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Lung cancer

검색결과 3,733건 처리시간 0.03초

An Application of the Clustering Threshold Gradient Descent Regularization Method for Selecting Genes in Predicting the Survival Time of Lung Carcinomas

  • Lee, Seung-Yeoun;Kim, Young-Chul
    • Genomics & Informatics
    • /
    • 제5권3호
    • /
    • pp.95-101
    • /
    • 2007
  • In this paper, we consider the variable selection methods in the Cox model when a large number of gene expression levels are involved with survival time. Deciding which genes are associated with survival time has been a challenging problem because of the large number of genes and relatively small sample size (n<

공동성 폐암의 외과적 고찰 (Cavitary Lung Cancer)

  • 박재길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22권5호
    • /
    • pp.800-805
    • /
    • 1989
  • The roentgenologic appearance of carcinoma of the lung may vary considerably from case to case. And when it forms cavitary lesion, it is frequently confused with benign lesions and treated conservatively. Twenty-seven patients with cavitary bronchogenic carcinoma were treated in our St. Marys Hospital during the period 1984-1989. There were 24 males and 3 females. They ranged in age from 43 to 76 years. Symptoms of cough, blood-streaked sputum or pleuritic chest pain were present in all patients one month to 6 months before hospital admission and 7 patients among them were delayed in recognition of the malignancy from z month to 3 months. Of 27 malignancies with cavity, 22[81.5 %] were squamous cell ca., 3[11.1%] were large cell ca., and 2[7.4%] were adenoca. And of 22 squamous cell carcinomas, 5 were well differentiated, 13 were moderately and 4 were poorly. All lobes except Rt. middle lobe were involved [RUL 2 cases, RLL 13 cases, LUL 3 cases and LLL 9 cases]. We explored 16 patients and performed 7 lobectomy, 4 bi-lobectomy, 2 pneumonectomy and 3 08zC. Post-operative follow-up examination of the resected 13 patients indicated one and two year survival rates of 69.1 %[9/13 cases] and 37.5%[3/8 cases] respectively, and now 6 survivors whose post-operative periods were from 4 months to 37 months.

  • PDF

Video-Assisted Thoracic Surgery Lobectomy

  • Kim, Hong Kwan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54권4호
    • /
    • pp.239-245
    • /
    • 2021
  • Video-assisted thoracoscopic surgery (VATS) has been established as the surgical approach of choice for lobectomy in patients with early-stage non-small cell lung cancer (NSCLC). Patients with clinical stage I NSCLC with no lymph node metastasis are considered candidates for VATS lobectomy. To rule out the presence of metastasis to lymph nodes or distant organs, patients should undergo meticulous clinical staging. Assessing patients' functional status is required to ensure that there are no medical contraindications, such as impaired pulmonary function or cardiac comorbidities. Although various combinations of the number, size, and location of ports are available, finding the best method of port placement for each surgeon is fundamental to maximize the efficiency of the surgical procedure. When conducting VATS lobectomy, it is always necessary to comply with the following oncological principles: (1) the vessels and bronchus of the target lobe should be individually divided, (2) systematic lymph node dissection is mandatory, and (3) touching the lymph node itself and rupturing the capsule of the lymph node should be minimized. Most surgeons conduct the procedure in the following sequence: (1) dissection along the hilar structure, (2) fissure division, (3) perivascular and peribronchial dissection, (4) individual division of the vessels and bronchus, (5) specimen retrieval, and (6) mediastinal lymph node dissection. Surgeons should obtain experience in enhancing the exposure of the dissection target and facilitating dissection. This review article provides the basic principles of the surgical techniques and practical maneuvers for performing VATS lobectomy easily, safely, and efficiently.

Dancing with the Surgeon: Neoadjuvant and Adjuvant Immunotherapies from the Medical Oncologist's Perspective

  • Sehhoon Park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56권2호
    • /
    • pp.67-74
    • /
    • 2023
  • Perioperative treatment with conventional cytotoxic chemotherapy for resectable non-small cell lung cancer (NSCLC) has proven clinical benefits in terms of achieving a higher overall survival (OS) rate. With its success in the palliative treatment of NSCLC, immune checkpoint blockade (ICB) has now become an essential component of treatment, even as neoadjuvant or adjuvant therapy in patients with operable NSCLC. Both pre- and post-surgery ICB applications have proven clinical efficacy in preventing disease recurrence. In addition, neoadjuvant ICB combined with cytotoxic chemotherapy has shown a significantly higher rate of pathologic regression of viable tumors compared with cytotoxic chemotherapy alone. To confirm this, an early signal of OS benefit has been shown in a selected population, with programmed death ligand 1 expression ≥50%. Furthermore, applying ICB both pre- and post-surgery enhances its clinical benefits, as is currently under evaluation in ongoing phase III trials. Simultaneously, as the number of available perioperative treatment options increases, the variables to be considered for making treatment decisions become more complex. Thus, the role of a multidisciplinary team-based treatment approach has not been fully emphasized. This review presents up-to-date pivotal data that lead to practical changes in managing resectable NSCLC. From the medical oncologist's perspective, it is time to dance with surgeons to decide on the sequence of systemic treatment, particularly the ICB-based approach, accompanying surgery for operable NSCLC.

시뮬레이션을 이용한 석면 해체공사의 최적화 공정계획 모델 (A Model for Optimization Process of Asbestos Dismantling Work Using Simulation)

  • 조형준;노재윤;이호현;이수민;한승우
    • 한국건축시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건축시공학회 2022년도 가을 학술논문 발표대회
    • /
    • pp.17-18
    • /
    • 2022
  • In Korea, asbestos removal has been actively carried out nationwide since 2015 when asbestos was completely banned as a first-class carcinogen. Since scattering dust generated in the process of removing asbestos causes fatal diseases such as asbestos lung disease and lung cancer, concerns are growing over the safety of construction workers and building users undergoing dismantling. For this reason, regulations on asbestos sites have been strengthened and prior studies on safety and risk assessment have been conducted, but research on actual site data collection and process planning is insufficient even though safety is reduced due to delay in site construction period.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analyze the work and delay factors of the asbestos dismantling process and develop an optimized process plan model for workers. This study is an initial step to develop an optimized process plan model that considers the safety and productivity of asbestos dismantling work, and aims to help establish an optimized process plan for asbestos dismantling process using website clone simulation.

  • PDF

PET/CT 검사에서 Flow mode를 적용한 Respiratory Gating Method 촬영과 추가 Gating 촬영의 비교 및 유용성 평가 (Comparison and Evaluation of the Effectiveness between Respiratory Gating Method Applying The Flow Mode and Additional Gated Method in PET/CT Scanning.)

  • 장동훈;김경훈;이진형;조현덕;박소현;박영재;이인원
    • 핵의학기술
    • /
    • 제21권1호
    • /
    • pp.54-59
    • /
    • 2017
  • 폐암(Lung cancer) 환자의 경우 PET/CT 검사에서 호흡으로 인하여 영상의 정합오차가 발생하게 되는데 이로 인해 정확한 SUV 와 Tumor volume측정을 방해하는 요인으로 작용된다. $SUV_{max}$를 이용하여 폐암 환자의 수술 후 예측 및 항암화학요법의 효과를 평가하고 있으며, 방사선치료의 예후 예측 및 평가를 위해 현재 Tumor volume과 SUV를 이용한 지표가 사용되고 있다. 그렇기 때문에 정합오차를 줄이기 위해 본원에서는 Respiratory gating method를 적용하여 검사를 시행하고 있다. 본 연구는 Step and Go 방식이 아닌 Flow mode를 적용하여 Non-gating 영상과 첫 번째 Respiratory Gating영상, 그리고 추가로 부분 Respiratory gating 촬영하여 Respiratory gating method의 유용성에대해 알아보았다. 2016년 6월부터 2016년 9월까지 분당서울대학교병원에서 PET/CT 검사를 한 폐암 환자 20명(남:12명, 여:8명)을 대상으로 amplitude rang 15% 미만인 호흡이 안정한 환자군 10명 15%초과한 호흡이 불안정한 환자군 10명으로 나누어 비교분석하였다. 전체 환자에서 Non-gating 영상의 $SUV_{max}$$9.43{\pm}3.93$, $SUV_{mean}$$1.77{\pm}0.89$, Tumor Volume은 $4.17{\pm}2.41$로 측정되었고 기존 Gating 영상에서 $SUV_{max}$$10.08{\pm}4.07$, $SUV_{mean}$$1.75{\pm}0.81$, Tumor Volume은 $3.56{\pm}2.11$로 측정되었다. 그리고 추가 Lung gating 영상에서 $SUV_{max}$$10.86{\pm}4.36$, $SUV_{mean}$$1.77{\pm}0.85$, Tumor volume은 $3.36{\pm}1.98$을 얻었다. Non-gating 영상과 기존 Gating 영상, 그리고 기존 Gating 영상과 추가 Lung gating 영상을 비교했을 때 둘 다 $SUV_{mean}$ 값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나(P>0.05) $SUV_{max}$와 Tumor volume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0.05). 그중 호흡이 안정한 환자군보다 호흡이 불안정한 환자군에서의 증감률이 더 크게 나타났다. Amplitude range 폭은 전체 20명 중 12명(Signal이 안정된 환자 3명 불안정한 환자 9명)이 추가 Lung gating을 했을 때 기존 Gating 영상보다 더 낮게 나타났다. 본 연구에 의하면 Flow mode를 적용하여 Respiration Gating Method로 촬영한 결과 추가적인 CT 촬영 없이 호흡으로 인해 발생하는 병변의 움직임을 보정해 주어 $SUV_{max}$, Tumor volume을 Non-gating 영상보다 더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었다. 그리고 처음 Gating 할 때보다 추가 촬영 시 호흡의 안정에 따른 Amplitude range 폭의 낮아짐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Gating 영상이 Non-gating 영상보다 진단에 더 유용한 정보를 제공함을 알 수 있었고, Signal이 불규칙적인 환자에게 시간적 여유가 있다면 추가로 부분 촬영을 하는 것이 도움이 될 것이라고 사료된다.

  • PDF

인체 폐암종의 TGF-$\alpha$ 및 TGF-$\beta$의 발현에 관한 면역 조직화학적 연구 (Expression of Transforming Growth Factor-$\alpha$ and Transforming Growth Factor-$\beta$ In Human Primary Lung Cancers)

  • 류우진;신동호;박성수;이동후;이중달;이정희
    •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 /
    • 제42권4호
    • /
    • pp.492-501
    • /
    • 1995
  • 연구배경: TGF-$\alpha$는 세포증식을 자극하는 기능을 갖는 순기능 조절인자들 중 하나이며 autocrine 또는 paracrine기전에 의하여 그성장을 조절하며, 발암과정 및 종양세포의 성장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반면 TGF-$\beta$는 세포의 증식을 억제하는 역기능 성장인자로 작용하며, G1기에서 S기로의 이행을 억제하여 성장의 정지에 관여하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방법: 저자들은 10예의 정상대조군 및 소세포암종 및 비소세포암종을 포함한 인체 폐암종 총 47예에서 TGF-$\alpha$와 TGF-$\beta$의 발현상태를 알고자 이들의 항체를 이용한 면역조직화학적 염색을 실시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결과 TGF-$\alpha$는 정상 대조군 10예중 2예(20%)의 기관지 상피에서, 인체 폐암종 47예중 35예(74.5%)의 암세포질에서 산발적으로 발현이 되었다. TGF-$\beta$는 정상대조군 10예중 8예의 기관지 상피에서, 인체 폐암종 47예중 8예(17.0%)의 암세포질에서 산발적인 발현을 보였다. 결론: 이와 같은 성적은 인체 폐암종에 있어서 TGF-$\alpha$의 발현과다는 autocrine loop에 의한 수용체를 통하여 그 성장을 자극함으로써 폐암종의 발생 및 성장에 중요한 인자로 관여 한 것으로 생각되며, TGF-$\beta$의 발현감소는 세포성장의 역조절 기능의 억제로 인해 폐암종의 발생과 성장을 조장하는 것으로 생각된다.

  • PDF

비소세포 폐암의 근치적 절제술 후 예후 인자 분석 및 IIIa 병기에서의 보조 요법의 효과에 대한 연구 (The effects of adjuvant therapy and prognostic factors in completely resected stage IIIa non-small cell lung cancer)

  • 조세행;정경영;김주항;김병수;장준;김성규;이원영
    •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 /
    • 제43권5호
    • /
    • pp.709-719
    • /
    • 1996
  • 연구 배경: 비소세포 폐암의 근치적 치료는 수술적 절제에 주로 의존하고 있고 근치적 수술을 받은 환자의 예후는 수술당시의 병기가 중요하며 진행된 병기의 환자일수록 총 생존기간 및 무병생존기간이 현저하게 단축됨이 많은 연구자에 의해 보고되었다. 또한 근치적 수술 후의 재발은 수술부위보다는 원격 전이에 의한 재발이 많으므로 수술 후의 생존율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원격전이에 의한 재발을 억제할 수 있는 효과적인 수술 후 보조요법이 필요하다. 수술 후의 보조요법은 방사선 치료 및 항암제 투여가 있으나 각각의 치료 방법에 따른 생존율의 보고는 연구자에 따라 상이 한 결과를 보이고 있으며 국내 연구보고는 거의 없는 실정이다. 이에 연구자등은 1990년 1월부터 1995년 12월까지 연세대학교 의과대학 부속 세브란스 병원 흉부외과에서 근치적 절제술을 시행받은 282 명의 비소세포 폐암 환자를 대상으로 수술 후 보조요법의 효과 및 예후인자에 대한 분석을 시행하였다. 방법: 후향적 연구였으며 환자의 생존율은 Kaplan-Meier방법으로 분석하였다. 환자생존에 영향을 미치는 예후인자에 대한 분석은 Cox regression model에 의한 단일 및 다중 변수분석에 준하였다. 결과: 대상 환자의 조직학적 유형으로는 편평상피암이 166예(59%), 선암이 86예(30%), 편평상피선암이 11예(3.9%), 미분화 거대세포암이 19예(7.1%)이었다. 병기는 TNM분류에 따라 l기 93명, II기 58명, IIIa기 131명이었다. 수술 후 재발한 환자는 139명이었고 국소 재발이 28예(20.1%), 원격전이가 111예(79.9)이었다. 병기에 따른 5년 생존율은 I기 50.1%, II기 3 1.3%, IIIa기 24.1%였고(p<0.0001) 병기에 따른 중앙 생존 기간은 I기 55개월, II기 27개월, IIIa기 16개월로 나타났다(p<0.0001). IIIa병기의 환자중 수술 후 항암제만을 투여받거나 항암제와 방사선치료를 받은 환자는 81명이었고 이들의 중앙 생존 기간은 19개월이었으며 수술만을 받거나 수술후 방사선 치료만을 받은 환자는 50명이었는데 이들의 중앙 생존 기간은 14개월로서 양군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p=0.2982) 또한 IIIa 병기의 환자중 수술만을 받은 환자는 11명이었고 이들의 중앙무병 생존기간은 4개월이었으며 수술후 항암제 투여만을 받은 환자는 21명이었고 이들의 중앙무병 생존기간은 16개월로 양군간에 통계적으로 의미있는 생존기간의 차이를 보였다(P=0.0494) IIIa 병기중 N2기의 환자는 92명으로 5년 생존율은 25%, 중앙 생존 기간은 15개월이었다. 이들 중 수술 후 항암제 투여군은 62명으로 중앙 생존 기간은 18개월이었고 비투여군은 30명으로 이들의 중앙 생존기간은 14개월이었으며 양군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p=0.3988). N2기 환자중 수술후 방사선 치료를 받은 환자는 66명으로 이들의 중앙 생존 기간은 16개월이었고 방사선 치료를 받지 않은 환자는 26명으로 이들의 중앙 생존 기간은 14개월이었다. 양군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생존 기간의 차이는 없었다(p=0.6588). Cox Multiple Regression Model을 이용하여 수술 후 환자의 생존율에 영향을 미치는 예후 인자에 대하여 분석한 결과 환자의 연령(p=0.0093)과 병기(p<0.0001)만이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 결론: 비소세포 폐암 환자의 연령과 병기가 유의한 예후 인자이었으며, 보조 요법에 따른 생존율에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따라서 수술 후 환자의 생존율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더욱 효과적인 보조요법의 개발이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 PDF

AGS 인체위암세포에서 건칠, 유근피 및 신석 추출물의 항암 활성 비교 연구 (Anti-cancer Potentials of Rhus verniciflua Stokes, Ulmus davidiana var. japonica Nakai and Arsenium Sublimatum in Human Gastric Cancer AGS Cells)

  • 백일성;임령해;박철;최영현
    • 생명과학회지
    • /
    • 제25권8호
    • /
    • pp.849-860
    • /
    • 2015
  • 본 연구에서는 한약재로 널리 사용되는 건칠, 유근피 및 신석 추출물의 항암 활성을 조사하였다. 생쥐 유래 정상세포(RAW 264.7 대식세포 및 C2C12 근아세포)에서는 건칠, 유근피 및 신석 단독 및 복합 처리에 의하여 유의적인 세포생존율의 억제 현상은 관찰 할 수 없었다. 그리고 건칠, 유근피 및 신석의 복합 처리는 단독 처리군에 비하여 AGS 위암세포의 생존력을 유의적으로 억제하였으나, 폐암(A549), 대장암(HCT116), 간암(Hep3B) 및 방광암(T24) 세포에서는 그 효과가 미비하였다. 아울러 이러한 AGS 위암세포 선택적 생존 억제력은 apoptosis 유도와 밀접한 연관성이 있음을 염색질의 응축 현상, DNA 단편화 및 annexin-V 염색에 의한 flow cytometry 분석을 통하여 확인하였다. 건칠, 유근피 및 신석의 복합 처리는 Fas 및 Fas legand의 발현을 증가시켰으며, XIAP, cIAP-1 및 survivin과 같은 IAP family 단백질과 anti-apoptotic Bcl-xL의 발현은 저하시켰다. 복합 처리는 또한 mitochondrial membrane potential의 손실과 caspases (-3, -8 및 -9)의 활성에 PARP 단백질의 분절화를 유도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복합 처리에 의한 AGS 세포에서 관찰된 세포독성 및 apoptosis 유도 효과는 pan-caspases inhibitor인 z-VAD-fmk의 선처리에 의하여 차단되었다. 이상의 결과는 건칠, 유근피 및 신석의 복합 처리에 의한 AGS 위암세포 선택적 apoptosis 유도가 caspase 의존적으로 일어나고 있음을 보여주는 결과이며, in vivo 모델을 이용한 후속 연구가 진행되어야 할 것이다.

A New Cancer Cell Detection Method Using an Infectivity-enhanced Adenoviral Vector

  • Uchino, Junji;Takayama, Koichi;Nakagaki, Noriaki;Shuo, Wang;Hisasue, Junko;Nakatom, Keita;Ohta, Keiichi;Hirano, Ryosuke;Tashiro, Naoki;Miiru, Izumi;Fujita, Masaki;Watanabe, Kentaro;Nakanishi, Yoichi
    • Asian Pacific Journal of Cancer Prevention
    • /
    • 제13권11호
    • /
    • pp.5551-5556
    • /
    • 2012
  • Cytological examination is widely used as a diagnostic tool because of the ease of collecting cells from the involved area. However, the diagnostic yield of cytological examination is unsatisfactory; the reasons include sampling error, poorly prepared samples, small numbers of malignant cells, and low grades of cellular atypia. In this study, we focused on the high infectivity of adenovirus towards epithelial cells and applied the luciferase-expressing adenoviral vector to a new cancer cell detection tool. In addition, adenoviral infectivity was enhanced by modifying viral fiber proteins. The sensitivity of the diagnostic tool was tested using the NCI-H1299 lung cancer cell line, and validated in body fluid samples from cancer patients with a variety of etiology. Results showed that the adenovirus efficiently transfected NCI-H1299 with high sensitivity. Only 10 cancer cells were sufficient for detection of luciferase signals. In body fluid samples, the adenovirus confirmed the diagnosis for malignant and benign cancer, but not in non-epithelial cell derived samples. This study provides proof-of-concept for a more reliable and sensitive diagnostic tool for epithelium-derived cancer.