬유증의 감별 진단을 위하여 흉부 MRI를 권장한다. 악성 흉막 중피종 또는 비소세포 폐암 환자에서 흉벽, 척추, 횡격막 또는 혈관 침범이 의심되는 경우 흉부 MRI를 권장한다. 임산부에서 임상적으로 폐색전증이 의심되나, 다른 검사가 불충분할 경우 비조영 흉부 MRI 혹은 중등도 또는 저위험군 조영제를 가능한 최소한의 용량으로 사용하여 조영증강 흉부 MRI를 고려할 수 있다. 폐첨부 폐암 환자에서 근치적 절제술을 고려할 경우 혈관 및 경막 외 공간의 종양 침범을 확인하기 위해 흉부 MRI를 권고한다.

식도암 세기조절방사선치료와 용적세기조절회전치료에 대한 Jaw-Tracking의 유용성 평가 (Effectiveness Assessment on Jaw-Tracking in Intensity Modulated Radiation Therapy and Volumetric Modulated Arc Therapy for Esophageal Cancer)

  • 오현택;유순미;전수동;김민수;송흥권;윤인하;백금문
    • 대한방사선치료학회지
    • /
    • 제31권1호
    • /
    • pp.33-41
    • /
    • 2019
  • 목 적: 식도암 방사선치료 시 세기조절방사선치료(Intensity Modulated Radiation Therapy, IMRT) 및 용적세기조절회전치료(Volumetric Modulated Arc Therapy, VMAT)에서 Jaw-Tracking 기법 유 무에 따라 저선량 영역에 대한 주변 정상장기의 용적선량을 분석하여 그 유용성을 평가하고자 한다. 대상 및 방법: 본 원에서 사용하고 있는 선형가속기 VitalBeamTM(Varian Medical System, U.S.A)으로 식도암 방사선치료를 받은 27명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치료계획은 Eclipse(Ver. 13.6 Varian, U.S.A)를 이용하여 Jaw-Tracking(JT)을 사용한 치료계획과 Non Jaw-Tracking(NJT) 치료계획을 수립하였으며, 치료계획용적(Planning Target Volume, PTV)에 빗장위림프절(Supraclavicular Lymph Nodes, SCL)이 포함되어 있는 T자형 PTV를 가진 환자를 대상으로 하였다. 조사범위에 대한 영향을 확인하기 위해 복강(Celiac) 포함 여부로 비교군을 나누었다. 수립된 치료계획의 비교를 위해 손상위험장기는 양측 폐, 심장, 척수를 비교하였으며 Conformity Index(CI), Homogeneity Index(HI)를 비교하였다. 임상적용 검증을 위해 전자포탈영상장치(Electronic Portal Imaging Device, EPID)를 이용하여 Portal Dosimetry를 실시하였고, 선량 영역의 임계치(Threshold)를 10 %, 5 %, 0 %로 매개변수로 설정하여 감마분석을 실시하였다. 결 과: 모든 치료계획은 3 mm / 3 %, 감마통과율 95 % 기준에 대해 Threshold 10 %의 경우 95 % 이상으로 JT, NJT 모두 통과하였으며, IMRT는 Threshold가 5 %, 0 %로 줄어들수록 JT보다 NJT의 값이 1 % 이상 줄어 들었다. IMRT에서 양측 폐의 $V_5$$V_{10}$은 JT에서 Celiac을 포함하지 않을 때 최대 14.7 %, 평균 8.5 %, 5.3 % 만큼 감소했고, $D_{mean}$$72.3{\pm}51cGy$ 감소하였으며, Celiac을 포함할 때 JT에서 선량감소가 증가하였다. 심장의 $D_{mean}$$68.9{\pm}38.5cGy$, 척수의 $D_{max}$$39.7{\pm]30.1cGy$만큼 감소하였다. VMAT은 JT기법 사용 시 폐에서 $V_5$ 평균 2.5 % 감소하였고, 심장 및 척수에서 소량 감소하였으며, Celiac 포함 시 JT의 선량감소가 증가하였다. 결 론: 식도암 치료계획에서 IMRT가 JT 사용 시 양측 폐의 $V_5$, $V_{10}$에서 유의미한 감소가 나타났고, 저 선량영역에서 조사범위가 클수록 선량감소가 크게 나타났다. 따라서 식도암 방사선치료에는 IMRT가 VMAT보다 JT 적용 시 더 효과적이며, 저 선량영역에서의 MLC 누설 및 투과선량으로부터 정상장기를 보호할 수 있다.

소셜 빅데이터를 활용한 담배 위험 예측 (Predicting tobacco risk factors by using social big data)

  • 송태민;송주영;천미경
    •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 /
    • 제26권5호
    • /
    • pp.1047-1059
    • /
    • 2015
  • 본 연구는 국내의 블로그, 카페, SNS 등 인터넷을 통해 수집된 소셜 빅데이터를 데이터마이닝 분석 기법을 적용하여 우리나라 국민의 담배에 대한 위험요인을 예측하고자 하였다. 주요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온라인상에 '담뱃값인상'이 언급될 경우 담배에 대한 일반군 (negative)이 58.6%에서 74.8%로 증가하며, '폐암'이 언급될 경우 73.1%로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담뱃값인상 이후 담배에 대한 위험군 (positive)은 5.6% 감소하고, 일반군은 6.1%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FCTC, 담뱃값인상, 금연관련법, 흡연규제, 금연광고, 금연사업'과 관련된 정책이 온라인상에 많이 언급될수록 담배에 대한 위험군이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금연약, 금연패치, 금연껌'이 온라인 상에 언급될수록 담배에 대한 위험군이 감소하나, '전자담배와 보조제'가 온라인상에 언급될수록 담배에 대한 위험군을 증가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